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16:01:52

보포스 40mm 포

보포스 기관포에서 넘어옴
파일:40mm_bofors_AA-gun_in_Finland.jpg
40mm luftvärnsautomatkanon m/36
1. 개요2. 상세3. 형식
3.1. 60구경장
3.1.1. 40mm lvakan m/363.1.2. 40mm lvakan m/433.1.3. 40mm lvakan m/36-43
3.2. 70구경장
3.2.1. 40mm lvakan m/48
4. 파생형
4.1. 미국
4.1.1. 40mm M1 대공포
4.2. 이탈리아
4.2.1. 다르도 CIWS4.2.2. 40mm 패스트포티
4.3. 대한민국
5. 사용처
5.1. 함선5.2. 육상형5.3. 항공기
6. 실전7. 운용국8. 미디어9. 관련 문서10. 관련 링크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aval Legends : Bofors 포가튼 웨폰즈의 40mm M1 기관포 소개 영상
40mm lvakan m/43 작동 방식 영상
스웨덴 보포스 사가 개발한 대공포. 1932년에 개발돼서 아직도 사용되고 있는 진정한 장수만세 무기 중 하나이다.[1]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가장 널리 사용된 중형 대공포이며, 주로 연합국 측에서 사용했지만, 추축국에서도 일부 노획한 보포스 40mm 대공포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2. 상세

보포스 40mm 포의 개발은 스웨덴 해군이 1922년에 영국제 40mm 폼폼 포[2]를 대공포로 구매한 이후, 더 나은 대공포를 개발하기 위해 1928년 보포스 사에 의뢰를 하면서 시작되었다. 보포스 사는 기존에 대 어뢰정용으로 사용하던 보포스 57mm 반자동 포를 소형화하여 40mm포로 만들었는데, 1929년에 첫 테스트를 시작한 이후 꾸준한 설계 개선을 통해 1933년 56.25 구경장 40mm 포를 완성할 수 있었다. 이후 이 대공포는 포신 길이를 60 구경장으로 반올림하여 보포스 40mm L/60이라고 불리게 되었다.[3]

이 포는 40x311R 규격의 900g[4] 고폭탄을 포구초속 900m/s으로 발사할 수 있었으며, 연사속도도 분당 120발 정도로 당시로는 준수한 편이었다. 단, 현대의 기관포들처럼 탄띠급탄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4~5발짜리 클립을 일정주기마다 보충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120발이라는 발사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전수들이 끊임없이 클립을 보충해야 했다(아래 사진을 보면 5발들이 클립을 들고 대기하는 군인을 볼 수 있다).[5][6] 그런 관계로 단독으로는 효과가 적고 여러 대가 함께 탄막을 쳐야 한다.[7]

1934년 네덜란드 해군으로부터 첫 주문이 들어온 이후로 여러 서유럽 국가들과 미국, 남미 국가 등에 판매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연합국 해군에서 제식 중형 대공포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보포스 40mm L/60 포를 자체 개량하여 육군과 해군에서 두루 사용하였으며, 미국에서도 1.1인치 “시카고 오르간” 대공포의 한계가 미드웨이 해전이후로 명확해지자, 이의 대체 기종으로 6만 정의 보포스 쌍열포를 40mm M1 대공포라는 이름으로 라이선스 생산해서 거의 모든 미군 함정에 장착할 정도로 크게 인기를 끌었다. 특히 일본의 카미카제가 심해지자 미국 군함들은 드라이 독에 들어올 때마다 함체 외부에 공간이 조금이라도 남는다면 죄다 20mm 오리콘 기관포와 함께 보포스 40mm 대공포 방어시설로 도배를 했다. 어느 전함은 210미터도 안 되는 짧은 선체에 대공기관포 방어시설을 합계 150문 가까이 덕지덕지 바르고 다녔으니 말 다했다.

하지만 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제트기가 등장하면서 보포스 40mm 포도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다. 원래부터 고속 기동 중인 비행기에 대한 명중률은 좋은 평을 듣지 못하고 있었는데, 더 빠른 제트기가 등장함에 따라 보포스 포가 충분한 수의 포탄을 쏘기 전에 사거리 밖으로 사라져 버릴 것으로 예상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보포스 사는 1948년에 기존 40mm L/60 포를 개량한 40mm lvakan m/48포를 처음 내놓았고, 이후로도 1950년대까지 40mm lvakan m/48 포에 대한 추가적인 개량을 지속하였다. 40mm lvakan m/48 포의 연사 속도는 분당 330발까지 올라갔으며,[8] 포탄의 길이가 40x365R 규격으로 15% 늘어나고[9] 포신의 길이도 70구경장으로 확장되어서 포구초속이 1030m/s까지 높아졌다. 덕분에 대포 시스템도 대형화되어 무게가 2.5배 이상으로 무거워졌다.(L/60: 2톤, L/70: 5.2톤)

비록 기존의 보포스 40mm L/60 포를 사용하던 많은 국가들이 더 이상 40mm 구경 대공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보포스 40mm L/70 포가 예전만큼의 인기를 끌지는 못하고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사용국이 제법 있는 편이다. 현재 보포스 사(보포스가 2005년 BAE 시스템스에 인수된 이후에는 BAE) 이외에 보포스 40mm 포를 면허 생산하거나 해당 규격으로 포와 포탄을 생산하는 곳은 이탈리아의 브레다 사(현 오토멜라라 사)와 한국의 한화에서 생산한 노봉 등이 있다.

3. 형식

3.1. 60구경장

3.1.1. 40mm lvakan m/36

3.1.2. 40mm lvakan m/43

3.1.3. 40mm lvakan m/36-43

3.2. 70구경장

3.2.1. 40mm lvakan m/48

4. 파생형

4.1. 미국

4.1.1. 40mm M1 대공포

4.2. 이탈리아

4.2.1. 다르도 CIWS

파일:00db_vfgnmko.jpg
DARDO CIWS
이탈리아의 브레다(Breda)에서 L/70 기관포를 2연장으로 만든 DARDO( 다트라는 뜻)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를 개발하였다. 브레다는 60년대부터 보포스 40mm 함포를 면허 생산했는데, 면허 생산에 그치지 않고 그때부터 개량형도 만들기 시작하였다. 주요 개량점은 연사력 향상과 이중급탄( 고폭탄 철갑탄) 기능이었다. DARDO CIWS는 쌍열 40mm 포, 화력 통제 레이더, 그리고 화력 통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후 1990년대 말에 브레다가 망하고 오토멜라라(OTO Melera)에서 함포 생산라인을 인수하여 생산-개발 중이다.
브레다 40mm 컴팩트(Compact)는 DARDO CIWS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모델로, 갑판 밑의 공간이 필요한가에 따라 A 타입과 B 타입이 있다. B 타입이 갑판 밑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는 버전이고 더 가볍지만 (A 타입: 포탄 무게 제외 5.5톤, B 타입: 포탄 무게 제외 5.3톤), 포탑 내부에 탑재하고 있는 탄의 수가 더 적다(A 타입: 736발, B 타입: 444발). 1976년에 이탈리아 해군 대함 미사일 격추 능력을 시험해본 결과, 900 m의 거리에서 아음속 대함 미사일을 30% 확률로 격추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정도 명중률이면 최대 사거리부터 죽어라고 쏘기 시작해야 대함 미사일을 겨우 격추할 수 있을 것 같다. 대한민국 해군 포항급 3차선, 울산급 2차선과 3차선에서 사용하는 것도 이 컴팩트 모델이다.

사진에는 화력 통제 레이더가 나와 있지 않는데, 40mm급 포는 발사시 반동이 커서 화력 통제 레이더를 포탑에서 멀찍이 떨어뜨려 다른 곳(주로 관제실 지붕 위)에 놓기 때문에 그렇다. 그리고 워낙 레이더가 고가인지라 하나의 레이더에 다른 함포나 단거리 미사일과 같은 다른 무기들도 물려놓는 경우도 많아서 DARDO 바로 근처에 레이더를 설치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다. 이탈리아 해군에서는 Ku밴드 화력 통제 레이더를 사용했다.
파일:e31f81aaa.jpg
DARDO CIWS의 내부구조

4.2.2. 40mm 패스트포티

브레다 40mm 패스트포티(Fast Forty)는 연사력을 더 증대시켜서 분당 발사율을 포열당 450발로 만든 모델로, 2연장 구성이라 분당 900발이다. 브레다 사의 홍보 자료에 따르면 성형파편 고폭탄을 사용할 경우 3km의 거리에서 초음속 미사일을 격추할 수 있다고 한다. 만약 1.1km까지도 격추하지 못한다면, 자동으로 탄종을 철갑탄으로 교체한다.

4.3. 대한민국

4.3.1. 노봉

대한민국의 노봉 40mm 포도 70구경장의 보포스 40mm 함포를 원형으로 해서 만들었다. 하지만 면허 생산이 아니고, 국방과학연구소에서 1990년대에 독자개발한 모델이다. 성형파편 고폭탄, 철갑탄, 예광탄, 연습탄 등 다양한 포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총 768발의 포탄을 탑재한다. 분당 발사율은 포신당 310발로, 2연장 구성이라서 620발이다. 제어 시스템이 기존에 한국 해군에서 사용하던 브레다 40mm 컴팩트보다 우수해서, 마하 2의 초음속으로 공격해오는 표적에도 대응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탄걸림이 종종 발생하는 모양이다.

5. 사용처

5.1. 함선

파일:external/www.inert-ord.net/usn1.jpg
미국의 경우 2차 대전기에 이미 FCS와 연동하기도 한 4연장 전동마운트. 일본 해군력이 씨가 말라서 대함보다 대공전투가 중요해진 대전 말기에는 구축함급에서는 장거리에서 패는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를 들어내고 주포 마운트에 이것을 설치하기도 했고, 순양함~전함급은 도크에 들어가는 대로 그냥 도배를 했다. 그냥 대전기 미군 함선이라면 20mm 오리콘 대공기총과 함께 이게 꼭 들어있었다고 봐도 될 정도로 널리 쓰였다.

많은 함정에서 함포로 이용하고 있으며, 2차대전 당시의 미국, 영국 전투함들은 대공포로 장착하기도 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로는 대공 미사일이 발달하면서, 사실상 대형 전투함의 대공포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다. 현대에는 주로 1000톤 이하의 소형 함정의 주포 겸 대공포로 쓰이는데,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L/60을 그냥 가져다가 쓰는 경우도 많다.

5.2. 육상형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Bofors-p004596.jpg
공군 기지를 방어하기 위한 대공포로 종종 사용되며, 자주대공포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제법 있었다. 기본적으로 속사포이며, 폭발형 탄두이기 때문에 대인살상력 또한 뛰어나 장갑차나 보병전투차의 주포로도 사용한다.
  • 현대 대한민국 해군 조기경보대에서 도서방어용으로 사용 중이다.

5.3. 항공기

파일:40mm_ac130e 0.jpg
미합중국 공군특수작전사령부에서 운용되는 AC-130A/E/H/U 지원공격기 105mm M102 견인곡사포, 25mm GAU-12 이퀄라이져 발칸포와 함께 주무장 중 하나로 L/60이 쓰였지만, 2020년에 AC-130U가 모두 퇴역하면서 약 50년의 운용 기간을 함께 마감하였다.

6. 실전

6.1. 제2차 세계 대전

6.1.1. 폴란드 침공

파일:Polish Bofors 40mm AA gun abandoned after the column was attacked by German aircraft, Battle of Bzura, Poland, Sep 1939.jpg
브주라 전투 당시 루프트바페의 공격이후 유기된 폴란드군 소속 보포스 40mm 대공포, 1939년 9월

6.1.2. 가짜 전쟁

파일:A_40mm_Bofors_anti-aircraft_gun_and_crew_near_Douai,_France,_November_1939._O327.jpg
가짜 전쟁 당시의 영국군 소속 보포스 40mm 대공포, 1939년 11월 18일

6.1.3. 노르웨이 침공

파일:The_British_Army_in_Norway_April_-_June_1940_N182.jpg
노르웨이 침공 당시의 영국군 소속 보포스 40mm 대공포, 1940년 노르웨이

6.1.4. 크레타 섬 전투

파일:MALEME, CRETE. 1941-05-18. MEMBERS OF 'A' TROOP, 2/7TH BATTERY, 2/3RD LIGHT ANTI-AIRCRAFT REGIMENT, WITH A Bofors 40mm AA GUN ON THE NORTH SIDE OF MALEME AIRFIELD.jpg
크레타 섬 전투 당시의 호주군 소속 보포스 40mm 대공포, 1941년 5월 18일

6.1.5. 독소전쟁

파일:Hungarian Bofors 40mm AA gun Artillery, Don Front, 1942.jpg
돈 전선의 헝가리 왕국군 소속 보포스 40mm 대공포, 1942년

6.1.6. 계속전쟁

파일:finnish 40 mm luftvärnsautomatkanon m/36 during Continuation war.jpg
계속전쟁 당시의 핀란드 방위군 소속 40mm lvakan m/36, 1944년 4월 25일 핀란드 노키아
핀란드 방위군이 사용했다.

6.1.7. 태평양 전쟁

보포스 40mm 포가 미군 전반을 통틀어 미 해군에게도 쓰이며 가장 활약한 전장. 기존의 함정 방어 대공포인 1.1인치 75구경장 '시카고 피아노' 대공포의 자리를 20mm 오리콘과 함께 빠르게 대체하며 대전기 미국 대공무장 중 격추수 1~2위를 다툴 정도로 활발하게 쓰였다.
6.1.7.1. 산타크루즈 해전
파일:Gun crews aboard USS South Dakota man their 40mm Bofors anti-aircraft guns during the Battle of Santa Cruz Islands, 26 Oct 1942.webp
산타크루즈 해전 당시 USS 사우스다코타의 쿼드 40mm M1 보포스 대공포 마운트, 1942년 10월 26일
6.1.7.2. 오키나와 전투
파일:Gun crews on a Quad 40mm Bofors gun mount watch the skies from the Colorado-class battleship USS West Virginia during the invasion of Okinawa, Japan, early 1945.webp
오키나와 전투 당시 콜로라도급 전함 USS 웨스트버지니아의 쿼드 40mm M1 보포스 대공포 마운트, 1945년 초

6.1.8. 이탈리아 전역

파일:New-Zealand troops with 40mm Bofors AA gun, Riccione Italy 1944..webp
이탈리아 전역 당시의 뉴질랜드군 소속 보포스 40mm 대공포, 1944년 이탈리아 Riccione

6.1.9. 오버로드 작전

파일:African-American soldiers, 452nd Anti-Aircraft Artillery Battalion, with an M1 40mm Bofors Anti-Aircraft gun by the Marne-Rhin Canal, north eastern France. November 9 1944.webp
오버로드 작전 당시의 미 육군 제452대공포대대 소속 40mm M1 대공포. 1944년 11월 9일 프랑스 북동부

6.1.10. 독일 본토 진격전

파일:40mm Bofors gun of 319 Battery, 92nd (Loyals) Light Anti-Aircraft Regiment in action in the ground support role east of the Rhine - 26th March 1945.webp
독일 본토 진격전 당시의 영국군 제92경대공연대 소속 보포스 40mm 대공포, 1945년 3월 26일

6.2. 냉전기

6.2.1. 베트남 전쟁

6.2.1.1.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파일:LVT-4/40.jpg
디엔비엔푸의 LVT-4/40
프랑스군이 대지상 화력을 증강하기 위해 LVT-4에 보포스 40mm 포와 포탑을 얹어 만든 LVT-4/40과 GMC CCKW의 보포스 40mm 포 탑재형을 사용했다.

6.2.2. 한국전쟁

6.2.2.1. 장진호 전투
1950년 11월 27일부터 12월 2일 사이 D 포대는 중공군의 장진호 대공세에 휘말렸다. D포대는 M16 MGMC와 M19 더스터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방공작전에 쓰려고 지급받은 보포스 포와 차량마다 방어용으로 부착된 기관총을 동원해 중공군의 파상공세를 수없이 격퇴했으며 그 덕분에 31여단전투단의 얼마 안되는 잔존병력들이 장진호 건너편 미해병대 방어선으로 합류할 수 있었다. 빠른 속사의 보포스 대공포는 특정 공격루트만 고집하며 밀집된 인해전술을 사용하던 중공군을 그야말로 갈아버렸다.

6.2.3. 포클랜드 전쟁

포클랜드 전쟁 당시 HMS Fearless 호가[10]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는데 아르헨티나군의 A-4 스카이호크를 구닥다리 대공포로 격추시킨 것. 물론 시대가 시대인 만큼 인력 조준이 아니라 레이더 연동 조준이긴 했다.[11]

6.3. 현대전

6.3.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파일:ukrainian_Bofors_40mm_AA_gun.jpg
우크라이나 국군 소속 보포스 40mm 대공포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스웨덴이 우크라이나에게 공여해 90살의 나이로 참전하는 장수만세를 다시금 누리고 있다.

7. 운용국

6만 정이 생산된 만큼, 다양한 국가들이 사용했다.

7.1. 유럽

7.1.1. 북유럽

7.1.1.1. 스웨덴
원조 사용국.

7.1.2. 중부유럽

7.1.2.1. 독일
7.1.2.1.1. 나치 독일
파일:Raversyde_Atlantik_wall_4cm_FlaK_28.jpg
대서양 방벽 박물관 소장 4cm FlaK 28
나치 독일의 경우 폴란드군, 영국군 ,오스트리아군, 노르웨이군, 덴마크군으로부터 노획하거나 헝가리 왕국과 PaK 40으로 교환한 40mm lvakan m/36을 "4cm FlaK 28"이라는 제식명으로 사용하기는 했지만, 독일의 주력 중형 대공포는 3,7cm 대공포였다. 3,7cm 대공포는 보포스 포보다 훨씬 가벼운 대신에, 사용한 포탄의 크기가 작고 포구초속도 100m/s 더 느려서, 파괴력과 최대도달고도에서 보포스 포에 대해 열세에 있었다. 연사력은 3,7cm FlaK 18/36/37의 경우 보포스 40mm lvakan m/36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개량형인 3,7cm FlaK 43의 경우 2배나 빨랐다.
7.1.2.2. 오스트리아
7.1.2.2.1. 오스트리아 공화국
파일:Bundesheer 40mm Bofors AA gun L/70.jpg
오스트리아 연방군 소속 40mm lvakan m/48, 1967년

7.1.3. 동유럽

7.1.3.1. 소련
파일:The museum-diorama 'The Battle for Kiev in 1943' 40mm Bofors AA gun.jpg
키예프 전투 1943 박물관 소장 보포스 40mm 대공포
독소전쟁 당시 미국으로부터 5511문을 공여받았다.
7.1.3.2. 우크라이나
파일:ukrainian_Bofors_40mm_AA_gun.jpg
우크라이나 국군 소속 보포스 40mm 대공포
러시아가 침공한 이후, 스웨덴이 공여하여 사용 중 이다.

7.1.4. 남유럽

7.1.4.1. 유고슬라비아
7.1.4.1.1.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파일:Krajina_Express_40mm_Bofors_AA_gun.jpg
크라이나 익스프레스 장갑열차에 장착된 보포스 40mm 대공포

7.2. 아시아

7.2.1. 동아시아

7.2.1.1. 대한민국
파일:2020061406405992905_1592084459.jpg
M2A1 40mm 고사포
육군과 해병대에서 1949년부터 미군에서 인수받은 지상형을 운용했으며 승공포와 함께 저고도 방공을 책임졌다. 견인형 발칸포가 배치되기 시작하자 일선에서 물러나 후방 해안포 진지 등에서 운용되다 2000년대 이후 퇴역한 것으로 보인다.

해군에서도 2차대전 시절 만들어진 함정들을 인수해 사용하던 충무급 구축함, 대구급 구축함, 충북급 구축함, 운봉급 상륙함 등 보포스 기관포가 달린 함정들을 다수 운용하였다.
파일:PYH2016071111450001300_P4.jpg
파일:PYH2015052009190001300_P4.jpg
2016년 2015년
우도경비대, 이상훈 해병대사령관
보포스 기관포가 장착된 함선들의 퇴역 이후, 함포를 통째로 탈거하여 서해 5도에서 해안포로 사용하고 있다.
13~15초까지
대한민국 해양경찰에서도 간첩선 침투 대응을 위해 일부 함정에서 운용하였으며 이후 노봉 등이 개발되자 교체되었다.
7.2.1.2. 중화민국
파일:Hukou Bofors 40mm AA gun.jpg
후커우 기갑 학교 소장 보포스 40mm 대공포
7.2.1.3. 일본 제국
파일:IJA_captured_Bofors_40mm_AA_gun.jpg
일본 제국 육군 노획 보포스 40mm 대공포
싱가포르 전투에서 보포스 40mm 대공포를 노획해 사용하였다. 일본 제국 육군은 노획한 보포스 40mm 대공포에 크게 만족하고 복제품인 "5식 중대공포"를 대량생산하려고 하였지만, 기술력의 부족으로 1945년에야 프로토타입 3문을 생산하는 데에서 그쳤고 당연히 실전 투입조차 하지 못했다.

7.2.2. 동남아시아

7.2.2.1. 베트남
7.2.2.1.1.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Vietnamese Navy sailors training on twin Bofors 40mm AA guns, 125th Brigade, 2nd Regional Command. June 2021.webp
베트남 인민 해군 소속 HQ-501 함 탑재 보포스 40mm 대공포, 2021년 6월
7.2.2.2. 필리핀
파일:Bofors 40mm AA gun operated by the Philippine Marine Corps Field Artillery Battalion.webp
필리핀 해병대 야전포병대대 소속 보포스 40mm 대공포
필리핀 해군과 해병대가 사용 중 이다.

7.2.3. 서아시아

7.2.3.1. 레바논
파일:Lebanese_Army_Bofors_40mm_AA_gun.jpg
레바논 군사 퍼레이드에서의 레바논군 소속 보포스 40mm 대공포
7.2.3.2. 키프로스
파일:memorial grounds Bofors 40mm AA gun.jpg
memorial grounds 소장 보포스 40mm 대공포

7.3. 아프리카

7.3.1. 중앙아프리카

7.3.1.1. 벨기에령 콩고
파일:Force_Publique_QF_40mm_Mk_III.jpg
벨기에령 콩고 국가헌병대 소속 QF 40mm Mk III
영국이 공여한 QF 40mm Mk III를 사용했다.

8. 미디어

미디어에 등장한 보포스 40mm포 모음

8.1. 영화

8.1.1. 그레이하운드

플레처급 구축함들이 부상한 U보트를 향해 이 포를 맹렬히 쏟아붓는 장면이 나온다.

8.2. 게임

8.2.1. 월드 오브 탱크

영국 저티어 경전차들의 주포로 등장한다. 원본이 대공포답게 관통력이 낮은 대신 클립식 탄창이기에 물장갑을 가진 전차한테는 꽤나 위협적인 포이다.

8.2.2. 월드 오브 워쉽

미 해군 중~고티어 및 연합군 함선들의 주요 중거리 대공포로 등장한다. 성능은 사거리안에 들어온 함재기들을 적당히 갈아버리는 무난한 화력이지만 평가가 꽤 좋은 편인데, 이는 주요 차용국인 고티어 미 해군이 압도적인 물량까지 더해서 달아놓기 때문에 막강한 중거리 대공화력을 보여준다. 특이하게도 일부 독일 순양함과 일부 고티어 일본 함선들이 각각 FlaK 28, 보포스 "치" 98식이란 이름으로 달고 나온다. 이는 노획한 것을 반영한 듯.

8.2.3. 워 썬더

M19 대공전차, M42 더스터, 크루세이더 AA Mk. I 대공전차, AMX-13 DCA 40, L-62 안티II 대공전차 등의 주무장으로 등장한다.이걸 갖고 있는 차량들이 대체로 BR 값을 높게 받아서 대전차 용도로는 좋은 소리를 듣지 못하지만, 대공용으로는 확실하다. 특히 미국과 고랭크 대공전차인 M247 서전트 요크와 스웨덴의 대공전차 VEAK 40은 근접신관 포탄을 사용하며, 심지어 스웨덴 IFV CV90 시리즈는 근접신관에 APFSDS까지 사용하여 대공과 대장갑에 모두 탁월한 능력을 보인다. 또한 해상전에서 많은 함선들이 대공방어용으로 보포스를 달고 있는데 미국 어뢰정은 이 포를 아예 주포로 사용하며, 애쉬빌급, 플레처급 구축함, 브루클린급 경순양함 헬레나 등등 포정부터 순양함까지 많은 미국 함선들이 이 포를 대공포로 사용한다. 또한 미국 말고도 보포스를 라이센스 생산했던 영국의 함선[12]들도 달고 있고 독일은 대전기의 노획 버전(4cm FlaK 28)과 전후 버전(MEL58)을 모두 사용하며, 일본 전후 함정들은 물론 심지어 이탈리아 함정들은 근접신관과 함께 사용하는 등, 소련 빼고는 모조리 사용하는 위엄을 보여준다.

8.2.4.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8.2.4.1.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영국군 측 방어 진지로 대지/대공 방어를 담당한다. 일단 짓기만 하면 보병과 장갑차를 뻥뻥 터뜨리는 죽창이기 때문에 돈이 많다면 짓는 것을 추천. 대신 기관총 진지를 대신할 생각은 하지말자. 대공포 주제에 사거리가 매우 짧다. 또 수동으로 조작하는데다 연사속도까지 느리기 때문에 대공용으로도 적합하지 않다. 재미있게도 오스트빈트처럼 탄약수가 새 클립을 넣는 묘사가 나온다.
8.2.4.2.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영국군이 다시 합류함에 따라 자연스레 같이 등장한다. 1편보다 연사속도와 제압력이 많이 오르고 대공 능력도 좋아졌다. 보포스 진지에 보병이 주둔하면 도대체 어떤 원리인지는 몰라도 곡사 포격이 가능해지는데[13] 보병에 대한 제압력이 확실하며 기본 사거리 밖에서 공격하는 적 유닛들을 때리기에도 좋다. 초기엔 보포스와 박격포 진지가 같이 박히면 정말 치가 떨리는 수준이었지만, 현재는 진지들이 너프를 많이 먹었고 또 보포스 빌드를 가면 영국에게 매우 유용한 AEC 장갑차를 뽑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무작정 보포스를 짓는 건 충 취급 당한다.

8.2.5. 전함소녀

2연장은 물론 가장 유명한 형태인 4연장과 영국 최후의 전함 뱅가드에 탑재되었던 6연장의 형태까지 등장한다.

8.2.6. 함대 컬렉션

2016년 3월 랭킹보상으로 첫 선을 보였다. 이후 2016년 봄 이벤트 보상과 아이오와 개장 장비로 등장했으며, 2018년 초가을 이벤트에서 추가된 고틀란트도 개장 장비로 들고 오게 되었다. MK. 12 4연장 마운트에 얹은 형태로 등장하며, 대공기총류 중에서 제일 높은 대공 수치는 물론, 화력에 장갑까지 늘려주고, 고사장치 기능까지 갖고 있는 만능 대공포다.

8.2.7. 벽람항로

2연장과 4연장, STAAG 버전이 등장하며, 5성 4연장은전열용 최강의 대공포로 자리하고있다.

8.2.8. 배틀필드 시리즈

8.2.8.1. 배틀필드 4
지휘관이 특정 지역을 점령했을때 점수로 소환하고 재배치 창에서 탑승 가능한 AC-130에서 2번자리에서 사용할 수 있다. 기관포로 중장갑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배틀필드 전통 상 전차를 포함한 모든 장비와 보병을 타격및 파괴, 사살할 수 있으며, 적당한 화력으로 인기가 매우 많다.[14]
8.2.8.2. 배틀필드 V
일부 맵에서 고정 화기로 등장한다.

8.2.9. 스틸 디비전 시리즈

영국군의 대공포로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공 등 영연방군 외에도 미군, 자유 프랑스, 체코슬로바키아, 자유 폴란드군 같은 다른 서방 연합군들도 대부분 받아 사용한다. 핀란드, 헝가리, 루마니아 등도 사용한다. 독일도 노획 버전을 사용한다.

역사대로 루마니아는 독일에게 받아서 써서 수량이 많지 않으나 라이센스 생산한 헝가리와 핀란드군에서는 대량으로 등장한다. 헝가리는 매우 많아서 40M 님로드도 많이 굴린다.

소련이나 독일군이 주력으로 쓰는 37mm 대공포보다 훨씬 성능이 좋다. 무조건 덱에 들어가서 마구 깔아주면 밥값 잘하는 카드다.

보병이나 경차량 상대로 지상 공격도 효과적이지만 멀티플레이에선 적이 터트리려고 눈에 불을 켜고 있기 때문에 후방에 숨겨두는 게 좋다.

8.2.10.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

파일:1712938683358.jpg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에서 등장한 오스트레일리아군 소속 보포스 40mm 포
영국군 진영의 오스트레일리아군 소속 방공기지로 등장한다.

8.3. 소설

8.3.1. 007 다이아몬드는 영원히

원작 소설에서 다이아몬드를 들고 도주하는 악역 잭 스팽의 헬리콥터를 제임스 본드가 이 무기로 완전히 끝장내버린다.

8.3.2. 데프콘

3부에서 한국 해군 위장잠수모함이 이 포로 기습해서 미군 구축함의 함교와 상부구조물을 벌집으로 만든다.

8.4. 만화

8.4.1. 걸즈 앤 판처

파일:GUPDFPRT1_23.jpg
걸즈 앤 판처에서 등장한 보포스 40mm 포
전차도 경기에서 예포로 사용된다.

9. 관련 문서

10. 관련 링크

영문판 위키피디아

11.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 화포
곡사포/야포 <colbgcolor=#fefefe,#1f2023> 18파운더 야포, 25파운더 곡사포, BL 60파운더, QF 3인치 곡사포, QF 3.7인치 산악 곡사포, QF 95mm 곡사포, QF 4.5인치 곡사포, BL 4.5인치 야포, BL 5.5인치 야포, BL 6인치 26cwt 곡사포, BL 6인치 야포 Mk XIX, BL 7.2인치 곡사포, BL 8인치 곡사포
대전차포 QF 2-파운더 대전차포, QF 6-파운더 대전차포, QF 17-파운더 대전차포, QF 32-파운더 대전차포
전차포 QF 2-파운더 대전차포, QF 3-파운더 전차포, QF 6-파운더 대전차포, QF 75mm, QF 3인치 곡사포, QF 17-파운더 대전차포, 77mm HV, QF 32-파운더 대전차포, QF 95mm 곡사포
대공포 QF 2-파운더 함상포, 오리콘 20mm 기관포, 보포스 40mm 포, QF 3인치 20cwt 대공포, QF 3.7인치 대공포
함포 QF 4인치 Mk.IV 함포, QF 4인치 Mk.V 함포, BL 4인치 Mk.IX 함포, QF 4인치 Mk.XVI 함포, QF 4인치 Mk.XIX 함포, QF 4.5인치 함포, QF 4.7인치 Mk.XI 함포, BL 4.7인치 45구경장 함포
다연장로켓 랜드 매트리스, 씨 매트리스, Z 배터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미군 화포
보병포 <colbgcolor=#fefefe,#191919> 37mm M1916 보병포
곡사포 75mm M1 경곡사포, 105mm M2 곡사포, 105mm M3 경곡사포, 155mm M1918 곡사포, 155mm M1 곡사포, 8인치 M1/M2 곡사포, 240mm M1 곡사포
평사포 M1 4.5인치 평사포, 155mm M1918 평사포, 155mm M1/M2 평사포 'Long Tom', 8인치 M1 평사포
대전차포 37mm M3 대전차포, 57mm M1 대전차포, 75mm M1897/A1/A2/A3/A4 대전차포, 3인치 M5 대전차포, 90mm T8 대전차포, 76mm T124/T124E2 대전차포, 105mm T8 대전차포
전차포 37mm M5/M6, 75mm 전차포 M2–M6, 76mm M1 전차포, 3인치 M7, 90mm M1/M2/M3, 90mm 73구경장 T15/T15E1/T15E2, 105mm M4 곡사포, 105mm 전차포 T5, 120mm 전차포 T53, 155mm 전차포 T7
대공포 37mm M1 대공포, 1.1 인치 75 구경장 대공포 "시카고 피아노", 40mm M1 대공포, 3인치 M1918 대공포, 90mm M1/M2/M3 대공포, 120mm M1 대공포
박격포 4.2인치 박격포, 리틀 데이비드
열차포 8인치 Mk.VI 열차포
다연장로켓포 T34 칼리오페 ( M8 로켓)
함포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6인치 47구경장 Mark 16 함포, 6인치 47구경장 DP Mark 16 함포, 12인치 50구경장 Mark 7 함포, 12인치 50구경장 Mark 8 함포, 14인치 45구경장 함포 시리즈, 14인치 50구경장 함포 시리즈, 16인치 45구경장 함포 시리즈, 16인치 50구경장 Mark 2/Mark 3 함포, Mark 7 16인치 50구경장 함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겨울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곡사포 <colbgcolor=#fefefe,#191919> 122mm M1909/37 곡사포, M-30, M-10, ML-20, D-1, B-4, Br-5
박격포 RM-38,RM-41, BM-37,BM-41, 152mm NM(M1931), 107mm M1938, 120mm M1938, 160mm M-1943
평사포 ZiS-3, F-22, M1927, M1943(OB-25), BS-3, A-19/19S, M1910, M1910/30, Br-2
대전차포 37mm 1-K, 53-K, M-42, ZiS-2, F-22, ZiS-3, D-10S, BS-3, M-60, M-75
전차포 ZiS-4, L-11, F-32, F-34, ZiS-5, D-5T, ZiS-S-53, D-10T, D-25T/25S
대공포 25mm 72-K, 37mm 61-K, 45mm 21-K, 76.2mm 3-K, 76.2mm 8-K, 76mm M1938, 52-K, KS-12
주요 화포 구경 76mm, 85mm, 100mm, 107mm, 122mm, 130mm, 152mm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곡사포 <colbgcolor=#fefefe,#191919> 91식 10cm 곡사포, 92식 10cm 캐논포, 12cm 캐논포, 96식 150mm 곡사포
야포/ 산포 90식 75mm 야포, 41식 산포, 94식 산포
대전차포/ 전차포 90/97식 57mm 전차포, 94식 37mm 속사포, 1식 기동 47mm 속사포, 시제 57mm 대전차포, 시제 105mm 전차포
보병포 11식 37mm 보병포, 92식 70mm 보병포
대공포 96식 25mm 고각기총, 98식 20mm 기관포, 5식 40mm 중대공포, 88식 75mm 대공포, 99식 88mm 대공포, 89식 12.7cm 40 구경장 함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국방군 화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차 세계대전
독일 국방군 화포
곡사포 평사포 <colbgcolor=white,#191919> 7,7cm FK 16, 10,5cm leFH 16, 10,5cm leFH 18, 10cm sK 18, 15 cm sFH 13, 15 cm sFH 18, 15 cm 카노네 16, 15 cm 카노네 18, 17 cm 카노네 18, 21 cm 뫼르저 16, 21 cm 뫼르저 18
보병포 7,5cm le.IG 18, 15 cm sIG 33
대전차포 PaK 36, 4,2cm Le PaK 41, 2,8cm s.Pz.B. 41, 4.7 cm Pak 181/183(f), 5cm PaK 38, 7,5cm PaK 97/38, 7,5cm PaK 39, 7,5cm PaK 40, 7,5cm PaK 41, 7,5cm PaK 42, 8 cm PAW 600, 8,8 cm PaK 43, 8,8 cm 라케텐베르퍼 43, 12,8 cm PaK 44
전차포 2 cm KwK 30, 3,7 cm KwK 36, 5 cm KwK 38, 5 cm KwK 39, 7,5cm KwK 37, 7,5cm KwK 40, 7,5cm KwK 42, 8,8cm KwK 36, 8,8cm KwK 43, 12,8cm KwK 44
대공포 2cm FlaK 30, 2cm FlaK 38, 2cm FlaKviering38, 3,7cm FlaK 18/36/37, 3,7cm FlaK 43, 5cm FlaK 41, 8,8cm FlaK, 10,5cm FlaK, 12,8cm FlaK, 8,8cm SK L/45 함포, 3,7cm SK C/30 대공포, 4cm FlaK 28
다연장로켓 15 cm 네벨베르퍼 41, 28/30 cm 네벨베르퍼 41, 21 cm 네벨베르퍼 42, 8 cm 다연장로켓 투사기
열차포 24 cm SK L/40 "테오도어 칼", 28cm SK L/40 "브루노", 28cm SK L/45 "랑에 브루노", 28cm L/92 "Schwere Bruno", 크루프 28cm-카노네 5(E), 38cm-카노네 (E) '지크프리트', 52cm 하우비츠 (E) 871(f), 80cm-카노네 (E) '구스타프'
기타 독일 국방군/7,5cm 구경 화포, V3
노획/외국제 화포 오스트리아(ö) 곡사포
대전차포
체코슬로바키아(t) 곡사포
전차포 3,7cm KwK 34(t), 3,7cm KwK 38(t)
박격포 8,14cm GrW 278(t)
폴란드(p) 곡사포
대공포 4cm FlaK 28(p)
소련(r) 곡사포
대공포 3,7cm FlaK 39(r)
대전차포 7,62cm PaK 36(r)
유고슬라비아(j) 곡사포
박격포 2,5cm GrW 309(j)
그리스(g) 곡사포
박격포
덴마크(d) 곡사포
대공포 2cm FlaK Madsen
노르웨이(n) 곡사포
대공포 4cm FlaK 28
프랑스(f) 보병포 3.7cm IG 152(f)
곡사포 15,5cm K 416(f)
전차포 2,5cm KwK 121(f), 3,7cm KwK 144(f)
네덜란드(h) 곡사포
박격포 8,14cm GrW 278(h)
벨기에(b) 곡사포 15,5cm K 416(b)
박격포
영국(e) 곡사포
전차포 4cm KwK 171(e), 9,4cm KwK 311(e)
미국(a) 곡사포 24cm H 561(a)
열차포
이탈리아(i) 곡사포
대공포 2cm FlaK Breda 282(i)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둘러보기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의 미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곡사포 <colbgcolor=#ffffff,#191919> M101A1S, M102, M119A1, M119A2, M119A3, M198R, M284, M777, M777A1, M777A2, M777ER, XM907, XM297E2
박격포 M120, M120A1, M121, M224, M224A1, M252, M252A1, M252A2, M327R, Mk.2 Mod.0, Mk.2 Mod.1R, Mk.4 Mod.0R, RMS6L, XM905, XM326
무반동포 M3, M3A1, M3E1, M67R, M136, M136A1
함포 Mk.7R, Mk.12R, Mk.38 Mod.0, Mk.38 Mod.2, Mk.38 Mod.3, Mk.45 Mod.2, Mk.45 Mod.4, Mk.46 Mod.2, Mk.75 Mod.0, Mk.110 Mod.0, Mk.51
전차포 M35, M68A1, M68A2, M81E1, M81E1, M162, M256, XM360
기관포 다포신 GAU-8/A, GAU-12/U, GAU-22/A, M61A1, M61A2, M197, XM301
단포신 Mk.12R, GAU-23/A, L/60R, M39, M39A1, M39A2, M39A3, M230, M230A1, M230LF, M242, XM813, XM913
※ 윗첨자S: 비축 또는 예포로 운용
※ 윗첨자R: 퇴역 상태
취소선: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2478ff> 소총 <colbgcolor=#2478ff> 볼트액션 <colbgcolor=#FFFFFF,#191919> 모신나강, PTRD-41
반자동소총 SVT-40, SKS, SUB-2000D, Springfield Saint, NEA-15, POF P415, 루거 AR556, Adams Arms P1D MSR-15, POF 레볼루션, KMR-A, PTRS-41, 루거 SFAR
돌격소총 StG44, AKM, AKMS, AK-63D, 56식 자동소총C, PM md. 63.D, AR-M9D, MPi-KM-72, AK-74*, PM md. 90.D, AKS-74U, Vepr*, AK-74MC, KM-AKC, AK-103C, AK-12C, FNCD, Vz.58D, M70D, M14D, M16A2D/ M16A4D, G3D, FN FALD, M4A1D, G36KD, SCAR(L/H)D, F2000D, Wz.88D, C7(A1/A2/NLD)D, MSBS GrotD, SIG516, H&K HK416D, QBZ-97, DDM4, ARX-200, M5 카빈D, MDRX, ACARD, CETME LD, FAMASD, XCR, IWI Zion-15
저격소총 Fort-301*, Z-008, VPR-308*, Z-10, SVD, SVDMC, 85식 저격소총, PSL, M82*, M99, M107A1, ZVI 팔콘D, AW308D, AXD, 레밍턴 M700D, FR-F2D, M98D, SV-98C, T-5000C, OSV-96C, KSVKC, WKW WilkD, HLR 338D, Snipex T-Rex, Snipex Rhino Hunter, Snipex Alligator, Snipex 모노마흐, Snipex M100, Savage 10, Savage 110, M21 SWSD, M24 SWSD, SIG SSG-3000*, SRS-A1, HTI, TAC-50, C14D, LRT-3D, CADEX CDXD, RPR*, RAR*, SIG100*, SIG CROSS, R93*, 부시마스터 BA50, BFG-50, PGM 헤카트 II, FA-50T, TASCO 7ET3
기관단총 PPSh-41, PPS-43, 톰슨 기관단총, MP40, 칼 구스타프 m/45, Vz.23, MP5*, Vz.61D, KRISS VectorD, UZID, Z-84 Corto, 루거 MP9*, Fort-230, 보르즈 기관단총, PM-63D, SP9, Aselsan SA-9
권총 PM, Makarych*, TT-33,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4, M1911A1, PPK, 발터 P22, P08, VIS Wz.35, PSM*, Fort-12*, Fort-14TP, MP-443C, GSh-18C, CZ75D, CZ P-07D, P-10CD, M9D, R7 MakoD, SFP9D, SIG P320, Canik TP9, PL-15C
지원화기 기관총 DP-27, DP-28,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SGMT, RPK, RPK-74, 자스타바 M72, PK, PKM, 자스타바 M84D, MG-1MD, Mayak K(T/M/TM), PKPC, KordC, KPVC, DShK, DShKM, NSV, PM M1910, RPD, Vz.59D, MG34, M53D, CETME AmeliD, MG3, MG42/59D, M60, Ksp 58D, C6D, M240D, FN 미니미D, C9D, C9A2D, M2(A1)D, AN/M3D, M249D, M249E3D, W85, UKM-2000PD, AAT-52D, PZD 556D, MG5D, Laska K2, Ares Shrike, M134D, MMG556D
유탄발사기 UAG-40*, 댜코노프 총류탄, AGS-17, AGS-30C, RGM-40, RG-6C, GP-25, GP-34C, Fort-600, GM-94C, Mk.19 Mod.3D, M32D, RGP-40D, AG36D, M320(A1)D, M203D, UGL-40, GMGD, FN40GLD, RDS40D, 팔라트D, M11 RGDD, RG-1
대전차화기 대전차로켓 RPG-7, RPG-7V, RPG-7D, 69식 화전통, ATGL-L, LGL-7D, PSRL-1, PzF 3D, RPG-16, RPG-18, RPG-22, BULSPIKE-AT, DRTG-73D, M80 Zolja, M72A5, NM72F1, M72 ECD, RPG-26, RPG-27, RShG-1, RPG-29, RPG-30C, RPG-32, RPG-76D, SMAWD, M141 BDMD, RGW-90D, APILASD
대전차 미사일 Corsar, 스키프, 쉐르쉔, 아뮬렛, 9K115-2, 9M113, 9K111, 9K135C, NLAW, FGM-148, 밀란 대전차 미사일D, TOWD, RBS 56D, 아케론 MPD
무반동총 SPG-9 "Spis", AT4D, 칼 구스타프 M4D, C90D, Pvpj 1110D, Alcotán-100D, RPO-A, RPV-16, RPG-75(M)D
박격포 82-BM-37, KBA-118, KTH1, LMR-2017D, m/68D, leGrW 36, M224 LWCMSD, 63식D, MP-60, M60-16, UB-81, UPIK-82, M60CMAD, KBA-48M, M69A, 20N5D, 2B9, 2B14, M252 MERMD, HM-16, HM-19, M84D, 2B16, Vz.82, М120-15, 2S12, 120-PM-43, MP-120, M74D, 120 KRH 92D, Mod.63D, MO-120-HBD, M120 BMSD, M240
견인포 122mm 2A18 D-30, 85mm D-44, 85mm D-48, BS-3, 100mm 2A19 MT-12, 152mm M1955 D-20, M-46, 150mm 2A65, 152mm 2A36, M2A1D, M101D, { M114}D, M119D, L119D, M777D, FH70D, TRF1D, Mod.56D
대공포 보포스 40mm 포D, 57mm S-60, KS-19, L/70D, ZU-23, 자스타바 M55D, 자스타바 M75D, 72-K, 오리콘 GDF, { MANTIS}
맨패즈 9K310, 9K38, PiorunD, 9K32, 9K34, FIM-92, Starstreak HVM, 미스트랄D, LWM 마틀렛D, SungurD, RBS 70D, Anza 2D
자폭 무인기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피닉스 고스트D, UJ-32 Lastivka, 라텔-S
지뢰 TM-57, TM-62M, PTM-1, PTM-3, MON, OZM-72, AT2D, DM12 PARM-2D, PTKM-1RC, DM-31D, M18A1D, Mini HailstormD, POMZ, PFM-1, HPD-2A2D, M/47D, M/56D, Mi AC AH F1D, FFV-028D, M/52D, PMN, RAAMD, PK-14D, PT Mi-BaD, C-3-BD, M86 PDMD, YaRM, L9A1D, M15D, M21D
폭약 M112D, M/97D, KZ-6, C4D, PENOD, M1 관형폭약D, M2A4D, UR-83P, Minröjningsorm 1D, AO-1Sch, UYA-95-1.5
수류탄 F1 수류탄, RG-42, RGD-2, RGD-5, RKG-3, M67, OF 37, DM41D, DM51D, DM61D, M/54D, L109D, RGR, RG-60TB, Sirpalekäsikranaatti M50D, F1D/N, GHO-1D, Mecar M72D, M50 P3D, NR20C1D, PGN-60
비치사성무기 M18D, DG-01, L83A2, L84A3, Zarya-3, UDSh, M4A2
<colbgcolor=#ffe400>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Fort-221, Fort-223, Fort-224*, MCX, ACR, AS Val, ASM ValC, Malyuk, WAC-47, Z-15, Fort-227, Fort-228, Fort-229, CZ 브렌 2D, AUG HBARD, AK-105C, C8D, 헤넬 MK556, CR 308D. DD Mk.18D, SIG716, 콜트 M933, HK433
저격소총 VSS, TRG-22, T3, TS.M.308, TS.M.338, HS.50, M110 SASS, CheyTac Intervention, Horizon's Lord, 베레타 Victrix Corvus*, 바렛 MRAD, SAN 511*, Mk.14 EBRD, HK417D, VSSKC, M1500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스콜피온 EVO 3, P90, PP-91C, MPX, APC9 PRO*, B&T MP9*
산탄총 Saiga-12*, Fort-500, Fort-500T, Fort-500M*, KS-23, 모스버그 500D, 베넬리 M4D, TOZ-87, BTS12*, RS S1, CZ1012, Target X7, M26 MASS, Sierra 12, KSG
권총 스테츠킨 APS, SPP-1, Fort-17, Fort-20, Fort-21, PB, 글록 17/19/45D, Fort-15, 나강 M1895, CZ82D
기관총 Fort-401
수류탄 RGO, RGN, Mk.14 Mod 0 ASMD, RGT-27S, RGT-27S2
*: 우크라이나 내무부 예하 및 준군사조직에서 사용
C: 노획 장비
D: 여러 국가들에서 지원물자로 기증
{중괄호}: 도입 예정 장비
N: F1 수류탄과 이름만 같은 현대적인 호주산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화포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292d>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추축군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냉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현대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1] 장수만세 무기의 다른 예로는 개발된 지 100년이 다되어 가는 M2 브라우닝 중기관총과 1911년에 미군에 제식 채용되어 70년이 넘게 사용되다 퇴역하고 민수용으로는 지금도 쓰이는 M1911 권총이 있다. [2] 37mm 1파운더 폼폼 포의 확장형. QF 2파운더 Mk 2라고 불린다. 포탄의 파괴력이 강해지고 포구초속이 700~730 m/s로 빨라졌지만(기존의 37mm 1파운더 폼폼 포는 550 m/s), 고장을 자주 일으켰다. [3] 그리고, 머지않아 보포스는 155mm 52구경장 곡사포를 자동으로 쏴대는 북유럽의 결전병기 반드카논 1을 개발한다. [4] 포에서 발사되어 나간 탄자의 무게. 탄피와 발사용 장약을 포함한 카트리지 전체 무게는 약 2.5 kg이다. [5] 5발짜리 클립을 다 쓰면 클립을 제거하고 새 클립을 보충해야 하기 때문에 5발을 소모하는 2.5초 동안만 발사속도가 유지된다고도 하는데 보포스는 클립을 자동으로 배출하므로 굳이 다 쓴 클립을 손으로 제거해 줄 필요가 없다. 따라서 먼저 장전된 탄들이 다 소모되기 전에 클립을 미리 보충하는 방법으로 발사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6] 문서 최상단에 워게이밍이 올린 보포스 대공포의 소개영상 7분 11초에서 장전수의 역할과 간단한 장전과정을 알려주고 있다. [7] 1980년대 초반에 새로 개장한 OO지역 어린이대공원에 국군의 날기념으로 인근 모 보병사단에서 장비전시회를 했는데 전시된 장비 중에 이 보포스 40mm 대공포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10살 남짓한 국민학생(지금의 초등학생) 두 명이 양쪽에 앉아 웃으면서 돌리고 있었을 정도로 부드럽게 작동되었다. [8] 초기형 40mm lvakan m/48 포는 분당 240발을 발사할 수 있었지만,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분당 330발까지 연사력을 높였다. [9] 하지만 탄자의 무게는 오히려 조금 더 가벼워졌다. [10] LPD 였다. [11] # [12] 타운급 순양함 벨파스트에 달린다. [13] 보포스가 쏘는 40mm 탄의 탄속, 사거리 등을 생각하면 겨우 그 정도 거리에 탄환이 땅을 향해 곡사로 뚝 떨어지는 건 말이 안 된다. [14] 1번자리는 대장갑및 대보병 화력이 매우 세지만 탄약에 제약이 매우 크고, 3번자리의 경우 대보병 및 사격 각도 아래의 저고도 대공 화력으로 우수하며 탄약 제한이 없는 녀석이나, 중장갑 차량에게는 피해는 들어가나 대미지가 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