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랑진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방면
밀 양 ← 12.5 ㎞ |
부산 방면
물 금 18.3 ㎞ → |
|||
경부선 무궁화호 |
부산 방면
|
||||
원 동 9.1 ㎞ → |
|||||
목포 방면
한림정 ← 9.9 ㎞ |
경전선 무궁화호 |
||||
부전 방면 | |||||
동대구 방면
밀 양 ← 12.5 ㎞ |
부산 출발
물 금 ← 18.3 ㎞ |
||||
부산 방면
화 명 27.7 ㎞ → |
|||||
광주송정 방면
진 영 ← 14.1 ㎞ |
S-train
|
부산 방면
물 금 18.3 ㎞ → |
역명 표기 | |||||
경부선 |
삼랑진 Samnangjin 三浪津 / [ruby(三浪津, ruby=サムナンジン)] |
||||
경전선 | |||||
주소 |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천태로 72 (송지리)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3급) ( 밀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
운영 기관 | |||||
경부선 | 한국철도공사 | ||||
경전선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부선 | 1905년 1월 1일 | |||
마산선 |
1905년 5월 26일 ~1931년 3월 31일[1] |
||||
경전남부선 |
1931년 4월 1일 ~ 1968년 2월 6일[2] |
||||
경전선 | 1968년 2월 7일 | ||||
2022년 11월 5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S-train | 2013년 9월 27일 | ||||
2024년 5월 1일 | }}}}}}}}} | ||||
철도거리표 | |||||
서울 방면
미 전 ← 1.5 ㎞ |
경부선 삼랑진 |
부산 방면
원 동 9.1 ㎞ → |
|||
기점
|
경전선[3] 삼랑진 |
광주송정 방면
낙동강 1.7 ㎞ → |
현 역사(1999년 준공) |
1. 개요
역 이름이 지역의 이름으로
삼랑진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현재의 역사는 1940년에 이어 1999년에 신축 준공된 역사이다. 삼랑진역은 경부선의 역인 동시에 경전선의 시발역이다. 삼랑진역에서 시작한 경전선은 남해안을 동서방향으로 횡단하며, 경상도와 전라도를 연결하는 총 300.6㎞의 철도이다. 1905년 5월 25일 경부선이 개통되었던 다음날 삼랑진~마산 구간의 철도가 개통된 것이 그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삼랑진역이 위치한 곳은 과거 하동면이라 불리던 곳이었다. 그러나 삼랑진역이 유명해지면서 1928년 하동면이 삼랑진면으로 바뀌게 되었는데 지역명을 따서 역명이 생기는 경우는 많지만, 역명이 지역명이 된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로, 그만큼 삼랑진역이 지역에게 중요했던 곳이었기 때문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과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천태로 72 (송지리) 소재.삼랑진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현재의 역사는 1940년에 이어 1999년에 신축 준공된 역사이다. 삼랑진역은 경부선의 역인 동시에 경전선의 시발역이다. 삼랑진역에서 시작한 경전선은 남해안을 동서방향으로 횡단하며, 경상도와 전라도를 연결하는 총 300.6㎞의 철도이다. 1905년 5월 25일 경부선이 개통되었던 다음날 삼랑진~마산 구간의 철도가 개통된 것이 그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삼랑진역이 위치한 곳은 과거 하동면이라 불리던 곳이었다. 그러나 삼랑진역이 유명해지면서 1928년 하동면이 삼랑진면으로 바뀌게 되었는데 지역명을 따서 역명이 생기는 경우는 많지만, 역명이 지역명이 된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로, 그만큼 삼랑진역이 지역에게 중요했던 곳이었기 때문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한국 철도사상 2번째이자, 현존하는 역 중 가장 오래된 분기역이다.[4]
2. 역 정보
|
|
구 역사(1940년 준공, 1998년 철거) |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유서깊은 역이다.
무궁화호가 선택정차하지만 사실상 반필수라 봐도 될 정도로 하루 왕복 20편 이상의 열차가 정차한다. 여기에 2022년 11월 시간표 개정으로 ITX-새마을도 정차하게 되었으며, 부산~광주송정 간 운행하는 경전선 S-train도 왕복 2회 정차한다. 밀양시내와 마찬가지로 이곳도 철도 초강세 지역이기에 그만큼 열차가 많이 정차하는 것이다.
이 역에 가면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받을 수 있다. 이 역과 낙동강역의 스탬프. 낙동강역 명예역장님이 만드신 스탬프가 있었는데 낙동강역이 영업중단되고 역사까지 철거되면서 이 역으로 스탬프를 옮겨왔다. 이 역의 스탬프도 있다. 단 이 역의 스탬프는 한국철도공사 본사에서 제작한 것이 아니라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만든 것.
경전선의 기점이기도 한데, 경전선이 복선전철화가 되었지만 이 역에서 낙동강역까지의 선로는 단선전철화만 되었다. 그래서 경전선을 경유하여 부산 방면으로 가는 열차는 평면교차를 통하여 경부선에 진입한다. 어차피 운행하는 열차가 많지 않은데다 추후 경전선 부전~마산 구간이 개통되면 삼랑진 쪽 선로는 지금보다 더욱 여유가 생길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으로도 충분히 운행이 될 듯 하다.
이 역은 1984년 열차등급개편 당시부터 무궁화호 정차역이었다. 지금은 이 역보다 위상이 높은 청도역, 물금역보다도 무궁화호 취급의 역사가 길다.
경전선 광역전철이 완공되어 경전선이 신선으로 운행하게 되면 이 역부터 진례역까지는 부산신항선으로 편입될 예정이다.
2.1. 명칭
이 역은 삼랑진읍에 있어서 역이름이 삼랑진역이 된 것이 아니라 반대로 삼랑진역이 지어지면서 동네 이름도 삼랑진면(1928년, 당시에는 면. 1963년에 읍으로 승격)으로 바뀐 것이다. 즉 대부분의 기차역이 그 동네의 지명을 따서 역명을 짓는 것과는 달리 역이 지어지면서 그 동네의 이름이 역명을 따라 바뀌었다. 본래 삼랑진읍의 옛 지명은 밀양군 하동면(下東面)이었다.'삼랑진'이라는 명칭 자체는 이 읍에 있는 삼랑리에서 따온 것이다. 삼랑리는 옛날에 조창이 있었던 유서깊은 곳인데, 낙동강과 밀양강이 만나고, 거기에 큰 조차로 인해 바닷물도 역류해와 3개의 물결이 있다는 데서 이름이 지어졌다. 현재는 역이 있는 송지리가 읍의 중심지이다. 삼랑리에는 낙동강역이 위치하여 경전선- 미전선 간의 연결업무를 수행중이다.
역 이름을 읽거나 쓸 때 주의해야 한다. 흔히 '삼량진'으로 오인하기 쉬운데, 사실은 '삼랑진'이 맞다. 한자도 '물결 랑'(浪) 자로, 풍랑(風浪)이나 낭만(浪漫) 할 때 바로 그 글자이다. 비슷한 예로 서울특별시 중랑구나 명랑만화, 맥랑시대가 있다.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남도해양관광열차|
S−train
]] || [[무궁화호|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2004년 | 1,193명 | |||
2005년 | 1,370명 | |||
2006년 | 1,130명 | |||
2007년 | 1,172명 | |||
2008년 | 1,168명 | |||
2009년 | 1,227명 | |||
2010년 | 1,251명 | |||
2011년 | 1,278명 | |||
2012년 | 1,195명 | |||
2013년 | 1,238명 | |||
2014년 | 1명 | 1,214명 | 1,215명 | |
2015년 | 1명 | 1,152명 | 1,153명 | |
2016년 | 10명 | 1,144명 | 1,154명 | |
2017년 | 6명 | 1,128명 | 1,134명 | |
2018년 | 6명 | 1,090명 | 1,096명 | |
2019년 | 7명 | 1,030명 | 1,037명 | |
2020년 | 2명 | 699명 | 701명 | |
2021년 | 0명 | 726명 | 726명 | |
2022년 | [5] | |||
2023년 | 61명 | 745명 | 806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 철도 외의 교통이 불편하고 철도가 대부분의 행선지를 커버하기 때문에 철도강세인 밀양시 중에서도 삼랑진읍은 철도가 초강세이다. 따라서 인구 수에 비해 철도이용객이 대단히 많은 편이다. 유가변동과 배차감편에 의한 영향력이 타 철도역에 비해 매우 적다. 오히려 고유가 시기에도 이용객 수는 감소하였다.
- 경전선의 기점역이지만 경전선 방면 수요 및 배차는 거의 없으며, 경전선 무궁화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경부선 경유 동대구~ 마산( 진주) 무궁화호는 이 역에 오지 않는다. 삼랑진역에 정차시키려면 방향을 바꿔야 하고, 평면교차 문제 때문에 미전신호소에서 미전선을 경유해 바로 경전선으로 진입한다. 그나마 정차하는 경전선 경유 무궁화는 부전~ 목포, 부전~ 순천 전역정차 근성열차 뿐. 경전선 방면 배차는 김해시 소재의 바로 다음 정차역인 한림정역이 더 많다.
- 삼랑진읍에서 두각을 보이는 개발이 없어 이용객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 구포역, 화명역, 물금역, 밀양역 등에서 삼랑진고등학교로 출퇴근하는 교직원이나 학생들 통학수요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 기차여행을 목적으로 삼랑진역 부근이 경치가 좋기도 하고 해서 이곳에 숙소를 잡으려는 경우가 있을텐데, 생각외로 숙박시설이 많지 않고 하룻밤 머물기가 마땅치 않다. 차라리 물금역 쪽이 개발이 많이 되고 맛집, 모텔, 호텔 등이 많아 그쪽에다 짐을 푸는 게 훨씬 낫다.
4. 승강장
한림정 방향 승강장 |
밀양 방향 승강장 |
원동 방향 승강장 |
↑ 한림정 | ↑ 밀양 | ||||||||||||||
ㅣ | ㅣ | ㅣ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ㅣ | 5 | 6 | ㅣ | ㅣ |
원동 ↓ |
1 | 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 ]]
|
마산· 순천· 목포 방면 |
2 | 구포· 부전· 부산 방면 | ||
3·4 | 경부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동대구· 대전· 서울 방면 |
5·6 | 물금· 구포· 부산 방면 |
5. 연계교통: 시외버스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15a3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창원시 | 거제시 | 김해시 | 밀양시 | |||||
창원 · 창원역 · 가술 · 동읍ㆍ일동ㆍ 남산 · 진동 · 용원 · 마산고속 · 마산시외 · 마산남부 · 내서 · 진해 | 사곡 · 고현 · 옥포 · 장목 · 하청 · 장승포 | 김해 · 진영 · 장유시외 · 장유고속 · 장유(공항) | 밀양· 구기 · 무안 · 예림 · 평촌 · 은산 · 파서 · 금곡 · 송백 · 남명 · 수산 · 얼음골 · 유천 · 옥산 · 표충사 · 삼랑진 | ||||||
사천시 | 양산시 | 진주시 | 통영시 | ||||||
사천 · 곤양 · 용현 · 사천공항 · 선진 ·완사 · 곤양 · 삼천포 | 양산 · 통도사신평 | 진주고속 · 진주시외· 경상대 · 개양 · 진성IC · 진주혁신도시 · 정촌 · 봉곡 · 이현 · 문산 · 국제대 · 진성 · 사봉 · 반성 · 수목원 · 한골 · 길성 · 발산 | 통영 · 무전동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거창군 | 고성군 | 남해군 | 산청군 | 의령군 |
거창 · 가조 · 위천 | 고성 · 배둔 · 부포 · 상리 | 남해 | 산청 · 원지 · 생초 · 덕산 · 중산리 · 대원사 | 의령 · 대의 · 신반 · 이방 | |||||
창녕군 | 하동군 | 함안군 | 함양군 | 합천군 | |||||
창녕 · 남지 · 부곡 · 영산 | 하동 · 진교 · 화개 · 옥종 | 함안 · 군북 | 함양 · 마천 · 백무동(지리산) · 서상 · 수동 · 안의 · 추성 | 합천 · 가야 · 적교 · 해인사 | }}}}}}}}} |
밀양 | |||||
행선지 | 운행횟수 | 운수회사 | |||
밀양 | 일 5회 | 밀성여객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김해 → 밀양 |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
밀양 | ₩ | ||||
운행시각표 | |||||
예림 - 금동 - 평촌 - 화성 - 거족 - 미전 경유(1일 4회), 임천 - 용성 - 칠성 - 미전 경우(1일 1회) 시외버스 밀양-김해 참조. |
김해 | |||||
행선지 | 운행횟수 | 운수회사 | |||
김해 | 일 5회 | 밀성여객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김해 → 밀양 |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
김해 | ₩ | ||||
운행시각표 | |||||
낙동 - 독산 - 송촌 - 성포 - 생철 - 마현 - 생림 - 사촌 - 나전 - 삼계 경유, 시외버스 밀양-김해 참조. |
6. 기타
경전선 승강장에서 본 급수탑의 모습. 담쟁이덩굴로 둘러싸여 있어 으스스한 느낌을 준다.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50호 | ← | 51호 | → | 52호 |
영천역 급수탑 | 삼랑진역 급수탑 | 구 서울특별시청사 |
역 구내에 새마을호 객차가 방치되다시피 있었는데, 이란의 모 사철회사로 매각될 차량들로 부품취거나 임의 이동이 금지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2018년 기준으로 회송 #7412 삼랑진발 신탄진행으로 대전조차장으로 끌려간 거 같다.
이광수의 소설 무정에서 수해가 난 곳이 이 역 근처라고 한다.
7. 둘러보기
경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정리† - -
전동† -
서창† - -
내판† - -
매포† - -
회덕† - - - -
세천† - - - - - - - - - - - -
신암† -
직지사† - -
대신† -
아포† - - -
사곡† - - -
연화† - -
지천† - - - -
고모† -
가천† - -
삼성† - - -
신거† - - - -
미전† - - - - - - -
부산진† - - - |
}}}}}}}}} |
경전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낙동강† - - - - - -
용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화† - - -
원창† -
구룡† - - - - - -
광곡† - - - - - - - - - -
남평†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