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8:02:09

강족

창족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소설 전사들에 등장하는 종족에 대한 내용은 강족(전사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강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후한서(後漢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ece5b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권 「광무제기(光武帝紀)」 2권 「명제기(明帝紀)」 3권 「장제기(章帝紀)」
유수 유장 유달
4권 「화제상제기(和帝殤帝紀)」 5권 「안제기(安帝紀)」 6권 「순제충제질제기(順帝沖帝質帝紀)」
유조 · 유륭 유호 유보 · 유병 · 유찬
7권 「환제기(桓帝紀)」 8권 「영제기(霊帝紀)」 9권 「헌제기(獻帝紀)」
유지 유굉 유협
10권 「황후기(皇后紀)」
곽성통 · 음여화 · 명덕황후 · 장덕황후 · 효화황후 · 등수 · 염희 · 양납 · 양여영 · 등맹녀 · 두묘 · 효인황후 · 효령황후 · 영사황후 · 복수 · 조절 · 무양장공주 · 열양공주 · 관도공주 · 육양공주 · 역읍공주 · 획가장공주 · 평양공주 · 융려공주 · 평지공주 · 심수공주 · 평고공주 · 준의공주 · 무안공주 · 노양공주 · 낙평공주 · 성안공주 · 무덕장공주 · 평읍공주 · 음안공주 · 수무장공주 · 공읍공주 · 임영공주 · 문희공주 · 무양장공주 · 관군장공주 · 여양장공주 · 양안장공주 · 영음장공주 · 양적장공주 · 만년공주
※ 사마표의 속한서는 志에 해당. 후한서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3><tablewidth=100%><tablebgcolor=#a11><width=50%> 11권 「유현유분자열전(劉玄劉盆子列傳)」 ||<-3><width=50%> 12권 「왕유장이팽노열전(王劉張李彭盧列傳)」 ||
유현 · 유분자 왕창 · 유영 · 방맹 · 장보 · 왕굉 · 이헌 · 팽총 · 노방
13권 「외효공손술열전(隗囂公孫述列傳)」 14권 「종실사왕삼후열전(宗室四王三侯列傳)」
외효 · 공손술 유인 · 유량 · 유지 · 유흡 · 유사 · 유순 · 유가
15권 「이왕등내열전(李王鄧來列傳)」 16권 「등구열전(鄧寇列傳)」 17권 「풍잠가열전(馮岑賈列傳)」
이통 · 왕상 · 등신 · 내흡 등우 · 구순 풍이 · 잠팽 · 가복
18권 「오갑진장전(吳蓋陳臧列傳)」 19권 「경엄열전(耿弇列傳)」 20권 「요기왕패채준열전(銚期王霸祭遵列傳)」
오한 · 갑연 · 진준 · 장궁 경엄 요기 · 왕패 · 채준
21권 「임이만비유경열전(任李萬邳劉耿列傳)」 22권 「주경왕두마유부견마열전(朱景王杜馬劉傅堅馬列傳)」
임광 · 이충 · 만수 · 비동 · 유식 · 경순 주우 · 경단 · 왕량 · 두무 · 마성 · 유륭 · 부준 · 견담 · 마무
23권 「두융열전(竇融列傳)」 24권 「마원열전(馬援列傳)」 25권 「탁노위유열전(卓魯魏劉列傳傳)」
두융 , 두헌, 마원 탁무 · 노공 · 위패 · 유관
26권 「복후송채풍조모위열전(伏侯宋蔡馮趙牟韋列傳)」 27권 「선장이왕두곽오승정조열전(宣張二王杜郭吳承鄭趙列傳)」
복담 · 후패 · 송홍, 송유, · 채무 · 풍근 · 조희 · 모융 · 위표 선병 · 장담 · 왕담 · 왕량 · 두림 · 곽단 · 오량 · 승궁 · 정균 · 조전, 조계,
28권 「환담풍연열전(桓譚馮衍列傳)」 29권 「신도강포영질운열전(申屠剛鮑永郅惲列傳)」 30권 「소경양후낭의양해열전(蘇竟楊厚郞顗襄楷列傳)」
환담 · 풍연 신도강 · 포영, 포욱, · 질운 소경 · 양후 · 낭의 · 양해
31권 「곽두공장염왕소양가육열전(郭杜孔張廉王蘇羊賈陸列傳)」 32권 「번굉음식열전(樊宏陰識列傳)」
곽급 · 두시 · 공분 · 장감 · 염범 · 왕당 · 소장 · 양속 · 가종 · 육강 범굉 · 음식
33권 「주풍우정주열전(朱馮虞鄭周列傳)」 34권 「양통열전(梁統列傳)」 35권 「장조정열전(張曹鄭列傳)」
주부 · 풍방, 풍석, , 유희, · 우연 · 정홍 · 주장 양통 장순 · 조포 · 정현
36권 「정범진가장열전(鄭范陳賈張列傳)」 37권 「환영정홍열전(桓榮丁鴻列傳)」 38권 「장법등풍탁양열전(張法滕馮度楊列傳)」
정흥 · 범승 · 진원 · 가규 · 장패 환영, 환언, , 주총, · 정홍 장종 · 법웅 · 등무 · 풍곤 · 도상 · 양선
39권 「유조순우강유주조열전(劉趙淳于江劉周趙列傳)」 40권 「반표열전(班彪列傳)」
유평 · 조효 · 순우공 · 강혁 · 유반, 유개, · 주반 · 조자 반표
41권 「제오종리송한열전(第五鍾離宋寒列傳)」 42권 「광무십왕열전(光武十王列傳)」
제오륜 · 종리의 · 송균 · 한랑 유강 · 유보 · 유강 · 유연 · 유언 · 유영 · 유창 · 유형 · 유형 · 유경
43권 「주악하열전(朱樂何列傳)」 44권 「등장서장호열전(鄧張徐張胡列傳)」 45권 「원장한주열전(袁張韓周列傳)」
주휘 · 악회 · 하창 등표 · 장우 · 서방 · 장민 · 호광 원안 · 장포 · 한릉 · 주영
46권 「곽진열전(郭陳列傳)」 47권 「반양열전(班梁列傳)」
곽궁 · 진총 반초 · 양근
48권 「양이적응곽원서열전(楊李翟應霍爰徐列傳)」 49권 「왕충왕부중장통열전(王充王符仲長統列傳)」
양종 · 이법 · 적포 · 응봉 · 곽서 · 원연 · 서구 왕충 · 왕부 · 중장통
50권 「명제팔왕열전(明帝八王列傳)」 51권 「이진방진교열전(李陳龐陳橋列傳)」
유건 · 유선 · 유공 · 유당 · 유연 · 유창 · 유병 · 유장 이순 · 진선 · 방참, 시연, · 진귀 · 교현
52권 「최인전(崔駰傳)」 53권 「주황서강신도열전(周黃徐姜申屠列傳)」 54권 「양진열전(楊震列傳)」
최인 주섭 · 황헌 · 서섭 · 강굉 · 신도반 양진, 사마포, , 마영,
55권 「장제팔왕열전(章帝八王列傳)」
유항 · 유전 · 유경 · 유수 · 유개(劉開) · 유숙 · 유만세 · 유승
56권 「장왕충진열전(張王种陳列傳)」 57권 「두난유이유사열전(杜欒劉李劉謝列傳)」 58권 「우부갑장열전(虞傅蓋臧列傳)」
장호 · 왕공 · 충고 · 진구 두근 · 난파 · 유도 · 이운 · 유유 · 사필 우후 · 부섭 · 갑훈 · 장홍
59권 「장형열전(張衡列傳)」 60권 「마융채옹열전(馬融蔡邕列傳)」 61권 「좌주황열전(左周黃傳)」
장형 마융 · 채옹 좌웅 · 주거 · 황경
62권 「순한종진열전(荀韓鍾陳列傳)」 63권 「이두열전(李杜列傳)」 64권 「오연사노조열전(吳延史盧趙列傳)」
순숙 · 한소 · 종호 · 진식 이고, 이섭, , 조준, · 두교 오우 · 연독 · 사필 · 노식 · 조기
65권 「황보장단열전(皇甫張段列)」 66권 「진왕열전(陳王列傳)」
황보규 · 장환 · 단경 진번 · 왕윤
67권 「당고열전(黨錮列傳)」
유숙 · 이응, 이수, · 두밀 · 유우 · 위영 · 하복 · 종자 · 파숙 · 범방 · 윤훈, 윤목, · 채연 · 양척 · 장검 · 진상 · 공욱 · 원강 · 유유 · 가표 · 하옹
68권 「곽부허열전(郭符許列傳)」 69권 「두하열전(竇何列傳)」 70권 「정공순열전(鄭孔荀列傳)」
곽태 · 부융 · 허소 두무 · 하진 정태 · 공융 · 순욱
71권 「황보숭주준열전(皇甫嵩朱儁列傳)」 72권 「동탁열전(董卓列傳)」 73권 「유우공손찬도겸열전(劉虞公孫瓚陶謙列傳)」
황보숭 · 주준 동탁 유우 · 공손찬 · 도겸
74권 「원소유표열전(袁紹劉表列傳)」 75권 「유언원술여포열전(劉焉袁術呂布列傳)」
원소 , 원담 · 원상, · 유표 유언 · 원술 · 여포
76권 「순리열전(循吏列傳)」
위립 · 임연 · 왕경 · 진원 · 왕환 · 허형 · 맹상 · 제오방 · 유구, 유광, · 유총 · 구람 · 동회
77권 「혹리열전(酷吏列傳)」
동선 · 번엽 · 이장 · 주우 · 황창 · 양구 · 왕길
78권 「환자열전(宦者列傳)」
정중 · 채륜 · 손정 · 조등 · 선초 · 서황 · 구원 · 좌관 · 당형 · 후람 · 조절 · 여강 · 장양 · 조충
79권 「유림열전(儒林列傳)」
유곤 · 규단 · 임안 · 양정 · 장흥 · 대빙 · 손기 · 구양흡 · 모장 · 송등 · 장순 · 윤민 · 주방 · 공희 · 양륜 · 고후 · 포함 · 위응 · 복공 · 임말 · 경란 · 설한 · 두무 · 소순 · 양인 · 조엽 · 위굉 · 동균 · 정공 · 주택 · 손감 · 종흥 · 견우 · 누망 · 정증 · 장현 · 이육 · 하휴 · 복건 · 영용 · 사해 · 허신 · 채현
80권 「문원열전(文苑列傳)」
두독 · 왕륭 · 하공 · 부의 · 황향 · 유의 · 이우 · 소순 · 유진 · 갈공 · 왕일 · 최기 · 변소 · 장승 · 조일 · 유량 · 변양 · 역염 · 후근 · 고표 · 장초 · 예형
81권 「독행열전(獨行列傳)」
초현 · 이업 · 유무 · 온서 · 팽수 · 삭로방 · 주가 · 범식 · 이선 · 왕돈 · 장무 · 육속 · 대봉 · 이충 · 무융 · 진중 · 뇌의 · 범염 · 대취 · 조포 · 상허 · 양보 · 유익 · 왕열
82권 「방술열전(方術列傳)」
임문공 · 곽헌 · 허양 · 고획 · 왕교 · 사이오 · 양유 · 이남 · 이합 · 단예 · 요부 · 절상 · 번영 · 당단 · 공사목 · 허만 · 조언 · 번지장 · 선양 · 한열 · 동부 · 곽옥 · 화타 · 서등 · 비장방 · 소자훈 · 유근 · 좌자 · 허자훈 · 해노고 · 장초 · 왕진 · 학맹절 · 유화평
83권 「일민열전(逸民列傳)」
상장 · 봉맹 · 주당 · 왕패 · 엄광 · 정단 · 양홍 · 고봉 · 대동 · 한강 · 교신 · 대량 · 법진 · 한음노보 · 진류노보 · 방공
84권 「열녀전(列女傳)」
환소군 · 조아(趙阿) · 반소 · 이목강 · 조아(曹娥) · 여영 · 마륜 · 조아(趙娥) · 순채 · 조원강 · 숙선웅 · 채염
85권 「동이열전(東夷列傳)」 86권 「남만서남이열전(南蠻西南夷列傳)」 87권 「서강전(西羌傳)」
부여국 · 읍루 · 고구려 · 북옥저 · · 남만 · 서남이 서강
88권 「서역전(西域傳)」
구미국 · 우전국 · 서야국 · 자합국 · 덕약국 · 안식국 · 대진국 · 대월지국 · 고부국 · 천축국 · 동리국 · 율과국 · 엄국 · 엄채국 · 사거국 · 소륵국 · 언기국 · 포류국 · 이지국 · 동저미국
89권 「남흉노열전(南匈奴列傳)」 90권 「오환선비열전(烏桓鮮卑列傳)」
남흉노 오환 · 선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 ||

남제서(南齊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be4f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1·2권 「고제기(高帝紀)」 3권 「무제기(武帝紀)」 4권 「전폐제기(前廢帝紀)」
소도성 소색 소소업
5권 「중폐제기(中廢帝紀)」 6권 명제기(明帝紀)」
소소문 소란
7권 「후폐제기(後廢帝紀)」 8권 「화제기(和帝紀)」
소보권 소보융
※ 9권 ~ 19권은 志에 해당. 남제서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6><tablewidth=100%><tablebgcolor=#3797e8> 20권 「황후전(皇后傳)」 ||
진도정 · 유지용 · 배혜소 · 왕보명 · 하정영 · 왕소명 · 유혜단 · 저영거 · 왕순화
21권 「문혜태자전(文惠太子傳)」 22권 「예장문헌전(豫章文獻王傳)」 23권 「저연등전(褚淵傳)」
소장무 소억 저연 · 왕검
24권 「유세륭등전(柳世隆等傳)」 25권 「원숭조등전(垣崇祖等傳)」 26권 「왕경칙등전(王敬則等傳)」
유세륭 · 장괴 원숭조 · 장경아 왕경칙 · 진현달
27권 「유회진등전(劉懷珍等傳)」 28권 「최조사등전(崔祖思等傳)」 29권 「여안국등전(呂安國等傳)」
유회진 · 이안민 · 왕현재 최조사 · 유선명 · 소간 · 원영조 여안국 · 주산도 · 주반룡 · 왕광지
30권 「설연등전(薛淵等傳)」 31권 「강밀등전(江謐等傳)」 32권 「왕곤등전(王琨等傳)」
설연 · 대승정 · 환강 · 초도 · 조호 강밀 · 순백옥 왕곤 · 장대 · 저현 · 하집 · 왕연지 · 원도
33권 「왕승건등전(王僧虔等傳)」 34권 「우완지등전(虞玩之等傳)」
왕승건 · 장서 우완지 · 유휴 · 심충 · 유고지 · 왕심
35권 「고조십이왕전(高祖十二王傳)」
소영 · 소황 · 소엽 · 소고 · 소장 · 소삭 · 소감 · 소봉 · 소예 · 소갱 · 소구 · 소현
36권 「사초종등전(謝超宗等傳)」 37권 「도휘등전(到撝等傳)」
사초종 · 유상 도휘 · 유전 · 우종· 호해지
38권 「소경선등전(蕭景先等傳)」 39권 「유환등전(劉瓛等傳)」
소경선 · 소적부 유환 · 육징
40권 「무십칠왕전(武十七王傳)」
소자량 · 소자경(卿) · 소자향 · 소자경(敬) · 소자무 · 소자륭 · 소자진 · 소자명 · 소자한 · 소자륜 · 소자정 · 소자악 · 소자문
소자준 · 소자림 · 소자건 · 소자하
41권 「장융등전(張融等傳)」 42권 「왕안등전(王晏等傳)」 43권 「강효등전(江斅等傳)」
장융 · 주옹 왕안 · 소심 · 소탄지 · 강석 강효 · 하창우 · 사약· 왕사원
44권 「서효사등전(徐孝嗣等傳)」 45권 「종실전(宗室傳)」 46권 「왕수지등전(王秀之等傳)」
서효사 · 심문계 소도도 · 소도생 · 소면 왕수지 · 왕자 · 육혜효 · 소혜기
47권 「왕융등전(王融等傳)」 48권 「원단등전(袁彖等傳)」 49권 「왕환등전(王奐等傳)」
왕융 · 사조 원단 · 공치규 · 유회 왕환 · 장충
50권 「문이왕명칠왕전(文二王·明七王傳)」
소소수 · 소소찬 · 소보의 · 소보현 · 소보원 · 소보인 · 소보유 · 소보숭 · 소보정
51권 「배숙업등전(裴叔業等傳)」
배숙업 · 최혜경 · 장흔태
52권 「문학전(文學傳)」
구영국 · 단초 · 변빈 · 구거원 · 왕지심 · 육궐 · 최위조 · 왕준지 · 조충지 · 가연
53권 「양정전(良政傳)」
부염 · 우원 · 유회위 · 배소명 · 심헌 · 이규지 · 공수지
54권 「고일전(高逸傳)」
저백옥 · 명승소 · 고환 · 장영서 · 하구 · 유규 · 유역 · 종측 · 두경산 · 심유사 · 오포 · 서숙
55권 「효의전(孝義傳)」
최회진 · 공손승원 · 오흔지 · 한계백· 손담 · 화보 · 한영민 · 봉연백 · 오체지 · 왕문수 · 주겸지 · 소예명 · 악이· 강필 · 두서 · 육강
56권 「행신전(倖臣傳)」
기승진 · 유계종 · 여법량 · 여문현· 여문도
57권 「위로전(魏虜傳)」 58권 「만・동남이전(蠻・東南夷傳)」 59권 「유목전(遊牧傳)」
위로 고려· 가라 · 왜국 · 임읍 · 부남국 · 교주 예예로 · 하남지 · 양씨저 · 탕창
60권 「자서전(自序傳)」
소자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797e8><tablebgcolor=#3797e8> ||
}}}}}} ||

양서(梁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2·3권 「무제기(武帝紀)」 4권 「간문제기(簡文帝紀)」 5권 「원제기(元帝紀)」 6권 「경제기(敬帝紀)」
소연 소강 소역 소방지
7권 「황후기(皇后紀)」
장상유 · 치휘 · 왕영빈 · 정영광 · 완영영 · 서소패
}}}}}}}}}
[ 열전(列傳) ]
||<-2><tablewidth=100%><tablebgcolor=#00c499> 8권 「소명태자등전(昭明太子等傳)」 ||<-2> 9권 「왕무등전(王茂等傳)」 ||<-2> 10권 「소영달등전(蕭穎達等傳)」 ||
소통 · 소대기 · 소방구 왕무 · 조경종 · 유경원 소영달 · 하후상 · 채도공 · 양공칙 · 등원기
11권 「장홍책등전(張弘策等傳)」 12권 「유담등전(柳惔等傳)」 13권 「범운등전(范雲等傳)」
장홍책 유역 · 정소숙 · 여승진 유담 · 석천문 · 위예 범운 · 심약
14권 「강엄등전(江淹等傳)」 15권 「사비전(謝朏傳)」 16권 「왕량등전(王亮等傳)」
강엄 · 임방 사비 , 사람, 왕량 · 장직 · 왕형
17권 「왕진국등전(王珍國等傳)」 18권 「장혜소등전(張惠紹等傳)」 19권 「종쾌등전(宗夬等傳)」
왕진국 · 마선병 · 장제 장혜소 · 풍도근 · 강현 · 창의지 종쾌 · 유탄 · 악애
20권 「유계련등전(劉季連等傳)」 21권 「왕첨등전(王瞻等傳)」
유계련 · 진백지 왕첨 · 왕지 · 왕준 · 왕간 , 왕훈, · 왕태· 왕빈· 장충· 유운 · 채준· 강천
22권 「태조오왕전(太祖五王傳)」 23권 「소업등전(蕭業等傳)」 24권 「소경전(蕭景傳)」
소굉 · 소수 · 소위 · 소회 · 소담 소업 · 소백유 · 소원간 · 소상 소경 , 소창 소앙 소욱,
25권 「주사등전(周捨等傳)」 26권 「범수등전(范岫等傳)」 27권 「육수등전(陸倕等傳)」
주사 · 서면 범수 · 부소 · 소침 · 육고 육수 · 도흡 · 명산빈· 은균· 육양
28권 「배수등전(裴邃等傳)」 29권 「고조삼왕전(高祖三王傳)」 30권 「배자야등전(裴子野等傳)」
배수 · 하후단 · 위방 소적 · 소속 · 소윤 배자야 · 고협 · 서리 · 포천
31권 「원앙전(袁昻傳)」 32권 「진경지등전(陳慶之等傳)」 33권 「왕승유등전(王僧孺等傳)」
원앙 진경지 · 난흠 왕승유 · 장솔 · 유효작 · 왕균
34권 「장면전(張緬傳)」 35권 「소자각전(蕭子恪傳)」 36권 「공휴원등전(孔休源等傳)」
장면 , 장찬 장관, 소자각 , 소자범 소자현 소자운, 공휴원 · 강혁
37권 「사거등전(謝擧等傳)」 38권 「주이등전(朱異等傳)」
사거 · 하경용 주이 · 하침
39권 「원법승등전(元法僧等傳)」 40권 「사마경등전(司馬褧等傳)」
원법승 , 원수 원원달, · 왕신념 · 양간 · 양아인 사마경 · 도개 · 유현 · 유지린 · 허무
41권 「왕규등전(王規等傳)」
왕규 · 왕승 · 저상 · 소개 · 저구 · 유유 · 유잠 · 은운 · 소기(幾)
42권 「장순등전(臧盾等傳)」 43권 「위찬등전(韋粲等傳)」
장순 · 부기 위찬 · 강자일 · 장승 · 심준(浚) · 유경례
44권 「태종십일왕・세조이자전(太宗十一王・世祖二子傳)」
소대련 · 소대심 · 소대림 · 소대춘 · 소대아 · 소대장 · 소대균 · 소대위 · 소대구 · 소대흔 · 소대지 · 소방등 · 소방제
45권 「왕승변전(王僧辯傳)」 46권 「호승우등전(胡僧祐等傳)」
왕승변 호승우 · 서문성 · 두즉 · 음자춘
47권 「효행전(孝行傳)」
등담공 · 심숭소 · 순장 · 유검루 · 길분 · 견염 · 한회명 · 유담정 · 하형 · 유사미 · 강부 · 유제 · 저수 · 사린
48권 「유림전(儒林傳)」
복만용 · 하동지 · 범진 · 엄식지· 하창 · 사마균 · 변화 · 최령은 · 공첨 · 노광 · 심준(峻) · 태사숙명 · 공자거· 황간
49·50권 「문학전(文學傳)」
도항 · 구지 · 유포 · 원준 · 유어릉 · 유소(昭) · 하손 · 종영 · 주흥사 · 오균 · 유어릉 · 유준 · 유소(沼) · 사기경 · 유협 · 왕적 · 하사징 · 유묘 · 사징 · 장엄 · 복정 · 유중용 · 육운공 · 임효공 · 안협
51권 「처사전(處士傳)」
하점 , 하윤, · 완효서 · 도홍경 · 제갈거 · 심의 · 유혜비 · 범원염 · 유우 · 유효 · 유선 · 장효수 · 유승선
52권 「지족전(止足傳)」 53권 「양리전(良吏傳)」
고헌지 · 도계직 · 소시소 유필 · 심우 · 범술증 · 구중부 · 손겸 · 복환 · 하원
54권 「제이전(諸夷傳)」
임읍 · 부남· 반반국 · 단단국 · 간타리국 · 낭아수국· 파리국 · 중천축국 · 사자국 · 고구려· 백제 · 신라 · · 문신국· 대한국 · 부상국 · 하남왕국 · 고창· 활국 · 주고가국 · 아발단국 · 호밀단국· 백제 · 쿠처 · 우전국· 갈반타국 · 저말국 · 파사국 · 탕창국· 등지 · 무흥국 · 예예국
55권 「소종등전(蕭綜等傳)」
소종 · 소기(紀) · 소정덕 · 소예
56권 「후경전(侯景傳)」
후경 , 왕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c499><tablebgcolor=#00c499>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ece5b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권 「송본기상(宋本紀上)」 2권 「송본기중(宋本紀中)」 3권 「송본기하(宋本紀下)」
유유(裕) · 유의부 유의륭 · 유준(駿) · 유자업 유욱(彧) · 유욱(昱) · 유준(準)
4권 「제본기상(齊本紀上)」 5권 「제본기하(齊本紀下)」
소도성 · 소색 소소업 · 소소문 · 소란 · 소보권 · 소보융
6·7권 「양본기상·중(梁本紀上·中)」 8권 「양본기하(梁本紀下)」
소연 소강 · 소역 · 소방지
9권 「진본기상(陳本紀上)」 10권 「진본기하(陳本紀下)」
진패선 · 진천 · 진백종 진욱 · 진숙보
}}}}}}}}}
[ 열전(列傳) ]
||<-6><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 11·12권 「후비전(后妃傳)」 ||
조안종 · 소문수 · 장애친 · 장궐 · 사마무영 · 호도안 · 원제규 · 노혜남 · 왕헌원 · 은숙의 · 하영완 · 심용희 · 왕정풍 · 진묘등 · 강간규 · 진법용 · 사범경 · 진도정 · 유지용 · 배혜소 · 왕보명 · 하정영 · 왕소명 · 유혜단 · 저영거 · 왕순화 · 장상유 · 치휘 · 왕영빈 · 정영광 · 완영영 · 서소패 · 장요아 · 심묘용 · 왕황후 · 유경언 · 심무화 · 장여화
13·14권 「송종실급제왕전(宋宗室及諸王傳)」
유도린 · 유도규 · 유의경 · 유준고 · 유의진 · 유의강 · 유의공 · 유의선 · 유의계 · 유소 · 유준(濬) · 유삭 · 유굉 · 유탄 · 유위 · 유창 · 유혼 · 유휴인 · 유휴우 · 유휴무 · 유휴업 · 유휴천 · 유이부 · 유휴범 · 유휴약 · 유자상 · 유자훈 · 유자방 · 유자욱 · 유자란 · 유자인 · 유자진 · 유자원 · 유자우 · 유자맹 · 유자운 · 유자사(劉子師) · 유자소 · 유자사(劉子嗣) · 유찬 · 유우 · 유홰 · 유숭 · 유희
15권 「유목지등전(劉穆之等傳)」 16권 「왕진악등전(王鎮惡等傳)」
유목지 · 서선지 · 부량 · 단도제 왕진악 · 주령석 · 모수지 · 부홍지 · 주수지 · 왕현모
17권 「유경선등전(劉敬宣等傳)」
유경선 · 유회숙 · 유수 · 손처 · 괴은 · 상정 · 유종 · 우구진 · 맹회옥 · 호번 · 유강조
18권 「조륜지등전(趙倫之等傳)」 19권 「사회등전(謝晦等傳))」
조륜지 · 소사화 · 장도 사회 · 사유 · 사방명 · 사령운
20권 「사홍미전(謝弘微傳)」 21권 「왕홍전(王弘傳)」 22권 「왕담수전(王曇首傳)」
사홍미 왕홍 왕담수 , 왕훈,
23권 「왕탄등전(王誕等傳)」 24권 「왕유지등전(王裕之等傳)」 25권 「왕의등전(王懿等傳)」
왕탄 · 왕화 · 왕혜 · 왕욱 왕유지 · 왕진지 · 왕소지 · 왕열지 · 왕준지 왕의 · 도언지 · 원호지 · 장흥세
26권 「원담전(袁湛傳)」 27권 「공정등전(孔靖等傳)」 28권 「저유지전(褚裕之傳)」
원담 공정 · 공림지 · 은경인 저유지
29권 「채곽전(蔡廓傳)」 30권 「하상지전(何尙之傳)」 31권 「장유전(張裕傳)」
채곽 하상지 장유 , 장승,
32권 「장소전(張邵傳)」 33권 「범태등전(范泰等傳)」 34권 「안연지등전(顔延之等傳)」
장소 범태 · 순백자 · 서광 · 정선지 · 배송지 · 하승천 안연지 · 심회문 · 주랑
35권 「유담등전(劉湛等傳)」 36권 「양흔등전(羊欣等傳)」 37권 「심경지등전(沈慶之等傳)」
유담 · 유열 · 고침 · 고기지 양흔 · 양현보 · 심연지 · 강이 · 강병지 심경지 · 종각
38권 「유원경전(柳元景傳)」 39권 「은효조등전(殷孝祖等傳)」 40권 「노상등전(魯爽等傳)」
유원경 은효조 · 유면 노상 · 설안도 · 등완 · 종월 · 오희 · 황회
41권 「제종실전(齊宗室傳)」
소도도 · 소도생 · 소요광 · 소요흔 · 소면 · 소경선 · 소적부 · · 소탄 · 소탄지
42·43권 「제고제제자전(齊高帝諸子傳)」
소억 · 소영 · 소황 · 소엽 · 소고 · 소장 · 소삭 · 소감 · 소봉 · 소예 · 소갱 · 소구 · 소현
44권 「제무제제자·제문혜제자·명제제자전(齊高帝諸子·文惠諸子·明帝諸子傳)」
소장무 · 소자량 · 소자경(卿) · 소자향 · 소자경(敬) · 소자무 · 소자륭 · 소자진 · 소자명 · 소자한 · 소자륜 · 소자정 · 소자악 · 소자문
소자준 · 소자림 · 소자건 · 소자하 · 소소수 · 소소찬 · 소보의 · 소보현 · 소보원 · 소보인 · 소보유 · 소보숭 · 소보정
45권 「왕경칙등전(王敬則等傳」 46권 「이안인등전(李安人等傳)」
왕경칙 · 진현달 · 장경아 · 최혜경 이안인 · 대승정 · 환강 · 초도 · 조무 · 여안국 · 주산도 · 주반룡 · 왕광지
47권 「순백옥등전(荀伯玉等傳)」 48권 「육징등전(陸澄等傳)」
순백옥 · 최조사 · 설연 · 우종 · 호해지 · 우완지 · 유휴 · 강석 육징 · 육혜효 · 육궐
49권 「유고지등전(庾杲之等傳)」 50권 「유환등전(劉瓛等傳)」
유고지 · 왕심 · 공규 · 유회진 유환 · 명승소 · 유이 · 유규
51·52권 「양종실전(梁宗室傳)」
소경 , 소매 소발 소앙 소욱, · 소의 · 소부 · 소창 · 소융 · 소굉 , 소정인 소정의 소정덕 소정립, 소수 · 소위 · 소회 · 소담
53권 「양무제자전(梁武帝諸子傳)」
소통 · 소종 · 소적 · 소속 · 소윤 · 소기
54권 「양간문제자·원제제자전(梁簡文帝諸子·元帝諸子傳)」
소대기 · 소대심 · 소대관 · 소대림 · 소대련 · 소대춘 · 소대성 · 소대봉 · 소대아 · 소대장 · 소대균 · 소대위 · 소대훈 · 소대구 · 소대흔 · 소대지 · 소대원 · 소방등 · 소방제 · 소방구 · 소방략
55권 「왕무등전(王茂等傳)」
왕무 · 조경종 · 조의종 · 석천문 · 하후상 · 길사첨 · 채도공 · 양공칙 · 등원기 · 장혜소 · 장징 · 풍도근 · 강현 · 창의지
56권 「장홍책등전(張弘策等傳)」 57권 「심약등전(沈約等傳)」 58권 「위예등전(韋叡等傳)」
장홍책 · 유역 · 정소숙 · 여승진 · 악애 심약 · 범운 위예 · 배수
59권 「강엄등전(江淹等傳)」 60권 「범수등전(范岫等傳)」 61권 「진백지등전(陳伯之等傳)」
강엄 · 임방 · 왕승유 범수 · 부소 · 공휴원 · 강혁 · 서면 · 허무 · 은균 진백지 · 진경지 · 난흠
62권 「하창등전(賀瑒等傳)」 63권 「왕신념등전(王神念等傳)」 64권 「강자일등전( 江子一等傳)」
하창 · 사마경 · 주이 · 고협 · 서리 · 포천 왕신념 · 양간 · 양아인 강자일 · 호승우 · 서문성 · 음자춘 · 두즉 · 왕림 · 장표
65권 「진종실제왕전(陳宗室諸王傳)」
진의 · 진상 · 진혜기 · 진창 · 진담랑 · 진백무 · 진백산 · 진백고 · 진백공 · 진백인 · 진백의 · 진백례 · 진백지 · 진백모
진숙릉 · 진숙영 · 진숙견 · 진숙명 · 진숙경 · 진숙헌 · 진숙제 · 진숙문 · 진숙달 · 진숙탄 · 진숙표 · 진숙웅 · 진숙중 · 진숙엄 · 진숙신 · 진숙우 · 진숙평 · 진숙오 · 진숙흥 · 진숙선 · 진숙목 · 진숙검 · 진숙징 · 진숙소 · 진숙광 · 진숙순 · 진숙모 · 진숙현 · 진숙륭 · 진숙영
진심 · 진장 · 진윤 · 진억 · 진언 · 진경 · 진건 · 진념 · 진지 · 진전 · 진번
66권 「두승명등전(杜僧明等傳)」
두승명 · 주문육 · 후진 · 후안도 · 구양위 · 황법구 · 순우량 · 장소달 · 오명철
67권 「호영등전(胡穎等傳)」
호영 · 서도 · 두릉 · 주철무(1) · 정령세 · 심각 · 육자륭 · 전도집 · 낙문아 · 손창 · 서세보 · 주부 · 순랑 · 주경 · 노실달 · 소마하 · 임충 · 번의
68권 「조지례등전(趙知禮等傳)」
조지례 · 채경력 · 종원요 · 한자고 · 화교 · 유사지 · 사기 · 모희 · 심군리 · 육산재
69권 「심형등전(沈炯等傳)」
심형 · 우려 · 부재 · 고야왕 · 요찰
70권 「순리전(循吏傳)」
길한 · 두기 · 신념 · 두혜도 · 완장지 · 견법숭 · 부염 · 우원 · 왕홍궤 · 심우 · 범술증 · 손겸 · 하원 · 곽조심
71권 「유림전(儒林傳)」
복만용 · 하동지 · 엄식지 · 사마경 · 변화 · 최령은 · 공첨 · 노광 · 심준(峻) · 공자구 · 황간 · 심수 · 척곤 · 정작 · 전완 · 장기 · 고월 · 척곤 · 왕원규
72권 「문학전(文學傳)」
구영국 · 단초 · 변빈 · 구거원 · 왕지심 · 최위조 · 조충지 · 가희경 · 원준 · 유소(昭) · 종영 · 주흥사 · 오균 · 유협 · 하사징 · 임효공 · 안협 · 기소유 · 두지위 · 안황 · 잠지경 · 하지원 · 서백양 · 장정견 · 완탁
73·74권 「효의전(孝義傳)」
공영 · 유유(瑜) · 가은 · 곽세통 · 엄세기 · 오규 · 반종 · 장진지 · 구걸 · 사각수 · 왕팽 · 장공 · 서경 · 손법종 · 범숙손 · 복천여 · 허소선 · 여제인 · 손극 · 하자평 · 최회순 · 왕허지 · 오경지 · 소예명 · 소교처양 · 공손승원 · 오흔지 · 한계백 · 구관선 · 손담 · 화보 · 해숙겸 · 한영민 · 유풍 · 봉연백 · 오달지 · 왕문수 · 악이지 · 손법종 · 유도민 · 등담공 · 도계직 · 심숭소 · 순장 · 길분 · 견염 · 조발호 · 한회명 · 저수 · 장경인 · 도자장 · 성경준 · 이경서 · 사린 · 은불해 · 사마고 · 장소
75·76권 「은일전(隐逸傳)」
도잠 · 종소문 · 심도건 · 공순지 · 주속지 · 대옹 · 적법사 · 뇌차종 · 곽희림 · 유응지 · 공기 · 주백년 · 관강지 · 어부 · 저백옥 · 고환 · 두경산 · 장영서 · 오포 · 서백진 · 심인사 · 완효서 · 등욱 · 도홍경 · 제갈거 · 유혜비 · 범원엽 · 유선 · 장효수 · 유승선
77권 「은행전(恩倖傳)」
대법흥 · 서원 · 완전부 · 기승진 · 유계종 · 여법량 · 여문현 · 여법진 · 주석진 · 육험 · 사마신 · 시문경 · 심객경 · 공범
78·79권 「이맥전(夷貊傳)」
임읍 · 부남 · 중천축국 · 사자국 · 고구려 · 백제국 · 신라 · · 부상국· 하남왕국 · 탕창 등지 · 무흥국 · 형옹주·예주만 · 고창 · 쿠처 · 우전국 · 파사국 · 연연
80권 「적신전(賊臣傳)」
후경 , 왕위, · 웅담랑 · 주적 · 유이 · 진보응
(1) 본명이 주철호(周鐵虎)로 당태조로 추존된 이호(李虎)를 피휘하여 무(武)로 개칭되었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 ||

중국티베트계 민족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한족 (한족) 강서인 | 강소인 | 객가 | 광동인 ( 마카오인 | 홍콩인) | 산동인 | 사천인 | 산서인 | 오월인 | 하북인 | 호남인 | 후이족 ( 둥간족)
민인 민남인 ( 복건인 | 조주인 | 해남인 | 뇌주인) | 민동인 | 민북인 | 보선인 | 소장인
백족
티베트버마 서 티베트버마 티베트인 ( 캄파 | 암도와 | 부탄인 | 셰르파 | 발티인 | 라다크인 | 시킴인 | 까체족) | 네와르인 | 키라티인 | 마가르족 | 문파족 | 샤르촙인 | 타망족 | 샹슝족
중앙 티베트버마 나가 | 친족 | 쿠키인 | 퓨족 † | 미조인 | 트리푸리족 | 메이테이족 | 경파족 | 음루족 | 가로족 | 보로족 | 착족
동 티베트버마 버마족 | 카렌족 ( 카렌니) | 라카인족 | 강족 | 보미족 | 하니족 | 아카족 | 탕구트 † | 라후족 | 이족 | 율속족 | 나시족 | 모쒀족 | 아창족 | 노족 | 기낙족 | 독룡족 | 토가족 | 목아인 | 얼수족 | 리주족
기타 티베트버마 레프차족 | 타니족 ( 니시족 | 아디족 | 납파족) | 롭족 | 백마인 | 저족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Seal_of_Nagaland.svg.png 나갈랜드 | 파일:라다크.png 라다크 | 파일:마니푸르.png 마니푸르 | 파일:미조람.png 미조람 | 파일:시킴.png 시킴 | 파일:아루나찰프라데시.png 아루나찰프라데시 | 파일:트리푸라.png 트리푸라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특별행정구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특별행정구 | 파일:중국 국기.svg 닝샤 후이족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티베트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칭하이성 | 파일:중국 국기.svg 쓰촨성 서부 | 파일:길기트 발티스탄 주기.png 발티스탄 | 파일:라카인주 주기.svg 라카인주 | 파일:카친주 주기.svg 카친주 | 파일:친주 주기.svg 친주 | 파일:카야주 주기.svg 카야주 | 파일:카인주 주기.svg 카인주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치타공 구릉지대
<colcolor=#000> 사회문화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신화 중국 신화 | 티베트 신화
외교, 사상 중화사상 | 중화민족론 |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독립운동 }}}}}}}}}

파일:중국 국장.svg 중국의 민족
{{{#!wiki style="color:#ffff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족
汉族
55개 소수 민족
장족
(좡족)
壮族
회족
(후이족)
回族
만주족
(만족)
满族
위구르족
(웨이우얼족)
维吾尔族
묘족
(먀오족)
苗族
이족
(이족)
彝族
토가족
(투자족)
土家族
티베트족
(짱족)
藏族
몽골족
(멍구족)
蒙古族
동족
(둥족)
侗族
포의족
(부이족)
布依族
요족
(야오족)
瑶族
백족
(바이족)
白族
조선족
(차오셴족)
朝鲜族
합니족
(하니족)
哈尼族
여족
(리족)
黎族
카자흐족
(하싸커족)
哈萨克族
태족
(다이족)
傣族
사족
(서족)
畲族
율속족
(리쑤족)
傈僳族
동향족
(둥샹족)
东乡族
흘로족
(거라오족)
仡佬族
납호족
(라후족)
拉祜族
와족
(와족)
佤族
수족
(수이족)
水族
납서족
(나시족)
纳西族
강족
(창족)
羌族
토족
(투족)
土族
무로족
(무라오족)
仫佬族
시버족
(시보족)
锡伯族
키르기스족
(커얼커쯔족)
柯尔克孜族
경파족
(징포족)
景颇族
다우르족
(다워얼족)
达斡尔族
살라르족
(싸라족)
撒拉族
포랑족
(부랑족)
布朗族
모남족
(마오난족)
毛南族
타지크족
(타지커족)
塔吉克族
보미족
(푸미족)
普米族
아창족
(아창족)
阿昌族
노족
(누족)
怒族
어웡키족
(어원커족)
鄂温克族
경족
(징족)
京族
기낙족
(지눠족)
基诺族
덕앙족
(더앙족)
德昂族
보안족
(바오안족)
保安族
러시아족
(어뤄쓰족)
俄罗斯族
유고족
(위구족)
裕固族
우즈베크족
(우쯔볘커족)
乌孜别克族
문파족
(먼바족)
门巴族
오르촌족
(어룬춘족)
鄂伦春族
독룡족
(두룽족)
独龙族
나나이족
(허저족)
赫哲族
납파족
(뤄바족)
珞巴族
타타르족
(타타얼족)
塔塔尔族
고산족
(가오산족)
高山族
미식별 민족
우데게족 투르크멘인 카이펑 유대인 울치족 야쿠트족 모쒀족
투바인 칼미크인 부랴트인 아미족
(대만 원주민)
따오족
(대만 원주민)
5대 화교
복건
(푸젠)
福建
광동
(광둥)
广东
해남
(하이난)
海南
조주
(차오저우)
潮州
객가
(커자)
客家
}}}}}}}}}

흉노匈奴 선비鮮卑

동아시아인 · 북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한국계
한민족 한국계 러시아인 한국계 일본인 조선족
중국 본토·타이완 섬
한족 객가 경파 고산족 기낙족
나시족 노족 덕앙족 독룡족 동족
둥샹족 모남족 모쒀족 묘족 무로족
바이족 보미족 보안족 비엣족 사족
수이족 아창족 여족 와족 요족
유고족 율속족 이족 일본계 대만인
일본계 중국인
좡족
징족 카이펑 유대인 태족 토가족 포랑족
하니족 후이족 흘로족
티베트
강족 살라르족 토족
만주·사할린
나나이족 네기달족 니브흐 다우르족 만주족
어웡키족 에벤족 오로치족 오르촌족 우데게족
울치족 윌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러시아계 중국인 시버족
일본 열도
야마토 민족 러시아계 일본인 류큐인 아이누
몽골
몽골인 우량카이족 차탕족
북아시아
러시아인 만시인 부랴트인 사모예드족 셀쿠프인
소요트 쇼르인 시베리아 타타르 알류트 알타이인
야쿠트인 유카기르 유픽 응가나산인 이텔멘족
중국계 러시아인 추반인 축치인 출름 칼미크인
케레크 케트족 코랴크인 토파 투바인
하카스인 한티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1. 개요2. 역사3. 언어4. 문화5. 사료들의 기록6. 강족 소속 인물7. 삼국지연의의 강족 가공인물8. 창작물에서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Qiangpeople.jpg
표준 중국어: 羌族 (qiāngzú) / 강어: RRmea [ɹmæː] (爾瑪)
상고한어: C.qʰaŋ(?[1]+캉)

중국의 티베트계 소수민족. 현대에는 캄 지역( 쓰촨성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또는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등지)에 분산되어 분포하고 있다. 인구는 2020년 기준 31만 2,981명이다.

2. 역사

산시성(陝西省) 서부와 간쑤성(甘肅省) 동남부 일대에 생활했고, 갑골문에 따르면 이때 강방(羌方)이라 불렀고 2개의 큰 부락이 있어 북강(北羌), 마강(馬羌)이라 불렀다.

상나라가 강족을 인신공양의 제물로 자주 삼았기 때문에, 주나라가 상나라를 공격할 때 주나라를 도왔다.[2][3] 하지만 오래지 않아 주나라와 다시 사이가 벌어졌고, 춘추시대 진(秦)나라가 발전하면서 진나라에게 밀려 서쪽으로 이동했으며, 월수강(越雋羌), 광한강(廣漢羌), 무도강(武都羌) 등으로 발전했다.

진 효공 때 진나라에게 굴복했고,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하면서 몽염을 통해 흉노와 함께 압박을 받았으며, 한나라 초에 묵돌이 서역을 압박하고 세력이 매우 강성하자 흉노에 귀부해 한나라의 서쪽 지역을 자주 침범했다.

한나라 때에 이르러 중국을 자주 공격해 농서까지 진출했지만 강족과 흉노가 왕래하는 길을 끊어 황중 지역에서 쫓겨났다가 선제 때 이르러 흉노와 연합해 장액, 주천 등 하서 지역을 공략했지만 의거안국, 조충국 등의 공격을 받아 패했으며, 전한 말기에는 중국이 혼란하자 금성, 농서 지역으로 몰려들었고 후한 초기에 내흡, 마원 등의 공격을 받아 한나라에게 귀부와 저항을 반복하면서 한양, 안정, 농서를 정복하며 살았다.

진한 시기를 거치면서 선령강(先零羌), 소당강(燒當羌), 비남강(卑湳羌), 비화강(卑禾羌), 모강(姥羌), 삼랑강(參狼羌), 백마강(白馬羌), 모우강(牦牛羌), 종강(鍾羌), 월강(越羌), 산강(山羌), 한강(罕羌), 견강(幵羌), 흑수강(黑水羌), 백수강(白水羌), 자강(紫羌), 영강(零羌), 마란강(馬蘭羌) 등 많은 무리가 생겼고, 이 때부터 강족은 거주 지역에 따라 안정, 북지, 상군, 서하에 사는 강족은 동강(東羌), 농서, 한양, 연(延) 및 금성에 사는 강족은 서강(西羌)으로 나뉘어지게 되었다.

후한 시기에는 중국 관내의 강족이 107년, 139년, 159년 등 몇차례 대규모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으며, 일부 한나라의 군벌들은 강족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기도 했다.[4]

삼국시대와 서진 시기에도 중국을 정복해 관중 지역에 거주했으며, 오호십육국시대에 이르러서는 강족이 중국 지역을 정복하여 건국한 국가인 후진이 건국되었다.

이후 발강(發羌), 당모강(唐旄羌)[5]이 세운 토번이 강성해 여러 강족 일파들이 감숙, 영하, 섬서 북쪽 일대로 옮겼다가 후에 하주로 옮겨갔으며, 북송 때 강족의 일파인 탕구트[6] 서하를 건국하였다.

서하가 활동한 시기, 일부 강족 일파는 쓰촨성 서부 민 강(Min) 상류로 이동했으며, 이들이 현재 남아있는 강족의 선조가 된다.

5호 16국시대에 살던 그 많은 종족들 중 거의 유일하게[7] 지금까지 정체성을 잃지 않고 내려온 것은 매우 대단하다고 볼 수 있다.

강족들에게 온 가장 큰 재난은 2008년 쓰촨성 대지진이었고, 이때에 강족들의 여러 마을들이 크게 파괴되었다. 강족이 많이 거주하는 베이촨 강족 자치현(北川羌族自治县)에서는 현 내 건물 80%가 파괴되었으며, 대지진 당시 강족 인구의 무려 10%가 피해를 입었다 한다. 대지진 이후 중국 정부가 생존자들을 도시로 옮겨 거주하게 하면서, 급속도로 정체성이 희석되어가고 있다고 한다.

3. 언어

강어(羌語)는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한다. 북부 강어와 남부 강어로 나뉘는데 20세기말 기준 북부 강어는 6만, 남부 강어[8]는 8만 명의 화자가 있다. 어휘 측면에서 중국어 티베트어 차용어가 많다. 하지만 표준 중국어에 침식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파일:Qiang_Rma.png

극히 최근까지도 독자적인 문자가 없이 로마자를 차용해 왔으나, 2017년 웨이주차오(魏久喬)라는 학자가 강 문자(尔玛文)를 만들었고, 2019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4. 문화

강족의 전통 요리
파일:qiang tower.jpg

강족은 산악지역에 정착하여 농업에 종사하거나, 일부는 목축에 종사한다. '챵뚀우(강조 羌碉)'라는 망루 형식의 석축탑이 유명하다. 현재 도강언(都江堰)에서 황룡으로 가는 길목이나, 민강 상류 강족 마을에 가면 비교적 온전한 탑을 볼 수 있다. 재미있는 건 '챵뚀우' 건축군 포루처럼 높은 건물 안에는 흰 돌이 아무렇게나 놓여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냥 보면 마구 굴러다니는 평범한 돌 같지만 사실 강족의 무당이 제를 지내고 축복을 받은 신성한 돌이라 한다.

강족은 석조 건축에서 재능을 보이지만 주단을 짜는 등 유목 종족의 특기에서도 뒤지지 않는다. 특히 강족 자수(刺繡)는 강족의 문화를 전승하는 대표적인 사례로서 2008년 무형문화유산목록에 등재되었다.

강족은 하루에 2끼 식사를 한다고 한다. 아침밥을 먹고 일을 나가면서 옥수수가루로 만들어진 떡을 갖고 가서 점심나절에 그 떡을 먹고, 일이 끝나 저녁에 돌아와서 저녁밥을 푸짐하게 먹는다. 주식은 '맨정정'이라는 옥수수 가루를 뭉친 알갱이 같은 음식으로, 강족이 사는 곳에선 신선한 야채를 먹을 수 있는 시간이 몇 달밖에 안 되어 배추, 무 이파리로 절인 염장 음식이 많다.

5. 사료들의 기록

후한 초기의 허신이 지은 설문에 따르면 서융 가운데 양을 목축하는 사람들로 사람 인(人)과 양 양(羊)의 뜻을 따른다고 했다.

후한 말의 응소가 지은 풍속통의에 따르면 강족은 주로 양을 기르기 때문에 강(姜)이란 글자는 양(羊)의 뜻에 따르고 그 곳 사람들을 이 때문에 강족이라 불렀다고 하며, 군신이나 상하의 구분이 없고 힘센 자가 수령이 되었기에 서로 하나가 될 수 없었다고 한다.

종족은 거주지에 따라 나누고 강자는 약자를 멸시했으며, 일정한 거주지 없이 돌아다니면서 약탈을 했다. 남자는 전쟁터에서 죽는 것을 길하게 생각했으며, 병사하는 것을 흉하게 생각했다고 한다. 바이킹?

6. 강족 소속 인물

강족이 세운 국가 또는 후진 이후의 강족 소속 부족 계열은 제외.
  • 가오(柯吾)
  • 강상(姜尙) - 강족의 인물. 태공망으로 잘 알려져 있다.
  • 강총(姜聰) - 강족의 수령. 329년에 모용토연을 찔러 죽게 만들었다.
  • 구기(句豈) - 강족의 인물. 410년에 2만 호를 인솔해 서진(西秦)에 항복했으며, 걸복건귀가 411년에 구기의 무리 5천여 호를 첩난성으로 옮겼다.
  • 기오(飢五) - 강족의 수령. 당전의 대호로 120년에 마현이 장액에 있는 틈을 타서 금성을 침입했다가 마현이 군사를 돌려 요새 지역으로 나아가 금성을 공격하면서 수천 명이 죽는 피해를 입었다.
  • 나리(那離) - 강족의 인물. 소당강족으로 140년에 봉기했다가 여름 4월에 마현의 공격을 받아 참수되었으며, 이때 강족에서 죽거나 사로잡힌 자가 1,200여 명이었다.
  • 낭막(狼莫) - 강족의 인물. 113년에 신령이 죽고 영창이 계승했지만 영창의 나이가 어려 낭막이 계책을 세웠다. 118년에 임상, 마현 등을 공격을 받아 북지에서 60여 일을 버티다가 부평하에서 크게 패했으며, 참수당한 자가 5천 명이 되는 피해를 입었고 낭막은 달아났다가 조하에게 암살당했다.
  • 노총(盧怱) - 강족의 수령. 오동의 대호로 120년에 당전 부락에서 기근이 들자 윤가에 머무르면서 강족 또는 한나라 중에서 어느 쪽에 편을 들지 결정하지 못하고 눈치만 보고 있었다. 그러나 121년 봄에 노총은 마현의 초대를 받았다가 참수되었다.
  • 당용(黨容) - 강족의 인물. 후진에서 이윤의 강족 3천 호를 안정으로 옮긴 적이 있었는데, 당용은 요흥이 죽자 군사를 일으켰지만 요찬의 공격을 받아 패해 항복하면서 장안으로 옮겨졌다.
  • 당제(唐蹏)
  • 동안(東岸) - 늑저, 당전의 대호로 107년에 여러 강족들이 요역으로 인해 봉기해 한나라의 여러 군에서 군사를 파견해 공격해서 차단하거나 여락을 뒤엎자 동안은 크게 놀라 여러 군사들과 함께 달아나서 크게 붕괴되었다.
  • 동오(東吾) - 전오의 뒤를 이어 수령이 되었고, 전오가 한나라에 투항하자 변경의 요새 안으로 들어가 거주하면서 스스로를 지키는 것에 충실하면서 행동을 삼갔으며, 여러 동생들이 있었고 그들이 노략질을 자주 했다.
  • 동호(東號) - 동오의 아들. 동오의 뒤를 이어 수령이 되었다가 미당이 한나라와 88년에 싸울 때 패배하자 89년 봄에 한나라에 항복했고 머리를 조아리면서 귀부해 죽겠다고 하는 식으로 항복했다.
  • 등약(鄧若), 수보(輸報) - 강족의 인물. 410년에 2만 호를 인솔해 서진(西秦)에 항복했다.
  • 마노(麻奴) - 동호의 아들. 동호를 따라 한나라에 항복해 안정에 살았는데, 당시 항복한 여러 강족들이 각 군현에 흩어졌고 관리, 호족들을 위해 요역을 하자 근심, 원한이 쌓이게 되었다. 107년에 마노는 종족의 백성들과 함께 서쪽 변경 지역으로 나아갔다. 121년에 마노는 소당의 적통에 해당되었지만 마현이 위로하지 않자 인량 등과 결탁해 황중을 노략질하고 금성에 속한 여러 현을 공격했으며, 영거에서 무위, 장액의 군사를 패퇴시키고 선령, 심저의 여러 종족 4천여 호를 위협해 거느리면서 기련산 서쪽을 따라 달아나다가 무위를 노략질했다. 마현의 추격을 받았고 난조에서 이들을 불러들여 항복한 자가 수천 명이 되자 마노는 남쪽의 황중으로 돌아갔으며, 122년에 마현의 추격을 받아 황중에서 격파되어 그 종족의 무리는 흩어져서 숨었고 결국 곤궁하게 되자 종족의 무리를 이끌고 경충에게 항복했다가 124년에 죽었다.
  • 마등, 마초 일가 - 마등의 어머니가 강족이므로 마등과 그 동복형제의 후손들은 강족 혼혈이다.
  • 미당(迷當)
  • 미당(迷唐)
  • 미망(靡忘)
  • 미오(迷吾)
  • 방념(龐恬), 부번(傅幡) - 서강의 인물로 6년에 왕망이 땅을 빼앗은 것을 원망해 서해태수 정영을 공격해서 달아나게 했고 왕망이 보낸 호강교위 두황의 공격을 받았다.
  • 백호문(白虎文)
  • 벌동(伐同)
  • 벽제(辟蹏)
  • 비결(卑缺) - 강족의 인물. 미당의 조모. 92년에 섭상이 강족에게 은혜를 베풀겠다면서 미당을 초대해 대유곡, 소유곡으로 돌아와 살게 하려고 했는데, 미당이 돌아온 후에 섭상에게 파견되었다가 섭상으로부터 길을 떠날 때 지내는 제사를 받고 섭상이 보낸 5명으로부터 여락까지 배웅받았다.
  • 비동겸
  • 북궁백옥
  • 서고(犀苦) - 강족의 수령. 마노의 동생. 124년에 마노가 죽자 서고가 계승했다.
  • 소과(燒戈) - 《 삼국지연의》에서 소과와 퓨전한 아하소과로 유명하다.
  • 신령(愼零) - 강족의 수령. 111년에 상규에서 강족과 연락을 하면서 두기, 두계공, 왕신 등이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되자 두계공이 신령에게 의탁했으며, 신령은 113년에 사망했다.
  • 아차새
  • 아하(餓何) - 《 삼국지연의》에서 소과와 퓨전한 아하소과로 유명하다.
  • 약라발능
  • 양과(梁戈) - 남강의 인물. 400년에 후진이 서진과 싸웠다가 물러나자 걸복건귀를 초청했는데, 걸복건귀가 이에 호응하려 했다가 걸복건귀의 신하인 옥인아락이 남량의 음창에 이를 알려 가지 못했다.
  • 양봉(良封) - 강족의 인물. 종강에 속했고 134년 가을 7월에 농서, 한양 등을 침략했다가 겨울 10월에 마속에게 격파당했다.
  • 여숙도(呂叔都) - 강족의 인물. 115년에 윤취와 싸웠고 진성, 나횡 등의 암살로 살해당했다.
  • 염기(斂岐) - 강족의 인물, 요익중, 요양 등을 섬기고 요양 휘하에서 우부수를 지냈으며, 이후 전량과 결탁하다가 전진에서 군사를 보내 왕맹, 강형, 요장 등이 공격하려 하자 염기의 부락들은 요장에게 항복했다. 그러나 염기는 왕맹이 약양을 공격하자 패하고 백마로 달아났지만 소강의 추격을 받고 붙잡힌다.
  • 영창(零昌) - 강족의 수령. 신령의 아들. 신령이 죽자 계승했지만 나이가 어렸다. 114년에 호다가 한나라의 군사와 싸워서 패할 때 연합했다. 결국 호다가 항복한 후에 115년에 방삼, 사마균이 이끄는 강족, 흉노족으로 구성된 7천여 명에게 공격을 받았다. 117년 가을 9월에 임상이 보낸 호봉에게 암살당했다.
  • 왕흠로(王欽盧) - 강족의 인물. 요양이 관중을 도모하려 했는데, 357년에 좌장군을 지내면서 요익생과 각기 군사를 거느려 여러 강족, 호족을 불러 받아들였다.
  • 요가회
  • 요난(姚蘭) - 강족의 인물. 요양의 사촌형으로 요양이 관중을 도모하려 했는데, 357년에 보국장군을 지내면서 부성에서 약탈했다. 동진의 장군인 부비룡의 공격을 받아 사로잡혔다.
  • 요양
  • 요익(姚益) - 강족의 인물. 요양의 형. 353년에 요양이 은호를 격파하자 요양의 명으로 산상을 지켰다.
  • 요익생(姚益生) - 강족의 인물. 요양의 형으로 요양이 관중을 도모하려 했는데, 357년에 요무장군을 지내면서 왕흠로와 각기 군사를 거느려 여러 강족, 호족을 불러 받아들였다.
  • 요익중
  • 요흥
  • 유귀(楡鬼) - 강족의 인물. 당전 부락에 살았고 117년에 한나라의 임상이 파견해 두계공을 찔러죽였으며, 그 공으로 파강후에 봉해졌다.
  • 인대
  • 인량(忍良) - 강족의 수령. 오동의 대호로 120년에 당전 부락에서 기근이 들자 윤가에 머무르면서 강족 또는 한나라 중에서 어느 쪽에 편을 들지 결정하지 못하고 눈치만 보고 있었는데, 121년 봄에 마현이 군사를 풀어 공격해 2천여 명이 죽거나 사로잡히자 인량은 도망가 요새를 빠져나갔다. 마노와 결탁해 여러 부족을 거느리면서 황중을 노략질하고 금성의 여러 현을 공격했다.
  • 적온자(狄溫子) - 강족의 수령. 행성에 거주해 하나라에 복속하고 있다가 421년 12월 7일에 3천여 가를 이끌고 북위에 투항했다.
  • 전량(滇良)
  • 전안
  • 전오
  • 전창기렴(滇昌飢恬) - 강족의 수령. 침저에 속하고 황보규가 강족이 사는 지역에 나타나 잘못된 행위를 벌인 관리들을 면직하거나 죽이자, 이 소식을 듣고 전창기렴과 10만여 명이 황보규에게 항복했다.
  • 조하(雕何) - 강족의 인물. 상군의 전무종에 속하고 118년에 등준에게 현상금을 받고 낭막을 찔러죽였다.
  • 치무대
  • 팽리발(彭利髮) - 서강족의 인물. 411년 12월에 부한을 습격해 대장군, 하주목을 자칭했으며, 서진(西秦)에 공격하자 이를 막았다. 412년 정월에 서진의 공격을 받자 무리를 버리고 남쪽으로 도주했으며, 걸복공부가 이끄는 군사에게 청수까지 추격을 받아 참수되었다.
  • 팽해념(彭奚念) - 강족의 인물. 부한 지역에 거주하다가 389년에 서진(西秦)에 귀부해 북하주자사에 임명되었으며, 392년에 후량의 여찬이 공격하자 이를 격파했지만 여광이 부한을 공격하면서 패하고 감송으로 달아났다. 397년 6월에 서진에서 팽해념을 진위장군으로 삼았다.
  • 포교(布橋)
  • 호다(號多) - 강족의 수령. 114년에 다른 여러 종족과 연합해 무도, 파군을 노략질하고 판순의 만족들이 구원했는데, 정신에게 격파되어 달아나 돌아가다가 영창과 연합했다. 그러나 후패, 마현 등의 공격으로 부현에서 격파되었다. 115년에 방삼이 여러 강족들을 회유하자 호다는 무리를 거느려 투항했으며, 호다는 열후의 인수를 받고 돌아갔고 방삼이 영거로 돌아가 다스리면서 한나라에서는 하서 지방으로 나가는 길이 통하게 되었다.
  • 호봉(號封) - 강족의 수령. 효공종에 속하고 117년 가을 9월에 한나라의 임상이 파견해 영창을 찔러죽였고, 그 공으로 강왕에 임명되었다.

7. 삼국지연의의 강족 가공인물

8. 창작물에서

중국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특히 삼국시대)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자주 등장하며, 유목민족이라서인지 기병 관련에 특출하다.

8.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이민족 세력 중 하나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 마등, 마초와 우호적이며 30만 병력에 최강 병법인 돌격을 보유했기 때문에 서량이나 한중 일대의 세력은 상대하기 어렵다.

8.2. 삼국지 영걸전

이민족이라는 병과로 세 가상의 장수가 진창 전투에서 등장하며 마초로 설득할 경우, 잠시 아군으로 들어온다. 그러나 진창 전투와 장안 전투를 마치면 다시 떠난다.

8.3. 삼국지 공명전

공명전 3장 북벌진행중 서평관에서 강족들과 한번 전투 한다.

월길, 아단, 양란 등 강족 장수들이 나오며, 양란과 강유와 일기토를 할시 양란은 등용가능하다.

[1] 같은 어족의 동계어(가령 티베트어로 "지키다"라는 뜻의 སྐྱོངskyong <koŋ˥˩>)와 비교해봤을 때, 원래 어떤 자음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그 정확한 음가가 무엇인지 불확실하다는 뜻이다. [2] 태공망 강상이 강족으로 알려져 있다. [3] 중국 역사학자 리숴에 따르면, 애초에 이들은 희성주족의 친척뻘로 강성주족(강씨성의 주족)이라고 한다. 기록에 따르면 주족의 시조인 후직의 아들 부줄에서 내려온게 희성주족이고, 후직의 동생 태새의 아들 숙균 무리에서 내려온게 강성 주족이라고. 다만 주나라가 상나라를 정벌한 뒤 조상 세탁미화가 들어갔을 개연성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애초에 유목민 집단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4] 대표적으로 마등 마초 등의 마씨 일족 [5] 강족과 선주민의 혼혈로 추정된다. [6] 당항강(党項羌)으로도 불린다. [7] 저족의 후손으로 백마인(白馬人)이 남아있다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지금의 백마인이 역사상의 저족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는 없다. 현대 중국에서는 현재 남아 있는 민족들을 중국 사서에 기록된 민족들과 근거가 없어도 일치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은 관광 산업에 도움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8] 성조가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