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에 대한 내용은 경부고속도로 문서
, 고속선에 대한 내용은
경부고속선
문서
참고하십시오.하위 문서: 경부선/역사
,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속철도 | |
준고속철도 | ||
간선철도 | ||
지선철도 | ||
전용철도 | ||
운행 예정 |
경부선을 경유하는 운행 계통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경선 | |||||||||||||||||||||
경부선 |
구미 ~
경산 (61.85km, 100%)
|
<colcolor=#fff><colbgcolor=#0054a6> 경부선 京釜線 | Gyeongbu Line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번호 | 302 |
노선명 | 경부본선 (京釜本線) |
종류 | 간선철도, 일반철도 |
광역전철 노선 |
서울↔ 천안, 구미↔ 경산 |
영업거리 | 441.7㎞ |
궤간 | 1,435㎜ |
역수 | 90 |
기점 | 서울역 |
종점 | 부산역 |
급전방식 |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신호장비 | ATP, ATS |
선로최고속도 |
서울~용산: 90km/h 용산~구로(일반)[1]: 100km/h 용산~구로(전철)[2]: 100km/h 구로~가산디지털단지(일반)[3]: 120km/h 구로~가산디지털단지(고가)[4]: 90km/h 가산디지털단지~두정(전철)[5]: 120km/h 가산디지털단지~수원: 135km/h 수원~천안: 150km/h(일반열차 140km/h) 천안~신동: 135km/h 신동~대구북연결선분기 90km/h 대구북연결선분기~대구: 135km/h 대구~부산: 150km/h(일반열차 140km/h) |
선로 수 |
6 (
서울 ~
용산)(2복선+2단선) 6 ( 용산 ~ 구로) 4 ( 구로 ~ 두정, 부산진 ~ 부산) 3 ( 동대구 ~ 가천)(1복선+1단선) 2 ( 두정 ~ 동대구, 가천 ~ 부산진)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age(1905-01-01)]주년) |
운영노선 |
순수 경부선 계통 KTX (서울 ~ 금천구청/대전[6], 지천 ~ 동대구[서], 동대구 ~ 부산[8]) SRT (지천 ~ 동대구)[서] ITX-새마을 (서울 ~ 동대구/부산) ITX-마음 (서울 ~ 부산) 누리로 (동대구 ~ 부산) 무궁화호 (서울/대전~부산, 서울~대전, 동대구~부산)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 두정) 대경선 (구미 ~ 경산) 화물열차 (서울 ~ 부산진)[10]
|
[clearfix]
1. 개요
우렁차게 토하는 기적 소리에 / 남대문을 등지고 떠나 나가서
빨리 부는 바람의 형세 같으니 / 날개 가진 새라도 못 따르겠네
늙은이와 젊은이 섞여 앉았고 / 우리네와 외국인 같이 탔으나
내외친소 다같이 익히 지내니 / 조그마한 딴 세상 절로 이뤘네
최남선의 경부철도가[27] 中
서울역과
부산역을 잇는 총 연장 441.7㎞의 간선
철도 노선.빨리 부는 바람의 형세 같으니 / 날개 가진 새라도 못 따르겠네
늙은이와 젊은이 섞여 앉았고 / 우리네와 외국인 같이 탔으나
내외친소 다같이 익히 지내니 / 조그마한 딴 세상 절로 이뤘네
최남선의 경부철도가[27] 中
대한민국 제1종관 철도이자 대한민국 철도의 대동맥으로,[28] 경부선 본선뿐만 아니라 수많은 타 노선이 이 경부선에서 분기하여 여객, 화물 운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경부선 계통의 모든 일반 여객, 화물열차는 이 경부본선을 경유하지만, 고속철도 등급인 KTX는 대부분의 구간을 경부본선이 아니라 별개의 노선인 경부고속선( 경부고속철도)을 이용한다.
2. 역사
자세한 내용은 경부선/역사 문서 참고하십시오.3. 역할
수도 서울과 제2의 도시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 철도의 제1간선으로, 주요 대도시와 공업 단지는 경부선을 따라 자리잡고 있다. 근현대 한국의 인문지리를 바꾸어 놓은 노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데, 서울~부산 간 교통이 조선 시대 영남대로 중심에서 경부선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자연스레 영남대로 상에 있었던 용인[29], 안성[30], 충주, 문경, 상주 등이 쇠락[31]하였고, 반대로 경부선이 들어서게 된 평택, 천안, 대전, 김천, 구미 등이 발전하게 되었다.[32] 그 중 가장 극적인 사례는 단연 대전으로, 원래 "한밭"이라는 순우리말 지명에서 알 수 있듯이 그저 공주에 속한 작고 평범한 시골이였지만 경부선 덕에 6대 광역시 중 하나이자 충청도의 중추 도시이자 대덕연구개발특구와 한국과학기술원으로 대표되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1번지로 우뚝 서게 되었다. 이후 호남선 분기로 대전은 수도권과 남부 지방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로 자리매김하게 된다.충청도나 경상도, 전라도를 지나는 대부분의 철도 노선은 경부선에서 분기해 뻗어 나간다. 제일 먼저 천안에서 장항선이 분기하고, 조치원에서 충북선, 대전에서 호남선, 김천에서 경북선, 대구에서 대구선, 마지막으로 밀양에서 경전선이 분기하는 형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꼭 경부선 열차가 아니더라도 소수의 중앙선 계열 열차를 제외한 대부분의 여객열차는 경부선을 이용하게 된다. 특히 모든 열차가 운행하는 영등포역~ 수원역~ 천안역 구간은 빗자루질을 선보이고 있으며, 경부선과 호남선 열차가 함께 다니는 천안역~ 조치원역~ 신탄진역 구간도 배차간격이 30분 이상 벌어지는 시간대가 드물 정도로 배차가 좋은 편이다. 다만 대전역 이남 경부선 단독구간은 배차가 다소 벌어지는 편.
4. 문제점
4.1. 선로 용량 문제
자세한 내용은 한국의 철도 환경/문제점/선로 및 열차 운용 그리고 연착 문제 문서 참고하십시오.4.2. 심각한 적자
관리비용 때문에 매년 적자를 보고 있다. 경부고속선 개통 전에도 대전 - 부산 구간은 엄청난 배차간격, 불량한 선형, 많은 운송량으로 인한 관리비용 때문에 적자였다.2018년 국정감사를 위해 한국철도공사에서 이학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가 공개되었다.[33] 광역철도( 서울 - 천안)는 2017년 313억원, 화물철도는 2017년 1,173억원, 여객철도는 1,980억원 적자이다. 총 적자의 65.7%가 경부선 하나에서 발생했다.
유일하게 이윤이 나는 서울 - 대전 구간과 구미 - 부산 구간도 광역철도가 적자를 보아 매우 심각하다.
4.3. 좋지 않은 선형
경부선은 처음부터 부족한 토목기술 및 군사적 목적으로 인해 속성으로 공사하는 바람에 당대에도 선형이 불량한 편이었다. 때문에 극 초창기에는 지형지물을 피해 돌아가거나 산을 넘는 급구배 구간이 많았고, 공사용으로 부설한 임시선로를 그대로 쓰기도 했다. 그래서 부설한 지 얼마 안 된 1910년대부터 선형개량이 수행되었다. 일제강점기 말 복선화 공사로 대대적인 선형개량을 하고 나서도, 비교적 최근까지 경부선은 꾸준히 선형개량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천안 이북 등 일부 구간에 한정되었다.수원역 - 천안역은 그나마 좋은데, 수원 경유 KTX가 일부 구간에서 150km/h까지 달릴 수 있다. 특히 1980년대에 표준선으로 지정되어 개량한 서정리 - 천안 구간은 제한속도가 140㎞/h로 가장 높다. 동대구역- 부산역 구간도 아주 좋은 편은 아니지만, KTX 개통을 앞두고 개량을 거쳤기에 아래보다는 낫다.
제일 선형이 심각한 건 이원 - 구미 구간인데, 추풍령, 소백산맥과 태백산맥 끝자락을 지나기 때문이다. 급곡선이 많은데 대부분 600R(곡선반경 600m, 제한속도 110㎞/h)이고, 400R(곡선반경 400m, 제한속도 90㎞/h)도 있다. 이는 호남선 개태사 드리프트와 같은 곡선이다. 경부고속철도 초기 계획 때 경부선 개량 및 복복선화와 고속철 별도 노선 신설인 두 안이 제시되었는데, 이때 뒷전으로 밀린 탓이다.
5. 고속화 및 개량공사 요구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여러 구간에서 고속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5.1. 충청도 구간
천안 - 청주공항 간 복선전철 사업에 맞춰 전의 - 전동 구간 급곡선 개량도 추진되고 있다. KDI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 기준으로 약 20km/h 이상 표정속도 향상을 예상하고 있다. 예비타당성 조사도 통과했고 예산도 확보하며 장밋빛 전망이 쏟아졌다.[34]그러나 계획 단계에서 천안- 서창 간 복복선화가 함께 추진되며 사업비가 4,000억 넘게 증가했다. 2018년 공사를 발주하려다 무산되어[35] 결국 타당성 재조사에 들어갔다.[36]
완공시 서울에서 청주공항까지 기존 1시간 30분에서 20여 분 단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타당성 재조사에 따라 세부 운행 계획이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경부선 전의-전동 구간 개량 사업 |
결국 2022년 6월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하여 전의-전동 구간의 급곡선 개량이 확정됐다.[37] 사업비 폭증의 원인이었던 천안-서창간 2복선화는 무산되어 선로용량 상태에 문제가 생길지 귀추가 주목된다.
5.2. 경상도 구간
2015년 5월, 한국철도공사에서 동대구 - 구포 - 부산 간을 고속화하겠다고 밝혔다.[38] 세부계획은 나오지 않았지만 경부고속선보다 20분 가량 단축할 수 있다는 듯하다. 그러나 정부가 검토한 적 없다고 반박하였다.[39]2016년 경부선 상동~ 밀양간 밀양강교 교량개량공사의 노반·궤도를 실시설계하였다. 이어 2017년 12월 계약 및 착수하였다. 또한 이 다음해에 사업실시계획이 승인되었다.
2018년부터 부산 내 구간 경부선 지하화 및 이설 요구가 등장했다.[40] 2021년 재보궐선거 부산광역시장 출마 후보들의 공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2019년 금호강교(지천철교) 교량개량공사가 완료되어 상행선은 6월 14일, 하행선은 8월 27일에 이설되었다.
2021년, 창원시는 남부내륙선을 끌어오는 데에 실패하자 기약없는 경부선 개량 대신 동대구-창원 고속철도를 요구하고 나섰다.[41] 다만 동대구-밀양이 겹쳐서 경부선 개량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
2016년에 설계되어 2018년 승인된 경부선 상동~ 밀양간 밀양강교 교량개량공사가 2024년 상반기에 완료될 예정이다. 기존에는 밀양강 부근에서 상행선과 하행선이 멀어졌다가 다시 가까워지는 비효율적인 교량이였지만 개량 공사로 나은 선형이 될 예정이다.[42] 2024년 3월 31일에 하행선이 먼저 이설되었고 5월 1일에 상행선이 이설되었다.
2024년, 구미시는 경부선(기존선)과 김천구미역을 접속시키는 형태의 구미산단선을 제시했다. 아포역 일대의 개량을 뜻하기도 한다.
5.3. 증속 추진
선형이 좋은 구간 98km[43]에 대해 선로최고속도를 150km/h에서 200km/h로 상향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44]6. 선로 현황
===# 여객+화물 (2022) #===2022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경부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2022년 경부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 |||||||
운행구간 | 선로용량 | 고속열차 | 일반여객 | 전동차 | 컨테이너 | 일반화물 | 운행총계 |
서울역 - 금천구청역 | 222 | 112 | 66 | 1 | 5 | 184 | |
금천구청역 - 의왕역 | 184 | 4 | 66 | 1 | 5 | 76 | |
의왕역 - 천안역 | 186 | 4 | 66 | 1 | 15 | 19 | 105 |
천안역 - 조치원역 | 184 | 4 | 51 | 19 | 21 | 95 | |
조치원역 - 대전조차장역 | 206 | 4 | 60 | 21 | 13 | 98 | |
대전조차장 - 대전역 | 180 | 4 | 38 | 20 | 3 | 65 | |
대전역 - 옥천역 | 180 | 29 | 20 | 3 | 52 | ||
옥천역 - 신동역 | 202 | 29 | 22 | 4 | 55 | ||
신동역 - 동대구역 | 202 | 18 | 29 | 22 | 4 | 73 | |
동대구역 - 삼량진역 | 186 | 20 | 36 | 22 | 1 | 79 | |
삼량진역 - 부산역 | 188 | 6 | 33 | 8 | 1 | 48 |
2022년 경부2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 |||||||
운행구간 | 선로용량 | 고속열차 | 일반여객 | 전동차 | 컨테이너 | 일반화물 | 운행총계 |
서울역 - 구로역 | 288 | 247 | 247 | ||||
구로역 - 병점역 | 187 | 154 | 154 | ||||
병점역 - 천안역 | 195 | 87 | 87 |
===# 여객+화물 (2023) #===
2023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경부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2023년 경부1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 |||||||
운행구간 | 선로용량 | 고속열차 | 일반여객 | 전동차 | 컨테이너 | 일반화물 | 운행총계 |
서울역 - 금천구청역 | 222 | 114 | 64 | 1 | 4 | 179[45] | |
금천구청역 - 의왕역 | 184 | 4 | 64 | 1 | 4 | 73 | |
의왕역 - 천안역 | 186 | 4 | 64 | 1 | 14 | 18 | 101 |
천안역 - 조치원역 | 184 | 4 | 49 | 19 | 20 | 92 | |
조치원역 - 대전조차장역 | 206 | 4 | 60 | 21 | 13 | 98 | |
대전조차장 - 대전역 | 180 | 4 | 37 | 22 | 4 | 67 | |
대전역 - 옥천역 | 180 | 29 | 22 | 4 | 76 | ||
옥천역 - 신동역 | 202 | 29 | 24 | 5 | 58 | ||
신동역 - 동대구역 | 202 | 18 | 29 | 24 | 5 | 76 | |
동대구역 - 삼량진역 | 186 | 22 | 36 | 24 | 2 | 84 | |
삼량진역 - 부산역 | 188 | 6 | 33 | 8 | 1 | 48 |
2023년 경부2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 |||||||
운행구간 | 선로용량 | 고속열차 | 일반여객 | 전동차 | 컨테이너 | 일반화물 | 운행총계 |
서울역 - 구로역 | 288 | 224 | 224 | ||||
구로역 - 병점역 | 187 | 154 | 154 | ||||
병점역 - 천안역 | 195 | 87 | 87 |
2023년 경부3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 |||||||
운행구간 | 선로용량 | 고속열차 | 일반여객 | 전동차 | 컨테이너 | 일반화물 | 운행총계 |
서울역 - 용산역 | 74 | 18 | 3 | 21 | |||
용산역 - 구로역 | 286 | 109 | 109 |
6.1. 여객 (2024)
2024년 5월 1일 현재 경부선을 경유하는 여객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하행 기준)2024년 경부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 |||||||||
운행구간 | KTX | SRT | ITX-마음 | ITX-새마을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누리로 | 관광열차 | 총계 |
서울~ 용산 | 154 | 8 | 11 | 14 | 1 | 188 | |||
용산~ 금천구청 | 165 | 14 | 19 | 5 | 32 | 2 | 237 | ||
금천구청~ 두정 | 8 | 14 | 19 | 5 | 32 | 2 | 80 | ||
두정~ 서창 | 8 | 14 | 19 | 23 | 1 | 65 | |||
서창~ 조치원 | 8 | 14 | 19 | 22 | 1 | 64 | |||
조치원~ 대전조 | 8 | 14 | 19 | 32 | 1 | 74 | |||
대전조~ 대전 | 8 | 8 | 11 | 23 | 50 | ||||
대전~ 지천 | 8 | 11 | 16 | 35 | |||||
지천~ 동대구 | 14 | 5 | 8 | 11 | 16 | 54 | |||
동대구~ 가천 | 28 | 2 | 8 | 10 | 28 | 12 | 88 | ||
가천~ 미전 | 28 | 2 | 8 | 10 | 22 | 2 | 72 | ||
미전~ 삼랑진 | 9 | 8 | 8 | 16 | 2 | 43 | |||
삼랑진~ 사상 | 9 | 8 | 8 | 20 | 2 | 1 | 48 | ||
사상~ 부산 | 9 | 8 | 8 | 16 | 2 | 1 | 44 |
6.2. 선별 상세
- 경부본선(경부1선) : 기점인 서울역에서 종점인 부산역까지 이어지는 경부선의 본선이다. 주로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등 일반 여객열차 및 화물열차가 주로 운행하고,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상 서울역~천안 간 출퇴근급행(일명 B급행, 초록급행)도 서울역에서 수원역까지 1선을 이용한다. 과거에는 A급행도 안양역에서 수원역까지 1선을 탔으나 2019년 말 청량리역 연장과 함께 전구간 2선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단, 다이어에 지장이 발생하면 A급행도 1선을 이용할 수 있다. 1선으로 운행하는 B급행은 1선 쪽에 고상홈이 없는 역들에 정차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요가 많은 용산역, 노량진역, 신도림역, 구로역, 금정역 등을 그냥 통과해 버린다. 북쪽으로는 경의선과 직결되어 있다.
- 경부2선 : 지하 서울역에서 두정역까지 이어지며,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일부 화물열차 등이 운행하는 선로이다. 1호선 완행은 무조건 2선으로 운행하며, 한때 1,2,3선을 모두 넘나들던 청량리~천안/신창 급행(일명 A급행, 빨간급행)도 2019년 말부터 전구간 2선에서 운행한다. 수원역까지 1선을 타고 질주하던 B급행도 수원역부터는 2선으로 넘어와 천안역까지 운행한다. 화물열차의 경우 오봉역으로 이어지는 선로가 2선에서 분기하기 때문에 1선을 타고 오다가 의왕역 인근에서 2선으로 넘어오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고상홈 대응 열차인 ITX-청춘도 2선에서 운행하였으나 지연 등의 이유로 폐지되었다. 북쪽으로는 서울 지하철 1호선과, 남쪽으로는 천안직결선을 통해 장항선과 직결된다.
- 경부3선 : 서울역에서 구로역까지 이어지며,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급행과 광명셔틀, 일부 화물열차와 군용열차 등이 운행하는 선로이다. 1~2선과 달리 용산역을 경계로 운영 방식이 달라서 경인선 급행은 용산역에서 시종착하며, 과거 경부선 A급행도 3선을 이용하던 시절에는 용산에서 시종착했으나 2선으로 변경된 후 청량리역 착발로 연장되었다. 서울역~ 용산역 구간은 용산역 진입 직전 입체교차를 통해 경원선으로 넘어가야 하는 강릉선/ 중앙선 KTX와 경원선에서 경의선으로 넘어가는 화물열차가 이용하는 선로이다. 이 입체교차 고가철도는 용산선과 함께 이용한다. 또한 용산삼각선과 연결되어 있어 경부선에서 경원선으로 넘어가는 화물열차나 매주 목요일 운행하는 연무대역~ 춘천역/ 장성역~ 동두천역 간 군용열차도 3선을 거쳐야 한다. 3선은 구로역 서쪽으로 경인2선(동인천 급행 전용선)과 직결되며, 연결선로를 통해 경부2선으로 넘어갈 수 있다.
- 경부4선 : 서울역에서 용산역까지 이어지며 경부 상1선과 하1선 사이에 있다. 다이어에 지장이 발생하였을 때 임시로 사용하거나 용산역에서 수색차량기지 또는 고양차량기지로 입고하거나 서울/행신역까지 운행하는 호남선/ 전라선 계열 열차들의 통과선로로 이용된다.
7. 운행 노선
7.1. 광역전철
경부선 광역전철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대경선만 운행 중이고 충청권 광역철도는 공사 중이다.7.1.1. 수도권 전철 1호선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1호선 문서 참고하십시오.7.1.2. 대경선
자세한 내용은 대경선 문서 참고하십시오.7.1.3. 충청권 광역철도(예정)
자세한 내용은 충청권 광역철도 문서 참고하십시오.8. 이용객 수
8.1. 일반열차
2022년 경부선 일반철도 역별 일평균 이용객 | ||||||
<rowcolor=#ffffff> 역명 | 고속열차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합계 | 순위 | 비고 |
서울 | 79,758 | 2,670 | 8,944 | 91,372 | 1위 | [46] |
용산 | 24,835 | 2,865 | 5,611 | 33,311 | 5위 | [47] |
영등포 | 1,313 | 4,660 | 13,087 | 19,061 | 7위 | |
안양 | 미정차 | 983 | 983 | 24위 | ||
수원 | 3,837 | 7,269 | 17,890 | 28,996 | 6위 | [48] |
오산 | 미정차 | 미정차 | 474 | 474 | 26위 | |
서정리 | 151 | 151 | 36위 | [49] | ||
평택 | 1,958 | 9,351 | 11,309 | 9위 | ||
성환 | 미정차 | 171 | 171 | 34위 | ||
천안 | 3,445 | 8,514 | 11,959 | 8위 | [50] | |
전의 | 미정차 | 179 | 179 | 33위 | ||
조치원 | 1,038 | 6,621 | 7,659 | 12위 | ||
부강 | 미정차 | 226 | 226 | 30위 | ||
신탄진 | 166 | 3,273 | 3,439 | 19위 | ||
대전 | 35,392 | 2,972 | 9,913 | 48,277 | 4위 | [51] |
옥천 | 미정차 | 51 | 957 | 1,008 | 23위 | [S] |
이원 | 미정차 | 50 | 50 | 38위 | ||
지탄 | 2 | 2 | 42위 | |||
심천 | 35 | 35 | 39위 | |||
각계 | 1 | 1 | 43위 | [53] | ||
영동 | 438 | 2,033 | 2,471 | 20위 | ||
황간 | 미정차 | 189 | 189 | 31위 | ||
추풍령 | 86 | 86 | 37위 | |||
김천 | 1,184 | 3,007 | 4,191 | 16위 | ||
구미 | 3,840 | 7,037 | 10,877 | 10위 | [54] | |
약목 | 미정차 | 264 | 264 | 28위 | ||
왜관 | 232 | 3,434 | 3,666 | 17위 | ||
신동 | 미정차 | 18 | 18 | 40위 | ||
서대구 | 3,558 | 미정차 | 3,558 | 18위 | ||
대구 | 미정차 | 2,351 | 7,708 | 10,059 | 11위 | |
동대구 | 44,063 | 2,640 | 11,966 | 58,669 | 2위 | [55] |
경산 | 296 | 345 | 4,521 | 5,162 | 15위 | |
남성현 | 미정차 | 미정차 | 15 | 15 | 41위 | |
청도 | 142 | 2,051 | 2,193 | 21위 | ||
상동 | 미정차 | 182 | 182 | 32위 | ||
밀양 | 1,407 | 754 | 3,391 | 5,552 | 14위 | |
삼랑진 | 미정차 | 69 | 809 | 878 | 25위 | [S] |
원동 | 미정차 | 247 | 247 | 29위 | ||
물금 | 271 | 1,852 | 2,123 | 22위 | [57] | |
화명 | 미정차 | 387 | 387 | 27위 | ||
구포 | 1,934 | 1,107 | 3,592 | 6,543 | 13위 | |
사상 | 미정차 | 166 | 166 | 35위 | ||
부산 | 43,611 | 1,416 | 5,635 | 50,662 | 3위 | [58] |
8.2. 광역전철
2023년 경부선 광역전철 역별 일평균 이용객 | |||
<rowcolor=#ffffff> 역명 | 이용객 | 순위 | 비고 |
▲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직결 ( 시청 방면) | |||
지하 서울역 | 100,595 | 1위 | [59] |
지상 서울역 | 12,128 | ||
남영 | 19,098 | 17위 | |
용산 | 82,819 | 3위 | [60] |
노량진 | 34,529 | 8위 | |
대방 | 22,362 | 14위 | |
신길 | 13,012 | 26위 | |
영등포 | 83,910 | 2위 | [61] |
신도림 | 7,511 | 31위 | [62] |
구로 | 34,283 | 9위 | |
가산디지털단지 | 46,829 | 6위 | |
독산 | 32,557 | 10위 | |
금천구청 | 21,634 | 15위 | |
석수 | 16,690 | 19위 | |
관악 | 14,287 | 24위 | |
안양 | 46,050 | 7위 | |
명학 | 16,549 | 20위 | |
금정 | 53,177 | 5위 | [63] |
군포 | 13,221 | 25위 | |
당정 | 11,589 | 27위 | |
의왕 | 16,836 | 18위 | |
성균관대 | 28,827 | 12위 | |
화서 | 15,937 | 22위 | |
수원 | 61,492 | 4위 | [64] |
세류 | 6,216 | 33위 | |
병점 | 30,409 | 11위 | |
세마 | 5,776 | 34위 | |
오산대 | 7,273 | 32위 | |
오산 | 20,795 | 16위 | |
진위 | 3,191 | 35위 | [65] |
송탄 | 9,302 | 29위 | |
서정리 | 16,492 | 21위 | |
평택지제 | 8,704 | 30위 | |
평택 | 27,834 | 13위 | [66] |
성환 | 9,847 | 28위 | |
직산 | 1,807 | 36위 | [67] |
두정 | 15,163 | 23위 | [68] |
▼ 장항선과 직결 ( 천안 방면) |
9. 주행 영상
경부1선 | ||
무궁화호 대전 → 서울 전면 주행영상 | 무궁화호 부산 → 동대구 전면 주행영상 | 대구권 광역전철 대경선 경산 → 구미 전면 시운전 영상 |
경부2선 | |
수도권 전철 1호선 청량리 급행 천안 → 구로 전면 주행영상[69] | 수도권 전철 1호선 광운대행 구로 → 서울역(→ 광운대) 전면 주행영상[70] |
10. 기타
-
안양 서리재고개 인근에서
이토 히로부미가
원태우에 의해 암살당할 뻔 했지만 주치의가 재빨리 응급처치를 진행해 살아남았다.
수원에서 사냥을 마친 후 열차를 타고 서울로 이동 중이었다고 한다. 이는
안중근 의사 의거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이토는 이 일로 자신의 얼굴이 드러나는 것을 극히 꺼려서
안중근 의사도 이토의 얼굴을 몰랐다고 한다. 그러나 운 좋게도 누군가 이름을 불러서 의거에 성공했다.
안양역 에스컬레이터 좌측 벽, 즉 롯데리아 맞은편에 기념판이 붙어 있다.
관악역 근처 운전면허학원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면 있는 돌을 던졌다고 추정되는 곳에도 세워져 있다.
- 충북선, 호남선, 경북선, 경전선같은 지선들이 부산역 방향에서 분기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도쿄 기준으로 상하행이 결정된 만큼 서울 방향이 하행이었다. 부관연락선을 경유하는 도쿄역과의 연계를 우선으로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복 이후로는 별도로 삼각선을 이용해 서울역과 직결이 이루어졌다. 특히 KTX 개통 이후 호남선 대전역 - 서대전역 구간은 기존 대전선 서대전역 - 대전조차장역 구간과 맞바꿔서 대전선으로 불리게 되었다.
- 부산도 비슷한 요구가 있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박민식 후보는 동대구 - 사상간 고속선 개량을 추진하면서 부산 관내 지역 지하화를 주장했다. 2020년 10월에는 더불어민주당이 한국형 뉴딜 정책 일환으로 구포 - 부산진 간 지하화를 추진하겠다는 기사가 나왔다.[71]
- 구상중인 한일 해저터널이 개통하게 된다면 절연구간이 탄생할 수도 있고, 열차 운행 횟수도 더욱 늘어나게 된다.
- 북한은 전구간을 명목상 평부선 일부분으로 취급하고 있다. 평부선의 '평부'는 평양의 '평'과 부산의 '부'를 의미한다. 물론 실제로는 휴전선에서 끊기기 때문에 운행하는 평부선은 평양 - 개성 구간이다.
- 통일 이후 경의선과 직결하거나 부산 - 서울 - 신의주 철도 노선을 부의선이라는 하나의 노선으로 통합시켜 KTX 및 일반 간선열차를 연장시키고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 - 문산 - (개성) 구간과 직결 운행하자는 주장이 있다. 또한 한반도 종단철도 얘기도 나오고 있다.
- 오래된 노선이기 때문에 건널목이 아주 많았지만, 계속된 입체화로 현재는 천안 - 조치원 구간, 연화건널목을 제외하면 모두 폐쇄되었다. 2004년 당시 수원-천안 2복선화 및 전철화 공사 진행에 따라 경기도 평택시 소재 철도건널목이 일괄 폐지되었다.
-
지나는 곳 중에 절반이 인구 50만 이상인
대도시이다. 각각
서울특별시,
안양시,
수원시,
화성시,
평택시,
천안시,
청주시, 대전광역시 ,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등이다. 이 중 화성시에는 전철만 정차하고, 청주시는 역이 없으므로 생략해야 하지만, 충북 청주시-청원군 통합 이전 및 세종특별자치시 승격 직전인 2012년 06월 30일까지는 경부선 부강역, 매포역이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소재였고 2012년 07월 01일 기준으로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으로 편입됐다. 대도시 중 수도권 전철 1호선 구간에만 6개가 있다.
- 경부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서울 방면에서 하행으로 내려갈 때 처음으로 등장하는 군이 충청북도 옥천군이고, 경부선 구간을 지나는 군은 옥천군과 영동군, 칠곡군, 청도군 단 네 곳이다. 즉, 서울~대전 구간은 모두 시이다.
- 서울 - 부산을 잇는 세 노선(경부선,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선) 중 이 노선만 일반철도 노선번호 2번(302번, 구 22번)을 부여 받았는데, 경부선보다 더 먼저 개통한 경인선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호국의 다리는 옛 경부선 철교였다. 1945년 복선화 이전의 단선 경부선 시절 사용된 철도 교량이었다.
-
경부선 내
부강역,
약목역,
신동역은 공식 개소일과 당대 기록 간 괴리가 있다. 1907년 통감부 철도관리국 연보에 따르면 늦어도 1906년부터 이 세 역이 거리표에 등재되어 여객을 취급한 기록이 있고, 1909년 1월에 작성된 순종황제의 남부지방 순행으로 인한 열차운행 변경 공지에서도 이 역들이 등장한다.[72] 위 3개 역의 공식 개업일은 부강역은 1909년 11월, 약목역과 신동역은 9년 후인 1918년이다.
구한말부터 시작된 선개통 후 완공의 역사?
- 여담으로, 22대 총선 지역구 기준 대전-옥천 사이 세천터널을 두고 서울 용산구 선거구와 부산 북구 갑 선거구를 빼면 서울행은 더불어민주당, 부산행은 전부 국민의힘 지역구가 되었다.[73][74][75]
==# 역명코드 #==
역명코드 | 한글 | 한자 | 로마자 | 비고 |
0001 | 서 울 | 서 울 | Seoul |
고속 정차 |
0820 | 남 영 | 南 營 | Namyeong | |
0104 | 용 산 | 龍 山 | Yongsan |
고속 정차 |
0251 | 노량진 | 鷺梁津 | Noryangjin | |
0821 | 대 방 | 大 方 | Daebang | |
0822 | 신 길 | 新 吉 | Singil | |
0002 | 영등포 | 永登浦 | Yeongdeungpo |
고속[76] 정차 |
0823 | 신도림 | 新道林 | Sindorim | |
0824 | 구 로 | 九 老 | Guro | |
0825 | 가산디지털단지 | 加山디지털團地 | Gasan Digital Complex | |
0887 | 독 산 | 禿 山 | Doksan | |
0252 | 금천구청 | 衿川區廳 | Geumcheon-gu Office | |
0826 | 석 수 | 石 水 | Seoksu | |
0827 | 관 악 | 冠 岳 | Gwanak | |
0135 | 안 양 | 安 養 | Anyang | 정차 |
0828 | 명 학 | 鳴 鶴 | Myeonghak | |
0829 | 금 정 | 衿 井 | Geumjeong | |
0301 | 군 포 | 軍 浦 | Gunpo | |
당 정 | 堂 井 | Dangjeong | ||
0302 | 의 왕 | 義 王 | Uiwang | |
0830 | 성균관대 | 成均館大 | Sungkyunkwan Univ. | |
0831 | 화 서 | 華 西 | Hwaseo | |
0003 | 수 원 | 水 原 | Suwon |
고속[77] 정차 |
0614 | 세 류 | 細 柳 | Seryu | |
0303 | 병 점 | 餠 店 | Byeongjeom | |
세 마 | 洗 馬 | Sema | ||
오산대 | 烏山大 | Osan Univ. | ||
0141 | 오 산 | 烏 山 | Osan | 정차 |
진 위 | 振 威 | Jinwi | ||
0225 | 송 탄 | 松 炭 | Songtan | |
0243 | 서정리 | 西井里 | Seojeong-ri | 정차 |
|
평택지제 | 平澤芝制 | PyeongtaekJije |
|
0004 | 평 택 | 平 澤 | Pyeongtaek | 정차 |
0248 | 성 환 | 成 歡 | Seonghwan | 정차 |
0279 | 직 산 | 稷 山 | Jiksan | |
0615 | 두 정 | 斗 井 | Dujeong | |
0005 | 천 안 | 天 安 | Cheonan |
정차 |
0142 | 소정리 | 小井里 | Sojeong-ri | |
0006 | 전 의 | 全 義 | Jeonui | 정차 |
0304 | 전 동 | 全 東 | Jeondong | |
0616 | 서 창 | 瑞 倉 | Seochang | |
0007 | 조치원 | 鳥致院 | Jochiwon |
정차 |
0305 | 내 판 | 內 板 | Naepan | |
0008 | 부 강 | 芙 江 | Bugang | 정차 |
0306 | 매 포 | 梅 浦 | Maepo | |
0009 | 신탄진 | 新灘津 | Sintanjin | 정차 |
0307 | 회 덕 | 懷 德 | Hoedeok | |
0617 | 대전조차장 | 大田操車場 | Daejeonjochajang | |
0010 | 대 전 | 大 田 | Daejeon |
고속 정차 |
0237 | 세 천 | 細 川 | Secheon | |
0022 | 옥 천 | 沃 川 | Okcheon | 정차 |
0300 | 이 원 | 伊 院 | Iwon | 정차 |
0308 | 지 탄 | 池 灘 | Jitan | 정차 |
0248 | 심 천 | 深 川 | Simcheon | 정차 |
0309 | 각 계 | 覺 溪 | Gakgye | 정차 |
0011 | 영 동 | 永 同 | Yeongdong | 정차 |
0128 | 황 간 | 黃 澗 | Hwanggan | 정차 |
0133 | 추풍령 | 秋風嶺 | Chupungnyeong | 정차 |
0499 | 신 암 | 新 岩 | Sinam | |
0226 | 직지사 | 直指寺 | Jikjisa | |
0012 | 김 천 | 金 泉 | Gimcheon |
정차 |
0310 | 대 신 | 大 新 | Daesin | |
0311 | 아 포 | 牙 浦 | Apo | |
0013 | 구 미 | 龜 尾 | Gumi |
정차 |
0312 | 사 곡 | 沙 谷 | Sagok | |
0230 | 약 목 | 若 木 | Yangmok | 정차 |
0014 | 왜 관 | 倭 館 | Waegwan | 정차 |
0313 | 연 화 | 蓮 花 | Yeonhwa | |
0223 | 신 동 | 新 洞 | Sindong | 정차 |
0314 | 지 천 | 枝 川 | Jicheon | |
0506 | 서대구 | 西大邱 | Seodaegu | 고속 |
0023 | 대 구 | 大 邱 | Daegu | 정차 |
0015 | 동대구 | 東大邱 | Dongdaegu |
고속 정차 |
0315 | 고 모 | 顧 母 | Gomo | |
0735 | 가 천 | 佳 川 | Gacheon | |
0024 | 경 산 | 慶 山 | Gyeongsan |
고속 정차 |
0316 | 삼 성 | 三 省 | Samseong | |
0317 | 남성현 | 南省峴 | Namseonghyeon | 정차 |
0016 | 청 도 | 淸 道 | Cheongdo | 정차 |
0318 | 신 거 | 新 巨 | Singeo | |
0272 | 상 동 | 上 東 | Sangdong | 정차 |
0017 | 밀 양 | 密 陽 | Miryang |
고속 정차 |
0620 | 미 전 | 美 田 | Mijeon | |
0018 | 삼랑진 | 三浪津 | Samnangjin | 정차 |
0215 | 원 동 | 院 洞 | Wondong | 정차 |
0224 | 물 금 | 勿 禁 | Mulgeum | 정차 |
0210 | 화 명 | 華 明 | Hwamyeong | 정차 |
0019 | 구 포 | 龜 浦 | Gupo |
고속 정차 |
0143 | 사 상 | 沙 上 | Sasang | 정차 |
0144 | 부산진 | 釜山鎭 | Busanjin | |
0020 | 부 산 | 釜 山 | Busan |
고속 정차 |
11. 지선 철도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속철도 | |
준고속철도 | ||
간선철도 | ||
지선철도 | ||
전용철도 | ||
운행 예정 |
<rowcolor=white> 노선번호 | 노선명 | 기종점 | 철도거리 | 역수 |
30201 | 용산삼각선 | 삼각선(경부선)↔삼각선(경원선) | 0.5㎞ | 0 |
30202 | 구로삼각선 | 삼각선(경부선)↔삼각선(경인선) | 1.2㎞ | 0 |
30203 | 구로기지선 | 구로(경부선)↔ 구로기지(경부선) | 1.4㎞ | 0 |
30204 | 남부화물기지선 | 의왕↔ 오봉 | 3.0㎞ | 2 |
30205 | 수인선[84] | 수원↔ 인천 | 52.3㎞ | 27 |
30206 | 병점기지선 | 병점↔ 서동탄 | 2.2㎞ | 2 |
30207 | 천안직결선 | 두정↔ 천안 | 3.1㎞ | 2 |
30208 | 오송선 | 서창↔ 오송 | 4.6㎞ | 2 |
30209 | 대전선 | 대전↔ 서대전 | 5.7㎞ | 2 |
30210 | 대구선 | 가천↔ 영천 | 29.0㎞ | 8 |
30211 | 미전선 | 미전↔ 낙동강 | 1.6㎞ | 2 |
30212 | 가야선 | 사상↔ 범일 | 8.3㎞ | 4[85] |
30213 | 양산화물선 | 물금↔ 양산화물 | 3.5㎞ | 2 |
30214 | 부강화물선 | 부강↔ 부강화물 | 2.9㎞ | 2 |
30215 | 신동화물선 | 신동↔ 신동화물 | 4.7㎞ | 2 |
30216 | 평택선 | 창내↔ 평택역 | 8.8㎞ | 3 |
30217 | 평택삼각선 | 신대↔분기점 | 2.2㎞ | 1 |
30218 | 평택직결선 | 신대↔분기점 | 2.1㎞ | 1 |
12. 관련 문서
[1]
경부제1본선
[2]
경부제3본선
[3]
경부제1본선
[4]
경부제3본선
[5]
경부제2본선
[6]
수원 경유 KTX
[서]
서대구 정차
[8]
구포 경유 KTX
[서]
[10]
물론 사정에 따라
부산역에도 화물열차가 들어올 수 있다.
[eum]
SRT 및 다른 종류의 KTX 차량이 입선하지 않는다.
[경]
경원선 직결
[급]
급행열차 또는 특급열차 시종착
[급]
[15]
서울~천안 급행
[구]
[17]
제 4301 ~ 4304 열차
[18]
행신역 착발 KTX 포함
[경]
[20]
중앙선(영주 이남),
영동선 계통 포함
[서]
[가]
가야선 및
부전선 직결
[가]
[24]
원래 KTX도 대구선에 입선할 예정이지만, KTX-이음 3, 4차분 차량의 도입이 늦어짐에 따라, 언제 입선할 수 있을지 미지수가 됐다.
[eum]
[26]
추진중
[27]
일본에서 유행하던
철도창가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28]
대한민국의 1호 도로망을
경부고속도로가 맡은 것처럼, 1호 철도망을 경부선이 맡았다고 보면 된다.
[29]
수도권 중소도시로 전락하였으나 1990년대부터 시작된 아파트 난개발로 인구가 폭발적으로 유입되며 100만 도시로 성장해 화려한 부활을 알렸다. 다만 현재 용인 인구의 대부분은 성남
분당구 및 수원
영통구와 가까운 서부의
수지구,
기흥구에 거주하며, 영남대로가 지나던 동부
처인구 일대는 여전히 낙후 지역으로 남아 있다.
[30]
특히 안성은 아직까지도
철도 불모지로 남아있기에 얼마나 쇠락했는지 짐작이 갈 것이다.
[31]
해당 지역들에는 당시 지역 유지 양반 들이 반대했다는 카더라 썰이 있지만 전부 근거 없는 속설이다. 자세한 내용은
경부선/역사에 서술 되어 있다.
[32]
대구 이남으로는 영남대로와 경부선이 비슷하게 지나가기 때문에 별 영향을 받지 않았다.
[33]
「[단독] 코레일 적자 주범이 SR?...광역철도·물류가 적자」, 조선비즈, 2018-10-23
[34]
「천안-청주공항간 복선전철 '탄력'」, 매일건설신문, 2014-12-17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2017년 착공」, 충북넷, 2014-06-26
[35]
「10년 넘게 제자리걸음 천안~청주공항 전철화 사업」, 동양일보, 2021-12-06
[36]
「천안-청주공항 전철 지지부진…내년 초 분수령」, KBS대전, 2021-11-24
[37]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본궤도…타당성 재조사 통과」, 연합뉴스, 2022-06-30
[38]
「서울~부산 KTX 20분 이상 단축된다」, 한국경제, 2015-05-23
[39]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뉴스 > 브리핑룸 > 보도자료
[40]
「[경부선 부산 도심구간 지하화] 서부산권 폐선부지 개발로 부산 균형발전 기대」, 부산일보, 2018-06-19
[41]
「가깝고 더 편리하게…창원시 대중교통, 철도중심으로 개편」, 연합뉴스, 2021-07-16
[42]
국가철도공단 > 2023년 사업실명제 대상사업(목록) > 사업실명제 대상사업 > 사업실명제 > 정보마당
[43]
수원-천안, 삼랑진-부산 등
[44]
「"150km/h급 일반철도, 개량없이 200km/h까지 높인다"」, 철도경제신문, 2022-10-17
[45]
선로 사용률 80.6%
[46]
전국 철도역 최다
[47]
경부선에 운행하지 않는
ITX-청춘 제외.
[48]
경기도 최다
[49]
2024년 5월 1일부터
ITX-새마을이 하루 1회 정차하기 시작했다. 해당 수치는 2025년 하반기에 공개되는 2024 철도통계연보부터 적용 예정이다.
[50]
고속열차(KTX, SRT) 미정차역 중 최다,
충청남도 최다
[51]
충청권 최다
[S]
새마을호는
ITX-새마을이 운행을 시작한 2022년 11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57일간의 평균이다.
[53]
일반열차(관광열차 제외) 정차역 중 최소,
충청북도 최소
[54]
경상북도 최다
[55]
비수도권 최다
[S]
[57]
2023년 12월 29일부터
구포 경유 KTX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해당 수치는 2024년 하반기에 공개되는 2023 철도통계연보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58]
동남권 최다
[59]
지하 서울역의 이용객은 1호선 대합실에 있는
서울교통공사 게이트를 통해 집계한 것이고, 지상 서울역의 이용객은 B급행 승강장과 일반열차 승강장 사이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게이트를 통해 집계한 것이다.
[60]
경의·중앙선 이용객 포함.
[61]
비환승역 최다.
[62]
서울 최소. 승하차객은 적은 대신
2호선과의 환승객이 매우 많다.
[63]
4호선 이용객 포함.
[64]
경기도 최다
[65]
경기도 최소
[66]
하행 기준,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가 적용되는 마지막 역이다.
[67]
경부선 최소. 1호선 전체에서는
경원선
청산역에 이어 2번째로 적다.
[68]
충청남도 최다
[69]
천안에서
두정까지는
천안직결선이다.
[70]
24분까지는 경부2선
구로 ~
서울(정확히는
남영 ~
서울역(지하) 사이에 있는 경부2선과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연결 지점) 구간이며, 그 이후는
경원선
청량리(정확히는
청량리(지하) ~
회기 사이에 있는 서울 지하철 1호선과 경원선의 연결 지점) ~
광운대 구간이다.(
서울교통공사 관할 구간인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청량리 구간은 넘어갔다)
[71]
「[단독] 與 “‘경부선 지하화’ 예타 뛰어넘어 바로 추진”」, 부산일보, 2020-10-05
[72]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 자료일람 > 주한일본공사관기록 & 통감부문서 > 統監府文書 9권 > 八. 韓國皇帝南巡關係書類, 韓國皇帝西南巡幸關係書類 > (8) [巡幸 예정 변경 통보]
[73]
서울행은 그 사이 무소속이
한곳 있으나 이곳마저
새로운미래 당적을 달고 출마하다 민주당 후보의 공천취소로 유리해져 승리하고 이후 새로운미래를 탈당한 민주당 성향 의원의 지역구이기 때문에 전부 민주당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74]
사실상 지역의 특성 때문에 그렇다. 애초에 수도권은 부촌이나 외곽이 아닌 이상 민주당세가 강하고 이마저도 해당 지역들은 다 피해가며, 충청도도 경부선은 천안, 세종, 청주, 대전 등 대도시를 지나다 경상도에 진입하기 전에 농촌 지역인 옥천, 영동을 지나며 이후엔 보수 최대 텃밭인 TK를 지나고, 그 이후엔 부울경이나 이곳 역시 경상도인 이상 국민의힘 약우세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사실 상행선에도 간혹 보수가 이기는 곳이 있으며 하행에도 부산 낙동강 벨트는 민주당이 선전하는 편인데, 무엇보다 22대 총선은 보수 정권인
윤석열 정부에 대한 심판론이 매우 거셌기 때문에 국민의힘이 비교적 불리했다. 다만 부울경 일대는 국민의힘이 그래도 예상보다 선전하여 많은 곳을 지키는데 성공했다.
[75]
참고로 경부고속도로 또한 대전-옥천 사이 증약터널을 기준으로 하행은 모든 선거구가 국민의힘 의원의 지역구이다. 상행은 부촌인 서초구와 성남시 분당구만 국민의힘 지역구이고 동탄이
개혁신당 의원의 지역구인걸 빼면 전부 민주당 지역구이다.
[76]
수원경유 KTX
[77]
수원 경유 KTX 및 고속선 불통시 광명역 기능 대체
[78]
수서평택고속선 한정
[79]
고속선 불통시 천안아산역 기능 대체
[80]
고속선 불통시 오송역 기능 대체
[81]
고속선 불통시 김천구미역 기능 대체
[82]
고속선 불통시 김천구미역 기능 대체
[83]
시험용 전산망 한정, 영업용 전산망에는 구 우일역에 반영되어 있다.
[84]
명목상 지선이다. 수원역에서 서로 교차할 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경부선과는
안산선을 통해 간접 연결되어 있다.
[85]
임시승강장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