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22:40:19

태백산맥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태백산맥(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제강점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산맥 마천령산맥 · 함경산맥 · 낭림산맥 · 강남산맥 · 적유령산맥 · 묘향산맥 · 언진산맥 · 멸악산맥 · 마식령산맥 · 광주산맥 · 차령산맥 · 소백산맥 · 노령산맥 · 태백산맥
대간 백두대간
정간 장백정간
정맥 청북정맥 · 청남정맥 · 해서정맥 · 임진북예성남정맥 · 한북정맥 · 한남정맥 · 한남금북정맥 · 금북정맥 · 금남정맥 · 금남호남정맥 · 호남정맥 · 낙동정맥 · 낙남정맥
기맥 금남기맥 · 금북기맥 · 땅끝기맥 · 영산기맥 · 진양기맥 · 팔공기맥 · 한강기맥 · 한북기맥 · 호미기맥
지맥 고흥지맥 · 금오지맥 · 도솔지맥 · 문수지맥 · 보현지맥 · 비슬지맥 · 수도지맥 · 영월지맥 · 춘천지맥
}}}}}}}}} ||

한반도의 산맥 및 산경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padding: 2px 0px; min-width:40%"
{{{#!folding [ 산맥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마천령산맥 함경산맥 낭림산맥 강남산맥
적유령산맥 묘향산맥 언진산맥 멸악산맥
마식령산맥 광주산맥 차령산맥 소백산맥
노령산맥 태백산맥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padding: 2px 0px; min-width:40%"
{{{#!folding [ 산경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백두대간 장백정간 청북정맥 청남정맥
해서정맥 임진북예성남정맥 한북정맥 한남금북정맥
한남정맥 금북정맥 금남호남정맥 금남정맥
호남정맥 낙동정맥 낙남정맥
}}}}}}}}}}}}
태백산맥
太白山脈 | Taebaek Mountains
파일:한국의 산맥과 수계.svg
지도
소속 <colcolor=#000,#ddd><colbgcolor=#fff,#383838>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원도[1]
분류 불분명[2]
길이 약 500-600km
지질학적 형성 고생대
└석탄기 ~ 페름기 (평안누층군)
└캄브리아기 ~ 오르도비스기 (조선누층군)
중생대 쥐라기 (대동누층군, 대보조산운동[3])
신생대 고제3기 ~ 제4기 (경동성 요곡 운동)
최고봉
이름 설악산 (대청봉)
위치 북위 38° 7′ 10″ 동경 128° 27′ 56″
높이 1,708m (5,604 ft)
주요 산
가지산, 계방산, 금강산, 보현산, 설악산, 오대산, 일월산, 주왕산, 태백산, 팔공산, 함백산
주요 고개
(문단 '2.고개' 참조)

1. 개요2. 역사3. 고개

[clearfix]

1. 개요

태백산맥은 한반도의 등줄기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산맥의 하나로, 북한 강원도 원산시 부근의 추가령 구조곡에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이른다.

대표적 분수계인 척량산맥(脊粱山脈, backbone)에 해당하며, 한반도의 젖줄인 한강 낙동강이 이 산맥에서 발원한다.[4] 산경도에서는 백두대간에 속한다. 대관령을 경계로 영동과 영서가 갈린다. 영서 지방과 영동 지방은 수계, 기후, 문화 등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태백산맥의 의미가 크다. 태백산, 두타산, 설악산, 오대산 등이 이 산맥에 있는 대표적인 산이다. 그리고 북한 영토의 태백산맥 북부에는 그 유명한 금강산이 있다.

이 산맥의 강원도 구간은 삼수령[5]을 기점으로 백두대간에서 갈라져서 경상도로 이어진다. 백두대간 철령이남부터 삼수령까지, 그리고 낙동정맥이 태백산맥의 구간이다. 주왕산, 내연산 등의 명산이 있다.

경주시 남쪽부턴 등산인 사이에서 영남알프스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지산, 신불산 등이 이에 속한다. 산맥은 부산 시내로 들어가서 금정산, 백양산, 승학산 등을 거쳐 다대포 아미산에서 끝난다. 영남알프스 이남 지역의 경우 태백산맥으로서의 존재감은 옅은 편.

2. 역사

의외로 태백산맥은 생성과정이 아직도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세계적으로 몇 안 되는 산맥이다. 일단 히말라야산맥이나 알프스산맥 같은 습곡 산맥은 전혀 아니고, 그렇다고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것도 아니다. 그저 지질연구나 생물종의 분석을 통해 대충 생성시기를 추론할 뿐이다.[6] 이는 소백산맥도 마찬가지이다. 산천어같은 민물고기들의 분포 연구가 태백산맥 생성시기를 알아낼 단서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산맥이 생기면 민물고기들의 서식지가 분리되면서 종이 분화되므로, 역으로 민물고기들의 종이 분화된 때를 알아내면 산맥의 생성시기도 알 수 있다는 논리.

3. 고개

차량 통행이 가능한 고개들만 기재합니다.

[1] 함경도에서는 백두대간이라는 이름으로 낭림산맥과 이어지나, 지질학적으로는 추가령 구조곡(Chugaryeong fault)으로 갈라진다. [2] 조산 과정이 불분명하다. [3] 경기도에서 강원도 설악산 일대의 화강암은 이 운동에서 유래했다. [4] 둘 다 발원지가 강원도 태백시다. [5] 정확히는 작은피재, 삼수령은 큰피재. [6] 다만 최근 연구에서 동해안에서 섭입대가 생성되고 있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어 이 초기 섭입대가 동해안 지역을 융기시켜 습곡산맥을 형성시켰을 가능성이 생겼다. 애초에 신생대 제3기~제4기에 경동성 요곡 운동으로 생긴 태백산맥은 동해의 확장으로 인한 압축력을 받아서 형성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