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0:53:40

벨기에

Belgique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ae042><colbgcolor=#ed2939>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 벨기에 합중국 · 네덜란드 연합왕국 ·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 벨기에 왕국 · 벨기에 식민제국
사회 사회 전반 · 인구 · 행정구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국왕 · 행정구역 · 벨기에 왕조 · 벨기에 연방의회
선거 유럽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베네룩스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유럽연합
경제 경제 전반 · 벨기에 프랑(폐지) · 유로
교육 교육 전반
국방 벨기에군 · NATO
교통 철도 환경( 벨기에 국철 · 유로스타 · Thalys · ICE)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보렌반트 · 관광
언어 벨기에/언어( 벨기에 플람스 공동체 ·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 프랑코포니 · 네덜란드어 연합
스포츠 축구 국가대표팀 · 풋살 국가대표팀 · 벨기에 그랑프리
기타 벨기에인( 한국계) · 벨기에계 미국인 · 벨기에계 멕시코인
}}}}}}}}} ||
벨기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000> ~ 959년 벨가이 왕국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로트링겐 공국
프랑크 왕국
독일 왕국
신성 로마 제국
959년 ~ 1815년 리에주 주교령 나뮈르 백국 에노 백국 플란데런 백국 룩셈부르크 공국 림뷔르흐 공국 브뤼셀 백국
브라반트 공국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스페인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벨기에 합중국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프랑스 제1공화국
프랑스 제1제국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1815년 ~ 네덜란드 연합왕국 중립 모레스네
벨기에 식민제국 벨기에 왕국
독일 제국
벨기에 총독부
벨기에 왕국
나치 독일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
벨기에 왕국 }}}}}}}}}}}}


파일:서유럽 아이콘.png 서유럽의 국가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파일:웨일스 국기.svg |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맨 섬 파일:영국 원형.png 채널 제도 파일:영국 원형.png 아일랜드
프랑스 모나코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2D84 0%, #003399 20%, #003399 80%, #012D84)"
{{{#!wiki style="color: #ffcc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E3D90, #42A0D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color: #fff; 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1em"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keep-all"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몬테네그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북마케도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wiki style="color: #fff; 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파트너 국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평화를 위한 동반자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몰도바|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우즈베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조지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카자흐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지중해 대화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알제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요르단|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튀니지|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이스탄불 협력 이니셔티브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글로벌 파트너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이라크|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파일:OECD 가로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45px"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colcolor=#072b5f,#fff> 파일:남극조약기.svg
남극조약 회원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남극조약 창립 가맹국
영유권 비주장 자문 가맹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nopad> 남아프리카 공화국 네덜란드 대한민국 독일 러시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미국 벨기에 불가리아 브라질 스웨덴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페인 에콰도르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인도 일본 중국 체코 페루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폴란드 핀란드
영유권 주장 자문 가맹국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노르웨이 뉴질랜드 아르헨티나 영국 칠레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프랑스 호주
비자문 가맹국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과테말라 덴마크 루마니아 말레이시아 모나코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몽골 베네수엘라 벨라루스 북한 스위스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쿠바 국기.svg
슬로바키아 카자흐스탄 캐나다 콜롬비아 쿠바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튀르키예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포르투갈 헝가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FEFEF 0%, #FFFFFF 20%, #FFFFFF 80%, #EFEFEF)"
{{{#!wiki style="color: #003366;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프랑스어권 국제기관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2em"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가나 가봉 그리스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기니비사우 니제르* 도미니카 연방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레바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나코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모리셔스 모리타니 몰도바 바누아투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
베냉 베트남 벨기에 왈롱-브뤼셀 연방 파일:벨기에 원형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르비아 세이셸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스위스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파일:아이티 국기.svg 파일:안도라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아이티 안도라 알바니아 이집트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카메룬 카보베르데 카타르 캄보디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퀘벡 주기.svg 파일:뉴브런즈윅 주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캐나다 퀘벡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뉴브런즈윅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코모로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코소보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키프로스 토고 튀니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참관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감비아 대한민국 도미니카 공화국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리투아니아 멕시코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루이지애나 주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몰타 루이지애나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르헨티나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파일:온타리오 주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온타리오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조지아 체코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태국 폴란드 헝가리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Comunidad Iberoamericana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 : 일부 기구만 참여 (푸에르토리코 - OEI, 적도 기니 - OEI, OISS)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참관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

파일:네덜란드어 연합 로고.svg 파일:네덜란드어 연합 로고 다크 모드.svg
네덜란드어 연합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26px"
회원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아루바 기.svg  |  파일:퀴라소 기.svg  |  파일:신트마르턴 기.svg
파일:플란데런 깃발.svg 파일:수리남 국기.svg
플란데런 파일:벨기에 원형 국기.svg 수리남
특별 파트너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
* 네덜란드의 세 지역은 후보국이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

유럽안보협력기구 (OSCE)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회원국 일람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협력국 일람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colbgcolor=#536349>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colbgcolor=#002664> 협상국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러시아 국기2.svg 러시아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 파일:몬테네그로 왕국 국기.sv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알바니아 공국 국기.svg 알바니아 공국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태국 국기.svg 시암 ·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헤자즈 왕국 · 파일:리야드 토후국 국기.svg 리야드 토후국 · 파일:아시르 이드리드 토후국 국기.svg 아시르 토후국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왕국
북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남아메리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아프리카 파일:Red_Ensign_of_South_Africa_(1912–1951).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동맹국
유럽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섭정왕국+ · 파일:쿠를란트-젬갈렌 공국 국기.svg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국+ · 파일:핀란드 국기(1918-1920).svg 핀란드 왕국+ · 파일:발트 연합 공국 국기.svg 발트 연합 공국+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1918).svg 리투아니아 왕국+ · 파일:크림 지방 정부 국기.svg 크림 지방 정부 · 파일:돈 코사크 국기.svg 돈 공화국+
아시아 파일:자발 샴마르 토후국 국기.svg 자발 샴마르 토후국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파일:조지아 민주 공화국 국기.svg 조지아 민주 공화국 · 파일: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국기.svg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아프리카 파일:데르비시국 국기.svg 데르비시국 · 파일:다르푸르 기.svg 다르푸르 술탄국 ·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 파일:키레나이카 토후국 국기.svg 세누시아 · 파일:모로코 국기.svg 자야네스
주요 국가 + 괴뢰국 · 종속국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연합국, 추축국
<colbgcolor=#002664> 연합국
맹주
· · ·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 자유 프랑스( 레지스탕스)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제2공화국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망명정부( 폴란드 지하국)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임시정부+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전국해방위원회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인민 공화국+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왕국+ ·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필리핀 자치령+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제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령 팔레스타인+( 이슈브 & 트란스요르단)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투바 인민 공화국 국기(1943-1944).svg 투바 인민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합중국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 멕시코#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 제국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 이집트 왕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연합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알바니아 민주정부 국기.svg 알바니아 민주정부 ·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 공화국 망명정부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대한민국 임시정부# · 파일:베트남 민주 공화국 국기(1945-1955).svg 베트민
추축국
맹주
· ·
유럽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프랑스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국+ ·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 · 파일:이탈리아령 알바니아 국기.svg 이탈리아령 알바니아+파일:알바니아 왕국 국기(1943-1944).svg 독일령 알바니아+ ·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 ·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마케도니아 독립국+ · 핀도스 공국+ · 파일:800px-Flag_of_Montenegro_(1905–1918,_1941–1944).svg.pn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 · 파일:Flag_of_the_Slovene_Home_Guard.png 류블랴나 주+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보호령#
아시아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 ·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svg 캄보디아 왕국+ ·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 ·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추축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 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 이라크 왕국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 : 전쟁 도중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향
+ : 괴뢰국·정부 / 위성국 / 속령
# : 간접적 지원 / 지원 여부 논란 있음
}}}}}}}}}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여행유의 지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다음 지역들은 여행유의로 지정된 국가 및 지역 입니다.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신변 안전 위험 요인숙지하고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기준일: 2024년 8월 8일)
자세한 정보는 외교부 해외안전포털을 참고
동북아시아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colbgcolor=#656565,#2b2b2b>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전 지역
2024년 7월 1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중국_China20230320.jpg
티베트 및 신장위구르자치구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3월 20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
북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colbgcolor=#656565,#2b2b2b>
하와이를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
중남미
※해당없음
서남아시아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colbgcolor=#656565,#2b2b2b>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전 지역
2024년 7월 1일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전 지역
2024년 7월 1일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전 지역
2024년 7월 1일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 여행경보_2022.08.22.jpg
카슈미르, 카르길 시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
동남아시아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colbgcolor=#656565,#2b2b2b>
전 지역
2016년 7월 29일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라오스_Laos20231228.jpg
골든트라이앵글 경제특구를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사바주 동부도서 지역 및 동부해안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서파루아, 파푸아, 말루쿠, 아체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전 지역
2024년 7월 1일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태국 여행경보_2024.02.29.jpg
송클라 주 남부 말레이시아 국경지역, 파타니 주, 나라티왓 주, 얄라 주 • 치앙센 국경검문소(라오스 접경) 및 매싸이 국경검문소(미얀마 접경)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2월 29일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필리핀여행경보_221210.jpg
수빅시, 보라카이섬, 보홀섬, 세부 막탄섬(라푸라푸시)
2022년 11월 29일 }}}}}}}}}
중동·북아프리카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모로코 여행경보_2024.07.01.png
서사하라 이외 지역
2024년 7월 1일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전 지역
2024년 7월 1일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요르단 여행경보_2022.11.29.jpg
시리아 및 이라크 접경10km지역을 전 지역
2023년 3월 7일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이집트 여행경보_2023.08.04.jpg
다합•샴엘셰이크지역, 카이로 등 나일강 유역 도시지역, 마르트루~지중해 유역
2023년 8월 4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여행경보_2022.11.29.jpg
이라크 접경지역, Mutla'a, Jeleeb Al-Shuyoukh, Khaitan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튀니지 여행경보_2023.03.07.jpg
튀니스와 수도권 지역/비제르트 주/나불 주/수스 주/모나스티르 주 마흐디아 주/스팍스 주/제르바 주
2023년 3월 7일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colbgcolor=#656565,#2b2b2b>
전 지역
2024년 7월 1일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전 지역
2022년 4월 13일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전 지역
2024년 7월 1일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
러시아·중앙아시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타지키스탄221101발령.jpg
아프가니스탄 국경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전 지역
2023년 8월 4일 }}}}}}}}}
유럽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colbgcolor=#656565,#2b2b2b>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전 지역
2023년 3월 7일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전 지역
2022년 4월 13일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여행경보_2023.04.15.jpg
나고르노-카라바흐 및 인근 7개 지역 아그담(Aghdam), 피줄리(Fizuli), 자브라일(Jabrayil), 장길란(Zanglian), 구바들리(Guabadly), 라친(Lachin), 켈바자르(Kelbajar)), 나흐치반 아르메니아 접경지역 및 아르메니아 접경 5km 구간을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4월 15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여행경보_2024.02.23.jpg
킬리스, 가지안텝, 샨르우르파, 마르딘, 시르낙, 하카리, 반, 비트리스, 시르트, 바트만, 디야르바크르, 빙골, 툰셀리, 엘라지, 시리아의 국경 10km 이내 지역(하타이)를 제외한 전 지역
2024년 2월 23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폴란드 여행경보_2022.11.29.jpg
우크라이나 접경 30km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
오세아니아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colbgcolor=#656565,#2b2b2b>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
여행금지국가 · 출국권고국가 · 여행자제국가 · 여행유의국가 }}}}}}}}}}}}}}}
벨기에 왕국
Koninkrijk België
Royaume de Belgique
Königreich Belgien
Kingdom of Belgium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장.svg
국기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민간기[1] 국장
Eendracht maakt macht
L'union fait la force
Einigkeit macht stark
통합이 힘을 만든다
상징
국가 La Brabançonne
국화 붉은 양귀비
역사
1831년 7월 21일 벨기에 왕국 성립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도 | 최대도시 브뤼셀
면적 30,689km²
접경국
[[독일|]][[틀:국기|]][[틀:국기|]]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룩셈부르크|]][[틀:국기|]][[틀:국기|]]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총인구 11,677,348명[2](2023년)
인구밀도 373명/km²(2018년 1월 1일)
출생 인구 117,800명(2018년)
기대 수명 81세(2015년)
출산율 1.60명(2020년) 출처
공용 언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공용 문자 로마자
종교 그리스도교 60.7%( 가톨릭 52.9%, 개신교 2.1%, 정교회 1.6%, 기타 4.1%), 무종교 32.0%, 이슬람 5.2%[3][4] 기타 2.1%
민족 벨기에인 86.5%[5], 외국인 13.4%(2023년)[6]
군대 벨기에군
주둔군 미군, NATO군 }}}}}}}}}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지역 3개
10개
기초자치단체 581개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연방제
민주주의 지수 7.64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2년)
(167개국 중 36위)
벨기에인의 왕
(국가원수)
필리프
총리
(정부수반)
알렉산더르 더크로 }}}}}}}}}
경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제 체제 시장경제
GDP 6,242억 4,800만 달러(2023년 IMF 기준)
1인당 GDP 53,377 달러(2023년 IMF 기준)
GDP(PPP) 7,660억 2,500만 달러(2023년 IMF 기준)
1인당 GDP(PPP) 65,501 달러(2023년 IMF 기준)
국부 $3조 1,590억 / 세계 19위(2020년)
수출량 4,300억 8,400만 달러(2017년)
수입량 4,063억 6,200만 달러(2017년)
GDP 대비 공공 부채 비율 86.95%( 2018년)
신용 등급 무디스 Aa3
S&P AA
Fitch AA-
통화 유로(€) }}}}}}}}}
단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기년법 서력기원
시간대 UTC+01:00( 서머타임 적용)
도량형 SI 단위 }}}}}}}}}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 수교 현황 대한민국
1901년 3월 23일 ( 대한제국)[7]
1961년 5월 2일 ( 대한민국)[8]

북한
2001년 1월 23일[9]
국제 연합(UN) 가입 1945년
주한 대사관
총영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45길 23 }}}}}}}}}
ccTLD
.be[10]
국가 코드
056, BEL, BE
국제 전화 코드
+32
홈페이지
파일:logo-be 2000px.png [다국어][12]
여행 경보
여행유의 전 지역
위치
<colbgcolor=#fff,#191919>
파일:벨기에 위치.svg
1. 개요2. 상징
2.1. 국호
2.1.1. 언어별 명칭
2.2. 국기2.3. 국장2.4. 국가
3. 언어4. 역사5. 인구6. 행정구역7. 기후8. 사회
8.1. 지역갈등8.2. 이민8.3. 치안
8.3.1. 2011년 리에주 총기난사 사건8.3.2. 안드라스 팬디 사건8.3.3. 마르크 뒤트루 사건8.3.4. 2016년 브뤼셀 테러8.3.5. 2018 리에주 테러8.3.6. 2018년 샤를루아 공항 경찰 과잉 대응 사건
9. 정치10. 경제11. 교육12. 군사13. 문화14. 외교15. 인물
15.1. 유명인15.2. 벨기에 관련 캐릭터
1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벨기에 왕국, 통칭 벨기에 서유럽에 위치한 연방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네덜란드, 룩셈부르크와 함께 베네룩스로 불린다. 네덜란드의 남쪽, 프랑스의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수도 브뤼셀(Bruxelles, Brussel)이다. 국토 면적은 30,528㎢로, 32,289㎢의 경상도보다 약간 작다.

네덜란드와 함께 연합 왕국을 구성하였으나(1815–1839), 얼마 못 가 갈라졌다. 네덜란드와 벨기에가 연합 왕국을 구성한 1815년에 벨기에의 인구는 340만 명으로 당시 유럽에서 진행되기 시작한 인구 성장에 편승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지만 네덜란드의 인구는 240만 명으로 정체 상태에 가까웠다. 인구는 더 적은 네덜란드가 벨기에를 지배하려고 하니까 갈등이 더 커지게 되었다. 네덜란드가 벨기에와 네덜란드 사이를 흐르는 강의 청소를 게을리하자 나라 전체가 홍합 불매 운동을 벌인 일도 있다(...). 더군다나 두 나라 모두 홍합을 자주 먹는다. 네덜란드와의 국경 지대 중에 바를러라는 곳이 있는데, 국경이 심히 복잡해서 월경지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지리적으로 개방되어 있는데다가 강력한 국가들에 둘러싸여 있어 나폴레옹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격전지가 되었다. 현재는 유럽연합 본부와 의회, 북대서양 조약 기구 본부가 있는 유럽의 중요한 국가가 되었다.

이 나라의 총리를 지낸 샤를 미셸 유럽연합 정상 회의(유럽 이사회) 의장(President of the European Council)으로 활동하고 있다. UN 사무총장과 비슷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EU 대통령'으로 보는 것은 부적절한 시각이다. 또한 ' European Council'은 'EU 정상 회의'로 번역해야 하고, ' The Council'은 'EU 각료 회의'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부분은 유럽연합 관련 용어의 한국어 번역어가 아직 자리 잡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논의가 필요한 사항이다.

2. 상징

벨기에 헌법 제193조
De Belgische Natie kiest als kleuren rood, geel en zwart, en als rijkswapen de Belgische Leeuw met de kenspreuk EENDRACHT MAAKT MACHT.(네덜란드어)
La Nation belge adopte les couleurs rouge, jaune et noire, et pour armes du Royaume le Lion Belgique avec la légende : L'UNION FAIT LA FORCE.(프랑스어)
Die Belgische Nation wählt die Farben Rot, Gelb und Schwarz und als Wappen des Königreichs den Belgischen Löwen mit dem Spruch: EINIGKEIT MACHT STARK.(독일어)
벨기에의 상징으로 "통합이 힘을 만든다"라는 명문(銘文)이 새겨진 벨기에 사자 문장에 붉은색, 노란색, 검은색을 사용한다.

2.1. 국호


국호 (國號)
{{{#!wiki style="margin:0 -10px -2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2px -1px -11px"
대한민국
大韓民國
일본국
日本国
중화민국
中華民國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러시아 연방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미합중국
United States of America
대한민국/국호
( 한국사 역대 국호)
일본/국호 중국/국호
( 중국사 역대 국호)
러시아/국호 미국/국호
인도 공화국
भारत गणराज्य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독일연방공화국
Bundesrepublik Deutschland
프랑스 공화국
République française
인도/국호 베트남/국호 영국/국호 독일/국호 프랑스/국호
그리스 공화국
Ελληνική Δημοκρατία
아일랜드
Éire
우크라이나
Україна
루마니아
România
크로아티아 공화국
Republika Hrvatska
그리스/국호 아일랜드/국호 우크라이나/국호 루마니아/국호 크로아티아/국호
스페인 왕국
Reino de España
헝가리
Magyarország
리투아니아 공화국
Lietuvos Respublika
몬테네그로
Crna Gora
스웨덴 왕국
Konungariket Sverige
스페인/국호 헝가리/국호 리투아니아/국호 몬테네그로/국호 스웨덴/국호
포르투갈 공화국
República Portuguesa
이탈리아 공화국
Repubblica Italiana
폴란드 공화국
Rzeczpospolita Polska
덴마크 왕국
Kongeriget Danmark
아이슬란드
Ísland
포르투갈/국호 이탈리아/국호 폴란드/국호 덴마크/국호 아이슬란드/국호
네덜란드 왕국
Koninkrijk der Nederlanden
벨라루스 공화국
Рэспубліка Беларусь
스위스 연방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Confédération suisse
Confederazione Svizzera
Confederaziun svizra
Confoederatio Helvetica
에스토니아 공화국
Eesti Vabariik
아르메니아 공화국
Հայաստանի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
네덜란드/국호 벨라루스/국호 스위스/국호 에스토니아/국호 아르메니아/국호
앙골라 공화국
República de Angola
앙골라/국호 }}}}}}}}}
관련 틀: 국기 · 국장 · 국가


벨기에라는 국호는 로마 제국 갈리아 점령 이전에 이 지역에 살았던 갈리아-게르만 민족의 일파인 벨가이(Belgae) 족으로부터 유래했다.[13] 벨기에라는 한글 표기는 네덜란드어 België[14]를 옮겨적은 것에서 유래했다. 북한에서는 프랑스어 Belgique를 옮겨적어 '벨지끄'라고 한다. 또한 영어로는 Belgium이라고 하는데 '벨점(벨지엄)'으로 옮길 수 있다. 실제로 1980년대에는 대한민국 정부에서도 '벨지움'이라는 표기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 과거 조선을 계승한 대한제국 시절에는 벨기에를 한자로 음차하여 백이의(白耳義)로 표기했다. 이 표기는 현재 대한민국의 주한벨기에영사관에서 여전히 쓰이고 있다.

원래 이 지역은 네덜란드와 통틀어서 '저지대', 즉 '네덜란드'라고 불렸던 지역이다. 네덜란드 지역 중 벨기에가 있던 지역을 부르던 명칭은 남네덜란드(프랑스어: Pays-Bas méridionaux, Pays-Bas du Sud, 네덜란드어: Zuidelijke Nederlanden), 가톨릭 네덜란드, 벨기에 네덜란드 등이었다. 네덜란드라는 단어 자체가 네덜란드어, 저지 독일어 등에서 '낮은(neder) 땅(land)'이라는 뜻이다. 오늘날 벨기에가 있는 지역도 역사적으로 네덜란드라고 불렸다. 시간이 흘러가면서 벨기에는 네덜란드 남부를, 네덜란드는 네덜란드 북부를 의미하는 쪽으로 변해가는 경향이 있었지만 벨기에 혁명 이전에는 동의어 비슷하게 섞어서 썼다. 18세기의 네덜란드에 대해 쓴 책에 의하면 당시에 네덜란드(국가)를 의미하는 프랑스어 Pays-Bas가 있었지만, 형용사는 "belgique"를 썼다고 한다.

벨기에가 국호로 처음 쓰인 것은 1790년 벨기에 합중국이 세워진 때로, 벨기에 합중국은 오래 가지 못했지만 벨기에라는 이름을 가진 최초의 국가였다.[15] 네덜란드와 벨기에가 갈라질 때 네덜란드가 지역명을 국명으로 써버리면서 벨기에는 네덜란드 대신 다른 이름을 나라 이름으로 써야 했던 것. 1830년에 네덜란드에서 분리될 때 다시 벨기에 왕국이라는 명칭을 채택했다.

2.1.1. 언어별 명칭

언어별 명칭
네덜란드어 Koninkrijk België
독일어 Königreich Belgien
프랑스어 Royaume de Belgique
{{{#!folding [ 타 언어별 명칭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영어 Kingdom of Belgium
룩셈부르크어 Kinnekräich Belsch
스페인어 Reino de Bélgica
그리스어 Βασίλειο του Βελγίου
이탈리아어 Regno del Belgio
포르투갈어 Reino da Bélgica
헝가리어 Belga Királyság
리투아니아어 Belgijos Karalystė
라트비아어 Beļģijas Karaliste
에스토니아어 Belgia Kuningriik
폴란드어 Królestwo Belgii
체코어 Belgické království
러시아어 Королевство Бельгия
루마니아어 Regatul Belgiei
핀란드어 Belgian kuningaskunta
스웨덴어 Konungariket Belgien
세르보크로아트어 Kraljevina Belgija
Краљевина Белгија
덴마크어 Kongeriget Belgien
노르웨이어 Kongeriket Belgia
한국어 벨기에 왕국[16]
일본어 ベルギー王国
중국어 比利時王國 }}}}}}

2.2. 국기


벨기에 국기의 역사
검정(#2d2926)
PMS Black
노랑(#ffcd00)
PMS 116
빨강(#c8102e)
PMS 186
런던 올림픽 국기와 국가 안내에 나온 PMS 카탈로그에 있는 코드와 그것으로 구현한 웹색상
네덜란드어: Vlag van België, 프랑스어: Drapeau de la Belgique, 독일어: Flagge Belgiens

공식적인 비율은 13:15며, 세 색깔들은 가로를 3등분하는 수직의 선으로 나누어진다. 이 비율은 자신들이 정해 놓았지만 어떤 경위로 지정되었는지 불확실하다.[17] 통상적으로는 2:3인 국기를 쓰고 간혹 정부 기관에서도 세로:가로 비율이 2:3인 국기를 쓰기도 한다. 검은색, 노란색, 빨간색의 삼색기다. 13:15비율의 국기는 왕실에서 주로 사용한다.

삼색기의 색상은 브라반트 공국 방패에서 유래했다.

벨기에 혁명이 시작된 다음날인 1830년 8월 26일, 브뤼셀 시청에서 네덜란드의 국기가 끌어내려졌고, 그 자리는 검정, 노랑, 빨강의 삼색기로 급히 대체되었다. 이 삼색기는 벨기에 합중국이 세워지도록 했던 브라반트 혁명 당시 사용된 기에서 본떠온 것이다. 이 때는 세로가 아닌 가로 줄무늬의 국기였으나, 1831년 1월 23일, 세로 줄무늬로 공식적으로 바뀌게 되어 현재의 국기가 제정되었다.

독일의 국기와 배색이 비슷한데 독일의 국기는 형태가 가로형인데다 색도 검정, 빨강, 황금으로 조금 다르다. 순서도 벨기에는 빨강이 끝에 오나, 독일은 빨강이 가운데다. 좌로 90도 돌린 형태의 벨기에 혁명기와 비교해보면 두 국기의 색순서가 다름을 알 수 있다.

2.3. 국장

파일:벨기에 국장(소형).svg
실제로 많이 쓰이는 간소화된 벨기에 국장
검은 배경에 혀가 붉은 노란 사자를 상징으로 쓰고 있다. 이는 브라반트의 상징과 동일하다. 벨기에의 각 주의 상징은 종류가 다르지만 모두 사자다.[18]

네덜란드, 독일 공동체의 상징도 역시 사자다.

2.4. 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a Brabançonn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언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기에/언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의 언어 지역과 공동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folding [ 벨기에의 언어 지역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000,#fff>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이중언어* 독일어
파일:플란데런 깃발.svg 파일:왈롱 깃발.svg 파일:브뤼셀 깃발.svg 파일:오스트벨기엔 깃발.svg
플란데런 왈롱 브뤼셀 독일어 사용지역
※: 독일어 지역 제외
*: 프랑스어/네덜란드어 사용 지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folding [ 벨기에의 공동체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000,#fff>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파일:플란데런 깃발.svg 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 파일:오스트벨기엔 깃발.svg
플란데런 왈롱-브뤼셀 연방 오스트벨기엔 }}}}}}}}}




파일:벨기에의 공동체 지도.svg
두 개의 벨기에와 언어전쟁
벨기에에서는 네덜란드어(노랑), 프랑스어(빨강), 독일어(파랑)가 공용어이며, 네덜란드어권인 플란데런 지역과 프랑스어권인 왈롱 지역간의 갈등이 심한 상황이다. 제1언어 사용인구는 네덜란드어 55%, 프랑스어 36%, 독일어 1% 미만이다. 나머지 8%는 플란데런 지방과 왈롱 지방 사이에 위치한 수도 브뤼셀에 해당한다.

독일어 사용지역은 인구의 0.7%를 차지하여 존재감은 미미하다. 원래 이 지역은 독일 제국의 영토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 승전국인 벨기에가 전리품으로 획득한 지역이다.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기에/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000> ~ 959년 벨가이 왕국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로트링겐 공국
프랑크 왕국
독일 왕국
신성 로마 제국
959년 ~ 1815년 리에주 주교령 나뮈르 백국 에노 백국 플란데런 백국 룩셈부르크 공국 림뷔르흐 공국 브뤼셀 백국
브라반트 공국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스페인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벨기에 합중국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프랑스 제1공화국
프랑스 제1제국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1815년 ~ 네덜란드 연합왕국 중립 모레스네
벨기에 식민제국 벨기에 왕국
독일 제국
벨기에 총독부
벨기에 왕국
나치 독일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
벨기에 왕국 }}}}}}}}}}}}


5. 인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기에/인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기에/행정구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플란데런 문장.svg 플란데런
파일:안트베르펜 문장.svg 파일:림뷔르흐 문장.svg 파일:플람스브라반트 문장.svg 파일:오스트플란데런 문장.svg 파일:베스트플란데런 문장.svg
안트베르펜
[[안트베르펜|
안트베르펜
]]
림뷔르흐
[[하셀트|
하셀트
]]
플람스브라반트
[[뢰번|
뢰번
]]
오스트플란데런
[[겐트|
겐트
]]
베스트플란데런
[[브뤼헤|
브뤼헤
]]
파일:왈롱 문장.svg 왈롱
파일:800px-Wapen_van_Waals-Brabant.svg.png 파일:800px-Wapen_van_Henegouwen_(provincie).svg.png 파일:800px-Wapen_van_Luik_(provincie).svg.png 파일:뤽상부르 문장.svg 파일:800px-Wapen_van_Namen_(provincie).svg.png
브라방왈롱
[[와브르|
와브르
]]
에노
[[몽스|
몽스
]]
리에주
[[리에주|
리에주
]]
뤽상부르
[[아를롱|
아를롱
]]
나뮈르
[[나뮈르|
나뮈르
]]
파일:Greater_coat_of_arms_of_the_City_of_Brussels.svg.png 브뤼셀 수도 지역 }}}}}}}}}

7. 기후

대서양에서 형성된 습한 공기가 편서풍을 통해 유입되면서 연중 비가 골고루 내리는 것이 벨기에의 가장 큰 특징이다. 대체적으로 온화한 기온을 보이고, 여름이 크게 덥지 않다. 동쪽으로 갈수록 기온이 떨어지며, 실제로 벨기에 동쪽 끝자락은 굉장히 추운 겨울이 나타난다.

8. 사회

학생들이 교복을 입는 것은 지역마다 다르다. 네덜란드어권은 교복을 잘 입고 다닌다.

주요 유럽 국가 및 선진국 중 자살률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하여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자살률이 높은 지역이 많은 동유럽 국가와 비교해도 더 높을 정도이며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

16세가 되면 을 마실 수 있다. 흡연도 16세면 할 수 있어서 고등학교 1학년부터 흡연을 시작한다. 술의 경우 맥주와 같이 도수가 낮은 경우만 16세, 도수가 높은 경우 18세부터 가능하다. 고로 라들러(맥주에 과즙을 첨가한 알콜음료)를 학생들이 들고다니면서 먹을 수 있다.

8월 15일이 가톨릭 성모 승천 대축일로 공휴일이다. 2월, 9월, 10월에 공휴일이 없다. 3월, 4월, 6월은 공휴일인 주님 부활 대축일, 주님 승천 대축일, 성령 강림 대축일이 월요일의 날짜에 따라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벨기에에서 항상 공휴일이 있는 달은 1월, 5월, 7월, 8월, 11월, 12월이다. 대체 휴일 제도도 없어서 항상 공휴일이 있는 달에도 쉬지 못할 수 있다.

71세 이상인 노인들도 헌혈을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다만, 벨기에 국민들은 해외여행을 다녀왔거나 출산을 했다면 6개월, 수술을 받았다면 4개월 동안은 헌혈할 수 없다. 이 공식에 따르면 해외여행을 갔다가 7월 1일 이후에 도착했거나, 7월 1일 이후에 출산했거나, 9월 1일 이후에 수술을 받았다면 그 해에는 헌혈을 못 한다는 뜻이다.

8.1. 지역갈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기에/지역갈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La Wallonie aux Wallons, la Flandre aux Flamands et Bruxelles aux Belges.
왈롱을 왈롱인에게, 플란데런을 플란데런인에게, 브뤼셀을 벨기에인에게.
알베르 모켈이 1897년 Mercure de France에 기고한 짧은 문구
Laissez-moi Vous dire la vérité, la grande et horrifiante vérité : il n’y a pas de Belges.
J’entends par là que la Belgique est un État politique, assez artificiellement composé, mais qu’elle n’est pas une nationalité.
(…) Vous régnez sur deux peuples. Il y a, en Belgique, des Wallons et des Flamands ; il n’y a pas de Belges.
폐하께 중대하며 공포감을 주는 진실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벨기에인은 없습니다.
제가 여기서 벨기에는 정치적으로 충분히 인위적으로 구성된 국가이지만 민족이 하나가 아니라고 들었습니다.
(중략) 폐하께서는 두 민중을 다스리고 계십니다. 벨기에에는 왈롱인과 플란데런인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벨기에인은 없습니다.[19]
왈롱과 플란데런의 분리에 대해 국왕께 올리는 편지 중에서 - 쥘 데스트레, 1912[20]
벨기에 이야기: 두 지역의 뒤바뀐 운명 그리고 벌어지는 격차
벨기에는 왜 EU 체제 성공의 시금석일까?
두 개의 벨기에와 언어 전쟁

언어가 다르기도 하고 지역 간의 대립과 갈등이 심하다. 경제적으로 쇠락된 왈롱 지방과 현 주도권을 잡고 있는 플란데런 지방의 갈등은 정부(정확히는 내각) 성립까지 후퇴시켰다. 왈롱에 지원 정책이 세워지면 플란데런 지역은 또 여기에 반발하고 법안을 통과시키지 않는 일이 빈번하다. 단순히 지역을 구분하는 이름에 지나지 않던 플란데런과 왈롱이 별도로 의회와 정부를 구성하면서, 이미 연방 국가긴 하지만 양쪽 모두 자치권 확대를 주장하는 세력이 심각하게 커져서 스위스같은 연방제 국가로 변모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있다. 어쩌면 연방(federation)을 넘어서 국가 연합(confederation)같은 여러 국가들의 연합체로 변경될 가능성도 있고, 그보다 더 나가서 아예 별개의 국가들로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다.[21]

거의 매년 여러 일로 지방들이 서로 분리하려고 난리다. 2009년 여름에도 총리가 최후 수단인 의회해산권을 발동하였는데 새로 당선된 총리가 모든(7개) 의회에서 통과되지 못해서 무효가 되었고, 거의 반 년 간 정부 수반이 없는 무정부 상태가 되었다. 왕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벨기에 국왕은 국가 원수지 정부 수반이 아니다. 물론 벨기에가 아예 쪼개지지 않은 이유 중 하나가 왕가의 존재라는 점도 어느정도 있다.

다만 연방 정부의 공무원들은 각 부처의 차관 등이 공석인 장관을 대리하여 일하긴 했으니 완전한 의미의 무정부는 아니었다. 이 난리 끝에 겨우 새로 정부를 만들었더니, 연립 정부를 구성하는 5당 중 하나가 탈퇴해버렸다.[22] 나머지 네 정당만으로도 과반수는 유지할 수 있으나, 새 총리가 네덜란드어 기독당 소속인데 네덜란드어 정당 하나가 프랑스어 정당 셋과 연정하면 네덜란드어권에서 배신자라고 비난받을 것이 자명했다.

결국 여당들은 또다시 의회와 내각을 다 해산해버렸다. 2010년 6월 중순의 총선 결과, 플란데런 지방은 분리주의당이 여당(온건파 N-VA와 강경파 ' VB'를 합쳐서 40%)이 되고, 왈롱 지방은 사회당(PS)이 여당이 되었다. N-VA는 벨기에 총리는 왈롱에게 주고, 자신은 플란데런 통치에 나서는 대신 독립국에 준하는 자치를 얻으며 점차 분리를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협상 과정을 보면 꼭 그렇게 온건하게 하지만은 않았다.

이런 식으로 국가가 언제 분리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총선 후 200일이 넘도록 내각이 구성되지 않아, 2011년 1월 23일 브뤼셀에 2만명이 넘는 인파가 모여서 무정부 상태를 끝내라는 시위까지 벌였다. 정부가 구성될 때까지 남자들은 수염을 깎지 말자는 캠페인도 진행했으나, 캠페인을 펼친 사람들도 턱수염이 땅에 닿을 때까지 무정부 상태가 지속될 것 같다는 말까지 남겼다.

2011년 3월 30일에 무정부 상태로 290일째를 맞이하면서 무정부 상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화가 난 국민들은 지연된 정부 수립 날짜만큼 누드 시위를 벌였다. 벨기에 정부는 6월 3일까지 무정부 상태로 남아 마침내 1년을 넘겼다. 결국 2011년 9월 15일, 459일만에 브뤼셀-알레-빌보르데(BHV)[23] 선거구 분할의 합의를 이뤘고, 그 뒤에도 지체하다가 11월 25일 S&P가 벨기에의 신용 등급을 한 단계 강등하고 나서야 비로소 각 정파들이 회동해 예산 삭감을 통해 재정 적자 감축에 합의함에 따라 12월 6일, 사회당의 엘리오 디 루포를 새 총리로 하는 내각이 겨우 출범해 무정부 상태는 끝났다.

2011년의 여론조사에 의하면 왈롱에서는 국가 분열 시 39%가 프랑스에 합병되는 것을 찬성한다는 여론 조사가 나왔다. 반대로 플란데런 역시 분리되면 바로 네덜란드와 합치자는 여론이 있다. 이쪽을 강하게 내세우는 쪽이 극우파들이라 일단 호응은 크지 않다. 하지만 극우파에 대한 지지와는 별도로 네덜란드와 통합하려는 생각 자체에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적지 않다.

대체로 플란데런은 우파 성향, 왈롱은 좌파 성향이 강한 편이다. 다만 왕실 지지도는 프랑스어권이 네덜란드어권보다 2배 이상 높다.

국가 수장인 왕은 매번 두 지방들 간의 대화를 이끌어내려고 고생하지만, 영향력은 없다. 덕분에 왕을 향한 국민들의 시선은 좀 많이 불쌍한 사람일 정도다. 무정부 상태가 지속되던 200여일 간 왕이 지명한 조정관이 플란데런 다수당인 N-VA와 왈롱 다수당인 PS의 협상을 주도했지만 조정관만 9번 바뀌고 해낸 것은 없었다.

벨기에의 국가 표어인 '통합이 힘을 만든다'도 저러한 분리 시도를 극복하고 단결된 국가를 만들자는 뜻에 가깝다.[24] 그럼에도 현실이 표어와 동떨어져가고 있는 상황이라 참 반어법적으로 잘 만든 표어란 비아냥까지 듣게 되었다.

벨기에는 브뤼셀 수도권을 위한 .brussels과 플란데런을 위한 .vlaanderen을 GeoTLD로 등록했다. 반면 왈롱 정부는 거기에 들어가는 예산이 아까우니 도메인을 등록하지 않을 것이며 차라리 그 돈을 다른 데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이제 이런 최상위 도메인은 민간 단체·기업이 등록할 수도 있기 때문에 향후 왈롱의 민간에서 나서서 왈롱의 도메인을 등록하려 할 수도 있다.

브뤼셀 수도권은 언어 공동체 2개가 중첩되는 곳으로 양측에게 중요한 곳이다. 따라서 만약 플란데런과 왈롱이 분리되면 대체 어디에 속하게 해야 할 것인지 애매하다. 그래서 아예 독립국이 된 플란데런과 왈롱이 공동으로 통치하는 지역(condominium)으로 만들거나, 아예 어디에도 안 속하는 별도의 지역으로 만들자는 제안도 있다. 2010년 9월의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도인 브뤼셀 시민들이 국가가 남북으로 쪼개진다면 브뤼셀은 별개로 남아야 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브뤼셀을 유럽연합 수도 내지는 유럽의 특수 지역으로 만들어 플란데런과 왈롱 모두와 합쳐지지 않겠다는 말이다.

브뤼셀 수도권은 플란데런 지방에 둘러싸여 있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왈롱 지방과 직접 닿지 못하는 지역이다. 그래서 브뤼셀 수도권이 독립국 플란데런과 왈롱의 공동 통치 구역이 되거나 왈롱에 속하게 될 경우 플란데런 지방 일부를 수도권으로 옮겨서 왈롱 지방과 직접 경계선이 닿게 하자는 말도 있다. N-VA는 어떻게든 브뤼셀을 플란데런 안에 두고 싶어한다. 2019년 선거 결과를 보면 브뤼셀에서 N-VA가 순위권에 오른 지역은 한 지역도 없기 때문에 개헌이 통과될 가능성이 낮고 그 다음 과정인 독립국이 될 가능성 역시 낮다.

독일어 공동체는 벨기에가 분리될 경우 왈롱 지방에 속하니 왈롱을 따라갈 가능성이 가장 높긴 하지만, 그냥 왈롱인들의 생각일 뿐일 수도 있다. 주변 국가에 합병되거나 브뤼셀 수도권의 월경지로 편입되는 방안도 추진되기 어렵다. 독일어 공동체 입장에서는 벨기에가 쪼개질 경우 고르기가 곤란한 선택지들만 놓이게 된다. 독일어 공동체 주민들은 자신들을 마지막 벨기에인들이라고 부른다. 마지막으로 벨기에에 통합되었고, 마지막까지 통합된 벨기에를 지지할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 이것뿐만 아니라 독일어권 벨기에인들의 '마지막 벨기에인'이란 별명은 역사적 명칭 농담이기도 하다. 벨기에란 이름 자체가 라틴어로 Germania Belgica, 즉 '저지대령 독일'의 '저지대'란 단어가 나라 이름으로 굳은거고[25], 원래는 베네룩스 삼국 저지대 일대의 주민들이 스스로는 그냥 ('독일인'이 아니라) '프랑스와 붙어있는 저지대의 독일어권 사람들'이라고 인식하던 중세의 유산이 국명에 남아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별개 국가, 국민 공동체로서 '네덜란드'와 다른 저지대권이 독일권에서 떨어져나온게 된 계기가 네덜란드 독립 전쟁과 잇다른 옛 저지대 17개주의 재편성이었기 때문에 이 사건들이 터진 16세기, 17세기보다 훨씬 일찍 가장 가까운 유럽 대륙의 이웃으로 깊게 교류했던 잉글랜드 사람들은 여전히 이들을 도이치, 즉 더치로 인식했고, 따라서 영어권에서 아직도 '네덜란드의, 네덜란드인'을 뜻하는 단어가 'Hollander', 'Netherlander'가 아니라 'Dutch'인 것이다.

2006년 12월 13일, 왈롱 지역의 공영 방송인 RTBF에서 갑자기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플란데런이 일방적으로 독자적인 국가로 분리되기로 선언했다는 뉴스 속보를 방송한다. 평소 저녁 뉴스를 진행하던 간판 앵커, 프랑수아 드브리고드(François de Brigode)[26]가 진행했으며 벨기에의 유명인들과 인터뷰를 하는 모습 등이 방송되었기에 사람들은 충격에 빠졌고 당시 해외에 있던 왕자 필리프(현 국왕)는 측근에게 소식을 전해듣고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이건 사실 페이크 다큐였고, 페이크 다큐였다는 사실을 방송을 시작한지 30분이나 지나서, 방송 위원회의 경고를 받고서야 자막으로 표시를 했다. 자세한 내용은 RTBF 문서를 참고.

이러한 벨기에의 갈등이 과장되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정치적인 대립으로 인해 무정부상태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은 것은 사실이나, 그러한 극단적인 대립이 왈롱 주민과 플란데런 주민 간의 대립이 극단적이라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이다. RTBF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왈롱인은 취업 문제를, 플란데런인은 이민자 문제를 걱정한다는 차이점을 제외하고 정치성향의 차이가 그렇게 극단적으로 벌어져있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괴리가 발생하는 이유는 기사에 있는 그래프와 같이 프랑스어권 정당과 네덜란드어권 정당들이 각자가 속한 두 지역의 이익을 위해 유권자들의 평균적인 정치성향보다 극단적인 목소리를 내기 때문이다.

벨기에 지역갈등의 시작은 프랑스어 단일 언어정책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정치성향, 사회문화, 경제 갈등 등의 다양한 양상을 띠게 된다. 그렇기에 지역갈등의 원인도 다양하다.

8.2. 이민

벨기에는 공식적으로는 이민에 대한 제도 자체가 없는 국가다. 예외적으로 외국인 신분의 경우 크게 단기 거주자, 장기 거주자, 벨기에인 가족이 있는 자에 한해서만 가능한 영주권자의 세 분류로 나뉘어진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의 기존 보유 국적을 포기하는것을 요구하기도 한다.

투자 이민의 경우 불가능은 아니지만, 공식적인 루트가 아닌 비공식적으로 변호사를 통해 이민국과 경제부에 접촉을 해야만 허가가 나온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최소 금액은 50만 유로지만 벨기에 국부 펀드에 3년간 투자할 최소 금액일 뿐이다. 골든 비자를 원하면, 비공식적으로는 150만-200만 유로를 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든 비자 신청을 하면 벨기에 경제부에서 보증을 서므로, E나 F카드에 준하는 투자 카드가 나온다.

해당 카드 소지자는 벨기에 영주권자와 동일한 신분이다. 해당 비자 소지자는 이후 3년 후에 시민권 신청을 하면 별도의 절차 없이 여권을 발급받는다. 단, 시민권을 받을때까지 투자 금액은 벨기에 안에 있어야 한다. 두 개 이상의 국적을 가졌으면 이 기간은 더 늘어난다. 여기에 벨기에는 두 개 이상의 시민권을 보유한 귀화자에 한해서는 언제든 시민권 박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국적만을 가지는 것이 좋다.

벨기에는 혈통 중심의 국가다. 예외적으로 벨기에에서 출생한 사람은 18세까지 벨기에 거주자에 한해서는 국적을 부여한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의 기존 보유 국적을 포기하는 것을 요구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벨기에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나거나 부모 한쪽이 벨기에인이고 벨기에에서 출생하면 벨기에 국적을 받는데 문제가 없다. 그러나 부모 중 한쪽이 벨기에인이고 해외 출생자라면 벨기에 대학을 졸업하거나 벨기에 의무교육을 받거나 혹은 벨기에에서 18세부터 28세까지 경제적 기여(세금 납부)를 하지 않았다면, 벨기에 국적을 박탈당할 수 있다. 심지어 국적 보유자가 벨기에 국적만 가지고 있고 다른 나라에서 영주권을 가지고 체류하고 있더라도 벨기에 국적을 박탈당할 수 있다. 실제로 2013년 홍콩 시민 BN(O)[27]와 벨기에인 사이에서 태어난 사람이 벨기에 국적을 박탈당한 일이 있었다. 대법원까지 갔으나 결국 원고 패소했다. 해당 원고는 22세까지 벨기에 시민권+홍콩 영주자로 살았다. 그래서 부모 한쪽이 벨기에인일 경우 벨기에 대사관에서는 강력하게 벨기에 출생을 권한다.

만약 국적을 박탈당했다면, 벨기에 법무부를 통해서 벨기에로 와서 28세까지 거주를 하거나 대학을 졸업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해당인은 벨기에 준시민이기에 유럽시민권자로 인정을 받지 않는다. 그래서 F카드 영주자 신분이기는 하나 국적이 없는 사람이라면 매번 벨기에를 나갈때 Bijlage(정부 발행 임시 서류)를 받아야만 다시 벨기에 입국이 가능하다. (일종의 출입국 허가서류다.) 그러나 부모를 만나러 갈 때는 해당 서류를 발급받지 않아도 괜찮다. 위의 사례에서 홍콩 영주권자의 경우 홍콩을 방문할 때는 따로 서류가 필요 없다. 그러나 입국할 때 될 수 있으면 환승 없이 벨기에로 들어오는 것을 벨기에 정부는 권장한다. 일반적으로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의 경우 이해를 하는 편이지만 영국이나 스페인 등 벨기에와 국경을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는 국가의 경우 유럽으로 상륙이 불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Snel-Belgwet이라고 하는 국적법이 있는데 조부모와 부모 두세대 모두 벨기에에 거주하나, 벨기에 거주권이 없거나 영주권 신분인데 3세대 이상 벨기에에 살아왔고, 벨기에 태생이면 즉각적으로(물론 신청을 해야하지만) 벨기에 국적을 부여받는 법이 존재한다.

사람도 많은 강변에서 말이다. 이는 인종차별 행위로 인해 얻는 사회적인 페널티가 적거나 없는 수준, 혹은 인종차별에 대한 감수성이 사실상 없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8.3. 치안

벨기에의 마피아인 밀리유와 네덜란드 페노제, 모로코 마피아들이 마약 거래를 크게 해서 종종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안트베르펜은 모로코산 대마초와 헤로인, 중남미 코카인이 들어오는 주요 창구이다. #

특히 모로코 마피아들은 네덜란드와 벨기에서 모두 활동하며 마피아들이 전쟁을 할때 폭탄 공격을 자주해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8.3.1. 2011년 리에주 총기난사 사건

2011년 12월 13일 벨기에의 도시 리에주에서 5명이 죽고 125명[28]이 다친 사건.

33세의 모로코계 남성 노르딘 암라니[29]가 크리스마스가 다가와 사람들로 북적이던 상 랑베르 광장에서 수류탄을 던지고 FN FAL을 난사한 뒤 권총으로 자살했다.

암라니는 로켓 런쳐와 소총, 저격소총을 포함한 수십 정의 무기와 수천 개의 무기 부품, 2,800여 포기의 대마초를 범죄를 목적으로 소지한 혐의로 2008년에 58개월 형을 선고받았다. 장물 거래와 성추행 혐의는 덤. 사회에 별 위협이 안 될 것 같으면 특별한 조건 없이 가석방하는 벨기에 법에 따라 2010년 8월에 풀려났는데 사건 당일 성적 학대와 관련하여 경찰에 출두하기로 되어 있었던 암라니는 이웃집을 청소해주던 여성을 자신의 집도 청소해달라며 유인, 살해했다. 그리고는 달려나와 학살극을 벌인 것이다.

범인의 자살로 수사를 더 벌일 수는 없었지만 벨기에를 충격에 빠뜨리기엔 충분했다.

8.3.2. 안드라스 팬디 사건

헝가리 출신이며 벨기에 연합 개신교 교회(VPKB/EPUB) 의 목사로 벨기에에서 활동하던 안드라스 팬디라는 살인마가 자신의 친딸과 의붓딸을 성폭행하고 두 명의 전처와 자신의 자식, 의붓자식 도합 최소 6명을 연쇄 살해하고 시신을 아주 잔인하게 훼손한 사건.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이뤄진 것으로 추정되며 1997년에 같이 범행에 가담했던 딸 아그네스가 자수함으로써 그 진상이 드러났으나 당시에는 제대로 된 수사가 이뤄지지 않은 채 잠정 종결되었다. 실제로는 피해자가 더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결국 밝혀내지 못해 벨기에 사법당국의 안이한 대응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그로부터 5년 뒤인 2002년 마르크 뒤트루 재판이 여론에 알려져 벨기에 내에서 아동 성범죄, 살인죄에 대한 엄벌 여론이 일고 미제 사건에 대한 재수사를 적극 촉구하는 여론의 요구로 검찰이 사건 파일을 다시 열고 안드라스 팬디와 그 딸을 구속, 조사하면서 진상이 드러나게 됐는데 알고 보니 안드라스 팬디는 겉으로는 훌륭한 성직자였으며 루마니아 독재자 때문에 고아가 된 아이들을 보호하는 단체의 설립자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집안에서는 폭군이었고 자기 눈밖에 났거나 도망친 사람을 죽이지 못해 안달인 인물이었던 것.

8.3.3. 마르크 뒤트루 사건

1990년대 중반에 벌어진 아동 성폭행 연쇄살인 사건으로 벨기에의 소아성애자인 마르크 뒤트루가 다수의 아무런 관계도 없는 소녀들을 납치하고 성폭행한 뒤 감금했으며 그 중 두 소녀를 살해하고 또한 범행의 은폐를 목적으로 공범 베르나르 와인슈타인도 살해한 사건이다. 그가 다른 범죄로 경찰에 붙잡혔을 때 아내 미셸 마르탱이 또 다른 두 명의 어린 소녀를 굶겨 죽임으로써 도합 네 명의 소녀가 피살되었으며 희생자는 총 5명에 이르렀으며 벨기에 검찰은 마르크 뒤트루를 주범으로, 아내 미셸 마르탱과 미셸 르리브르, 미셸 니울을 공범으로 기소하였다.

이후 오랜 기간에 걸친 조사 끝에 2004년부터 재판이 시작되었고 아동 4명 납치 살해. 2명 납치 및 성폭행. 공범 살해(뒤트루는 이 사건을 혼자서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등 모든 사건의 유죄가 인정되어 뒤트루는 무기징역 및 정부의 임의 처분 대상 지정.[30] 미셸 마르탱은 징역 30년. 미셸 르리브르는 징역 25년. 미셸 니울은 납치와 살인 모두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으나 마약 관련 행위에 대해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미셸 니울은 2006년 5월에 만기 출소. 미셸 르리브르도 2005년 10월에 피해자와 합의한 점. 살인 및 성폭행은 하지 않고 납치에만 가담한 점 등이 인정되어 가석방을 허용. 출소하였다. 미셸 마르탱은 30년 중 15년의 형량을 채운 뒤 2011년 가석방 신청을 하여 허가받고 수녀원에서 남은 수감 기간 동안 격리, 감시받는 형태로 출소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벨기에 법원이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 아무리 사회에 더 이상 위험이 되지 않는다지만 어떻게 죄없는 아이들을 굶겨 죽인 범죄자를 사회로 내보낼 수 있느냐는 것.

마르크 뒤트루는 현재도 교도소에서 복역 중에 있는데 뒤트루는 2013년 무기수의 기본 복역 형량을 채운 뒤 가석방 신청을 했다가 '죄질이 너무 나쁘고 위험한 인물이라는 이유' 로 기각되었다. 소아성애자라 교화도 거의 불가능한 만큼 교도소에서 일생을 마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로 이 사건 직후 벨기에 내부에서는 사형 제도를 부활시켰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 적이 있지만[31] 이는 벨기에 헌법상(제18조 연성헌법 국가라 굳이 수정 못 할 이유는 없다만)이나 유럽연합 헌법 규정상으로는 불가능하다.[32]

8.3.4. 2016년 브뤼셀 테러

2016년 3월 22일 오전 8시 브뤼셀 자벤텀 공항과 말베크 (Maelbeek / Maalbeek) 지하철역에서 연쇄 테러가 발생했다. 17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세한 것은 2016년 브뤼셀 테러 사건 참조.

8.3.5. 2018 리에주 테러

2018년 5월 29일에 리에주에서는 이슬람 극단주의자들과 만난 것으로 확인된 용의자가 교도소를 나오면서 경찰관 2명과 행인 3명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되었다. # # 그리고 다에시가 리에주에서 있었던 테러사건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 거기에다 벨기에 경찰은 용의자가 수감자까지 살해했다고 보도했다. #

8.3.6. 2018년 샤를루아 공항 경찰 과잉 대응 사건



CCTV영상의 경찰관들은 현지언론 공개당시 모두 모자이크 처리가 돼있지만 이 동영상에는 모자이크가 없다. 동영상에 의하면 벨기에 경찰청의 1, 2인자가 모두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돼있는데 현지 언론에 의하면 벨기에 연방경찰의 2인자가 사임하고 공항경찰의 2인자가 경질된 것이라고 한다.

관련 페이지( RTBF, VRT)
2018년 2월, 슬로바키아 남성 요제프 호바네츠가 샤를루아 공항에서 항공권을 제시하지 않아 유치장에 구금됐다. CCTV 영상에 의하면 유치장에서 이 남성은 머리에 피가 나도록 벽에 머리를 박고 있었고 이때 경찰이 이를 제압하면서 가슴 위에 16분간 앉아있었다고 한다. 또한 다른 경찰은 옆에서 나치 경례를 하기도 했다. 당국에 의하면 사인은 심장마비였다고 한다.
피해자의 부인은 2년동안 이어지고 있는 수사를 신뢰할 수 없어 2020년 8월에 CCTV 영상을 공개했다.

2020년 8월 26일, 당시 내무부 장관이었던 얀 얌본(N-VA)은 "사건에 대해 기억이 나지 않아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발언했다. 이에 대해 루이스 토바크(sp.a) 전 내무부 장관이 "내가 그때 내무부 장관이었다면 사퇴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

2020년 9월 2일, 슬로바키아 의회가 집행위원회에 조사를 요청했지만, 집행위원회는 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

2020년 9월 3일, 고등 법무 위원회가 이 사건의 법적 조치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2021년 2월 10일, 내무부 장관이 3명의 고위 경찰에게 처벌의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언급했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기에/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세계 최초로 비례대표제를 시행한 국가이다.

10.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기에/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교육

파일:벨기에 국장.svg
벨기에 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대학 관리 및 학위 공인은 각 언어 공동체 소관 업무임
파일:플란데런 깃발.svg 네덜란드어 공동체 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 프랑스어 공동체
파일:플란데런 깃발.svg 플란데런 겐트 대학교 · 뢰번 가톨릭 대학교 · 안트베르펜 대학교 · 하셀트 대학교
파일:왈롱 깃발.svg 왈롱 나뮈르 대학교 · 루뱅 가톨릭 대학교 · 리에주 대학교 · 몽스 대학교
파일:브뤼셀 깃발.svg 브뤼셀 브뤼셀 자유대학교(네덜란드어권) 개신교 신학대학 · 브뤼셀 자유대학교(프랑스어권) · 생루이 대학교
벨기에의 교육 · 벨기에 소재 대학교 일람 }}}}}}}}}

벨기에의 교육제도는 불어권, 네덜란드어권, 독일어권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언어권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초/중등 교육에서 낙제(유급) 및 월반 제도를 가지고 있다.[33] 불어권 지역에서 초등학교의 낙제율은 약 18%에 이른다고 전해진다. 중/고등학교 낙제율은 25~30%, 대학1학년은 약 60%의 낙제율을 보인다고 한다. 네덜란드어권의 경우 중/고등학교와 대학교 낙제율이 조금 더 높은 편이다.

2번 연속 낙제하면 보통, 수준이 좀 더 낮은 학교로 전학을 간다고 한다. 대학교(Universiteit/Université)의 경우 낙제가 3번째에 이르면 해당 학과로의 편입/등록이 불가해서 직업교육대학(Hogeschool/Haute Ecole)으로 재입학을 하거나 5년을 기다려야 한다. 예외적으로 단과대학에서 허락을 받는 경우도 가능하나, 이 경우 현지인도 정부의 보조금을 받을 수 없어서 학비가 대폭 상승한다.[34]

네덜란드어권 대학이 프랑스어권 대학보다 비교적 국제화가 많이 되어 있는 편이고 영어로 제공하는 강의도 많기에 국제 순위에서 비교적 우위에 차지하는 학교가 많다.

벨기에 최대이자 최고 대학으로는 뢰번 가톨릭 대학교로 알려진 KULeuven이 있다. 많은 학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기는 하지만 타 대학교도 각자 유명한 과가 따로 있다. 벨기에 학생들의 경우 보통 학생지원이 잘 되고 비교적 학생이 많은 도시에 살고 싶어하거나 혹은 집 근처 대학을 선호하는 경우로 나뉜다. 또한 네덜란드어권이나 불어권이나 각자 대학교를 졸업하면 타 대학의 석사로 진학할 때 따로 차별 받는게 없고, 학점인정이나 교류가 생각보다 불어권과 네덜란드어권 간에 활발한 편이다.

독일어권의 경우 따로 대학교는 없고 직업교육대학 한 곳이 있다. 다만, 왈롱에 속해 있듯이 반드시 독어/불어 모두가 가능해야 진학이 가능하다.

네덜란드어권의 경우 2020년대초 이전까지만 해도 매우 저렴한 학비로 유명했다. 영어로 학사를 받는 과정도 아주 비싸야 6천 유로 정도로 네덜란드 학비의 반이였다. 공대를 제외하고는 900 유로 밑이였고 따로 내국인과 외국인 간의 학비 차별이 없었다. 그렇지만 2020년대초 이후 현재는 학비가 계속해서 오르고 있다. 일부 Hogeschool의 경우 과에 따라서 다르지만 아직까지 내외국인 학비 차별이 없는 곳도 있으나 대다수 직업교육대학교와 대학교의 경우 모두 EU/EEA와 비EU/EEA 간에 학비 차이가 있다. 현재는 2천 유로에서 5천 유로 사이를 유지하고 있고 공대의 경우 7천 유로 가까이로 올랐다. 다만 여전히 네덜란드의 학비와 비교하면 매우 저렴하다.[35]

프랑스어권의 경우 원래부터 국력에 따라 학비를 차등해서 지불하게 했다. 이미 2010년도에 대한민국 국민의 경우 대다수 프랑스어권 대학교에 대략 3500에서 5천유로 사이를 지불했어야 했다. 현재는 6천유로 전후반을 유지하고 있다.

벨기에 사회 특징 중의 하나는 학력 사회적인 모습이 프랑스와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그랑제꼴 출신들이 사회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듯이 벨기에의 경우 연구중심 대학교 출신들이 그러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네덜란드가 최대한 실용중심대학교와 연구중심대학교 간의 격차를 줄이고자 하는 반면 벨기에는 오히려 명확하게 학력간의 계층을 나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은 고위 공무원이 되고자 하면 공무원 시험을 통해서 올라갈 수 있는 반면 벨기에는 그런 길이 애초에 막혀 있다. 정부에서도 다수의 행정직의 경우 먼저 학력이 되어야 지원이 가능하며, 최소 시작이 전문학사[36]이 있어야 한다. 6급 이상의 경우 반드시 석사가 있어야 한다.[37]

아무래도 인구 100~110만명당 대학교가 1개인 꼴이다 보니, 어느 대학을 나왔는지 보다는 졸업장이 있느냐가 더 중요한 사회라고 볼 수 있다. 일단 같은 계열의 석사과정 진학의 경우 같은 언어공동체의 같은 계열 연구중심대학교를 나온 경우에는 별다른 절차없이 상호간에 진학이 가능하다. 불어권과 네덜란드어권 간에도 사실 별다른 증명절차 없이 대학교 졸업장만으로 진학이 가능하다. 물론 세계 대학 순위 같은 것에서 보면 차등이 있기는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떤 대학을 나와도 상호간에 진학이 가능하고 각 대학마다 고유의 특성학과가 따로 있기 때문에 '어떤 계열의 무슨 학위가 있는지'가 '어떤 대학교를 졸업했느냐' 보다 더 중요하다.

불어권이나 네덜란드어권이나 둘다 프랑스 보다는 네덜란드와 비슷한 시스템을 가진듯 하지만 몇가지 차이점이 있다. 네덜란드의 실용중심대학의 경우 석사학위 (Professionale master)가 제공되는 반면에 벨기에는 왈롱, 플란데런 모두 학사 학위만 받을 수 있다. 네덜란드의 W0-Master(연구중심대학교 석사)는 바로 인정이 되는 반면에 실용중심대학에서의 석사(HBO-Master)는 법적으로 인정은 해주지만 현실에서 취급은 bachelor-na-bachelor/Bachelier de spécialisation 정도로 인정된다.[38]

네덜란드어권이나 불어권이나 모두 자신들의 공동체 대학교(학사/석사)를 나온 경우 1년간 벨기에 노동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비자를 준다. 보통 석사까지 나온 경우에는 1년 정도 일을 하면 10년짜리 영주권인 L 카드 신청이 가능하다. 다만, 학력, 재직증명서, 거주증 이외에 언어 능력(네덜란드어나 프랑스어 A2 이상)을 증명하거나 사회통합 교육을 네덜란드어/프랑스어/독어 중 하나로 이수 해야 한다. 대부분 벨기에 대학교를 졸업하면 네덜란드의 노동시장도 1년간 접근이 가능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으로는 네덜란드로 이주하는 순간 부터 벨기에 체류했던 시간이 0으로 리셋된다. 즉 네덜란드에서 다시 돌아오더라도 유학한 기간을 포함시키지 않으므로 L카드 신청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최소 5년간 취업비자를 매년 갱신해야 한다. 따라서, 영주권을 염두에 둔 경우에는 될 수 있으면 벨기에 국내 취업을 알아보는 편이 좋다.

12. 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기에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국가의 크기가 작고 군사력도 별볼일 없어 무시당하지만 서방의 군용 기관총 시장을 석권한 FN 미니미 FN MAG를 개발한 FN 에르스탈 사라는 걸출한 총기 회사가 바로 벨기에에 있다. 1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당시 내로라하던 총기나 엔지니어들이 벨기에와 어떻게든 연이 있었을 정도로 나름대로 유서깊은 총기 명가로, 오랫동안 서방권 군대들의 개인화기 디자인을 거진 도맡다시피 했다. 국제연합 평화 유지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르완다 내전 당시 10명의 병사들이 수상을 지키던 중 살해당하는 일도 있었다. 군수 기업으로는 장갑차의 포탑을 생산하는 CMI 그룹 산하의 코케릴이 유명하다. NATO 본부도 브뤼셀에 있다.

13. 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기에/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1.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기에/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기에/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인물

15.1. 유명인

15.2. 벨기에 관련 캐릭터

※ 해당국의 작품 제외.
  • 마블 코믹스 - 율리시스 클로
    콩고 자유국으로 대표되는 제국주의 시절의 벨기에를 모티브로 삼았다.
  • 애거서 크리스티 전집 - 에르큘 포와로
  • 자칼의 날 - 벨기에인 위조범
  • 카레이도 스타 - 로제타 파셀
    디아볼로 천재 소녀.
  • 크툴루 신화 - 루트비히 프린
    벌레의 신비를 쓴 연금술사.
  • 쿠키런: 킹덤 - 바닐라 왕국 쿠키들
    본 캐릭터들의 고향인 바닐라 왕국이 검은가루 전쟁 이전에 입헌군주국인데다 건축, 과학 그리고 양모 직물, 제조업 등의 기술이 발달하고 벨기에의 왈롱 지역처럼 고산지대 배경이 있는 점, 그리고 바닐라 왕국 대부분 쿠키들의 복식은 벨기에의 전통식 중 하나인 와플을 테마로 한 옷차림이다. 추가로 딸기크레페맛 쿠키의 발명품 중에도 와플을 모델로 한 기계들이 있다. 흥미롭게도 여기 나온 쿠키 중 블랙레이즌맛 쿠키, 퓨어바닐라 쿠키, 딸기크레페맛 쿠키(그의 바지 색)의 테마색 일부를 블랙레이즌맛 쿠키부터 순서대로(검정, 노랑, 빨강) 끼워맞춰 보면 벨기에 국기 색이 나온다.

16. 관련 문서



[1] 국기와 비율이 다르다. [2] 지역별 인구 - 브뤼셀권 : 1,214,550명, 플란데런(브뤼셀권 제외) : 6,647,506명, 왈롱 : 3,645,107명 [3] 실제 무슬림 인구는 2021년 기준으로 7.6%로 추정된다. [4] 벨기에는 원래부터 무슬림이 많은 편이긴 했다. 1981년에도 이미 3%을 정도 [5] 65.5%만 순수 벨기에인이며 21%는 이민자 혈통의 벨기에 시민권자들이다. [6] 참고로 전체 인구의 14%가 백인이 아닌 유색인종이다. [7] 한백수호통상조약. 한국과 벨기에는 이 날을 양국 수교일로 규정하고 있다. 주한벨기에대사관에서는 아예 2021년 한국-벨기에 수교 120주년 기념 홈페이지까지 제작했을 정도. [8] 대한민국 정부는 단순히 외교 관계 회복으로 규정하고 있다. 다만 외교부 홈페이지의 연도별 수교현황 상세에서는 1961년을 수교 기점으로 기재하고 있다. [9] 북한에 대한 벨기에의 국가승인은 1992년 4월로 매우 늦었다. [10] 벨기에 전체의 ccTLD다. 유럽연합 회원국이어서 .eu도 쓴다. GeoTLD도 있어서 브뤼셀 수도권을 위한 .brussels과 플란데런을 위한 .vlaanderen도 서비스에 들어갔다. [다국어] 독일어 및 영어 지원이 다소 부실하다. [12] 벨기에는 연방차원의 관광청을 두고 있지 않다. 따라서 각지역의 관광청 사이트를 찾아가야 한다. [13] "All Gaul is divided into three parts, one of which the Belgae inhabit, the Aquitani another, those who in their own language are called Celts, in our Gauls, the third.", 갈리아 전기 1권 중에서 [14] 네덜란드어 발음으로는 [ˈbɛlɣijə](벨히여). [15] 벨기에 합중국이 벨기에를 국호로 사용한 첫 국가인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벨기에와 네덜란드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아서, 네덜란드어 국호명은 네덜란드 합중국이었다. 당시 북부 지역의 국명은 네덜란드 공화국이었다. [16] 북한에서는 벨지끄라고 한다. [17] 법으로 지정된 비율은 아니지만 관습적으로 쓰이고 있다. [18] 리에주의 황금 사자, 브라반트의 사자, 림뷔르흐와 뤽상부르의 붉은 사자, 에노, 플란데런, 나뮈르의 상징인 플란데런 사자. 안트베르펜은 역사적으로 브라반트에 속했다. [19] [age(1912-08-15)]년이 지난 지금은 연방 국가로서의 벨기에로 유지 중이지만, 근본적인 문제인 지역갈등을 해결하지는 못했다. 인용문에 브뤼셀이 없는 이유는 지역으로서의 브뤼셀은 1989년이 돼서야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 왈롱과 플란데런도 행정구역이라는 개념보다는 (언어)공동체 운동 진영 혹은 정체성에 가까웠고 브뤼셀 사람도 자신의 모국어에 따라 왈롱 혹은 플란데런에 속했다. [20] 이 편지는 벨기에 프랑스어권 정치인이었던 쥘 데스트레가 1912년에 알베르 1세에게 보낸 편지로 A4용지 16페이지 정도 된다. 내용이 엄청 길지만 중요한 부분을 추리면 인용문과 같다. 쥘 데스트레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왈롱과 플란데런의 행정적 분리를 주장했고 이 내용이 편지 끝부분에 쓰여져 있다. 편지는 전달되었지만 국왕이 답변을 하지는 않았다. 당시에는 행정적 분리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21] 이는 N-VA에서 주장하는 개혁이다. 오래전부터 주장해오고 있으나, 이것이 국회에 통과되려면 개헌이 되어야하고 당연히 왈롱 측에서 반대를 외치고 있다. N-VA가 왈롱을 상대로 논란이 되는 언행을 많이 보여와서 정당 홈페이지의 자주 묻는 질문에 관련 내용이 전부 쓰여져 있다. 하도 말이 많아서 그런지 표면적으로는 "N-VA는 급진적인 독립을 원하지 않으며 국가 연합으로의 전환은 정치 대립을 줄이기 위한 것이고 최종목표는 EU 회원국에 플란데런이라는 이름으로 오르는 것이나 그 절차는 민주적이어야 한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의 계획을 실현에 옮기기 위해서는 브뤼셀 주민의 표가 필요한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프랑스어를 쓰기 때문에 프랑스어로 된 영상을 올려 정치적인 메시지를 던지곤 한다. [22] 네덜란드어권 정당 둘( 기독당, 자유당)에 프랑스어권 정당 셋(기독당, 자유당, 사회당)이 참여했는데, 네덜란드어권 자유당이 탈퇴했다. [23] 네덜란드어: Brussels-Halle-Vilvoorde, 프랑스어: Bruxelles-Hal-Vilvorde. 알레-빌보르데 지역과 브뤼셀 수도권 지역을 합친 지역. 알레-빌보르데는 플람스 브라반트 주의 서쪽 절반에 해당한다. [24] 원래 이 표어가 벨기에에 처음 등장한 시기는 혁명 이후인 1831년이므로 당시에는 지역정부나 공동체 혹은 언어경계 같은 개념이 없었다. 당시에는 좌파였던 자유주의 진영과 우파였던 가톨릭 진영이 있었는데 이 두 진영의 통합을 의미했다. [25] 네덜란드도 마찬가지다. 즉, 원래 어원을 풀어 보면 벨기에는 라틴어고, 네덜란드는 현대 네덜란드어가 된 당시 중세 유럽의 서게르만어 저지대 방언이지만 의미는 '낮은 땅'이란 뜻으로 똑같다. [26] 57세인 2019년까지도 RTBF 저녁 뉴스를 진행하고 있다. [27] 영국의 국적의 일종으로 홍콩이 영국령이었던 시절에 태어난 홍콩인들이 받을 수 있는 국적. 영국 국적으로 취급되지만 영국 거주권이나 투표권, EU 시민권같은 건 없다. 무비자 정책도 영국 시민권자와 다르다. [28] 국내 뉴스에는 4명 사망, 122명 부상이라고 말하지만 영문판 위키백과를 따른다. [29] 부모가 모로코 출신이었고, 암라니 본인은 혈통만 아랍계일 뿐 프랑스어밖에 쓰지 못했으며 종교도 이슬람이 아니었다. [30] 벨기에는 가석방 없는 무기징역 제도가 없기 때문에 가석방 기회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데 뒤트루가 가석방된 뒤에도 정부가 임의로 다시 재수감할 수 있게 한 제도. 실제 의도는 가석방을 하지 말라는 뜻일 가능성이 높다. [31] 사실 이건 어느 나라나 큰 차이가 없다. 캐나다에서도 전직 공군 대령이자 성도착자인 러셀 윌리엄스가 여성 두 명을 연쇄 성폭행 살해한 사건이 발생한 뒤 사람들은 사형 제도를 부활시켜 그를 처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2] 이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도 1997년 이후 사실상 사형제 폐지국가로 지내고 있으며, 유럽연합과의 외교 관계를 고려하면 추후 사형 집행 가능성은 0에 가깝다. [33] 벨기에 출신 방송인인 줄리안 퀸타르트가 월반을 하여 또래들에 비해 학교를 1년 일찍 졸업한 대표적인 케이스다. [34] 보통 1000 유로 미만이였던 학비가 학 과목이라도 낙제 2번 초과시 5천에서 6천 유로 이상으로 급등하는 마법을 볼 수 있다. [35] 덕분에 벨기에 어디를 가던 네덜란드 출신 유학생이 어느 대학이던 발에 차인다. 지금도 네덜란드 내국인 학생이 자국에서 Kamer를 얻고 대학교 다니는 것보다 벨기에 와서 Kot를 얻어서 대학 다니는게 더 싸다. 게다가 네덜란드는 나이에 따른 임금 지불 차이가 있는 반면 벨기에는 만 18세 이상은 그런 제도 없이 동일한 임금을 받을 뿐더러 studentjob에 대해서는 아예 면세 대상이기에 벨기에 대학교를 선호하는 남부 네덜란드 학생들이 수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36] Professionale bachelor/ bachelier professionnalisant [37] 물론 고등학교 졸업 이후 바로 정부 공무원으로 일하기 시작했다면 올라갈 수 있다. 다만, 이런 경우는 높은 확률로 재직자 전형으로 최소 전문학사 이상의 과정을 마친 경우이다. [38] 사실 네덜란드 안에서도 HBO-Master와 WO-Master간에 차별이 극심하게 들어난다. 뉴스 를 보면 HBO 석사들이 오히려 HBO 학사 (Professionele bachelor)보다 적게 벌거나 혹은 개인사업자로 일하는 경우가 더 많으며, 소득이 가장 높은건 연구중심대학의 석사학위(W0-Master)로 나온다. 네덜란드 또한 벨기에 못지 않은 학력간 차이가 사회/경제계층 차이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