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연천 방면 용 산 ← 한강철교 통과← 2.6 ㎞
|
1호선 (136) |
|||
대 방 1.5 ㎞ → |
|||||
용산 방면 용 산 ← 한강철교 통과← 2.6 ㎞
|
1호선 ''' 경인선 급행 '''
|
||||
동인천 방면 | |||||
1호선 ''' 경인선 특급 '''
|
동인천 방면 영등포 3.3 ㎞ → |
||||
청량리 방면 용 산 ← 한강철교 통과← 2.6 ㎞
|
1호선 ''' 경부선 급행 A '''
|
신창 방면 대 방 1.5 ㎞ → |
|||
개화 방면 샛 강 ← 1.2 ㎞ |
9호선 (917) |
중앙보훈병원 방면 노 들 1.1 ㎞ → |
|||
김포공항 방면 여의도 ← 2.0 ㎞ |
9호선 ''' 급행 '''
|
중앙보훈병원 방면 동 작 3.6 ㎞ → |
|||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110정거장 ← -.- ㎞ |
서부선 계획 중
|
장승배기 -.- ㎞ → |
역명 표기 | ||||||
경부선 |
노량진 Noryangjin 鷺梁津 / 鹭梁津 / [ruby(鷺梁津, ruby=ノリャンジン)] |
|||||
1호선 | ||||||
9호선 | ||||||
주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부선 | |||||
1호선 |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151 ( 노량진동 67-2) |
||||||
9호선 |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지하130 ( 노량진동 60-11) |
}}}}}}}}} | |||||
관리역 등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보통역 / 2급 ( 영등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 | ||||
운영 기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부선 | 한국철도공사 | ||||
9호선 | 서울시메트로9호선(주) | }}}}}}}}}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인선 | 1899년 9월 18일 | ||||
경부선 | 1905년 1월 1일[1] | |||||
1호선 | 1974년 8월 15일 | |||||
9호선 | 2009년 7월 24일 | }}}}}}}}} | ||||
역사 구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경부선) 지하 2층 ( 9호선) |
}}}}}}}}} | ||||
승강장 구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5면 9선 복합식 승강장[2] (횡단 가능,
경부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9호선) |
}}}}}}}}} | ||||
철도거리표 | ||||||
서울 방면 용 산 ← 2.6 ㎞ |
경부선 노량진 |
부산 방면 대 방 1.5 ㎞ → |
||||
기점 | 용산삼각선[3] |
종점 방면 삼각선[4] 0.5 ㎞ → |
1호선 역사(1971년 준공, 리모델링 후) |
[clearfix]
1. 개요
노량진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철도 시발지를 형상화했다.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이다. |
대한민국 철도사의 새벽을 열다
1899년 9월 18일 인천역에서 진행된 경인선 개통식에 참석하기 위한 귀빈들을 태우기 위한 열차가 노량진역(영등포 위치 임시역사)에 도착한다. "화륜거의 소리는 우레와 같아 천지가 진동하고 기관차의 굴뚝연기는 하늘 높이 솟아오르더라. 차창에 앉아서 밖을 내다보니 산천초목이 모두 움직이는 것 같고 나는 새도 미처 따르지 못하더라." 1899년 9월 19일에 발행된 독립신문은 시속 20km로 노량진과 인천을 달리던 경인선 열차를 보고 이와 같이 표현했다. 한강철교가 완공되기 전 노량진역은 경인선의 시종착역으로, 이를 기념하기 위한 철도시발지 기념비가 역 구내에 건립되어 있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1899년 9월 18일 인천역에서 진행된 경인선 개통식에 참석하기 위한 귀빈들을 태우기 위한 열차가 노량진역(영등포 위치 임시역사)에 도착한다. "화륜거의 소리는 우레와 같아 천지가 진동하고 기관차의 굴뚝연기는 하늘 높이 솟아오르더라. 차창에 앉아서 밖을 내다보니 산천초목이 모두 움직이는 것 같고 나는 새도 미처 따르지 못하더라." 1899년 9월 19일에 발행된 독립신문은 시속 20km로 노량진과 인천을 달리던 경인선 열차를 보고 이와 같이 표현했다. 한강철교가 완공되기 전 노량진역은 경인선의 시종착역으로, 이를 기념하기 위한 철도시발지 기념비가 역 구내에 건립되어 있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 수도권 전철 1호선 136번.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151 ( 노량진동 67-2) 소재.
- 서울 지하철 9호선 917번.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지하130 ( 노량진동 60-11) 소재.
2. 역 정보
역 안내도 (
크게보기)
|
2.1. 수도권 전철 1호선 ( 경부선)
1호선 맞이방 |
1899년 한반도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 노량진 ~ 인천 구간이 개통할 때에 시·종착역으로 개업했다. 1900년에 한강철교 개통으로 강북 연장이 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 1974년 수도권 전철 개통 뒤로도 서울발(2004년 KTX 개통 뒤 용산발) 온양온천행 통일호/무궁화호 열차가 1일 2회, 2004년 7월 22일까지는 일 4회 정차했다. 그리고 일반열차는 2005년 1월 20일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천안역까지 연장되는 날부터 무정차 통과하게 되어서 전철역 업무만 시행하게 되었다. 정작 화물취급은 이미 1978년 11월 20일부터 중지했다.[5]
2017년 5월 1일부터 용산 ~ 대전 간 ITX-청춘 열차를 운행했다. 12년 만에 다시 일반열차가 정차했지만, 1호선 급행 승강장을 사용했다. 수요 저조로 2018년 3월 23일 부로 폐지되었다.
원래 기차와 전철의 2복선 구조였다가 경부선 완행열차 선로 신설로 3복선으로 증설되면서 저상홈 승강장이 역 구내 북쪽에 신설되었다. 즉 가장 북쪽 저상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개통 당시부터 있던 게 아니었다.[6]
용산행 일반열차, KTX는 이 역을 지나자마자 용산역 종착 안내방송이 나온다.
동인천 급행 승강장으로 직접 연결되는 1번 출입구 |
역명판과 2번 출입구 |
1호선 역의 메인 출입구는 이쪽이다. 환승통로 개통 전에 노량진 학원가에서 오려면, 우측 육교로 노량진로를 통해서 들어오는 경우가 가장 흔했다. 육교가 바로 붙어있고 역 바로 앞에는 횡단보도가 없어서 노량진로의 횡단시설이자 역 출구의 역할도 하는 다소 특이한 구조였으나, 환승통로 개통 시점에 맞춰서 2015년 10월 17일에 육교가 철거되고, 횡단보도가 생겼다. 노량진 수험생들에게는 수험생활의 상징이자 추억과 같던 곳이어서 철거 당일 꽤 많은 사람이 모여 감사현수막도 붙이는 등 마지막을 함께 했다.
1899년에 개통하였지만, 역사(역 건물)는 1971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인천역처럼 수도권 전철 개통 전에 지어져서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있다. 반면 오래전에 지어진 만큼 교통약자 배려는 부족하다. 역사에서 승강장으로 가는 엘리베이터가 없으니 9호선 역사를 통해 환승통로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야 한다.
취소된 민자역사 조감도 |
안산선이 1994년 4월에 과천선,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며 1호선 계통이 아니라 수도권 전철 4호선 운행 계통으로 편입한 뒤에도 한동안 안산역에서 출발해서 용산역까지 운행했던 열차를 2002년 용산역 민자역사 공사로 노량진역까지로 단축한 후, 이 역까지만 오는 열차를 출근시간에 1일 3회 가량 운행했다가 2003년 4월 30일 1호선 병점역 연장 개통 당시에 없어졌다. 당시 1호선 열차에 안산선 노선도가 표기되어 있던 것은 그 때문이다. 그래서 안산-노량진 운행 계통이 사라진 직후에 2000년대 중후반까지만 해도 수도권 전철 3호선 노선도에 오리라는 문구가 있던 것처럼 인천/천안 방면 승강장 안내판에, 안산(병점)이라는 문구가 있었다.
9호선과의 환승통로 개통 전에는 1호선 열차의 서쪽 끝 칸(대방역에 가까운 칸)에서 내리면 9호선으로 갈아타기가 매우 불편했다. 선상 대합실이 한강철교 방면 끝단에 있고, 출구도 하나뿐이었기 때문이었다. 동인천 급행 승강장은 예외적으로 바로타 게이트의 출구가 하나 더 있다. 하지만 이 출구도 위치가 거의 대합실과 고만고만한 거리에 있다. 이로 인해 하차 게이트는 9호선 환승객과 하차객이 모두 몰린 적이 있으나 환승통로가 생기면서 이런 불편은 사라졌다.
만약 출구 이용 시 엘리베이터 이용이 반드시 필요한 사람이라면 환승통로를 경유하여 9호선 대합실 쪽으로 나가기를 권한다. 지상역사는 구조적 한계로 승강장과 대합실을 잇는 엘리베이터가 없고 휠체어 리프트가 있지만 현재는 노후화로 인하여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상역사 출구는 1번과 2번 뿐이며, 그마저도 어디로 나오든 비슷해서 사실상 출구가 한 개라고 봐도 무방하다. 동인천 급행 승강장으로 통하는 바로타 게이트를 1번으로 명명한 것에 불과하다.
2016년 3월부터 역사 앞에 있던 미니공원을 허물고 에스컬레이터용 건물을 올렸다.
한편 2015년 4월부터 구 화물홈에 인근 지하철 공사 용도로 보이는 철강재 등의 화물역 기능을 재개하고 있다. 이 철강재는 화물열차를 통해 도착했다.
아울러 사고 후 3번 승강장은 폐쇄되어 더 이상 쓰지 않는데 한때 가끔 있던 성당 장터 등의 무궁화호 특별열차가 이 3번 승강장에 착발하였다. 소래포구역 임시열차 등도 이 승강장에 임시 정차했으나 이제 용산역 공사 후 이러한 특별전철은 용산역 착발이다.
2020년 9월 10일에 노량진수산시장 방면으로 이어지는 9번 출구가 개통되었다.[7]
8.4 부동산 대책에 따라 경부선 역사를 재건축하고, 2020년 6월에 상인퇴거가 완료된 옛 노량진수산시장을 통합 재개발해 1,000여가구의 청년 임대주택과 지식산업센터를 조성한다. 노량진수산시장이 청년 임대아파트가 되고 노량진역은 지식산업센터로 재개발할 것으로 보인다.[8]
2023년 7월 20일, 노량진역 민자역사 사업에 대해 서울회생법원에서 회생절차 폐지를 통한 청산 작업을 시작하기로 했다.[9] 노량진역을 회생시켜 민자역사를 다시 살리려던 서울특별시청과 동작구청의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게 됐다.
노량진역 민자역사 회생절차가 폐지돼 청산 or 매각 절차가 진행되던 도중, 캡스톤자산운용이 노량진역 민자역사 사업을 인수하기로 했다. 노량진역 민자역사 사업 지분 96%를 인수하고, 기존 채무를 캡스톤이 대신 변제 처리하는 식으로 노량진역 민자역사 사업을 회생시키는 복안이다. 캡스톤 측에서는 서울회생법원에서 노량진역 민자역사 인수에 대해 최종 승인을 받고, 2025년 개발 인허가를 정리하여 2026년 노량진역 민자역사를 착공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기사
2.2. 서울 지하철 9호선
9호선 대합실 |
역 구조도 |
급행열차 정차역이며, 상대식 승강장이다.
노량진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중 노량진역에 가까운 정류소가 두 개 있다. 각 이름은 '노량진역'과 '노량진수산시장.CTS기독교TV'이다. 그중 9호선 노량진역에서 더 가까운 곳은 노량진수산시장.CTS기독교TV 정류소이다.
노량진역 정류장 쪽은 과거에는 컵밥 포장마차들이 줄지어 있었지만, 사육신공원 쪽으로 모두 이사가면서 훨씬 덜 붐빈다. 물론 조감도를 보면 알겠지만 수산시장 정류소 쪽으로 연결된 5, 6번 출구가 동일역의 다른 출구보다 개찰구와의 거리가 조금 있어서 개찰구까지의 실제 걷는 거리는 비슷하다.
이 역은 운임구역이 대합실 한가운데를 차지하고 있어 비운임구역이 동과 서로 양분되어 대합실 왕래가 제한되어 있고, 9호선 대합실에는 화장실이 총 3개 있다. 운임지역 내 1개의 협소한 화장실, 그리고 동쪽 비운임구역, 서쪽 비운임구역까지 각각 존재한다. 모든 화장실이 남자화장실 기준 소변기 1~2개에 대변기 2~3칸에 세면대 1~2개 정도 크기이다. 출구 밖 여자화장실은 그나마 나은 편이지만 대합실 내 화장실은 남녀 가릴 것 없이 매우 협소하다. 그나마 이 협소한 것도 3-1번 출구 공사 후 운임구역 화장실이 조금 넓어졌다. 소변기 1개에 대변기 1개 있던 공간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출구로 연결되는 공간이 되었다. 통계적으로 계산했을 때는 적정 크기라서 그렇게 지었겠지만 사람들이 통계대로 분산돼서 화장실에 가지도 않기 때문에 사람들이 몰리면 소변기 앞에 너댓 명이 줄을 서기도 하며, "왜 환승유동인구가 발생하는 역에 화장실을 이렇게 작게 지었냐"는 불만도 있었다. 그리고 이용객이 엄청 많아 똑같은 관리를 하는 것일 텐데도 다른 9호선 화장실에 비해 항상 악취가 심하다.
환승통로 개통 전에는 이 역사의 출입구 번호를 1번부터 따로 매겨 놓아서 1호선과 9호선 각각에 1, 2번 출구가 존재하였으나, 환승통로 개통 후 기존의 수산시장 방향 1번 출구를 7번으로 1호선 노량진역 방향 2번 출구를 8번으로 변경하고, 1호선 역사의 두 출구 번호를 교차시켜서 동인천/천안 급행 바로타 승강장 쪽 출구를 1번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식의 다른 역들과 똑같은 규칙의 출구번호를 갖게 되었다. 또한 같은 해에 노량진 메가스터디 타워가 생기면서 3-1번 출구가 신설되었다. 5번 출구는 현재 메가스터디 종합반이 들어가 있는 아이비 빌딩이 2006년 건물 오픈 때부터 지하푸드코트 입구로 사용하다가 2009년 이 역이 개통되며 5번 출구가 되었다. 또한 3번 출구에도 푸드코트가 있었으나 현재는 헬스장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데아빌딩과 연결되어 있다.
9호선에서 하차 후 노량진역 1, 2번(지상역) 출입구 쪽으로 갈 일이 있다면 8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나오므로 환승통로를 따라서 올라갈 필요가 없다. 게다가 1호선은 구조적 한계로 승강장에서 대합실 가는 엘리베이터가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반드시 필요한 사람이라면 참고해야 한다. 반대로 우천 시 1호선에서 하차해 역 건너편의 건물로 가거나, 마을버스를 타고 상도동 방면으로 갈 때는 한국철도공사 역에서 나와 횡단보도를 건너지 않아도 9호선 역사로 들어가 3번 출구 등으로 비 한 방울 맞지 않고도 길을 건널 수 있다.
2.3. 환승
자세한 내용은 노량진역/환승통로 문서 참고하십시오.9호선 개통 때에는 환승통로 건설이 보류되었기 때문에 역 출구로 나가서 간접환승을 해야만 했다. 이로 인한 추가요금 부담을 경감해주기 위해 환승할인을 예외로 적용했다. 이는 2015년 10월 31일 부로 환승통로가 개통되면서 막혔다.
환승은 어렵거나 복잡하지 않은 편인데, 어쨌든 지상과 지하의 갭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감안해야 한다.
2.4. 미래
민자적격성 통과한 서울 경전철 서부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져 3환승이 될 예정이다. 그 때문에 고양, 서울 서부 승객의 강남, 영등포 방면 교통 거점이 될 전망이다.3. 역 주변 정보
노량진수산시장은 7번 출구 전방 약 150m에 신시장으로 가는 지하통로가 있으며, 9번 출구를 통해 갈 수도 있다.이 일대에 여러 학원과 고시촌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자세한 사항은 노량진동 문서에 기술되어 있다.
CTS기독교TV의 본사도 이 근처에 있다.
노량진역 주변에 많은 오락실들이 있었으나, 다른 곳은 다 폐업되고, 현재는 어뮤즈타운밖에 남아있지 않다.
고시생들을 대상으로 한 길거리 음식들, 특히 노량진 삼거리에서 사육신공원 앞까지 컵밥 가게들이 늘어서 있다. 포장마차들은 조그만 가게형식으로 옆 블록에 이전하였다.
부산광역시의 자갈치역과 함께 수산시장과 인기있는 길거리 음식(주요음식: 컵밥, 팬케이크, 쌀국수 수제비, 치킨카레떡볶이, 물회 등)이 있는 단 둘뿐인 역이다.
3번 출구로 올라가기 전에 지하 식당가 이데아 푸드코트로 들어가는 입구가 있었으나 식당가가 폐업한 이후 현재는 헬스장 입구로 바뀌었다.
직선 거리상 노량진역과 여의도는 코앞이다. 그런데 자동차전용도로인 올림픽대로와 자동차전용도로이던 노들로가 합류하는 여의상류IC가 그 길을 가로막고 있다. 따라서 노량진역에서는 도보로 여의도로 갈 수 있는 길이 없다. 이 때문에 노량진역에서 여의도로 가려면 9호선으로 환승하거나 대방역이나 신길역에서 도보로 진입해야 한다. 서울 경전철 서부선이 개통되면 서부선으로도 여의도를 갈 수 있다.
9번 출구에서 700m 가면 kt 롤스터 사옥이 있다.
3.1. 출구 정보
- 1번 출입구는 1호선 동인천 급행 승강장과 바로 이어져 있는 바로타 구조이다.
노량진역 출구 정보 | |
1 | 노량진수산시장 |
2 |
사육신공원 노량진래미안트윈파크아파트 |
3 | 서울동작경찰서 |
3-1 | 동작구행복지원센터 |
4 |
서울노량진초등학교 노량진1동우체국 |
5 |
노량진2동주민센터 노량진지구대 동작구청·동작구의회 신노량진시장 |
6 |
현대아파트 유한양행 서울시우리동네키움센터 대방이편한세상아파트 노량진근린공원 CTS기독교TV |
7 |
현대자동차서비스 노량진수산시장 |
8 | 사육신공원 |
9 |
노량진수산시장 노량진축구장 노량진야구장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 노량진별관 |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2>
||<|2>
||<|2><bgcolor=#0052a4> 총합 ||<bgcolor=#0052a4> 환승객 수 ||<|2><bgcolor=#0052a4> 비고 ||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74년 | 19,078명 | 143,909명 | 73,812명 | [10] | ||||||
1975년 | 21,463명 | 비고 | |||||||||
1976년 | 26,626명 | ||||||||||
1977년 | 38,906명 | ||||||||||
1978년 | 55,016명 | ||||||||||
1979년 | 64,030명 | ||||||||||
1980년 | 61,312명 | ||||||||||
1981년 | 64,776명 | ||||||||||
1982년 | 73,716명 | ||||||||||
1983년 | 93,426명 | ||||||||||
1984년 | 90,888명 | ||||||||||
1985년 | 79,447명 | ||||||||||
1986년 | 69,543명 | ||||||||||
1987년 | 71,915명 | ||||||||||
1988년 | 71,928명 | ||||||||||
1989년 | 72,916명 | ||||||||||
1990년 | 77,587명 | ||||||||||
1991년 | 82,177명 | ||||||||||
1992년 | 85,807명 | ||||||||||
1993년 | 84,798명 | ||||||||||
1994년 | 79,897명 | ||||||||||
1995년 | 78,145명 | ||||||||||
1996년 | 77,491명 | ||||||||||
1997년 | 80,271명 | ||||||||||
1998년 | 78,787명 | ||||||||||
1999년 | 76,447명 | ||||||||||
2000년 | 71,351명 | ||||||||||
2001년 | 68,875명 | ||||||||||
2002년 | 74,592명 | ||||||||||
2003년 | 80,789명 | ||||||||||
2004년 | 66,596명 | [11] | |||||||||
2005년 | 72,298명 | ||||||||||
2006년 | 73,622명 | ||||||||||
2007년 | 69,724명 | ||||||||||
2008년 | 65,710명 | ||||||||||
2009년 | 65,666명 | 31,586명 | 97,252명 | [12] | }}}}}}}}} | ||||||
2010년 | 74,468명 | 44,240명 | 118,708명 | ||||||||
2011년 | 76,407명 | 50,385명 | 126,792명 | ||||||||
2012년 | 77,070명 | 56,916명 | 133,986명 | ||||||||
2013년 | 77,888명 | 61,149명 | 139,037명 | ||||||||
2014년 | 80,543명 | 63,366명 | 143,909명 | ||||||||
2015년 | 78,395명 | 63,521명 | 141,916명 | 49,641명 | |||||||
2016년 | 55,302명 | 56,325명 | 111,627명 | 64,015명 | |||||||
2017년 | 52,501명 | 58,326명 | 110,827명 | 71,124명 | |||||||
2018년 | 48,026명 | 56,888명 | 104,914명 | 73,812명 | |||||||
2019년 | 47,017명 | 60,048명 | 107,065명 | 81,822명 | |||||||
2020년 | 31,806명 | 43,693명 | 75,499명 | 60,607명 | |||||||
2021년 | 30,201명 | 42,692명 | 72,893명 | 63,699명 | |||||||
2022년 | 32,720명 | 47,286명 | 80,006명 | 73,938명 | |||||||
2023년 | 34,529명 | 49,401명 | 83,930명 | 81,152명 | |||||||
출처
|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서울시메트로9호선 자료실 |
- 2009년 7월 24일~2015년 10월 30일까지 1호선과 9호선 간의 환승통로가 없었기 때문에 2009~2015년 승하차 자료는 두 노선간 환승객들이 포함된 수치이다.
- 두 노선의 하루 평균 이용객을 합치면 80,006명(2022년 기준)이다. 이는 서울 서남부의 상업/교통 중심지인 영등포역보다도 많은 수치이다.
- 1호선보다 9호선 승하차객 수가 더 많다. 9호선 개통 당시에는 두 노선이 큰 차이를 보였지만, 빠른 속도로 격차가 줄더니 2016년에는 9호선이 1호선의 수요를 역전했고, 2018년에는 8천 명, 2019년에는 13,000명까지 차이가 벌어졌다. 이렇게 된 이유는 장승배기에서 오는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과 관련이 깊다. 승객들이 노량진역을 이용하려면 과거에는 무조건 신호등을 건너야 했는데, 9호선 게이트를 이용하면 그럴 필요가 없어지니 1호선을 이용객들도 9호선 게이트로 몰렸기 때문이다. 1호선 이용객이 환승통로 완공 직후인 2016년에 급감한 것이 이 때문이다.
- 이 역은 수요는 급상승과 꾸준한 감소를 반복하였다. 2000년대에 차츰차츰 하락세를 겪다가(2000~2003년까지의 자료는 코레일 광역철도 모든 역들이 급상승을 보이다가 2004년에 급감하는 양상을 보여 2004년까지의 자료는 집계가 불확실함) 9호선이 개통하면서 다시 이용객이 상승했는데, 2009~2015년 사이의 환승객이 포함된 거품을 빼고도 9호선 인근에서 유입된 승하차객 추가만으로 충분히 이용객이 증가했으나 2015년 10월 환승통로 개통 후 순수한 승하차객 집계로 돌아가면서 급격하게 이용객이 빠졌다. 현재 9호선 38개역 중 2위로 최상위권이다.
- 서부선 개통 시 새로운 환승거점으로 도약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신림선 개통 후 몇 년 간은 수요가 2019년에 비해 약간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그 이유는 이 역과 연계되는 152, 504, 5516, 6515이 지나는 구간에 신림선이 개통되어 이 역에서 환승하는 수요 중 일부가 전역(소요산행 기준)인 대방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 강남으로 가기 위해 신도림역 혼잡도를 피하기 위한 대안으로 노량진역을 대체 경로로 선택하는 이용객들이 많아서 출퇴근시간에는 혼잡도가 엄청나다.[13]
4.2. 일반철도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통일호| 통일호 ]]
|
총합 | 비고 |
2004년 | 56명 | 97명 | 153명 | [14] |
2005년 | 72명 | [15] | ||
일반열차 취급 중지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2005년까지 일반열차도 노량진역에 정차했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1호선
1호선 역명판 |
|
1호선 승강장 |
전체 5면 10선 승강장 5면 8선역으로 홈과 승강장 번호가 다르다. 이 역은 섬식+외선과 3섬식+1의 형태를 가진 승강장으로 8개의 승강장이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4개의 승강장만 사용되고 있다.
4~5번 승강장은 2016년에 이미 스크린도어가 완공되어 가동 중이며, 1~2번 승강장은 2018년에 완공되어 가동 중에 있다. 1번 승강장은 2018년 10월에 완공되었으며, 2번 승강장은 2018년 12월에 완공되어 가동 중에 있다.
↑ 용산 | |||||||||||||||
| | 7 | | | | | | | 6 | 5 | | | | | 4 | 3 | | | ㅣ | 2 | ㅣ | 1 |
대방 ↓ |
1 | 수도권 전철 1호선 | 경인선 급행 | 영등포· 구로· 부천· 송내· 부평· 동인천 방면 |
경인선 특급 | |||
2 | 경인선 급행 | 용산 방면 | |
경인선 특급 | |||
3 |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구 급행 승강장) | ||
4 |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 | 구로· 인천· 서동탄· 천안· 신창 방면 |
경부선 A급행 | 안양· 수원· 평택· 천안· 신창 방면 | ||
경원선 급행 | 영등포· 구로· 부천· 송내· 부평· 동인천 방면 | ||
5 | 완행 | 용산· 광운대· 의정부· 양주· 연천 방면 | |
경부선 A급행 | 용산· 청량리 방면 | ||
경원선 급행 | 용산· 광운대· 의정부· 양주· 동두천 방면 | ||
6·7 |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구 일반 열차 승강장) |
- 용산발 구로행은 1번 승강장에 정차하고, 용산발이 아니면 대부분 4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 2번 승강장은 오른쪽 출입문이 열린다. 외대앞역과 구조가 같다.
- 적어도 2000년대 초중반까지는 용산 급행이 3번 승강장에 정차하고 2번 승강장은 파리가 날리는 곳이었다. 간혹 수원발 노량진행이 2번 승강장으로 들어가 종착하고, 다시 구로 방면으로 회차했다.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1호선 (연천 방면 완행) → 9호선 | 5-2, 8-4 |
1호선 (용산 급행) → 9호선 | 5-2 |
1호선 (인천·신창 방면 완행, 천안 급행) → 9호선 | 3-1, 6-3 |
1호선 (동인천 급행) → 9호선 | 6-3 |
대략 하행 7~10호차, 상행 1~4호차 정차 구역은 지붕이 없다. 이는 비가 오거나 햇빛이 내리쬐면 일부 승강장은 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구역에서는 비나 눈이 올 경우 우산을 쓰지 않으면 그대로 맞게 된다.
5.2. 서울 지하철 9호선
9호선 승강장 |
9호선 역명판 |
일반: 샛강, 급행: 여의도 ↑ | |||
상 | ㅣ | ㅣ | 하 |
↓ 일반: 노들, 급행: 동작 |
하 | 서울 지하철 9호선 | 완행·급행 | 당산· 염창· 가양· 마곡나루· 김포공항· 개화 방면 |
상 | 완행·급행 | 동작· 신논현· 선정릉· 종합운동장· 석촌· 올림픽공원· 중앙보훈병원 방면 |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9호선 (개화 방면) → 1호선 | 4-2 |
9호선 (중앙보훈병원 방면) → 1호선 | 2-4 |
9호선은 환승통로가 지하 1층 맞이방에 있기 때문에 맞이방 횡단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화장실도 3번과 8번 출구 부분, 4~7번 출구 부분에 두 곳으로 나뉘어 있다. 때문에 나가려는 방향 출입구를 잘 확인하고 개찰구를 통과해야 한다.
6. 사건 사고
6.1. 열차 탈선 사고
- 1990년 1월 28일에 선로전환기 조작 직원의 과실로 장항행 통일호 후미쪽 객차가 탈선해 반대방향에서 오던 유조열차와 충돌했다. 이 사고로 2명이 사망하고 5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16]
- 2016년 5월 9일 10시경에 회송열차가 급행선로에서 탈선하여 4시간 가량 급행운행이 변경되었다. 용산급행은 구로역까지만 운행되고, 천안급행도 구로역에서 출발했으며, 동인천급행은 영등포역에서 출발하여 급행 이용에 큰 차질을 빚었다.[17]
6.2. 20대 대학생 감전 사고
자세한 내용은 노량진역 대학생 감전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 2014년 5월 22일 오후 8시 25분 경에 시멘트 화물열차 위로 20대 대학생 남성이 올라갔다가 감전사했다. 이 사고로 경인·경부선 급행열차가 잠시 운행에 차질을 빚었다.[18] 이 남성은 화물열차에 올라가 사진을 찍으려는 무모한 행동을 했다가 실수로 고압 전선을 건드려 변을 당하였다.[19] 비슷한 일이 몇 번 있었는데도 한국철도공사에서 아무런 안전조치를 하지 않아서 한국철도공사도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 내려졌다.
6.3. 그 외
- 2017년 4월 8일 오후 1시 30분쯤 1호선 노량진역에서 인천행 열차가 고장으로 멈춰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고 고장난 열차를 차고지로 회송, 그 과정에서 인천행 열차 운행이 5분 정도 지연되었다.[20]
- 2017년 5월 28일 오전 0시 18분에 열차가 들어오기 전 보수작업 공사 표지판을 설치하기 위해 작업하던 한국철도공사 직원이 1호선 동묘앞행 열차와 충돌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2018년 1월 23일 오후 6시 10~20분경, 1호선 노량진역 1번 승강장으로 동인천급행 열차가 들어오는 중에 플랫폼에 서있던 한 중년 여성이 선로에 떨어졌다. 당시에는 급행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없었다. 떨어지는 것을 본 기관사는 급하게 열차를 멈추었으나, 관성으로 인해 몇 미터를 더 갔고, 10분 가량 그 자리에 있었다. 그 여성은 열차의 중간쯤 되는 곳의 칸과 칸 사이에서 역무원과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무사히 플랫폼 위로 올라왔으며, 이 열차는 다시 운행했으나 그 후 정차하는 역에서 '사상사고로 인해 열차 운행시간이 지연되었다'는 안내 방송이 나왔다.[21]
- 2019년 11월 30일 오전 9시 30분경, 익산발 용산행 무궁화호가 열차 고장으로 인해 진입하던 도중 정차했다.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이 사고로 인해 승객 250여명이 플랫폼으로 100m 가량을 이동하여 노량진역을 나오는 진풍경이 벌어졌다.[22]
- 2021년 7월 25일, 이 역에 들어오던 1호선 열차 안에서 50대 남성이 한 여성을 성폭행하려다 경찰에 붙잡혔다.[23]
7. 기타
- 현재 1호선과 9호선은 이 역에서만 만난다. 앞으로 예정된 연장 구간에서도 만날 계획이 없다.
- 2012년 5월 3일, 문충실 당시 동작구청장이 최대호 당시 안양시장에게 제안한 1호선 지하화 사업에 참가하기로 해서 이 역부터 당정역까지 지하화한다는 안에 동의했다. 그 후 아무런 진전이 없었으며,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최대호 시장은 낙선하고 문충실 구청장은 공천 탈락 후 무소속 출마했다가 사퇴하면서 사실상 무산됐다. 최대호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승리하면서 안양시장으로 복귀했지만 이렇다고 할 입장 표명은 없었다.
- 2014년 5월 3일 - 5월 6일간 일부의 용산 ~ 천안 급행 열차가 용산역 선로 공사의 영향으로 노량진 ~ 천안 급행으로 단축운행하였다.[24]
- 1호선은 이용객이 넘쳐나는데도 스크린도어 설치가 미뤄졌다가 2016년 8월 22일자로 급행 승강장 부분을 뺀 5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기둥이 세워졌으며 동년 9월 7일에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뼈대가 설치되었다. 2016~2017년 연말연시 즈음부터 시험가동을 했으며, 이후 정상 가동 중이다.
- 9호선 개통 초반에는 환승통로가 없고 1호선과 9호선이 별개 역으로 간주되고 역 번호도 별개로 매겨서 1번 2번 출구가 2개씩 있었다. 이곳에서 약속을 잡으면 한 명은 1호선 2번 출구로, 다른 한 명은 9호선 2번 출구로 오는 등 상당히 혼란스러웠다. 지금은 역이 합쳐져 이런 일은 없다.
- 출구에 굉장히 많은 전도자들이 도를 아십니까를 시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노량진에 고시생들이 많다 보니 자연스레 전도하기 좋기 때문이다. 주로 연세중앙교회나 증산도, 대순진리회 쪽 사람들이다. 만약 "저기요" 이 한 마디만 누가 옆에서 한다면 무시하는 게 노량진 사람들의 일상이다. 정말 근처 지리를 모르는 외지인이면 "길 좀 물어봐도 될까요?"라고 목적을 얘기하면 된다.
- 출근 시간에 9호선을 타거나 서울 버스 150, 서울 버스 5531을 타고 노량진역에서 1호선 청량리 방향으로 환승하면 매우 혼잡하며,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으로 진입하면 사람들이 많이 내린다. 그래도 9호선이나 150번, 5531번 버스 이용자에게는 도심으로 진입하려면 어쩔 수 없이 대방역이나 이 역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출근시간대에 5531번을 타 보면 대부분은 아니지만 꽤 많이 대방역에서 내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따라 2020년 11월 1호선 역의 부역명을 에듀윌이 구매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주민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결국 철회했다.[25] 에듀윌은 전철역 부역명 구매를 포기하지 않고 2022년 8월 홍대입구역 부역명을 구매하게 되었지만 1년도 지나지 않아 홍대입구역에 붙은 부역명은 삭제되었다.
8.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daa> 경원선 |
연천 -
전곡 -
청산 -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제기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각 -
시청 -
|
|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평택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
|
천안직결선 |
두정 -
|
|
장항선 |
천안 -
봉명 -
쌍용(나사렛대) -
아산 -
탕정 -
배방 -
온양온천 -
|
|
병점기지선 |
병점 -
|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화 -
공항시장 -
신방화 -
마곡나루 -
양천향교 -
가양 -
증미 -
등촌 -
염창 -
신목동 -
선유도 -
당산 -
국회의사당 -
여의도 -
샛강 -
노량진 -
노들 -
흑석 -
동작 -
구반포 -
신반포 -
사평 -
신논현 -
언주 -
선정릉 -
삼성중앙 -
봉은사 -
종합운동장 -
삼전 -
석촌고분 -
석촌 -
송파나루 -
한성백제 -
올림픽공원 -
둔촌오륜 -
|
}}} ※ 볼드+빨간글씨는 급행열차 정차역}}}}}}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정리† - -
전동† -
서창† - -
내판† - -
매포† - -
회덕† - - - -
세천† - - - - - - - - - - - -
신암† -
직지사† - -
대신† -
아포† - - -
사곡† - - -
연화† - -
지천† - - - -
고모† -
가천† - -
삼성† - - -
신거† - - - -
미전† - - - - - - -
부산진† - - - |
}}}}}}}}} |
서울 경전철 서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666> |
'''
G08정거장 -
화정 -
G06정거장 -
G05정거장 -
G04정거장 -
창릉 -
G02정거장 -
G01정거장 - '''
|
'''
새절 -
102정거장 -
103정거장 -
104정거장 -
105정거장 -
106정거장 -
광흥창 -
108정거장 -
109정거장 -
110정거장 -
장승배기 -
113정거장 -
114정거장 -
115정거장 -
서울대입구 -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개통과 동시에 경인선에서 경부선으로 편입.
[2]
4섬식, 단선식
[3]
경부선 서울역 기점 4.0km 지점
[4]
경원선 용산기점 0.8km 지점
[5]
철도청 고시 제37호, 1978년
[6]
승강장 변화의 역사, 출처: 네이버 블로그
[7]
「한국철도, 노량진역-수산시장 간 연결통로 개통」, 세계일보, 2020-09-10
[8]
「[8·4대책] 서울조달청 등에 3만3천가구 공급…노량진역사 복합개발(종합)」, 연합뉴스, 2020-08-04
[9]
「[단독]노량진역사, 결국 회생 실패…동작구 ‘초고층 복합개발계획' 차질 빚나」, 서울경제, 2023-07-24
[10]
1호선 자료는 개통일인 8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3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1]
1호선의 자료는 이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12]
9호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3]
특히 용산 급행-9호선 급행으로 이어지는 루트가 이제 정석으로 자리잡으면서 그냥 문자 그대로 미어터지고, 환승통로 에스컬레이터는 그 많은 사람을 못 견뎌서인지 가동하는 날과 수리하는 날이 비슷하다.
[14]
통일호 자료는 1월 1일부터 운행 중단일인 3월 31일까지 91일간의 집계이다.
[15]
이 자료는 1월 1일부터 운행 중단일인 1월 19일까지 19일간의 집계이다.
[16]
「탈선客車-유조열차 충돌 2명死亡 50여명 重輕傷」, 동아일보, 1990-01-29
[17]
「[단독영상] 노량진역에서 경인선 급행 열차 탈선」, YTN, 2016-05-09
[18]
관련 사진, 트위터, 2014년 5월 22일
[19]
「“나 사진 찍어줘” 노량진역 화물열차 올라갔다 참변」, 쿠키뉴스, 2014-05-22
[20]
「서울 지하철 1호선 노량진역에서 열차 고장」, KBS, 2017-04-08
[21]
「노량진역서 선로로 떨어진 60대 가까스로 목숨 건져」, 연합뉴스, 2018-01-23
[22]
「용산행 열차 고장 소동... 승객 250명 걸어서 역까지」, 뉴시스, 2019-01-30
[23]
「텅 빈 지하철 안에서 성폭행 시도…급박한 탈출」, MBC, 2021-07-28
[24]
게시글 1
게시글 2
게시글 3,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25]
「노량진역이 에듀윌역으로?...주민 97% 반대로 사실상 무산」, 뉴스포스트, 2020-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