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선상의 고속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김천(구미)역 문서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808080> 경부선 |
김천 - |
경북선 |
김천 - |
김천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방면
영 동 ← 42.2 ㎞ |
부산 방면
|
||||||
구 미 22.9 ㎞ → |
||||||||
서울 방면
영 동 ← 42.2 ㎞ |
||||||||
부산· 신해운대 방면 | ||||||||
서울 방면
대 전 ← 87.5 ㎞ |
진주 방면
|
|||||||
구 미 22.9 ㎞ → |
||||||||
서울 방면
추풍령 ← 19.1 ㎞ |
경부선 무궁화호 |
|||||||
부산 방면
|
||||||||
시종착
|
경북선 무궁화호 |
영주 방면
옥 산 20.0 ㎞ → |
||||||
동대구 방면
구 미 ← 22.9 ㎞ |
충북선 무궁화호 |
영주 방면
추풍령 19.1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미개통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 ㎞ |
㎞ → |
||||||
← ㎞ |
||||||||
← ㎞ |
㎞ → |
|||||||
}}}}}}}}} | ||||||||
역명 표기 | ||||||||
경부선 |
김천 Gimcheon 金泉 / [ruby(金泉, ruby=キムチョン)] |
|||||||
경북선 | ||||||||
주소 | ||||||||
경상북도 김천시 김천로 111 ( 평화동)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012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 2급 ( 김천(구미)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
||||||||
운영 기관 | ||||||||
경부선 | 한국철도공사 | |||||||
경북선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부선 | 1905년 1월 1일 | ||||||
경북선 | 1924년 10월 1일 | |||||||
중부내륙선 | 2032년 예정 | |||||||
남부내륙선 | 2030년 예정 | |||||||
2014년 5월 12일 | ||||||||
2023년 9월 1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3면 6선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서울 방면
직지사 ← 7.6 ㎞ |
경부선 김 천 |
부산 방면
대 신 9.7 ㎞ → |
||||||
기점
|
경북선 김 천 |
영주 방면
옥 산 2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철도거리표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중부내륙선 (미개통) |
종점
|
|||||
기점
|
남부내륙선 (미개통) |
|
<colbgcolor=#c30e2f><colcolor=#fff> |
현 역사(1958년 준공)[1] |
[clearfix]
1. 개요
<colbgcolor=#c30e2f><colcolor=#fff><nopad> |
김천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2] |
경부선과 경북선이 만나는 철도역사의 산 증인
김천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경부선 개통과 함께했던 주요 역사로 1924년에 발표되었던 염상섭의 소설 <만세전>에도 김천역 전경이 등장한다. 또한 김천역은 1937년 김천~안동 구간에 부설되었던 경북선의 기점이기도 하며, 지금은 사라진 진삼선의 기공식이 열렸던 곳이다. 오랜 시간 우리나라 철도역사의 발전과 그 맥을 함께해온 역으로 KTX김천(구미)역이 생기기 전까지 KTX열차가 정차하였다. 역사는 1958년 준공 이후 증개축을 통해 꾸준히 확장, 현재는 1,563㎡ 규모의 2층 건물이 되었다. 2020년 원도심 재생 활성화를 위해 역사 외벽과 광장이 새롭게 꾸며지기도 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김천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경부선 개통과 함께했던 주요 역사로 1924년에 발표되었던 염상섭의 소설 <만세전>에도 김천역 전경이 등장한다. 또한 김천역은 1937년 김천~안동 구간에 부설되었던 경북선의 기점이기도 하며, 지금은 사라진 진삼선의 기공식이 열렸던 곳이다. 오랜 시간 우리나라 철도역사의 발전과 그 맥을 함께해온 역으로 KTX김천(구미)역이 생기기 전까지 KTX열차가 정차하였다. 역사는 1958년 준공 이후 증개축을 통해 꾸준히 확장, 현재는 1,563㎡ 규모의 2층 건물이 되었다. 2020년 원도심 재생 활성화를 위해 역사 외벽과 광장이 새롭게 꾸며지기도 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과 경북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김천시 김천로 111( 평화동 264-1) 소재.
2. 역 정보
<colbgcolor=#c30e2f><colcolor=#fff> |
구 역사(1905년 준공, 1958년 철거) |
1905년 1월 1일 경부선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24년에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경북선이 개통했다.
1958년 12월 30일 현 역사가 준공되었고 2년 뒤에 증축 및 확장공사가 이루어졌다.
90년대에는 서울~김천 무궁화호 특실전용 열차가 있었고 그 외에도 천안~김천 통근열차[3], 김천~부산 무궁화호, 서울~김천 주말 임시 무궁화호, 김천~경산 비둘기호[4] 등이 존재했다.
현재는 한때 김천 착발이었던 계통들이 모두 폐지되거나 대전역 등으로 연장되어 대경선의 수요조사를 위해 운행한 김천~경산 RDC[5]를 끝으로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경부선 열차는 찾아볼 수 없다.
경북선 무궁화호의 경우 원래 경부선과 직결하여 영주~김천~부산 구간을 운행하였으나 2019년부터 경북선에서만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어 모든 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따라서 경북선 연선에서 서울이나 대구, 부산 등으로 가려면 이 역에서 환승을 거쳐야 한다.
경부고속선 김천(구미)역 개통 전까지는 서울~동대구를 오가는 KTX가 이 역과 구미역에 왕복 4회 정차하였으나, 김천(구미)역 개통 이후로는 폐지되었다.
저탄장이 존재하여 경북선에서 나온 석탄을 그곳에다가 내려놓고 이걸로 연탄을 만든다고 한다. 다만 지금은 사용되는 횟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본래 한국철도공사 경북남부지사, 김천기관차사무소, 김천차량사업소, 장비사업소 등이 있어 객화차를 정비할 수 있는 선로가 매우 많고 중급 차량기지 역할도 하였으나 지사는 2009년에 대구지사와 통폐합되어 동대구역 구내 사업소로 이전하였으며, 설상가상으로 2010년부로 김천차량사업소가 철수하면서 김천역의 선로들에는 불량으로 처리되어 유치되는 화차, 사용대기를 위해 대기중인 객차 등이 가끔씩 유치된 광경을 볼 수 있다.
김천건축사업소, 김천전기, 신호사업소는 김천역 구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김천기관차승무사업소도 아직 존재해서 일부 경부선 ITX-새마을과 화물열차는 이곳에서 승무원 교대를 한다.
신창원역만큼은 아니지만 철도 동호인들이 관심있게 지켜보는 역 중 하나이기도 한데 다원시스의 철도차량 공장이 경북선에 있기 때문에 개조할 차량을 다원시스 공장으로 입고하거나 개조가 끝난 차량들을 신창원역으로 내려보내기 전에 임시로 김천역 구내에 유치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로윈이 망해 버리는가 싶더니 다원시스가 인수하였다.[6] 이러한 특성상 레일크루즈 해랑이 김천역에서 개통식을 연 바 있다.
추후 문경선과 경북선의 김천역~ 점촌역 구간이 편입된 중부내륙선의 종점이자 남부내륙선의 기점이 될 예정이다. 남부내륙선 개통은 2027년 개통 예정이며 이 역에서 중부내륙선과 직결 예정이다.
2.1. 미래 및 주변 도시의 반응
2.1.1. 구미역 KTX
구미시에서 접근성이 안 좋다 보니 계속해서 KTX를 구미시(또는 인근)에 정차시키려는 주장이 있다.(경부선) 김천역 인근에 연결선을 만들자는 주장이나, #1 그나마 가까운 북삼읍 지역에 신구미역을 신설하자는 주장도 있다. #2 경부고속선은 남면 - 북삼읍(+금오산)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구미시 관내를 아예 지나가지 않는다. 그렇기에 현재구미시와 김천시는 KTX에 대해 반발 중이다. 더 넓게 보자면, 구미시와 김천시 뿐만 아니라 수도권에서도, 다른 지방도시에서도 반발하는 편이지만 주로 김천시민과 일부 철도동호인들이 구미역 KTX를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방법이 아예 있는 것도 아닌 현재는 남부내륙철도를 통해 김천역에서 경부선 방향으로 구미역과 서대구역을 경유 후 동대구역에 시종착 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2022년 1월 5일 탈선사고로 인하여 구미역과 김천역에 KTX와 SRT가 임시로나마 정차하게 되었다.
2.1.2. 남부내륙선 및 경부선 이설 방안
김천역은 김천 ~거제간의 철도인 남부내륙선의 기점이 될 전망이다.남부내륙선은 김천 ~ 거제 구간으로 2030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중인 준고속철도 노선이다.
노선 추진 당시 김천(구미)역을 기점으로 해서 경부고속선에서 분기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와 맞물려 경부선을 김천구미역 및 혁신도시쪽으로 이설해 대경선과 연계시키자는 방안도 제기되었다.
하지만 결국 노선 수립 과정에서 이 김천역으로 향하는 노선으로 확정되었다.
즉, 김천시 내의 두 번째 KTX 정차역이자 20년 만에 다시 KTX 정차역이 되는 것이다.
2.1.3. 구미산단선 연계
2024년 7월 현재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포함에 도전하는 중인 사업으로, 계속 구상해오던 김천~김천구미 연결선과 구미산단선 계획을 통합해, 김천~구미간 경부선 개량과 중부내륙선 KTX의 경부고속선과의 연계, 김천, 구미의 대구경북신공항 이용이 더 편리해지는 등 다중의 메리트가 예상된다.2.2. 승강장
<colbgcolor=#c30e2f><colcolor=#fff> |
승강장 모습 (서울방면) |
경북선 승강장
↑ 추풍령 | ↑ 옥산 | ||||||||||
1 | | | | | | | 2 | 3 | | | | | | | 4 | 5 | | |
구미 ↓ | 종착역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1 | 경부선· 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영동· 대전· 천안· 서울 방면 |
충북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대전· 청주· 영주 방면 | |
2·3 | 경부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동대구· 부산· 신해운대 방면 |
경전선 | 동대구· 마산· 진주 방면 | ||
충북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구미· 왜관· 동대구 방면 | |
4·5 | 경북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상주· 점촌· 영주 방면 |
경부선의 경우, 부산 방면 하행열차는 고지대에서 내려온 직후에 김천역에 정차한다. 반대로 서울 방면 상행열차는 김천역을 출발하자마자 바로 추풍령역을 향하여 고지대로 올라간다.[7]
경북선의 경우, 김천역 구내에서부터 선로가 틀어지기 때문에 출발하자마자 방향을 틀어서 옥산역 방면으로 분기된다. 출발한 이후에도 경부선과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다가 분기되는 조치원역의 충북선과는 다른 점.
1번 승강장은 바로타 구조이다.
3번 승강장은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가끔씩 경부선 하행 화물열차가 후행 여객열차를 비켜줄 때, 대피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이 승강장에 정차해있을 때가 있다.
3. 역 주변 정보
이 역에서 선로를 건너갈 수 있는 평화육교[8]를 횡단하여 GS25 편의점 쪽으로 나오면 김천공용버스터미널이 나오며, 길 건너편에는 평화시장이 있으며 거기서 더 깊게 가면 여인숙이 나온다. 저녁 시간 이후에는 평화시장 인근을 조심할 것을 권장한다.[9]4. 주변 교통
김천역은 김천 시내의 중심지 이기도 하며, 교통이 편한 역이다. 김천버스의 여러 노선들이 김천역을 거쳐 간다.[10] 김천역 주변에 택시 폴랫폼이 있고, 다리를 건너 김천공용버스터미널로 갈 수 있는 육교가 있다. KTX 이용을 원할 경우 김천(구미)역으로 가야 한다.물론, 시간이 흐른 현재 김천 시내 중심지 타이틀은 신 시가지인 신음동이 가져가긴 했지만, 교통편은 여전히 김천역이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신음동 일대 버스 노선은 시내 치고는 편성 수도 그렇게 많지 않고, 그나마도 대부분 시가지 형성 전부터 시청 등 다른 목적으로 이미 있었던 노선들이다. 반면 김천역은 교통 편의성 때문에도 그렇고 추풍령, 직지사, 시청행 등 다양한 노선 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배차 간격이 매우 촘촘하다. 버스터미널과도 가까워서 교통이 편리하다.
혁신도시 운행 노선 및 순환버스 노선도 #
일반 버스 및 좌석 버스 노선과 위치, 시간 #
5. 일평균 이용객
<rowcolor=#ffffff> 연도 | {{{#!wiki style="margin: -0px -9px" | 무궁화호 | 총합 | 비고 | ||
2004년 | 미개통 | 1,040명 | 5,318명 | 6,358명 | ||
2005년 | 1,141명 | 5,413명 | 6,554명 | |||
2006년 | 1,089명 | 5,341명 | 6,430명 | |||
2007년 | 1,115명 | 5,113명 | 126명 | 6,354명 | [11] | |
2008년 | 1,269명 | 4,960명 | 285명 | 6,514명 | ||
2009년 | 1,350명 | 4,744명 | 302명 | 6,396명 | ||
2010년 | 1,311명 | 4,946명 | 322명 | 6,579명 | [12] | |
2011년 | 1,087명 | 5,307명 | 미운행 | 6,394명 | ||
2012년 | 1,024명 | 5,430명 | 6,454명 | |||
2013년 | 1,042명 | 5,734명 | 6,776명 | |||
2014년 | 1,137명 | 5,564명 | 6,701명 | |||
2015년 | 1,025명 | 5,310명 | 6,335명 | |||
2016년 | 1,028명 | 4,871명 | 5,899명 | |||
2017년 | 1,159명 | 4,421명 | 5,580명 | |||
2018년 | 1,119명 | 4,291명 | 5,410명 | |||
2019년 | 1,356명 | 4,730명 | 6,086명 | |||
2020년 | 835명 | 2,720명 | 3,555명 | |||
2021년 | 880명 | 2,705명 | 3,585명 | |||
2022년 | 1,184명 | 3,007명 | 4,191명 | |||
2023년 | 290명 | 1,353명 | 2,856명 | 4,499명 | [13]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 KTX 김천(구미)역 정차와 혁신도시 건립 후 그나마 개편된 대중교통으로 인하여 김천 주민들은 김천(구미)역을 이용하는 승객도 많이 늘어 무궁화호 수익이 줄어들고 있다.
- 과거 김천, 구미 경유 KTX의 경우 하루에 4회에서 8회 다녔으나 구미역에 비해 이용객이 적었다. 2008년 4회에서 8회로 증편되면서 구미역의 경우 일일 이용객이 두배 이상 급증했으나 김천역은 증편 효과가 구미역 대비 미비했다.
6. 둘러보기
경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정리† - -
전동† -
서창† - -
내판† - -
매포† - -
회덕† - - - -
세천† - - - - - - - - - - - -
신암† -
직지사† - -
대신† -
아포† - - -
- - -
연화† - -
지천† - - - -
고모† -
가천† - -
삼성† - - -
신거† - - - -
미전† - - - - - - -
부산진† - - - |
}}}}}}}}} |
경북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백원† - - - - - - - - - - - - - - - -
어등† - - - 구 경북선(1944년 폐선) : - - - - - |
}}}}}}}}} |
김천시의 교통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D1C24><colcolor=#ffffff> 철도 |
|
경부고속선 | 김천(구미)역 |
일반 철도 |
경부선,
경북선, |
김천역 | ||
도로 | 고속도로 | 경부 김천JC22, 동김천IC22-1, 김천IC23, 추풍령IC24, / 중부내륙 남김천IC12, 김천JC13 | ||
국도 | 3번 국도, 4번 국도, 30번 국도, 59번 국도 | |||
지방도 | 514번 지방도, 916번 지방도 | |||
버스 | 시내버스 |
김천시 시내버스 ( 김천버스) |
||
버스 목록 | 틀:김천시 시내버스, 김천버스 이곳을 참고. | |||
시외버스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김천(구미)역 | |||
시외버스 노선 |
경상북도의 교통 |
[1]
현 역사는 1958년에 완공된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따질 정도로 매우 오래된 건축물이며 1960년, 1984년에 증축 및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된 것이다.
[2]
직지사 3층석탑을 형상화했으며,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3]
역사 쪽의 두단식 승강장이 이때의 흔적. 2004년 시간표 개정부터는 무궁화호 등급으로 다녔고 2007년 6월 시간표 개정을 맞아서 동대구 - 대전으로 변경되면서 김천역은 1분만 정차하도록 바뀌었고, 2008년 1월 시간표 개정 때에는 아예 없어졌다가 서울-동대구로 부활했다. 이후 2022년에 서울-대전 및 대전-부산으로 분할되었다.
[4]
그 전에는 김천역↔
동대구역 구간을 운행했으나
부산진역까지 연장운행하여 비둘기호 열차를 운용했다가 1993년 3월 1일 대전까지 연장했고 1994년 3월 31일 열차 전면 개편으로인해
부산진역↔
대전역
비둘기호 노선이 폐지되며 다시 단거리로 되돌아왔다. 이 운행계통은 비둘기호 폐지 후에도
통일호,
무궁화호 등으로 승격되어 계속 명맥을 이어나갔다. 대구 인근 지역 통근객들이 얼마나 많은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 2004년에는 부산까지 연장되고 2007년 6월 시간표 개정 때에 대전-부산으로 바뀌었다. 2018년 1월 5일
경산-김천간 시외버스가 개통되며 14년만에 이 노선의 명맥을 이어나갔으나 2018년 11월 23일에 폐선되었다.
[5]
사실 구미~경산간 운행이 맞으나
구미역과
경산역에서는
RDC 무궁화호의 주박, 경정비, 급유 등이 어려워 일종의
어부지리로 김천역까지 운행한 것으로 보인다.
[6]
최근에는
2호선 전동차와
3호선 전동차를 납품하기도 했다.
[7]
김천역의 고도는 약 60m, 추풍령역의 고도 230m로 역 간 고도 차이가 약 170m이다.
[8]
이 육교는 김천역의 그 많은 선로를 모두 가로지른다. 따라서 그 길이가 엄청나게 길어 한때는 국내 최장 육교의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다. KBS
스펀지에도 방영된 적이 있을 정도. 다만 도로 쪽 부분을 잘라내면서 조금 짧아졌다.
[9]
김천 사창가 괴담이 예전부터 존재했고, 구미 등 인근 지역 에서도 유명했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김천역과 평화시장 인근은 저녁시간만 되어도 사람 발길이 거의 없다. 다만,
김천시만 이렇다고 볼 순 없고, 다른 지역에서도 도심지, 철도역이 낀 곳에는 암암리에 사창가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다행히 최근에는 행복주택이나 통합보건타운 계획, 평화야시장 이벤트 등으로 집창촌을 지우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10]
김천시외버스터미널 밖 정류장과 김천시외버스터미널 안에서 타는 정류장이 서로 다르다. 참고하자.
[11]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6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21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2]
KTX의 자료는 1월 1일부터 영업 마지막일인 10월 31일까지 총 30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3]
ITX-마음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2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