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에 대한 내용은 장수말벌 문서 참고하십시오.
세계의 근접 방어 무기 체계(CIWS)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개발 국가 | 기관포 | 대공 유도탄 |
<colbgcolor=#c3d2ea,#15243c> 팰렁스 | <colbgcolor=#c3d2ea,#15243c> | ||
SGE-30 골키퍼 | |||
하이첸-1 | |||
노봉 | CIWS-II | 해궁 | ||
RIM-116 RAM | |||
RAPIDFire | VL-MICA | 사드랄 | 크로탈 | ||
CAMM | 시울프 | 시캣 | |||
메로카 | |||
밀레니엄 | 시 제니스 | |||
DARDO | 오토멜라라 76mm 함포 | |||
바락 1 | |||
괴크데니즈 | |||
데넬 35mm 양용포 | 움콘토-IR | ||
<colbgcolor=#954f4f> | AK-230 | AK-630 | AK-630M1-2 | 카쉬탄 | 팔마/팔라시 | 판치르-ME | 3K95 킨잘 | 4K33 오사-M | 9K32 스트렐라-2 | |
H/PJ-12 730식 CIWS | H/PJ-11 1130식 CIWS | HHQ-10 | FL-3000N | HHQ-7 | HQ-61 | }}}}}}}}} |
1. 개요
1996년 개발된 최초의 국내 개발 함포로 40 mm 구경의 쌍열포이다. 대한민국 해군과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함정에서 사용하고 있다. SNT중공업에서 생산한다.
노봉 개발 이전에 대한민국 해군은 이탈리아 브레다(Breda) 사[1]가 보포스 40mm L70 대공포를 기반으로 만들었던 다르도(DARDO) CIWS를 수입해서 포항급 초계함, 울산급 호위함 등에서 그럭저럭 잘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국내 개발을 하는 쪽이 추후 국내 정비 및 후속 군수 지원에 용이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자체 개발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즉, 보포스 40mm 함포나 다르도 CIWS의 면허 생산이 아닌 독자 개발품이다.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1988년 개발에 착수하여 1996년 개발을 완료하였다. 이후 장수말벌처럼 적이 두려워하는 존재가 되라는 의미로 장수말벌을 뜻하는 노봉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유효 사거리는 대함 6 km, 대공 4 km이며, 분당 발사율은 포신당 310발인데, 쌍열 구성이므로 포탑당 620발이다. 준비탄은 총 768발을 보유하여 재급탄 없이도 10회가량의 교전을 할 수 있고, 사용 가능한 탄종은 성형파편 고폭탄, 철갑탄, 예광탄, 연습탄 등 다양하다. 기존의 다르도 CIWS보다 우수한 사격통제장치와 포신 안정화 장치 덕분에, 이전 세대의 40mm 함포들보다 정밀도가 높다. 제조사의 설명에 따르면 소형 함정이나 대함 미사일을 상대할 수 있으며, 마하 2의 초음속으로 공격해오는 표적에도 대응할 수 있다고 한다. 참고로 팰렁스나 골키퍼와 같은 소구경 함포와는 달리 노봉 포탑에는 사격 통제 레이더가 붙어있지 않는데, 원래 40mm 이상의 함포에는 포탑에 사격 통제 레이더를 직접 탑재하지 않고 함교 위에 따로 올려놓는 경우가 많다.
개발 이후 주로 2선급 함선부터 차례로 장착되다가 윤영하급부터 1선급 함선에도 장착되었다. 고준봉급과 천왕봉급 상륙함, 윤영하급 그리고 원산급 기뢰부설함에서 사용 중이다. 단 고준봉함은 설계 당시 장착이 고려되지 않아 갑판 밑 공간이 부족해 보포스 40mm 쌍열포 국산화버전을 장착했는데, 2번함부터는 해결되었다. 개발 시에는 차후 해군의 고속정, 초계함, 호위함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것을 전제로 하였으나, 2016년 2월 기준으로 PKX-B, 대구급 등 차기 건함 계획에서는 노봉 채용이 없다.
노봉을 CIWS로 봐야하는가에 대해 논란이 많지만, 성능 여부를 떠나서 제조사와 해군의 설명으로는 충분히 CIWS로 볼 수 있다. 일단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대수상, 대공, 대미사일 전투를 하는 함포라 CIWS의 정의에 완벽히 일치한다. 이탈리아에서는 노봉보다 구형인 다르도 컴팩트에도 CIWS라고 이름을 붙였으니, 정밀도가 더 높은 노봉을 CIWS로 치는 것이 비양심적이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해군에서 2026년까지 팰렁스를 국산으로 대체하는 사업을 CIWS-II라고 하는데, 2라는 숫자가 붙은 이유는 노봉이 첫 번째 국산 CIWS이기 때문이다
물론 40mm 구경의 함포라서 대함 미사일을 상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함포의 구경이 커질수록 사거리와 한발한발의 펀치력은 증가하지만, 연사력과 정밀도는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큰 비행기를 격추할 때에는 큰 구경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반면에, 작고 빠른 미사일을 격추하는 데에는 연사력과 정밀도에서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대미사일 방어에서는 빠른 연사력을 갖추는 것이 최고존엄이기 때문에 노봉의 분당 600발 수준의 연사력으로는 애로사항이 꽃피게 된다. 물론 40mm 포탄에 근접신관을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근접신관이 없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는 정도이지, 몇발 쏘면 상대가 펑펑 격추된다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2 km 이내의 짧은 거리에서는 분당 3,000발 이상을 우습게 뽑아내는 20~30mm 소구경 CIWS에 비할 바가 못된다.[2] 만약 노봉의 연사력을 높일 경우 그만큼 무게가 엄청나게 증가하고 가격도 상승하기 때문에, 차라리 작은 20mm 대공포에 대공 미사일 몇발을 조합하는 것이 더 낫다. 다만 스틱스 대함 미사일처럼 커다란 구형 대함 미사일에는 충분히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고, 역시 덩치가 큰 초음속 미사일에 대해서는 오히려 긴 사거리의 이점을 살릴 수 있다.
낮은 연사력을 보완하려면 현재의 쌍열포를 발칸포처럼 다연장화하는 것인데 그러기에는 너무 덩치가 커지고 리볼버식으로 하면 단포신으로도 분당 1천 발 정도까지는 가능하므로 고려해볼만 하다. 35밀리 오리콘 대공포의 연사속도를 올린 밀레니엄 CIWS도 있다. 전체 무게 3.7톤으로 쌍포신 DARDO (연사속도 450*2 = 분당900발)의 5.5톤보다 훨씬 가볍다.
육군의 K-21 보병전투차량의 주포인 K40 40mm 기관포는 노봉을 단포신화 한 파생형이다. 원래 해군 함정용 포탑에서 쌍열로 사용하던 것을 보병전투차의 포탑 안에 단포신으로 탑재하느라 많은 부분이 재설계 되었다고 한다.
2. 평가
밀리터리 커뮤니티들에서는 평이 굉장히 나쁘다. 개발된 지 20년이 넘은 구식에 덩치는 커서 공간 많이 잡아먹고 신뢰성 이슈로 원성이 자자하다. 이는 2014년 10월 7일 윤영하급 3번함 조천형함은 NLL을 남하한 북한 경비정을 격퇴하던 중 노봉이 겨우 29발만 쏜 후 불발탄이 걸린 사건으로 심해진 경향이 있다. 오히려 더 구식인, 한국 해군이 예전 쓰던 2차대전 모델을 포함한 보포스 40mm 포가 쏘기만 하면 나가는 신뢰성으로 유명한 것과 확실히 대조적이다.비교적 함포가 중요하지 않은 해경은 삼봉급 등에 그냥 계속 달고 쓰지만, 해군에선 한산도급 훈련함을 마지막으로 채용하지 않고 있으며 한산도급의 노봉도 신뢰성 문제 때문에 "그거 말고 다른 거 달지 그랬냐"는 말이 많이 나온다.
따라서 2018년 기준으로 PKX-B, 대구급 등 차기 전투함 계획에서는 노후화와 성능 문제로 인해 채용이 없다. 다만 이상하게 최신훈련함인 한산도급 훈련함에 또 채용되었다. 이는 예산 문제로 보이는데, 한산도함은 타국 훈련함보다 1000억 원가량 저렴하게 건조되었다.
밀덕계에서는 K-30 비호 주포, 인천급 RAM 발사대와 함께 교체 떡밥 3대장인데 비호가 옹호 의견도 강하게 제기되는 반면 노봉은 돈만 있으면 무조건 바꾸자는 대동단결이다. 다만 한국해군 예산상 천지급 군수지원함같은 지원함에 달아둔 노봉까지 교체하기는 힘드니 전방에서 뛰는 윤영하급 노봉이 주 교체 떡밥이다. 해궁이나 다른 CIWS를 달자는 것. 하지만 해군 상황상 현재로선 요원하다. 해군으로서는 지금 구축 중인 호위함 전력이 훨씬 중요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윤영하급의 주포도 아닌 부포 문제는 중요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
이런 이유 때문에 이순신급의 레이더, 인천급의 VLS와 더불어 윤영하의 노봉으로 '대공에 신경 안쓰는 한국 해군'으로 심심하면 까이며 차라리 DARDO나 AK-630 같은 구형 CIWS 만도 못하다는 평을 듣는 무기체계다.
하지만 이런 비난은 어느 정도 과장된 면이 있는데, 신뢰성은 국산화 초기 전자계통 이슈를 제외하면 조천형함 이슈가 유일한데 조천형함은 주포가 먼저 탄이 걸려서 노봉으로 사격했는데 노봉도 탄이 걸린 것이다.
3. 사용탄약
40mm × 365mmR- K216 HEIT 고폭소이예광탄
- K217 TP-T 연습예광탄
- K218 PFHE 성형파편고폭탄
- K219 AP-T 철갑예광탄
4. 바리에이션
5. 같이보기
그 외 사진 링크카탈로그
현대 함포 | ||
명칭 | 구경 (mm) | 제조국가 |
시벌컨 | 20 | 한국 |
25mm Mk.38 기관포 | 25 | 미국 |
MLG-27 기관포 | 27 | 독일 |
Mk.46 Mod.2 부시마스터-II 함포 | 30 | 미국 |
에머슨 30mm 쌍열포 | 30 | 미국 |
노봉 | 40 | 한국 |
보포스 57mm 함포 | 57 | 스웨덴 |
오토멜라라 76mm 함포 | 76 | 이탈리아 |
KP-76L/62 76mm 함포 | 76 | 한국 |
AK-176 76mm 함포 | 76 | 러시아 |
H/PJ-26 76mm 함포 | 76 | 중국 |
79A식 100mm 2연장 함포 | 100 | 중국 |
210식 100mm 함포 | 100 | 중국 |
프랑스 100mm 함포 | 100 | 프랑스 |
AK-100 100mm 함포 | 100 | 러시아 |
Mk.8 4.5인치 함포 | 113 | 영국 |
AMOS 지상 지원용 2연장 박격 함포 | 120 | 스웨덴 |
Mk.45 5인치 함포 | 127 | 미국 |
오토멜라라 127mm 컴팩트 함포 | 127 | 이탈리아 |
오토멜라라 127mm 라이트웨잇 함포 | 127 | 이탈리아 |
H/PJ-38 130mm 함포 | 130 | 중국 |
AK-130 130mm 2연장 함포 | 130 | 러시아 |
칼리챠-F | 152 | 러시아 |
AGS 155mm 함포 | 155 | 미국 |
기타: 현존하는 모든 해상 근접 방어 무기 체계 |
[1]
1990년대 말에 브레다가 망한 이후에는 오토멜라라(OTO Melera)에서 함포 생산라인을 인수했다.
[2]
거리가 멀수록 격추확률이 감소하기 때문에 2km 이상의 먼 거리에서는 어느 대공포 기반 CIWS라도 대함 미사일을 격추하기가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