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인 · 북아시아인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한국계 | ||||||||
한민족 | 한국계 러시아인 | 한국계 일본인 | 조선족 | ||||||
중국 본토·타이완 섬 | |||||||||
한족 | 객가 | 경파 | 고산족 | 기낙족 | |||||
나시족 | 노족 | 덕앙족 | 독룡족 | 동족 | |||||
둥샹족 | 모남족 | 모쒀족 | 묘족 | 무로족 | |||||
바이족 | 보미족 | 보안족 | 비엣족 | 사족 | |||||
수이족 | 아창족 | 여족 | 와족 | 요족 | |||||
유고족 | 율속족 | 이족 |
일본계 대만인 일본계 중국인 |
좡족 | |||||
징족 | 카이펑 유대인 | 태족 | 토가족 | 포랑족 | |||||
하니족 | 후이족 | 흘로족 | |||||||
티베트 | |||||||||
강족 | 살라르족 | 토족 | |||||||
만주·사할린 | |||||||||
나나이족 | 네기달족 | 니브흐 | 다우르족 | 만주족 | |||||
어웡키족 | 에벤족 | 오로치족 | 오르촌족 | 우데게족 | |||||
울치족 | 윌타 |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
러시아계 중국인 | 시버족 | ||||||||
일본 열도 | |||||||||
야마토 민족 | 러시아계 일본인 | 류큐인 | 아이누 | ||||||
몽골 | |||||||||
몽골인 | 우량카이족 | 차탕족 | |||||||
북아시아 | |||||||||
러시아인 | 만시인 | 부랴트인 | 사모예드족 | 셀쿠프인 | |||||
소요트 | 쇼르인 | 시베리아 타타르 | 알류트 | 알타이인 | |||||
야쿠트인 | 유카기르 | 유픽 | 응가나산인 | 이텔멘족 | |||||
중국계 러시아인 | 추반인 | 축치인 | 출름 | 칼미크인 | |||||
케레크 | 케트족 | 코랴크인 | 토파 | 투바인 | |||||
하카스인 | 한티인 | ||||||||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 |
다우르족 관련 틀 | ||||||||||||||||||||||||||||||||||||||||||||||||||||||||||||||||||||||||||||||||||||||||||||||||||||||||||||||||||||||||||||||
|
[clearfix]
1. 개요
중국 동북부와 내몽골에 거주하는 몽골계 반농반목 민족이다.다우르어로 다우르는 "개척자" 라는 뜻이다.
2. 특징
인구는 2010년 기준 약 12만 7천명이 중국에 살며, 러시아의 극동 연방관구에도 4700여명이 소수민족으로 살고 있다. 일부는 몽골에도 거주한다고 한다.
주 거주 지역은 중국 동북부 지역이지만[3], 청나라 때 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부로 이주한 사람도 있어 2010년 기준 약 5천여명이 신장 지역에도 산다.
3. 역사
요나라를 세운 거란족의 후손으로 유력하게 추정되고 있다. 동호족에서 갈라져 나온 선비-거란과 마찬가지로 다우르족 역시 몽골계에 해당된다.[4]요나라 멸망 이후에도 요서와 화북 지방에 남은 거란족은 한족, 여진족 등 다른 민족들에게 흡수된 반면, 일부는 서쪽으로 이동하여 서요(西遼)를 세웠으며, 거란족의 한 갈래인 대하씨(大賀氏) 집단[5]이 북쪽의 아무르강 유역까지 이동하여 정착하였는데 이들이 다우르족의 직계 선조로 여겨진다.
원말명초에 이들에 대한 기록이 단편적으로 남아있는데, 명나라 왕조는 헤이룽장성 이북에 지방 방어 행정단위인 위(衛)와 소(所)를 설치하여 이들에게 둔전을 시켰는데, 이로 인하여 다우르족은 목축 외에도 농업을 겸하게 되었다. 명나라에서 유목민들에게 국경 변경 지역에서 가급적 농업을 장려한 이유는 보급 비용을 절약하려는 목적도 있었으나, 유목민들의 말을 먹일 목초지를 농지로 개간하여 유목민 기병의 보급을 제한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었다. 헤이룽장성 이북은 과거에는 수렵과 어로가 주 산업이었으나, 다우르족의 정착과 둔전을 계기로 목축과 농업이 발전하게 되었다.
서기 17세기 중엽에 다우르족은 청나라에 복속되었고 점차 아무르강 상류에서 눈강 유역으로 남하하면서 만주 팔기군 조직에 편입되어 병역을 부과받았다. 다우르족은 10여 차례 전역에 참가하였으며 루스 차르국의 정찰대와 잦은 분쟁을 치렀다.[6] 강희제로부터 건륭제 연간에는 다우르족 부족 상당수가 애휘, 호륜패이, 신강의 일리 강 유역, 타르바가타이 등 청- 러시아 간 변경요지로 이동하여 둔전을 하면서 국경을 수비했는데 이로 인하여 다우르족이 오늘날과 같이 광활한 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형태를 이루게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전 이들의 역사와 언어가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이전에는 다우르족을 몽골인으로 간주하여 “다우르 몽골"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이후 연구에서는 현대의 몽골인들과 다우르족이 유전적으로 비슷하지만 어느 정도 거리가 있다는 결과도 나오고 있다. 이는 다우르족이 몽골의 한 지파에서 시작한게 아니라 단순히 몽골 문화의 영향을 받았을 뿐이라는 학설 및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
3.1. 거란 후예설
전해지는 구전이나 전설 및 민담에 의하면 다우르족은 거란족의 후손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같은 내용의 신빙성에 관해 여러 이의가 제기된 적은 있지만[7] 일단 중국, 러시아, 일본 학계에서는 다우르족을 거란의 후예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 이에 대한 주요 근거로는 2001년 중국사회과학원에서 실시한 DNA 연구 결과가 있다. 고대 거란인의 미라와 현대 다우르족의 유전자를 비교해본 결과 서로 대부분 일치한다는 것이 밝혀지며 다우르족이 거란족의 직계 후예라는 설에 힘이 실린 것이다. #다만 분자인류학 연구를 통해 다우르족, 그리고 몽골 제국의 대리국 원정으로 윈난성에 파병되어 그곳에 정착하게 된 거란족 황실 후예집단이라고 알려진 '번런(本人)'들이 거란족이 아닌 몽골족의 후예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학계의 주류 의견은 거란의 직계 후예가 맞다는 것일지라도 아직 재고의 여지나 유의점은 남아있다.[8]
4. 문화
다우르족이 몽골계에 속하는 민족 중 하나이다보니 문화적으로 몽골과 비슷하다. 다우르족들만의 전통 문자가 없어서인지 이들은 만주 문자나 한자, 키릴 문자(러시아, 현대 몽골) 등으로 표기를 했다고 한다. 극소수가 거란 문자를 쓰기도 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음식 문화는 몽골 요리 및 중국 요리[9]와 비슷한데 중국의 다른 지역 요리들의 영향도 받았다.
종교는 샤머니즘을 믿거나 티베트 불교를 믿는 사람도 있다.
출신 인물 중엔 운동선수, 특히 부흐와 같은 투기 종목의 선수가 많다는 말도 있다.
5. 기타
중국 통계에 따르면 중국 악(鄂)씨 중 43.9%가 한족, 26.3%가 만주족, 22.8%가 다우르족이다. 중국 오(敖)씨 중 57.9%가 한족, 16.5%가 다우르족, 16.5%가 몽고족, 3.3%가 만주족이다.6. 관련 문서
[1]
"다우얼족" 또는 "다워얼족"이라고 읽는다. 만주어로는 "다후르(dahur)", 러시아어로는 "다우르"라고 부른다.
[2]
다우르어로 "
고향"을 의미한다고 한다.
[3]
주로
내몽골 자치구,
헤이룽장성 등.
허베이성을 거론하는 일부 유저도 있다.
[4]
다만 후술되어있듯 현대 몽골인과는 유전적으로 차이가 좀 있다고 한다.
[5]
요련씨와 더불어 야율씨 이전에 거란족 전체를 이끌었던 주요 부족이다.
[6]
장거리 원정의 보급 문제로 식량이 부족한
카자크 탐험대가 다우르족 마을을 약탈하는 일이 잦았다.
[7]
그래서인지 일부 다우르족들만 스스로를 거란의 후손으로 여기고 있다.
[8]
출처:움직이는 국가, 거란(
동북아역사재단).
#
[9]
동북 요리 및 내몽골 지역의 요리.
[10]
유전자 연구 결과 다우르족과 야율씨의 후손 집단인 번런은 서로 유사한 기원을 공유한다고 나왔다. 그래서 윈난의 번런 역시 가끔 비공식적으로 다우르족으로 분류될 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