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4:53:13

부산 버스 123

{{{#!wiki style="margin: -10px 0" <tablebordercolor=#39f>
부산광역시
일반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부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5
86 87 88 88-1 90 96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09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2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801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123뉴비.png
파일:부산123스마트.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논란4.2. 연간 일평균 승차량4.3.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123번 노선도.jpg
기점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광남백조아파트) 종점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하단역환승센터)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50
막차 21:30 막차 22:51
평일배차 출퇴근 7분 / 평시 9분 주말배차 토요일 12분 / 공휴일 13분
운수사명 성원여객 인가대수 22대[주말]
노선 광남백조아파트 - 김해여고 - 금강병원 - 김해시청 - 인제대역 - 김해대학역 - 지내역 - 불암역 - 대사역 - 평강역 - 강서복지회관·부산우편집중국 - 강서구청 - 구포대교 - (← 구포역 ←) - 북구청 - 금강화학 - 삼락동주민센터 - 삼락생태공원 - 괘법르네시떼역.르네시떼 - 부산은행사상공단지점 - 엄궁삼거리 - 엄궁한신1차아파트 - 동아대입구 - 하단역환승센터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7.5km다.[2]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이 노선은 1970년대 당시 왕복 2차로에 불과했던 낙동로가 확장이 된 직후 김해~가야로~충무동 간 시외 완행버스를 김해~낙동로~충무동 노선으로 분리하여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1978년 김해군 대저면이 부산으로 편입되면서 시내버스로 전환되어 개통되었으며,[3] 1980년에 금진여객이 운행을 시작하였다. 1990년에 공동배차제로 금진여객, 화진여객, 한진여객 공동배차로 운행되었다. 한때 좌석버스도 있었으나 얼마 가지 못해 폐지되었다. 2007년 준공영제 시행 당시 동아대학교까지 단축하려고 했으나 기존 이용객들의 반발로 현행 유지되었고 성원여객, 금진여객 공배로 운행하게 되었다.
  • 준공영제 시행 당시 인가대수는 25대였으나 성원여객이 23대로 다니고 금진여객이 2대로 다녀 인가대수의 차이가 압도적이었다.[4] 그러다 2010년에 신설노선 구.126-1번( 현.1009번) 공배와 구.128번 공배[5]로 인해 3대가 감차되어 22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이때 금진여객 공배차량 2대는 전면 철수해 126-1번으로 가고, 성원여객 공배차량들 중 1대가 128번으로 갔다.
  • 2021년 12월 20일 서면 ~ 충무 BRT 개통에 따른 충무동 환승센터가 BRT에 편입됨에 따른 교통신호체계 개선에 따라 서구청 환승센터 정차 시 가장자리 차로 변경이 불가능해 대신 회차 전 휴식을 취하던 장소[6]에 새로 단독 정류장을 설치하여 정차하게 된다. 따라서 서구청환승센터에 미정차하기 때문에 서구청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승객이라면 조금 발품을 팔거나 서부교회나 부산대학병원 정류장에서 환승하는 편이 낫다. 현재는 96-1번 1003번만 휴식한다.
  • 2023년 7월 29일 태영버스 금진여객 강서공영차고지에 입주함과 동시에 김해시에서 철수함에 따라 김해시 구간 배차간격 단축을 위해 하단교차로 ↔ 서구청 구간이 폐지되고 하단역까지 단축되었다. 이번 단축에 따라 배차간격이 2분 정도 단축되었다.
  • 2025년 부산 시내버스 전면개편으로 엄궁으로 단축될 예정이다. 노선도 구포대교 이후 대거 변경되는데, 대개편 때 폐지 예정인 148-1번 모라 ~ 엄궁 구간을 대다수 승계하여 낙동대로 대신 사상로로 운행되며, 단축에 따라 인가대수도 감차될 예정이며, 감차되는 차량은 127번의 동래 연장 증차분으로 활용된다.

4. 특징

  • 1004번 심야노선을 제외하면 강서구에서 유일하게 원도심 일대로 가는 일반노선이었다.[7] 2023년 7월 29일부로 더이상 원도심으로 가지 않는다.
  • 성원여객이 2015년 6월에 차고지를 삼계동으로 이전했지만 삼계동 - 구산동은 공차운행 구간으로 승객을 받지 않는다. 김해시와의 조율이 이루어지지 않아 승하차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8] 따라서 부산행 차량은 차고지에서 공차로 와 광남백조아파트에서부터 승객을 받고, 차고지행 차량은 구산동에서 모든 승객을 내리게 하고 차고지까지 공차회송으로 간다. 2025년 김해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때 삼계동 정차를 허가할 예정이다.
  • 상술한 것처럼 김해시에서 사하구까지 환승없이 한 번에 이어주는 노선이라는 점, 그리고 구포삼거리부터 하단역까지 126번과 함께 낙동대로 연선의 초과수요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 있어서 노선의 수요는 상당하다. 126번과는 달리 구포시장과 남포동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무언가 모자라 보이지만, 낙동대로 연선( 삼락동)을 남북으로 훑어주는 둘 뿐인 노선 중 하나인지라 출퇴근 시간에는 126번 못지않게 혼잡한 상태로 나간다. 더군다나 두 노선 모두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를 경유하여 통학수요도 많다. 123번은 하단역에서 회차하니 126번에 비해 착석의 메리트도 높아서 126번의 수요를 상당히 흡수하였다.[9]
  • 노선의 특성상 장거리 승객이 상당히 많아 구포삼거리에서 롯데마트 사상점 일대까지는 승.하차가 빈번하게 일어나지 않는다. 바꿔 말하자면, 승객 물갈이가 안 되다 보니 엄궁삼거리(김해행) 혹은 구포삼거리(하단역행)를 지나칠 때까지 자리를 차지하지 못하면 그냥 앉아서 가는 편안함은 포기하는 것이 마음 편하다. 김해를 빠져나왔다면 적어도 엄궁까지는 가축수송에 시달릴 각오를 해야 한다. 하단역행은 구포역을 미경유하니 엄궁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하차하는 승객이 거의 없다. 그나마 하단역에서 노선이 끊겨버려 장거리 수요는 상대적으로 이탈하였으며 126번의 길어진 배차간격으로 인하여 126번에서 넘어오는 승객들이 많아졌다.
  • 체감 혼잡도가 높지만 정작 수익금이나 승차량 통계가 부산시내버스 평균보다 저조하다. 이 때문에 인가대수 22대를 합쳐 부산 최악의 적자노선이라고 비난하는 경우도 있으나 운송원가 산정과 차량교부금 배분은 노선이 아니라 차량·업체 단위로 하기 때문에( 참조. 운송원가의 상당수가 인건비다) 이런 비난은 무의미하다. 더군다나 준공영제 체제에서 버스운송의 목표는 교통불편지역 해소와 안정적인 배차이지 민영제 체제처럼 이윤추구가 아니다.
  • 과거 김해시 시내버스에 부산 교통카드가 호환되기 이전에는 강서구에 거주하는 학생(대사리, 평강)들의 통학 수요 또한 만만치 않았다. 요금이 비싼 좌석버스였던 128번, 130-1번, 309번과 김해행만 대저안동네를 경유하는 127번, 128-1번 그리고 있으나 마나였던 구.130번(2007년 폐선)과 48번을 제외하면 거의 유일하게 양방향 대저안동네를 경유하는 일반버스였기 때문이다.[12] 그러나 김해시 시내버스에 부산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8번 버스를 이용하는 학생들이 생기고 준공영제 시행으로 128번[13]과 130-1번[14]이 일반버스로 전환됨으로써 통학수요는 분산되었다.
  • 여담이겠지만 부산시에서 124번을 구상할 때 이 노선의 인가대수 5대를 빼서 신설하려고 했다. 하지만 성원여객은 1004번과 과하게 중복되는 124번 노선에 부정적으로 반응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노선의 인가대수는 빼지 않기로 결정되었다.
  • 과거에는 충무동 등 원도심, 사하구 일대에서 이 노선에 승차한 후 김해금강병원 정류소에서 김해 버스 140번으로 환승하면 창원역이라던지 마산시외버스터미널 (합성동)까지 교통카드 기준 2,200원으로 갈 수 있었다. 그러나 편도 3시간 이상 걸리는 비효율적인 경로라서 이 루트를 이용할 생각은 하지 않고 그냥 목적지에 맞는 시외버스를 이용한 뒤 인근 지역 시내교통수단으로 환승하는 것이 좋다. 진영읍 방면도 과거에는 김해여객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나았으나, 김해여객 측의 운행중단으로 인하여 부전역이나 구포역 등지로 가서 철도를 이용하거나 123번을 이용한 뒤 김해에서 140번으로 환승해야 한다. 현재는 123번이 하단역으로 단축되면서 원도심, 사하구 일대에서 김해시내를 가려면 하단역까지 가야 한다.
  • 노선이 단축된 만큼 김해시 구간에서 배차간격이 줄어들어 이용이 편리해졌으며 김해시에서 유일하게 10분 이내로 오는 노선이 되었다. 과거에는 10분을 넘겨서 1대가 왔으나 이제는 평일은 물론이거니와 주말과 공휴일에도 최장 10분 정도만 기다리면 1대가 오는 수준이다. 앞서 말한 것처럼 126번의 배차간격이 10분 이상으로 길어져서 하단 ↔ 구포 구간의 126번의 수요를 대거 흡수해 버렸고 승객 회전률 또한 서구청 종점 시절보다 더 높아졌다.
  • 하단역에서 노선이 끊겨버리는 특성상 엄궁동이나 동아대입구에서의 승차비율은 많이 낮은 편이다. 하단행은 심야 시간대에는 거의 텅텅 빈채로 운행한다. 기존 원도심으로 가려는 승객들은 16번이나 126번을 이용하며 강서구 지역으로 가려는 승객들은 강서공영차고지까지 가는 128-1번을 주로 탑승한다. 하단역이 최종 목적지라 하더라도 주로 인지도가 훨씬 높은 68번을 이용해서 간다.

4.1. 논란

부산 버스 123/논란 문서로.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9291.14
2015년 8965.86 ▽ 325.28
2016년 8309.29 ▽ 616.57
2017년 7695.71 ▽ 613.58
2018년 8069.00 △ 373.29
2019년 7686.42 ▽ 382.58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5542.00 ▽ 2144.42
2022년 4971.71 ▽ 570.29

4.3.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3번[16]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보수대로
토성동 ▼ ▲ 서구청
구덕로 까치고개로
구덕로
서대시장(동대신역) ▼ ▲ 서부교회
대영로
서대신교차로(서대신역) ▼ ▲ 서대신역.서부경찰서
낙동대로
강서구청역 ▼ ▲ 구포삼거리
낙동북로
강서구청 ▼ ▲ 강서구청역
대저로
부산교도소 ▼ ▲ 중리입구
낙동북로
불암역 ▼ ▲ 대사리1구
김해대로
금강병원 ▼ ▲ 김해시청
가락로
}}}}}}}}} ||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엄궁동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일반 16[a] 67[a] 68 108[a]
123 126 128-1 138
138-1 148-1[a] 338
음영표기 : 엄궁동 시,종착 노선.
[a] 엄궁아파트단지 경유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김해시 버스 파일:김해시 CI_White.svg
시내버스 ·················
시외버스 ····
월경지인 부산경남경마공원만 거치는 노선은 제외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청 경유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일반 상동공영1[a] 상동공영2[b] 대동공영
1 1-1 2-1
4 7 82 911
부산시 1004 123 127
[a] 부원역 방향 운행 시에만 경유. / [b] 성모병원 방향 운행 시에만 경유.
}}}}}}}}} ||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승학캠퍼스
<colcolor=#000,#fff> 교내진입 사하10
동아대입구 1001
2 16 68 123
126 128-1 138 338
구덕캠퍼스(동아대학교병원)
교내진입 서구5
동아대병원 167[A] 190[A] 중구1
동아대병원입구/구덕운동장 8 15 16[A] 40[A]
67 81[A] 161 168
서구1[A] 서구3[A] 서구3-1[A]
부민캠퍼스
정문앞 15 16 40 70
81 126[A] 161 190
부용사거리 96 103 113
[A] 단방향 경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하단역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급행 2000
좌석 58-1
일반 3 55 58 58-2 61 68[a]
123 124 128-1 161 171
강서구
마을
7 9-1 12 13 15 20
21
사하구 마을 10[b]
강서구 다람쥐 12-1
김해시 220
음영표기: 하단역이 시•종착이 아닌 노선
[a]강서구 미경유 노선
[b]중앙버스전용차로 미정차 노선
}}}}}}}}}}}} ||


[주말] 토요일 19대 / 공휴일 17대 운행 [2] 삼계동 성원여객 차고지까지의 공차회송 거리를 합친 거리는 64.7km 이다. [3] https://m.blog.naver.com/nakdong621/222144270544 [4] 차고지 방화사고 당시 123번 차량들이 전부 피해를 입어 금진여객 차량이 몇대 더 들어가 대신 다니기도 했다. [5] 같은 날 520번 부산역 연장으로 태영버스 128번 대수 감차로 인해 재공배했다. [6] 환승센터 근처 바른병원 앞으로 사하1-1번, 서구2번, 서구2-2번, 서구3번, 서구3-1번의 정차위치와 동일하다. 정류장명은 서구청으로 기존과 동일하다. 참고로 서구청에서 단순 유턴 회차하는 96-1번과 2023년 2월 11일부로 1003번 또한 이 곳에서 회차 후 휴식을 취한다. [7] 다만 1004번의 회차 지점인 중앙동과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도 어찌 보면 원도심권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8] 김해시 시내버스의 비교적 긴 배차간격으로 인해 북부신도시 주민들의 민원이 굉장히 많이 들어오고 있으나 김해시 측에서는 이 구간이 허용될 경우 수요가 분담되어 재정적 손실이 난다는 이유로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앞으로도 승하차가 가능하긴 힘들어 보인다. 아시다시피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는 준공영제지만, 김해시 시내버스는 민영제이기 때문에 납득이 간다. 준공영제는 노선을 만들 때 수요보다는 시민들의 편리에 초점을 두는 반면 민영제는 수요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즉, 시민들이 백날 민원 넣어도 버스회사 사정이 좋지 못하거나 수요가 안나오면 개정, 신설 따윈 거의 없다고 봐야한다. 오히려 잘 다니는 노선을 수요 때문에 폐선시킬 수 있다. 또, 준공영제는 수익과 노선을 시에서 관리하고, 버스회사는 승객서비스에만 신경쓰면 되나, 민영제는 수익, 노선, 승객서비스 전부 버스회사가 부담해야 한다. [9] 이는 126번의 배차간격이 늘어나서 126번보다 배차간격이 짧아진 이유도 있다. [10] 모라, 서부터미널, 새벽시장, 구덕운동장 경유 [11] 삼락, 엄궁, 하단 경유 [12] 평강역쯤 가면 낙동중학교까지 무정차 통과는 흔했다. 강서15번이 등교시간에만 대저안동네를 통해 강서구청까지 연장운행했다. [13] 현재는 폐선 [14] 130번으로 변경되어 오랫동안 운행되다가 폐선되고 124번이 신설되었다. [15] 특히 최근에는 5호선 공사로 인해 더더욱 [16] 강서차고지 개편 전 노선이니 참고해야 한다. [김해] 김해행만 경유 [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