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6 19:29:32

구포역

구포역(경부선)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역에 대한 내용은 구포역(도시철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이름이 비슷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호구포역에 대한 내용은 호구포역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환승역을 분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환승역을 분리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구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 ·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신 방면
물 금
← 12.8 ㎞
서울 방면
화 명
← 3.4 ㎞
사 상
5.1 ㎞ →
목포 방면 부전 방면
}}}}}}}}} ||
파일:Busan3.svg 3호선으로 갈아타기
다른 문자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마자 Gupo
한자 龜浦
간체자 龟浦
가나 [ruby(亀浦, ruby=クポ)] }}}}}}}}}
주소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만세길 82 (구포동)
관리역 등급
관리역(2급)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1905년 1월 1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2004년 4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파일:누리로 BI.svg 2022년 11월 5일
S-train 2013년 9월 27일 }}}}}}}}}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복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경부선
구 포
파일:구포역.jpg
현 역사(1985년 준공, 2025년 철거 예정)[1]

1. 개요2. 역 정보
2.1. 여행자들을 위한 가이드2.2.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연계교통
5.1. 시외버스5.2. 시내버스·마을버스5.3. 도시철도
6. 사건·사고7. 여담
7.1. 대한민국 철도청의 흔적이 남아있는 역 내 에스컬레이터7.2. 협소했던 구 1번 승강장
7.2.1. 승강장 육교를 또다시 오르내리기 불편7.2.2. 열차를 온몸으로 느끼던 1번 승강장의 협소한 영역

[clearfix]

1. 개요

파일:구포역 스탬프.jpg
구포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을숙도 철새도래지를 형상화했으며,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1층 매표소에 비치중이다.
예로부터 내려온 낙동강 하류 교역 중심지
구포역은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1903년 11월 경부선 초량~구포 간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하였고, 현재의 역사는 1985년에 지어졌다. 2005년 역사의 증·개축공사와 함께 지하철 3호선 구포역과의 사이에 연육교가 가설되었고, 역사 광장에는 공원이 들어서게 되었다. 부산 시내에서는 부산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은 분주한 역이다. 구포는 조선시대부터 농산물과 어염의 집산지였던 곳으로, 바다와 내륙을 잇는 낙동강 하류 최대의 물목이자 상업 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 철도역,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만세길 82 ( 구포동) 소재.

부산의 제2관문 역할을 하고 있는 역이며 2004년 경부고속선 개통 후 KTX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2010년 11월 2단계 개통 후에는 경유하는 KTX가 별도로 운영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구포 경유 KTX 문서 참조.

2. 역 정보

파일:구포역(1980년).jpg
파일:구포역(1980년대) 구내.jpg
구 역사(1905년 준공, 1985년 철거)

구포 경유 KTX를 포함해 이 역을 지나가는 한국철도공사의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한다.[2] 북구· 강서구· 사상구 외에도 경상남도 김해시 양산시 주민들이 철도를 이용할 때 찾는 역이다. 그리고 부산의 중부~북부에 위치한 연제구, 동래구, 금정구 쪽 사람들도 많이 이용하는데,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존재 덕분이다.[3] 고속버스가 아닌 철도로 동래 방면으로 가려면 구포역에서 내려 3호선으로 갈아타는 것이 훨씬 낫다. 사상구에는 사상역이 있지만 무궁화호만, 그 중에서도 일부만 정차하기 때문에 구포역을 많이 이용한다. 남도해양관광열차도 정차한다. 서울로 치면 부산 영등포역 역할을 하는 곳이 바로 구포역이다.

특히 고속열차는 부산역 착발이 압도적으로 많고, 강남지역 접근성이 좋은 SRT도 부산역에서 착발하며 구포 경유 KTX가 점점 줄어듦에도 불구하고 이용객이 많은 이유는 부산역 부산광역시 최남단에 치우쳐 있어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인구밀집지역인 부산광역시 북구와 위성도시인 김해시 양산시에서의 접근성이 압도적으로 좋고, 대중교통 연계 또한 매우 편리하기 때문이다.[4]

북부산 쪽에서 부산역에 접근하려면 자가용 이용 시 만성 교통정체 지역인 만덕터널, 백양터널, 수정터널 중 하나를 반드시 경유하거나 서면역까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이용한 후 환승하여 부산역까지 이동하여야 하는데, 차량을 이용하여 터널을 통과할 경우 정체가 전혀 없을 때 50분 내외가 소요되며, 지하철을 이용하여도 1시간 30분 이상이 걸릴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다. 또한 대부분 시내버스가 구포역을 경유하므로 굳이 이용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이유도 있다. 부산역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이 동네에도 다 서는데 굳이 1시간 ~ 1시간 30분 이상 역주행하여 부산역에서 탈 필요는 없을 것이다.

김해시의 경우 김해시가지에서 부산역까지 직통으로 이어주는 급행버스 1004번이 절찬리에 운행 중이지만 이동거리가 매우 길며, 백양터널 중앙대로라는 만성 교통정체를 앓는 헬게이트를 경유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매우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5] 김해시 자체가 부산광역시의 위성도시이며, 가까운 부산광역시 북구. 특히 구포/덕천 일대와 많은 교류가 있기 때문에 수많은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김해시 시내버스가 김해 - 구포역간을 짧은 배차간격으로 이어주기 때문에 더욱 구포역의 이용률이 높다. 단, 장유신도시 창원중앙역이 훨씬 가깝고 진영읍/진례면은 거의 진영역을 이용한다.

양산시 부산광역시 북구보다 부산역에서 훨씬 멀리 떨어져 있으며 관내 물금역 원동역 열차 정차 편수가 매우 적고,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양산신도시,물금신도시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양산 버스 21번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서 이용률이 매우 높다. 울산역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양산시 북부를 제외하면 부산역까지 가는 시간과 비슷하고, 대중교통 연계가 불편하여 잘 이용되진 않는다. 웅상은 반대로 부산역이나 울산역 접근성이 훨씬 좋아 구포역을 잘 이용하지 않는다.

반정기적으로 군용 유류화물도 취급하곤 한다. 2021년 기준 목요일마다 대낮에 구포역에서 입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수요에 비해 역사가 굉장히 아담하다. 근데 지금 역사도 실은 몇 번씩 확장한 것. 승강장도 매우 좁고 노후화되어 있어 이용객들의 불편이 컸고, 이로 인해 한국철도공사에서 아예 신 역사를 짓겠다고 한다. 구조도 특이해서 매표소가 1층에 있고 대합실이 2층에 있으며 2층에서 다리를 타고 승강장으로 내려간다.[6]

경부선 부산 시내구간 지하화 사업 일환으로 약간 북쪽의 지하철 덕천역 위치로 옮긴다는 계획이 있다. #아카이브 다만, 이것만을 고집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방안 중 하나다. 현재 모집 중인 경부선 부지 활용 방안 #에서도 구포역을 폐지하면 갈등이 예상된다는 것을 이미 서술하고 있을 정도이다.[7]

이런 상황에서 구포역을 신축공사한다는 소식이 들린다. #

2022년 12월 현재 신축공사가 진행 중이며 2025년 완공 예정이다.

2.1. 여행자들을 위한 가이드

경부선을 경유하여 동래구에 있는 사직 야구장, 사직실내체육관 등으로 향하는 스포츠팬이나 광안리해수욕장, 광안대교 인근으로 가거나 BEXCO가 소재하고 있고 부코, G-STAR 같은 행사가 열리는 해운대구 방면으로 여행을 가는 경우, 부산역까지 가서 도시철도로 환승하는 것보다 구포역에 정차하는 열차를 타고 와서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으로 가서 도시철도를 타는 것이 좋다.

특히 경부선을 타고 와서 사직 야구장, 사직실내체육관으로 갈때 강력히 추천한다. 부산역에서 1호선을 타고 연산역에서 3호선으로 갈아타서 내리는 것보다는 구포역이 종합운동장역, 사직역과 같은 3호선이라 한 번에 갈 수 있기 때문. 소요 시간도 15~20분밖에 걸리지 않는다.[8] 택시를 타고 간다면 11,000원 안팎 정도.

해운대 쪽으로 간다면, 부산역에서 가나 구포역에서 가나 순수 도시철도 이동 소요시간 자체는 10분 정도로 별 차이가 없다. 그럼 무슨 차이가 있나 싶을 수 있는데, 바로 기차 요금을 조금 더 절약할 수 있다. 이유는 운임을 km로 책정해 받는 한국철도공사의 정책 때문에, 동대구에서 신경주 - 울산을 거쳐 빙 돌아오는 구간요금을 다 내야 한다. 반면 동대구에서부터 기존선으로 구포역에 정차하는 노선은 그만큼 가격이 떨어진다. 서울-부산 고속선 요금은 편도 59,800원이지만, 서울-구포 기존선 요금은 편도 52,500원으로 편도 요금으로만 7,300원이나 차이가 난다. 특히 대구 - 부산 간 이동 시에 동대구-부산 고속선 KTX는 17,100원, 동대구 - 구포 기존선 KTX는 10,300원(ITX-새마을, ITX-마음은 각 9,500원)인데 비해, 소요시간 차이는 고작 15분인 점을 감안하면, 동대구 - 구포 기존선을 이용하는 구포 경유 KTX, ITX-새마을, ITX-마음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9]

아쉬운 점이 있다면 구포 경유 KTX 편수가 1일 6~8왕복으로,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다. 또한, 수원 경유 KTX는 구포에 정차하지 않는다.[10] 가는 방법은 구포역(기차역)에 내린 다음,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에서 3호선을 타고 수영역에서 환승을 한 뒤 2호선을 타면 된다. 광안리로 가는 경우라면 수영역에서 1.4km 정도를 걸어가면 광안리해수욕장이 나오니, 환승이 귀찮다면 수영역 17번출구에서 천천히 걸어가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이수역에서 총신대까지 걸어가는 거리보다 짧다

해운대 신시가지 쪽으로 갈 것이면 거제역에서 동해선 광역전철으로 갈아타는 방법도 있지만, 그냥 수영역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고 종점인 장산역까지 가는 게 편하다. 장산역에서 하차하면 신시가지 번화가 안에 쏙 넣어준다. 추가로 동해선 광역전철 자체가 서울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마냥 일반 지하철에 비해 배차 간격이 긴 데다가, 신해운대역의 위치가 해운대 신시가지 중심지와는 상당히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서면(부산진구), 남포동 광복동(중구), 영도구, 부산 송도해수욕장(서구), 다대포해수욕장(사하구) 등이 목적지라면 그냥 부산역까지 가서 이동하는 것이 좋다. 단,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구)를 이용할 생각이라면 여전히 구포역에서 접근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같은 이유로 덕천동 주민들이 원도심으로, 중앙동과 초량동 주민들이 덕천동, 화명동 쪽으로 갈 때 부산 특유의 교통정체 때문에 무궁화호를 택시 대용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무궁화호를 이용할 때 부산 시내에서 타면 2,600원 (입석 2,200원)에 이동할 수 있기 때문. ITX-새마을호를 타도 4,800원 (입석 4,100원), KTX는 8,400원 (입석 7,100원)에 이동할 수 있어 무궁화호 시간을 맞출 수 없이 아주 급하게 가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택시 대용으로 저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자주 다니는 사람이라면 정기권을 구매해서 타고 다니면 환승불가 시내버스처럼 이용할 수 있다. 해당 구간은 택시를 이용할 경우 최소 15,000원 정도는 나오며, 유료도로인 수정터널과 백양터널을 통과해 통행료가 추가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 부분도 승객 부담이 된다. 아주 오래 전에는 새마을호 타고 구포역과 해운대역 사이를 다니는 고정 승객들이 매우 많았는데, 아무리 초호화 열차라서 비싸긴 해도[11] 부산 시내 교통이 엉망이라 택시보다는 저렴하고 빨랐기 때문에 서민들도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타고 다녔기 때문이다.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전까지는 그랬다.

2.2. 승강장

파일:20230530 구포역 화명방면.jpg
화명 방향
파일:20230530 구포역 사상방면.jpg
사상 방향

화명
1 2 3 4
사상
1·2 경부선 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파일:누리로 BI.svg
동대구· 대전· 서울 방면
경전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S-train
]]
마산· 순천· 목포 방면
3·4 경부선 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파일:누리로 BI.svg
사상· 부산·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S-train
]]
사상· 부전· 부산 방면

3. 역 주변 정보

근처 구포시장에 돼지국밥 맛집들이 즐비하다보니 역전에도 맛이 괜찮은 집들이 좀 있는 편이다. 역 앞에 붙어 있는 골목길을 따라 국밥집들이 즐비하다. 그 밖에는 GS25가 역 바로 앞에 한곳, 버스정류장 근처에 롯데리아, 만두집[12], 순대집 등도 있다. 택시 기사들이 장거리 손님[13]들을 기다린다고 줄지어 서있으며 떡볶이, 오뎅을 파는 노점상도 즐비하다. 노숙자들도 많아 그리 보기 좋은 풍경은 아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그러려니 하고 산다. 그나마 근처에 경찰서가 있기 때문에 치안이 심하게 나쁘지는 않은 것 같다. 그래도 워낙 노숙자들이 많은 동네라서 밤 12시 후에 도착하는 야간 도착 열차에서 내리면 상당히 불안감을 느낄 것이다. 열차가 도착한 이후엔 늦은 시간이여도 사람이 많긴 하지만.

2015년부터 주변이 재개발 되면서 구포역과 구포시장 사이에 아파트, 원룸 등이 대거 들어서기 시작했고, 주변 차로와 보도 등도 대거 정비되었다. 덕분에 역 주변 환경이 훨씬 나아졌고, 치안이 안좋은 분위기니 홍등가가 있니 하는 이야기는 죄다 옛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역에서 좀 떨어진 곳 중에서는 분위기가 영 좋지 않은 곳[14]도 남아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노숙자들이 보이기는 하지만, 열차가 도착할 시간엔 주위가 사람들로 바글바글하고, 버스, 택시, 지하철 같은 연계교통도 골목길로 빠지지 않고 광장으로 직진하면 되는 구조라 문제가 생길 확률은 적다. 다만, 주위에 있는 호텔 중 골목으로 들어가야 할 때가 있으니 이때는 조금 주의 할 것.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바로 건너편에는 도시철도 구포역이 있는데, 여기에는 차량등록사업소 구포현장민원센터가 있다. 처음 이용하는 사람들은 가끔씩 거대한 유리궁전인 도시철도 구포역이 경부선 구포역인 줄 착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헷갈리지 않게 유의하자. 경부선 구포역은 한국철도공사 마크가 붙어 있고 기차역 특유 광장이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편하다. 심지어 만화책 식객에서도 서로 바꾸어 표현했다.[15]

3호선 구포역 이외에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구명역으로도 접근할 수 있지만 길이 조금 복잡하다. 그래도 골목길마다 나름 촘촘하게 안내 표지판이 붙어 있어서 심각한 길치가 아니라면 못갈 정도는 아니다. 과거 3호선 개통전에는 구명역에서 구포역을 갈 수 밖에 없었고 그 흔적이 여전히 남아있는것. 직선인 화명역끼리의 거리보다 훨씬 짧은 곡선이지만, 모르겠으면 그냥 지하철 구포역으로 가서 덕천역에서 환승하자.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da5><bgcolor=#003da5> 연도 || 파일:KTX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003da5> 총합 ||<bgcolor=#003da5> 비고 ||
2004년 2,876명 1,661명 5,669명 10,206명 [16]
2005년 4,705명 1,304명 5,278명 11,287명
2006년 6,079명 1,125명 5,299명 12,503명
2007년 6,946명 801명 5,235명 12,982명
2008년 7,360명 776명 5,276명 13,412명
2009년 7,408명 704명 5,106명 13,218명
2010년 7,517명 626명 5,330명 13,473명
2011년 4,860명 874명 5,936명 11,670명
2012년 4,431명 751명 5,948명 11,130명
2013년 4,211명 649명 6,221명 11,081명
2014년 4,157명 738명 6,146명 11,041명
2015년 3,376명 978명 5,865명 10,219명
2016년 3,105명 1,139명 5,585명 9,829명
2017년 2,562명 1,276명 5,339명 9,177명
2018년 2,655명 1,210명 5,122명 8,987명
2019년 2,718명 1,342명 4,723명 8,783명
2020년 1,478명 742명 2,958명 5,178명
2021년 1,384명 824명 3,032명 5,240명
2022년 1,934명 1,017명 3,592명 6,543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연계교통

5.1. 시외버스[17]

영남권
행선지 운행횟수 운수회사
밀양 14회 밀성여객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부산서부발 밀양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예림 밀양 발권 후 하차
밀양 1:10 ₩ 4,500
운행시각표 사상터미널 기준 첫차 07:00, 막차 20:00
사상 출발 후 10분 정도 뒤에 도착한다.
시외버스 부산서부-밀양 참고.
}}} ||
동대구행도 무정차 운행한다. 부산사상 출발 단거리 경부선, 중앙선은 모두 구포역에 정차했는데, 사상발 경부선과 7번 국도 노선들이 좌석제로 운행함에 따라 구포역에 정차하던 관례를 깼다. 해당되는 예가 경주, 포항행이다.

여기서 타려고하면 시외버스가 그냥 지나친다던가, 세워줘도 기사에 따라 욕을 먹는 경우도 종종 있다.[18]

5.2. 시내버스·마을버스

5.3. 도시철도

6.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포역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여담

7.1. 대한민국 철도청의 흔적이 남아있는 역 내 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를 유심히 관찰해보면 대한민국 철도청 마스코트 치포치포가 있다.

7.2. 협소했던 구 1번 승강장

파일:20230530 구포역 구1번승강장터.jpg
지금은 1번과 2번 승강장이 같은 플랫폼에 좌우측으로 위치하고 있으나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 개통 전에는 2번 승강장과 3번 승강장이 그 플랫폼이었다. 그 당시 1번 승강장은 구포역 건물 측면으로 있었다. 역사 건물 측면으로 바로 붙어있는 곳에는 공간이 협소하여 폭이 1m 남짓인 그 길쭉한 공간이 플랫폼이었다. 지금은 구포역 북쪽 주차장 쪽으로는 그 길다란 공간이 막혀있고 역건물을 이웃한 폭 1m 남짓한 곳에는 돌로 된 화분 몇개가 줄줄이 놓여서 꽃들이 심어져 있는 그 곳이 열차 플랫폼이었던 것이다. 이 역사 건물 측면에 1번 플랫폼이 사라지며 구포역에서 육교를 건너지 않는 탑승 플랫폼은 완전히 없어져 버려서 2층 승강장 체계로 역사가 운영되기 시작했는데 그러면서 1층 승강장도 사라져 버렸다.

7.2.1. 승강장 육교를 또다시 오르내리기 불편

경부고속선 2단계 개통 전에는 부산역을 오가던 모든 KTX가 지나던 구포역이다보니 열차가 들어오기 불과 몇 분 전에 ○○○ 열차는 탑승 플랫폼이 몇번으로 바뀌었다고 역무원이 서둘러 알리는 안내방송이 다반사였고, 승객들은 개찰구를 지나칠땐 개찰구를 지나 육교를 지날때는 이런 느지막한 플랫폼을 정정하는 안내 방송이 있는지 안내방송을 귀담아 잘 들어야 하였다. KTX는 하루에 아주 간혈적으로 정차하는 구포역이었으나 이 KTX들이 무정차로 통과하도록 새마을호, 무궁화호가 정차 플랫폼을 탑승 15분 전에 예고한 플랫폼과는 다르게 가끔 다른 플랫폼으로 옮겨 다녔던 것이다. 그래서 모든 KTX가 동대구~부산 구간을 고속선이 아닌 일반선으로 다니던 당시 대부분 승객들은 탑승 안내 방송이 본격적으로 나오기 전에는 플랫폼들을 육교로 연결하는 계단을 본의아니게 또다시 오르내리지 않으려고 개찰구를 일부러 빨리 들어가지 않았다.

7.2.2. 열차를 온몸으로 느끼던 1번 승강장의 협소한 영역

지금의 구포역 이용객들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나 겁이 많은 사람들에게 구포역은 나름 무서운 곳이었다.

자신이 탑승하는 열차가 1번 플랫폼이라고 배정되었을 때, 그 플랫폼에 탑승객들이 많이 붐비면 개찰구를 나오면 바로 개찰구의 남북으로 역사 건물을 끼고있는 1m 폭에 공간을 다 지나서 폭이 3m 가량 되는 공간의 1번 플랫폼에서 열차를 타야 되는 것이다.

정차한 열차를 타는건 별로 문제가 아닌데, 열차가 들어오는 순간에는 정말 열차 바퀴가 안보이는 전철과 다르게 열차 바퀴들이 바로 눈앞으로 줄줄이 굴러가는데 좁은 공간에서 전철역에서 처럼 '노란선 한 걸음 뒤로 물러서기'는 전혀 불가능해진다. 그 무궁화호가 시끄럽게 바로 앞을 스쳐 지나치는 것에는 진한 감동보다 공포감을 느끼는게 탑승객들에게 정상이었을 것이다. 물론 그 1번 플랫폼에 탑승객들이 기다리며 서있는데도 무정차로 지나가던 열차가 그냥 통과하는 경우도 있었다.

내릴때도 1번 플랫폼은 열차를 빨리 내려서 개찰구 밖으로 서둘러 나가야 하는 곳이었다.

1번 플랫폼은 하차 과정에서 늑장을 부리면 개찰구 근처로 다가갈 때 하차한 열차가 지나가는 느낌을 열차 하차객들이 온몸으로 받아야 했던 것이다.

==# 둘러보기 #==
경부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고속철도 경부고속선
일반철도 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탑승
<rowcolor=#fff> 행선지 등급 행선지
부산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서울
파일:Untitled-1.png 수서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서울
파일:누리로 BI.svg 동대구
무궁화호 서울
부전역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서울
무궁화호 청량리 · 동해 · 동대구 · 포항 · 목포
구포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서울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파일:누리로 BI.svg 동대구
무궁화호 서울 · 목포
신해운대역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서울
무궁화호 청량리 · 동해 · 동대구 · 포항
사상역 무궁화호 서울 · 목포
화명역
센텀역 무궁화호 청량리 · 동해 · 동대구 · 포항
기장역 }}}}}}}}}


[1] 이 사진은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 경부선 구포역 사이를 이어주는 육교에서 촬영되었다. 현 구포역 광장에 심어져 있던 나무는 뽑혀 공터가 되었다. [2] 경부고속선 2단계 개통 전에는 통과하는 KTX도 있었다. 하지만 나중에는 구포 경유 KTX는 모두 정차하게 되면서 이런 편성은 없어졌다. [3] 하술하겠지만 해운대를 오가는 사람도 부산역보다는 구포역까지 이동거리가 가깝고 요금도 훨씬 싼데 이런 이용객은 의외로 별로 많지 않다. 서울 사람들이 용산역이나 영등포역 생각 안 하고 서울역에서만 타는 격이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구포 경유 KTX의 운행횟수가 적어서 인지도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4] 이 때문에 구포 경유 열차를 타고 부산을 가는 승객이 있다면 십중팔구 여기서 다 내린다. [5] 게다가 1009-1번의 개통으로 차량이 대거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30~40분으로 굉장히 길어졌다. [6] 표는 샀는데 역안으로 들어가기 싫다면 출구로 들어가서 계단을 올라도 다리가 나온다. [7] 만약 구포역을 덕천역 쪽으로 옮긴다면 2호선을 타고 오는 사람들이 덕천역에서 환승해야 한다는 불편이 사라진다는 장점이 생기긴 하지만, 지금도 도시철도 구포역보다는 멀어도 인근의 구명역에서 내려서 걸어올 만한 거리라는 것을 감안하면 걷는 거리를 조금 줄인다는 정도의 의의밖에 없다. [8] 구포역 ~ 부산역 이동 소요시간은 10분 남짓 걸리며 도시철도 환승 대기시간까지 포함하면 40분 이상 소요된다. 롯데 자이언츠 유튜브 채널 GIANTS TV의 허형범 캐스터가 언급하기도 했다. [9] 구포 경유 KTX, ITX-새마을 밀양역에 필수 정차하기 때문에 최속달 열차가 각각 57분, 55분 소요된다. 그러나 1일 2왕복 운행되는 ITX-마음 열차는 동대구 - 구포 간 중간 정차역 없이, 단 52분만에 꽂아주는 편성이다! 시간대가 맞으면 적극 이용해보자. [10] 수원, 구포를 둘 다 정차하면 소요시간이 늘어나 사실상 KTX를 타는것이 거의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그렇다. [11] 2002년 당시, 부산 시내 구간만 타고 다닐 경우 8,300원이었다. [12] 직접 빚어서 판다. 유명한 맛집이니 근처에 간다면 한번쯤은 먹어보자. 생활의 달인에도 나왔다. [13] 주로 김해국제공항, 양산시, 김해시로 가는 사람들이 많다. [14] 특히 구포역과 구명역 사이 몇몇 곳이 좀 그렇다. 밤에 다니기가 무서울 정도. 해당 지역에 재개발 이야기가 있어서 원래 거주하던 대다수 집들은 이주가 완료됐지만 몇몇 가구는 아직 남아있어서 지지부진하다. [15] 식객 II 부재:그리움을 맛보다의 2화 김해 뒷고기에서 KTX를 타고 구포역으로 가는데, 이 때 3호선 구포역으로 되어있고, 3호선을 타는 장면에는 경부선 구포역으로 되어 있다. [16]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7] 도시철도 구포역 앞 택시승강장쪽에 정차한다. [18] 밀양으로 가는 버스만 서지만 밀양까지는 철도로 대체가 가능해 사람이 거의 타지않는곳이기 때문에 기사마다 다르지만 이곳이 정류소 인지도 모르는 경우가 가끔있다. [심야] 심야포함 [20] 야간3회 모라주공아파트경유 [심야] [심야] [23] 거리가 조금 있긴 하나, 서로 연계가 된다며 공식 안내하고, 연계도보를 닦아놓았다. 그러나 도보를 이용하기 싫은데 2호선을 이용해야한다면 3호선 구포역에서 탑승한 뒤 수영 방면으로 한 정거장 거리인 덕천역에서 환승해도 된다. 덕천역에서 환승하는 게 조금 덜 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