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개통 예정인 광주 2호선의 전철역에 대한 내용은 광주 도시철도 2호선/211정거장 문서
, 북한 평북선의 백운역에 대한 내용은
백운역(평북선)
문서
참고하십시오.백운역 | ||
연천 방면 부 평 ← 1.7 ㎞ |
1호선 (153) |
인천 방면 동 암 1.5 ㎞ → |
역명 표기 | ||
경인선 |
백운 Baegun 白雲 / 白云 / [ruby(白雲, ruby=ペグン)] |
|
1호선 | ||
주소 | ||
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55번길 14 ( 십정동 541-1)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백운그룹[1] /
KN 광역사업처) ( 인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
운영 기관 | ||
경인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인선 | 1984년 11월 20일 | |
1호선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2복선 쌍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구로 방면 부 평 ← 1.7 ㎞ |
경인선 백 운 |
인천 방면 동 암 1.5 ㎞ → |
[clearfix]
1. 개요
구 역사(1984년 준공, 1999년 철거) |
현 역사(2002년 준공) |
2. 역 정보
백운역 안내도 [[https://drive.google.com/file/d/11hduONnsWGRYs0mQJjki3OOwtCDpuGhQ/view?usp=drive_link|{{{#fff 크게 보기}}}]] |
경인선이 개통될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80년대 중반 인근 지역에 대단위 현대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역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을 예상하여 백운역을 설치하게 되었다.
'백운역(白雲驛)'이라는 이름은 백운역 근처에 백운사라는 절이 있어 개통 당시 이 지역 주민들이 역 이름을 공모해서 지었다. 공모 당시 지역명이 십정동이라는 이유로 "십정역", 또 그 주변 동네의 오래된 이름인 신촌[2]을 따서 "신촌역" 등의 의견도 나왔고 나름 유력하기도 했으나 백운이 어감이 좋다고 해서 백운역이 되었다.
초창기 백운역사는 오르락내리락 할 필요없이 골목길에서 개찰구를 찍고 들어가면 바로 승강장, 그리고 반대편 길에서도 개찰구 찍고 들어가면 바로 승강장인 바로타 구조, 승강장 내에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가기 위한 육교 하나뿐이어서 승객의 입장에서 어떤 의미로는 편리했다. 앤틱한 멋을 더하는 나무판자 승강장과 비가 오면 물이 새는 함석 지붕(그것도 반만 덮인)도 있었다. 당시에는 백운역 뿐만 아니라 동암역, 제물포역 등 거의 모든 경인선 역사가 이랬다. 급행열차 운행을 위해 2복선으로 뜯어고치면서 모든 역들이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 스크린도어가 오랫동안 설치되지 않았던 역들 중 하나였으나 2017년 12월에 완공되어 가동 중이다.
역의 위치도 2복선화 공사 전후가 다르다. 복복선화 공사 전에는 지금보다 150m 정도 부평역 쪽으로 올라가 있었다. 지금의 공영주차장 위치가 과거의 역광장이었는데 2000년대 초반 2복선화와 함께 신축역사를 지으면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과거 위치는 인천광역시 지도포털에서 제공하는 과거 항공영상지도에서 확인 가능하다.
백운-동암 구간은 백운역 자체가 2개의 큰 산 사이를 철도가 지나가게 하기 위해 만든 곳이라, 산을 깎아 아주 깊게 파서 선로를 놓은 구간이라 주변의 지대가 훨씬 더 높다. 주변 지대 기준으로 보면 웬만한 지하철보다 깊다. 선로 바로 옆쪽 길에서 선로를 내려다보면 큰 산의 낭떠러지처럼 보인다.
3. 역 주변 정보
이 역에서 그다지 멀지 않은 곳에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삼거리역이 있다.인근은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함봉산 등의 야산에 둘러싸여 있는 언덕지대에 역이 있다.
20번 버스 종점이기도 했지만 2012년 6월 5일부로 백운역 ~ 부평시장 구간이 연장되어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간선버스는 더 이상 없다. 송내역으로 노선이 번경되며 이 역을 경유하지 않았지만 2020년 12월 31일부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가 개편이 되어 20번 버스가 다시 돌아왔다. 백운역을 경유하는 간선 버스들은 모두 부안고가교 상에 있는 정류장을 이용하므로, 간선 버스 이용 시 1번 출구로 나와 고가도로를 올라가서 이용해야 한다. 경원대로를 경유하는 버스를 이용하려면 부평도서관이나 현대아파트 정류장을 이용한다. 2번 출구로 나와서 환승센터에서 인천 버스 564나 인천 버스 568(현대백화점 방향), 인천 버스 556(삼산동 방향)을 타면 현대아파트 정류장으로 갈 수 있다.
2번, 3번 출구 앞에는 산곡동, 부평동 방면의 부평구 지선 버스들이 대거 들어오며 동암역, 간석동 방향의 노선도 들어온다.
3.1. 출구 정보
백운역 출구 정보 | |
1 |
부평3동행정복지센터 희망공원 인천부평남초등학교 인천백운초등학교 인천혜광학교 제일고등학교 십정공원 십정2동행정복지센터 |
2 |
부평아트센터 십정119안전센터 인천상정고등학교 인천상정중학교 인천상정초등학교 백운공원 인천아시안게임 십정경기장 십정체육공원 인천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 부평생활문화센터 공감168 |
3 |
백운지구대 부평도서관 부평서여자중학교 부평서중학교·인천신촌초등학교 부광고등학교 부평공원 산곡동 방면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8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84년 | 6,854명 | |||
1985년 | 11,420명 | ||||
1986년 | 16,938명 | ||||
1987년 | 19,168명 | ||||
1988년 | 24,527명 | ||||
1989년 | 25,645명 | ||||
1990년 | 30,506명 | ||||
1991년 | 41,078명 | ||||
1992년 | 42,376명 | ||||
1993년 | 39,891명 | ||||
1994년 | 37,520명 | ||||
1995년 | 36,623명 | ||||
1996년 | 37,685명 | ||||
1997년 | 39,238명 | ||||
1998년 | 37,971명 | ||||
1999년 | 44,852명 | ||||
2000년 | 26,707명 | 비고 | |||
2001년 | 31,074명 | ||||
2002년 | 32,785명 | ||||
2003년 | 35,316명 | ||||
2004년 | 24,067명 | [3] | |||
2005년 | 23,034명 | ||||
2006년 | 22,421명 | ||||
2007년 | 21,951명 | ||||
2008년 | 21,770명 | ||||
2009년 | 21,198명 | }}}}}}}}} | |||
2010년 | 22,381명 | ||||
2011년 | 22,347명 | ||||
2012년 | 19,937명 | ||||
2013년 | 17,968명 | ||||
2014년 | 18,496명 | ||||
2015년 | 18,661명 | ||||
2016년 | 18,412명 | ||||
2017년 | 18,275명 | ||||
2018년 | 17,782명 | ||||
2019년 | 17,350명 | ||||
2020년 | 11,899명 | ||||
2021년 | 11,848명 | ||||
2022년 | 12,437명 | ||||
2023년 | 13,417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여느 경인선의 역들이 그렇듯 이 역도 해가 갈수록 승객이 줄어들고 있다. 2000년에 하루 2만 7천 명 가까이 이용하던 것이 한해 천 명 가까이 이용객이 빠지다가 2000년대 후반에 하락세가 조금 완화되고 2010년에 소폭 반등하였으나, 2012년에 일평균 2만 명이 무너졌다. 그 후 꾸준히 하루 1만 8천여 명이 이용하고 있어, 2010년대 중반 기준으로는 2000년에 비해 불과 2/3 수준의 사람들이 이 역에서 열차를 이용한다.
백운역의 위치가 언덕배기여서 역세권이 매우 미약할 뿐만 아니라 이용이 불편하다는 점이 큰 걸림돌이다. 실제로 백운역 북부역의 현대아파트 단지를 제외하면 주변에 이렇다 할 아파트단지가 없고, 근처 주택들도 재개발 상태이다. 그나마 2010년대 중반부터 이용객 숫자가 보합세를 보이는 것은 2010년에 개관한 부평아트센터가 방패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실질 역세권 주민 이용률은 여전히 감소 추세이다. 그래도 이용객은 만 명은 넘기고 있다.
힐스테이트 부평이 완공되고 입주가 시작되어 이용객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가 백운역으로부터 1.5km 정도 떨어진 군부대를 이전하고 그 자리에 5,400세대 규모의 공동주택을 지을 예정이다.[4]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이용객 수가 늘어날 것이다.
5.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작업 전의 승강장 |
스크린도어 설치작업 중의 승강장 |
↑ 부평 | ↑ 통과 | 부평 ↓ |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 동암 | 통과 ↓ | 동암 ↓ |
1 |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 | 부천· 구로· 광운대· 소요산 방면 |
2 | 급행 | 당역 통과 | |
3 | |||
4 | 완행 | 동암· 제물포· 동인천· 인천 방면 |
2017년 12월, 1, 4번 승강장의 스크린도어가 완공되어 가동 중이다. 용산 급행은 이 역부터 부평역에 도착할 때까지 서행한다.
구 역명판 |
현 역명판 |
6. 연계 교통
6.1. 버스
시내버스 정류장 | |
1번 출구[5] | |
백운역 (40-079) |
''' 간선 '''
2,
14-1,
20,
30,
34,
111-2
|
백운역 (40-080) |
''' 간선 '''
2,
14-1,
20,
30,
34,
111-2
|
2, 3번 출구 | |
백운역 (40-716) |
''' 지선 '''
539,
564,
564-1,
568[6],
556[7],
567,
569
|
백운역(하행)[8] (40-901) |
''' 지선 '''
556[9]
|
7. 사건 사고
- 2009년 5월에는 정신지체 중학생이 여대생을 승강장으로 떠민 사건이 발생했으며 다행히 주변에 있던 승객들이 황급히 손을 흔들자 이를 본 기관사가 급제동을 걸어 아무런 일도 없었다. 중학생은 대학생이 갖고 있던 MP3 플레이어가 탐나서 그랬다고 한다.[10] 이 사건 후 8년이 지나 2017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 2015년 9월 16일 수요일에 오피스텔을 짓던 타워 크레인 2대가 백운역~부평역 구간의 선로로 전도되었다. 다행히도 지나가는 전철이 없어서 큰 참사까지 가지는 않았으나 인천행 1호선 열차가 부천역까지만 운행하게 되어 큰 혼잡을 빚었다. 이 사고로 인해 경인로를 통해 1호선과 거의 평행으로 달리는 부천 버스 88의 혼잡도가 극에 달했다. 열차는 17일 첫 차부터 정상화되었다.[11]
- 2015년경 이사를 하던 사다리차량의 사다리가 도로 위로 넘어가면서 백운-동암 구간 사이의 아파트 방음벽에 걸쳐지는 사고가 있었다. 인명피해는 없었고, 한동안 사다리에 의해 부서진 방음벽 끝을 볼 수 있었다.
- 2017년 8월 19일 오후 5시 50분쯤 백운역 1호선 서울방향 플랫폼에서 일본인 남성 25살 Y씨가 철로로 투신해 중태상태에 놓여있었으나 결국 숨졌다.[12]
- 2022년 1월 4일 오전 8시 47분경 50대 남성이 서울방면 급행선에 투신해 30분동안 열차 운행에 지장이 생긴 사고가 있었다. 다행히도 큰 부상을 입지는 않았다고 한다.[13]
8.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daa> 경원선 |
연천 -
전곡 -
청산 -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제기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각 -
시청 -
|
|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평택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
|
천안직결선 |
두정 -
|
|
장항선 |
천안 -
봉명 -
쌍용(나사렛대) -
아산 -
탕정 -
배방 -
온양온천 -
|
|
병점기지선 |
병점 -
|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374e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74ea2>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부개(151), 백운(153), 동암(154) | ||
삼산체육관(757), 굴포천(758), 산곡(760) | |||
갈산(I117), 부평시장(I119), 동수(I121), 부평삼거리(I122) | |||
부평[미개통(GTX-B)] | |||
부평(152, I120) 1호선, 인천 1호선 |
|||
부평구청(759, I118) 7호선, 인천 1호선 |
|||
[미개통(GTX-B)]
2030년 개통 예정
|
}}}}}}}}} |
[1]
영등포동부역,
구일역,
중동역,
부개역,
부평남부역,
백운역,
간석역,
도화역,
도원역을 관리한다.
[2]
서울의 신촌과는 관계없다.
[3]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4]
「산곡동 군부대 이전 '탄력'… 아파트·공원 들어선다」, 경인일보, 2023-01-08
[5]
고가도로 위로 올라가서 탄다.
[6]
564와 568의 경우 현대아파트행과 동암역/간석역행의 승차위치가 다르다. 현대행은 환승센터에서 타고 동암역행/간석역행은 이디야커피 앞에서 탄다. 564-1의 경우는 어디서 타든 상관 없다.
[7]
산곡동, 가좌동 방면
[8]
556번 노선 특성상 방향 구분을 위해 생긴 정류장이지만 위치 차이는 없다.
[9]
부평역, 삼산동 방면
[10]
「선로 추락 승객 시민이 구조...사고 무방비」, YTN, 2019-05-15
[11]
「인천 부평역 인근 타워크레인 넘어져...지하철 운행 중단」, YTN, 2015-09-16
[12]
「인천 백운역서 일본인 남성 철로로 투신해 중태」, SBS, 2017-08-20
[13]
「백운역서 50대 선로로 뛰어내려..열차 30분간 운행중단」, 연합뉴스, 2022-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