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23:50:40

동묘앞역

동묘앞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신설동
← 0.7 ㎞
동대문
0.6 ㎞ →
1호선
경부선 급행 A
역명 표기
1호선 동묘앞
Dongmyo
東廟앞 / 东庙 / [ruby(東廟, ruby=トンミョ)]アプ
6호선
주소
1호선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359 ( 숭인동 117)
6호선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지하24 ( 숭인동 316-3)
소속 영업사업소
6호선 동묘영업사업소 동묘앞(6)역
1호선 종로영업사업소 동묘앞(1)역
운영 기관
6호선 서울교통공사
1호선
개업일
6호선 2000년 12월 15일
1호선 2005년 12월 21일
역사 구조
지하 1층 ( 1호선)
지하 3층 ( 6호선)
승강장 구조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호선)
1면 2선 섬식 승강장 ( 6호선)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기타7. 연계 버스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 역 정보

파일:동묘앞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역명의 유래는 임진왜란 명나라의 원군들을 통해 들어온 관우 장군 신앙에 따라 세워진 사당인 서울 동관왕묘에서 따 왔다. 정작 정확한 위치를 따지자면 동묘 정전 '뒤'에 있는 1호선 2번 출구를 제외하면 모든 역 시설이 동묘 '옆'에 있다. 대부분 사람들은 '동묘역'이라고 읽고 '동묘앞역'이라고 읽지는 않는다. 안내 시설의 로마자와 간체자 표기도 각각 'Dongmyo'와 '东庙'이다.

1968년에 폐지된 서울전차에는 이 역 근처에 숭인역이라는 역이 존재했다는데 그 숭인역을 그대로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역시 1960년에 폐선된 경성궤도에도 동묘역이 있었는데, 이곳이 아니고 조금 더 남쪽의 청계천 주변에 위치해 있었다.

2기 지하철 계획 초창기의 6호선 계획은 종로5가역에서 1호선과 환승될 계획이었지만 얼마 못가 난공사 등을 이유로 현재와 동일한 선형으로 변경되어 종로 지봉로가 교차하는 숭인사거리에 6호선 역을 건설하기로 합의였다. 1992년에 정해진 6호선상의 정식 역명은 지금과 같은 '동묘앞역'이었으나[1] 이 역은 1호선, 4호선 동대문역에서 환승될 예정이었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1호선 동대문역과의 거리는 약 300m, 심지어 4호선 동대문역과의 거리는 600m나 차이가 나게 되어 환승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환승을 비교적 용이하게 하도록 1998년에는 환승통로상에 무빙워크를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되었지만[2] 결국 6호선 개통 직전인 2000년 10월에 1호선 동대문역과의 환승통로 계획을 백지화하고 1호선 측에 동묘앞역을 신설하여 6호선과 환승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3]

이에 따라 이 역은 일단 2000년 12월 15일에 개통되어 6호선 단독 지하철역으로 영업을 개시했고, 1호선 동묘앞역은 2001년 11월 5일에 착공하여 2005년 12월 21일에 개통되었다.[4] 1호선 동묘앞역은 2000년대에 새로 지어진 역사답게 동시에 설계된 2호선 성수지선 용두역과 함께 내진설계가 반영되어 있으며, 준공 당시부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서울 지하철 1호선 10개 역들 중 이 역만 역 번호 개정 후 개통했으므로 이 역은 처음부터 127번이었다. 이로 인해 이미 2000년에 개정된 적이 있었던 신설동역~의정부북부역(現 가능역) 간의 역번호가 하나씩 당겨졌다. 이 당시는 1호선 의정부북부역~소요산역 구간이 연장되기 약 1년 전이었다.
파일:attachment/s1_dong.jpg
개통 후의 1호선 승강장[5]

6호선 개통 당시에는 총 6개 출입구로서, 현재의 4~9번 출구만이 있었으며, 1호선 환승 개시와 동시에 출구 번호가 재배치되었다. 1호선 역사와의 상호간섭을 피하기 위해 4~7번 출구가 있는 1호선 남쪽의 대합실과 8~9번 출구가 있는 1호선 북쪽의 대합실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2005년에 1호선 동묘앞역이 개통할 당시에 1~3번 출구와 10번 출구가 개설되었고, 8~9번 출구가 있는 대합실이 확장되어 이 공간에 1번 출구와 10번 출구가 들어섰다.
파일:동묘앞2번출구.jpg
서울 지하철 1호선 지하 구간을 관리하고 있는 영업관리소와 같이 있는 2번 출구의 모습

1호선 동묘앞역은 승강장과 대합실이 같은 층에 있는 역( 바로타)이다. 구로 방면 승강장에는 승강장 바로 옆에 개표구가 있으며 이 개표구를 통해 3번 출구로 나갈 수 있다. 연천 방면 승강장에는 2번 출구로 나가는 계단이 있는데, 이 2번 출구는 서울교통공사의 서울 지하철 1호선 영업관리소(본래 신설동역에 있었음) 건물과 통합되어 있어 개표구가 이 건물 1층에 있다. 연천 방면 승강장은 이 외에도 1번 및 8~10번 출구로 나갈 수 있는 대합실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데, 동선이 다소 꼬여 있다. 서로의 승강장은 별도의 지하 통로 2개를 통해 드나들 수 있다.

1호선 동묘앞역은 다른 1호선 역에 비해 승강장이 상당히 넓은데 본래 이 공간은 종로를 지날 예정이던 1970년대 초기 양택식 서울시장 재임 당시의 지하철 5호선 건설을 대비해 미리 확보된 지하 공간이었다. 하지만 이후 구자춘 시장이 5호선 계획을 엎어버렸고, 나중에 입안된 2기 지하철 계획의 5호선은 당시와는 다른 경로로 노선이 확정되면서 해당 공간은 무용지물이 되었다. 이후 각종 파이프나 통신 케이블을 위한 유휴 용도로 활용되고 있었는데 이 공간을 일부 활용해 1호선 동묘앞역의 역사 및 승강장이 건설되었다. 이 드넓은 1호선 승강장에는 화장실이 있어서 1호선을 타다가 급할 때 유용하다. 위치는 연천 방면 승강장은 4-4, 인천/신창 방면 승강장은 6-4와 7-3 사이로 대합실까지 합치면 총 4개이다. 이 역은 게이트 안과 밖에 화장실 입구가 있으나 무임승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분리되어 있다.

환승 동선도 최소화하여 만들었다. 1호선의 두 승강장 사이 지하 통로 2개 중 하나를 연장하여 6호선과의 환승통로로 활용하였다.

원래는 1호선-4호선 동대문역과의 환승을 검토할 정도로 동대문역과의 거리가 가깝다. 환승통로 기준으로는 멀지만 1호선 동대문역과 동묘앞역의 역간 거리는 550m밖에 되지 않으니 지하철 역간 거리치고는 상당히 가깝고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그리고 전국의 중전철 노선상으로도 역간거리가 가장 짧다.[6] 역 내에 비치된 역 주변도에 동대문역, 신설동역, 신당역과 같은 이웃 역이 나올 정도이다. 이는 1호선만 그런 게 아니라서 6호선 동묘앞역과 다음 역 신당역 간 거리는 600m에 불과하며 6호선 자체에서 가장 역간거리가 짧다. 스크린도어 설치 전에는 6호선 동묘앞역 승강장에서 신당역에 정차한 열차의 불빛이 선명히 보였을 정도다. 지금은 스크린도어 너머로 희미하게 볼 수 있다.

1호선은 이 역과 신설동역 사이에 2호선 성수지선으로 진입할 수 있는 인입선이 존재하며 이 때문에 서울교통공사 소속 1호선 차량 일부가 이 역에서 종착한 뒤 2호선 신설동역 지하 3층 유령 승강장을 거쳐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한다. 본래 이 역할은 동대문역이 하고 있었으나 1호선 동묘앞역이 개통되면서 동대문 종착 열차가 그대로 동묘앞 종착으로 연장되었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가 군자차량기지에 입고하기 위해 있는 행선지여서 한국철도공사 전동차는 이 역에서 종착하지 않는다. 동묘앞행 열차를 신설동역 유령 승강장 보수 후 신설동행으로 연장하자는 시민제안이 있었으나 1호선과 2호선 성수지선의 시설 차이와 수요 차이로 인해 실현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7]

동대문 - 동묘앞 간 공식 운행시간은 1분이지만 정작 동묘앞행 종착 안내방송은 1분 29초였다. 서울교통공사 동묘앞역 일반 환승 안내방송은 30초이다. 즉 동묘앞행 열차가 꼬리물기로 연착되어 표정속도가 줄어들어 운행 시간이 1분 30초 이상으로 증가하거나 동대문역이 비상 사태로 무정차 통과하지 않는 이상 동대문에서 출발 직후 종착 안내방송을 송출해도 도착할 때까지 전부 송출할 수 없었다. 그러나 2024년 안내방송 개정으로 다른 종착역 서울교통공사 로고송 풀버전 송출과 다르게 서울교통공사 로고송의 끝부분만 송출, 환승 안내 삭제, 중일문 삭제로 종착 안내방송이 1분 29초에서 32초로 줄어들면서 이제는 종착 안내방송이 전부 송출된다.

1호선 동묘앞역이 개통될 즈음인 2005년 말과 2008년에 종로구의회에서 이 역을 '숭인역'으로 개명하는 건의안이 채택된 바 있다.[8] 그러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서울교통공사로 통합된 뒤로 스크린도어 열차 방향 역명판에는 로마자 표기가 'Seoul Dongmyo'로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2024년 1월 기준으로 지하철체 연천 방면이 표기된 몇 안되는 역 중 하나이다. 6호선 승강장 및 환승통로에서 볼 수 있다.

신설동역 방면 바로 앞에 군자차량기지 분기선로가 있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전용 입출고선으로 사용된다.

환승 거리가 길지 않아서 개념환승 축에 속한다. 같은 1↔6호선 환승역인 석계역은 막장환승이므로 시간 차이가 크지 않다면 1↔6호선은 동묘앞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좋다.

3. 역 주변 정보

파일:attachment/동묘앞역/ENTRANCE.jpg
3번 출구 모습
1호선 3번 출구 밖으로 나가면 동묘벼룩시장이 있고, 조금 걸어서 청계천 건너편에 중고/골동품/군장품 시장인 황학동 도깨비 시장이 있다. 또한, 6호선 6번 출구 앞으로 쭉 따라가면 동대문 문구완구거리와 청계천 애완동물상가가 나온다.

3번 출구 쪽에는 역명의 유래인 동묘, 서울 동관왕묘가 있다. 임진왜란 당시 구원군으로 왔던 명나라의 은혜( 재조지은)에 보답한다는 의미로 한양 주변에 만든 관우의 사당이다. 총 4개(동서남북)가 있었다고 전하지만 현재까지 남아 있는 건 여기가 유일하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동묘앞역 출구 정보
1, 8~10번 출구
1 롯데캐슬천지인
8 창신2동주민센터
덕산치안센터
백남준기념관
창신시장
흥인지문공원
9 창신3동주민센터
서울창신초등학교
창신동두산아파트
종로종합사회복지관
종로구민회관· 종로구보건소(동부진료소)
10 숭인1동주민센터
숭인동우체국
롯데캐슬천지인
2~7번 출구
2 숭인공원
묘각사(템플스테이)
숭인2동주민센터
서울직업전문학교
종로청계힐스테이트아파트
숭인119안전센터
3 동묘공원
벼룩시장
동묘치안센터, 아름꿈도서관
종로·중구적십자봉사단
신설동종합시장
종로산업정보학교
청계천 영도교
황학동롯데캐슬아파트
4 동묘치안센터
종로구시설관리공단
5 청계천 다산교
창신1동주민센터
성동공업고등학교
6 청계천 다산교
동평화시장·청평화시장
동대문쪽방상담센터
박수근창신동집터
문구·완구도매상가
7 창신1동
동대문역 방면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293896><bgcolor=#cd7c2f>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6_icon.svg ||<bgcolor=#cd7c2f> 총합 ||<bgcolor=#cd7c2f>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0년 22,946명 5,847명 [9]
2001년 10,447명 비고
2002년 12,813명
2003년 12,294명
2004년 12,527명
2005년 6,460명 13,216명 19,676명 [10]
2006년 10,982명 16,669명 27,651명
2007년 13,776명 16,959명 30,735명
2008년 15,151명 17,934명 33,085명
2009년 15,893명 18,202명 34,095명 }}}}}}}}}
2010년 16,226명 19,125명 35,351명
2011년 17,235명 19,669명 36,904명
2012년 17,689명 19,151명 36,840명
2013년 18,511명 18,886명 37,397명
2014년 19,949명 19,244명 39,193명
2015년 20,183명 18,536명 38,719명
2016년 20,964명 18,283명 39,247명
2017년 21,355명 18,158명 39,513명
2018년 21,764명 19,118명 40,882명
2019년 22,946명 19,468명 42,414명
2020년 16,508명 13,830명 30,338명
2021년 17,011명 14,258명 31,269명
2022년 18,092명 15,277명 33,369명
2023년 19,701명 16,512명 36,213명
2024년
출처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두 역의 이용객을 합산하면 2023년 기준 36,213명이다. 동묘앞역은 종로에 있는 역들 중 유일하게 2000년대에 개통됐으므로 6호선과의 환승 목적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1호선은 2005년 개통이라 그 이전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다. 개통 초기에는 6호선 소재 역사만 있었기에 일일 1만 명~1만 2천 명 수준의 저조한 이용률을 보였으나, 1호선 역이 2005년 12월 21일에 개통되어 두 노선 간의 환승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이용률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6호선 역시 일평균 1만 명대 후반으로 상승했다. 6호선에서 전체 15위로서 이용객 중상위권에 속한다. 1호선 동묘앞역은 주변의 동대문, 신설동역 이용자들 및 지하철 역사 위치가 다소 애매해서 종래 버스를 이용하던 승객들을 유인하여 역사 이용객이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2014년에 6호선 이용객 수를 추월했으며, 종각 - 청량리 중 유일하게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1호선

파일:동묘앞역_1승강장.jpg
1호선 승강장
신설동
동대문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청량리· 광운대· 동두천· 연천 방면 당역 종착[11]
인천· 수원· 천안· 신창 방면 당역 출발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연천 방면) →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9-2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신창 방면) →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2-3

5.2. 서울 지하철 6호선

파일:attachment/6ghtjsehdaydkvdur.png
6호선 승강장
파일:동묘앞역_역명판.jpg
6호선 역명판
신당
창신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삼각지· 효창공원앞· 월드컵경기장· 응암 방면
고려대· 석계· 태릉입구· 신내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신내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2-2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응암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7-3

6. 기타


* 1호선 동대문역 - 동묘앞역은 거리가 매우 짧고 심도가 낮아 유튜버들의 지하철 vs 인간 콘텐츠(지하철에서 내린 뒤 지상 인도를 통해 다음역으로 달려가서 그곳에서 다시 내린 지하철을 타는 것)에 자주 등장한다. 동묘앞역 8번 출구와 동대문역 3번 출구까지는 270m밖에 안 된다.
* 2001년 강호동, 강병규, 핑클이 출연했던 KBS 《슈퍼TV 일요일은 즐거워》의 코너 ' 99초 스탠바이 큐'를 이 역에서 촬영했다. 촬영 당시 6호선 역만 있었으며 그 때는 1호선이 개통되지 않았다(동묘앞역 1호선 개통은 2005년). 출연진이든 PD든 지하철에 내리는 것에 실패해도 NG 판정이었다.
* 2018년경에 인터넷에서 뜬금없이 '동묘앞역 드루이드좌'라는 이름의 짤방이 퍼진 적이 있다. 한 남성이 1호선 동대문 방면 승강장 앞에 서 있는데 손에는 목줄을 한 토끼가 있고 머리 위에는 앵무새가 앉아있는 모습이었고, 사진 속 할아버지가 황당해하는 표정으로 그를 바라보고 있었다. 궁금한 이야기 Y에서 취재한 결과 대전에 거주하는 임모 씨로 밝혀졌는데 교통사고를 겪은 후 수혈이 잘못되어 에이즈 보균자이자 기초생활수급자가 된 처지라고 한다. 토끼와 앵무새는 자신을 편견 없이 대해주기에 일부러 산책까지 시키면서 외로움을 달래는 것이라고 한다.
* 최근 세계적으로 한국의 이른바 '동묘 패션'의 메카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힙스터들에게 '시니어 스트릿 패션'으로 의상 디자니어들이 주목하는 중이다.[12][13]
* 1호선은 이 역에서 석계역으로 가는 방향이 상행이지만, 6호선은 반대로 하행이다.
* 이 역에서 석계역까지 1호선이 7정거장 6호선이 8정거장으로 1호선이 한 정거장 더 적지만 소요시간은 약 14분으로 동일한 시간이 걸린다.

7. 연계 버스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
동대문역.흥인지문 동묘앞 신설동역
동묘앞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동묘앞(중)
(01041)
<colcolor=#ffffff> 지선
간선
심야
공항
동묘앞(중)
(01044)
지선
간선
심야
직행좌석
공항
동묘앞 (01245) 지선
숭인동
(01262)
지선
간선
심야
직행좌석
동묘앞역5번출구 (01236) 간선
동묘앞역6번출구 (01235) 간선
동묘역 (01595) 마을
종로구민회관.두산아파트
(01231)
마을
간선
동묘앞역.롯데캐슬천지인
(01240)
마을
지선
간선
숭인동도깨비시장 (01916) 관광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7c2f> 응암순환선
일반 구간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지하철(6-7호선)驛名 확정」, 조선일보, 1992-11-07 [2] 「서울 2기지하철 환승거리 짧아진다」, 동아일보, 1998-06-25 [3] 「1호선 동묘앞역 환승역 만든다 .. 2호선엔 동마장사거리역」, 한국경제, 2000-10-07 [4]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 신설」, 시정일보, 2005-12-08 [5] 서울 9호선이랑 인천 1호선에서 사용할 만한 행선 안내기가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변경되었다. [6] 그러나, 현재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 수색역 사이 역간거리가 가장 짧다. [7] 서울특별시, 2020년 4월 30일 [8] 「지하철 1호선, 6호선 역명을 『동묘앞역』에서 『숭인역』으로 개정 요구 건의안」(PDF), 2005년 종로구의회 > 의회소식 > 보도자료 [9] 6호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0] 1호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1] 군자차량사업소 입고 열차. [12] 관련 영상, 출처: 유튜브 [13] 관련 게시글, 출처: 에펨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