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ГАЗ-51 «Газон» |
1. 개요
|
이반 젠케비치의 GAZ-51A 소개 영상 |
후속으로는 GAZ-52(2.5톤 모델(직렬 6기통 휘발유 엔진 탑재))와 GAZ-53(4톤 모델(V8 휘발유 엔진 탑재)), GAZ-66이 있으나 이 둘이 등장했음에도 계속해서 생산 및 사용되어 도합 약 350만대가 생산된 밀리언셀러이기도 하며, 현재까지도 세계 각지에서 험지를 누비는 중인 장수만세 트럭이다.
2. 제원
<colbgcolor=#556B2F> ГАЗ-51 «Газон» | |
제원 | |
개발국가 |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개발기관 | GAZ |
개발자 |
A. D. 프로스비르닌 S. V. 보리소프 L. V. 코츠킨 A. M. 크리거 A. A. 립가르트 S. I. 루사코프 |
개발연도 | 1940년 ~ 1946년 |
생산기관 |
소련:
GAZ, 이르쿠츠크 자동차 공장, 오데사 자동차 공장 폴란드: FSC 북한: 덕천자동차공장 중국: 난징자동차 |
생산연도 |
소련: 1946 ~ 1976년 폴란드: 1948 ~ 1958년 북한: 1953 ~ 1979년 중국: 1956 ~ 1972년 |
생산 댓수 |
소련: 3,431,033대 폴란드: 30,000대 북한: 15,000대 중국: 5,000대 도합 3,481,033대 |
운용 연도 | 1946년 ~ 현재[1] |
전장 | 5,715mm |
전폭 | 2,280mm |
전고 | 2,130mm |
저상고 | 245mm |
전비 중량 | 2.71t |
최대 적재 중량 | 2.5t |
탑승 인원 | 2명 |
엔진 | 3.5L GAZ-51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 |
구동 방식 |
GAZ-51:
전방 엔진 후륜 구동 방식 GAZ-63: 전방 엔진 사륜 구동 방식 |
변속기 | 전진 4단, 후진 1단 수동변속기 |
최고 출력 | 70hp |
출력비 | 18.8hp/t |
현가 장치 | 리프 스프링 현가장치 |
최고 속도 |
GAZ-51: 70km/h GAZ-63: 65km/h |
항속 거리 | 340km |
연료 탱크 | 90L |
3. 내부
|
GAZ-51 내부 상세도 |
GAZ-51의 구동계는 전진 4단, 후진 1단의 수동변속기와, 70마력짜리 GAZ-51 직렬 6기통 3,5L 가솔린 엔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비는 26.5L/100km이며, 연료 탱크 용량은 도합 90L[2]이다.
전면 조향륜은 일반적인 단륜이며, 후방 구동륜은 복륜으로 되어 있다. 다만 4륜구동 버전인 GAZ-63의 경우 전후륜 모두 단륜으로 되어 있으며, 타이어 또한 일반적인 로드 타이어가 아니라 트랙터에 주로 사용되는 오프로드 타이어를 채용하고 있다.
GAZ-51 시리즈의 총 적재 용량은 도합 2.5t이며, 적재함 재질은 목재 바스켓으로 되어 있으나, 이를 고정하는 틀은 철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타국의 라이센스 생산형과 소련 본토 생산형을 구분짓는 가장 큰 특징은 바로 후드 양 측면에 "고리키 자동차 공장 (Го́рьковский автозаво́д)"라 적혀 있는 양각이며, 각국의 파생형마다 다르게 적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3]
4. 개발사
|
GAZ-11-51 프로토타입 |
그러나 이듬해 독소전쟁이 발발하며 신형 트럭 개발 프로젝트는 중단되었으며, 개발은 종전 이후에서나 다시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
GAZ-63 프로토타입 |
|
GAZ-51 프로토타입 |
1946년, 드디어 기나긴 우여곡절 끝에 생산에 돌입한 GAZ-51과 GAZ-63은 생산 직후 종전의 GAZ-AA 시리즈가 그러했던 것처럼 민간, 군부를 가리지 않고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에 "가존 (Газон)"이라는 별명을 부여받기에 이른다.
전후 소련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GAZ-51은 라이센스 생산형을 포함하여 도합 약 350만대가 생산되어 제2, 3세계 방방곡곡에 판매되며 성공신화를 열었고, 소련의 주요 수출 차량으로 자리매김하였다.
5. 형식
5.1. GAZ-51
|
ГАЗ-51 |
1946년 초도 생산 이후 1956년까지 생산되었으며, 하단의 GAZ-51A로 개수되었다.
5.2. GAZ-51A
|
ГАЗ-51А |
5.3. GAZ-63
|
ГАЗ-63 |
주로 군대에 납품되었으며, 4륜구동인 특성 상 기존 GAZ-51보다 최고 속력이 5km/h 정도 낮았다.
5.4. GZA-651
|
ГЗА-651 |
초창기에는 차체를 나무를 유용하여 만들었으나 화재 및 병충해에 취약하다는 문제점 탓에 이는 얼마 안가 철체 프레임으로 개수한 GZA-651A로 개수 후 생산되었으며, 비단 GZA 뿐만 아니라 파블로보의 PAZ (파블롭스크 버스 공장), 라트비아의 RARZ (리가 제2번 버스 공장)[4], KAVZ (소련 건국 60주년 기념 쿠르간 버스 공장)에 생산 라인이 옮겨져 1970년대까지 생산되었다.
6. 파생형
6.1. 소련
6.1.1. 병력수송차량 개수형
6.1.1.1. BTR-40
|
Бронетранспортёр-40 |
6.2. 폴란드
6.2.1. 현대화 개수형
6.2.1.1. FSC 루블린-51
|
FSC Lublin-51 |
도합 15,000량이 생산되어 폴란드 및 동구권 전역으로 판매되었는데, 이 중에는 동독 또한 자국의 수송트럭의 부족을 이유로 구매하여 제식화하기도 했으며, 1958년 신형 수송차량인 FSC 추크의 개발로 단종되었다.
6.3. 북한
6.3.1. 현대화 개수형
6.3.1.1. 승리 트럭
|
승리 트럭 |
6.4. 중국
6.4.1. 현대화 개수형
6.4.1.1. 난징 유에진 NJ130
|
南京 跃进 NJ130 |
원본과의 차이점은 전면 라이트의 형상 및 그릴의 갯수와 루블린-51나 승리-58과 마찬가지로 후드 양 측면의 양각이 난징기차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1958년 시제 차량 소수가 생산된 이후, 1961년에 들어서면서 소련으로부터 GAZ-51A를 생산할 허가를 얻었으며, 약 5,000여대가 생산되어 중국군과 민간에 판매되었다.
현재도 중국은 물론 몽골 일부 지역에서 다수의 개체가 헌역으로 운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6.4.1.2. 난징 유에진 NJ230
|
南京 跃进 NJ230 |
원본과의 차이점은 NJ130과 마찬가지로 전면 라이트의 형상 변화, 후드 양 측면 양각, 그리고 적재함의 변화가 있다.
7. 실전
7.1. 냉전
7.1.1. 6.25 전쟁
|
6.25 전쟁 당시의 대한민국 국군 산하 제1사단 노획 GAZ-51[5] |
당시 사용할 만한 수송트럭이 없던 북한 측에서는[6] 소련에 공여를 요청하여 T-34-76, T-34-85, SU-76M의 전투차량들과 더불어 GAZ-51과 GAZ-63 다수를 공여받아 수송트럭으로 이용하였다.
북한은 공여받은 GAZ-51을 앞세우면서 전쟁 초기 남침 선봉에 동원했으나 전황이 대한민국 국군 측으로 유리해지면서 북한군은 가용 장비 다수를 유기하고 패주했는데, 이 중에는 GAZ-51 및 GAZ-63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무장화가 덜 되어 있던 대한민국 국군도 수송 차량이 부족하기는 마찬가지였고, 사용하기 까다로운 전차와 달리 쉽게 유용할 수 있던 GAZ-51 시리즈는 대한민국 국군의 발이 되어주었으며, 휴전협정 직전까지도 북한에게 노획한 트럭들로 이루어진 수송 중대 또한 심심찮게 목격할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비단 대한민국 국군만 그런 것이 아니라 영국군, 미군 등의 유엔군들도 이를 노획하여 운용한 기록이 남아있다.
7.1.2. 중동전쟁
7.1.2.1. 6일 전쟁
|
6일 전쟁 당시 이집트군 포로를 이송 중인 이스라엘 방위군 노획 GAZ-63[7] |
그러나 운용 미숙과 이스라엘군과의 전력 차이로 패퇴하면서 소수의 개체를 유실하였으며, 이를 다시 이스라엘군이 노획하여 수송 수단 중 하나로 이용하였다.
7.1.2.2. 욤 키푸르 전쟁
|
바드르 작전 당시 이스라엘 방면으로 향하는 이집트 육군 소속 GAZ-63[8] |
특히 이스라엘을 기습하는 작전이었던 "바드르 작전" 당시 빠르게 강을 도하하여 이집트군의 발이 되어 주었으며, 전후 유기된 GAZ-63들은 이스라엘이 회수하여 잠시간 사용하였다.
7.1.3. 프라하의 봄
|
프라하의 봄 당시 화염병에 의해 유폭된 소련 육군 소속 GAZ-63 |
7.2. 현대전
7.2.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7.2.1.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하르키우 인근에서 유기된 러시아 육군 산하 크림 반도 주둔군 소속 GAZ-51A |
그도 그럴 것이 이미 노후화가 될대로 진행된 트럭을, 후방 부대도 아닌 최전선에서 싸우는 부대가 수송차량으로 운용한다는 것이 절대로 정상적인 것이 아니며, 심지어 크림반도 주둔군임을 나타내는 Z 또한 군용 페인트가 아니라 싸제 스프레이 캔과, 스티커 테이프로 대충 구색만 맞춰놓았다는 점에서 러시아 내에서는 "대체 저 트럭이 왜 여기에 있냐?", " 우리 아버지 군생활 할 때나 쓰던게 저기에 있다고?"와 같은 반응을 보였으며, 우크라이나 및 세계 각지의 밀리터리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전쟁 수행 능력이 한계에 봉착했다."라 천명하였고, 인터넷 밀리터리 커뮤니티 등지에는 다음에는 T-34 전차도 끌고 오지 그러냐면서 조롱을 하였다.
현재까지 GAZ-51이 동원되고,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발견된 것은 해당 GAZ-51이 유일해보이나, 일선 전투부대 이외의 후방 부대에서는 아직도 해당 차량을 운용하고 있다는 목격담이 발견되고 있다.
8. 운용국
8.1. 유럽
8.1.1. 동유럽
8.1.1.1. 소련
|
톨리아티 기술 박물관 소장 소련 육군 소속 GAZ-51A |
8.1.1.2. 러시아
|
개인 소장 전 러시아 육군 소속 GAZ-51A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에도 최소 1량이 동원된 것이 확인된 상태이다.
8.1.1.3. 우크라이나
|
세바스토폴 전승절 퍼레이드 참가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 GAZ-51A |
8.1.2. 중부유럽
8.1.2.1. 폴란드
|
개인 소장 폴란드 인민군 소속 GAZ-51A "H2-22-24번차" |
8.1.2.2. 동독
|
코트부스 항공 박물관 소장 국가인민군 소속 GAZ-51A |
8.1.3. 남유럽
8.1.3.1. 헝가리
|
케셀 육군 박물관 소장 헝가리 인민군 소속 GAZ-63 |
8.1.4. 북유럽
8.1.4.1. 에스토니아
|
개인 소장 전 에스토니아 방위군 소속 GAZ-51A |
8.2. 아시아
8.2.1. 동아시아
8.2.1.1. 북한
|
써비차로 사용 중인 민간 불하 승리-58 |
8.2.1.2. 대한민국
|
전쟁기념관 소장 대한민국 국군 소속 GAZ-63 |
냉전 시기 중에도 소수의 개체들이 이용되었다가 대략 60~70년대 사이에 이러한 소련제 트럭들은 민간에 불하되지 않고 폐차 처리 된 것으로 보이며, 현재 전쟁기념관에 GAZ-63 1대가, 민간에서는 금호상사에서 GAZ-51 1대를 소장 중에 있다.
8.2.1.3. 중국
|
타이산 자동차 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NJ130 유조차량 |
현재는 다수의 NJ130/230이 퇴역 후 민간에 불하되어 아직도 중국 전역을 누비고 있는 중이다.
8.2.2. 서아시아
8.2.2.1. 이스라엘
|
전선으로 향하는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GAZ-63[9] |
8.3. 아프리카
8.3.1. 북아프리카
8.3.1.1. 이집트
|
바드르 작전 당시 이스라엘 방면으로 향하는 이집트 육군 소속 GAZ-63 |
9. 미디어
10. 모형
11. 참고 문헌
- GAZ-51 엔진 및 기계적 특성 관련 문헌
- SoVavto GAZ-51 관련 데이터 및 기록
- 위키피디아 러시아어판 GAZ-51 문서
- 위키피디아 루마니아어판 루블린-51 문서
- 위키피디아 루마니아어판 승리-58 문서
- 위키피디아 루마니아어판 유에진 NJ130 문서
- chinesecars.net 승리-58 문서
- chinesecars.net 승리-61 문서
- chinesecars.net 승리-61가 문서
- chinesecars.net 승리-61나 문서
1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000> 분류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준대형차 | - | 포베다 · 볼가 · GAZ-M1 | |
대형차 | - | 차이카 | |
상용 | 가존 넥스트 · 가젤 넥스트 · GAZ-3307 · GAZ-3309 | - | |
군용 | 티그르 · 티그르-M | GAZ-64 · GAZ-66 · GAZ-67 · GAZ-69 · GAZ-AA · GAZ-AAA · GAZ-MM · GAZ-MM-V, GAZ-51 · GAZ-63 · GAZ-3308 | |
전차 | - | T-26 · T-60 · T-70 | |
장갑차 | - | T-20 · BA-64 · BRDM-2 · BTR-60 · BTR-70 · BTR-80 · BTR-90 · GT-MU | |
자주포 | - | KSP-76 |
냉전기 폴란드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
<colbgcolor=#c0392b> 폴란드 인민군 | |||
기타전차 | T-70, T-34-85M1, T-34-85M2, IS-2, IS-3 | |||
MBT | <colbgcolor=#c0392b> 1세대 | T-55(A/L/AM1 · M2) Mérida | ||
2세대 | T-72A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
한국전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한국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의 기갑차량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efefe,#191919> 공신호 전차CN, M5A1CN/? | |
중형전차 | T-34-76X, T-34-85, M4A2 (76) WX | ||
중전차 | IS-2CN | ||
화염방사전차 | OT-34CN | ||
장갑차 | BA-64, BTR-40 | ||
자주포 | SU-76M, LVT(A)-4 (ZiS-2)CN | ||
다연장로켓 | 카츄샤 다연장로켓 | ||
차량 | GAZ-51, GAZ-63, GAZ-64, GAZ-AA, ZiS-5, ZiS-6, ZiS-150 | ||
모터사이클 | M-72 | ||
노획 차량 | M24 채피,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NONE, M26 퍼싱, M19 더스터, M41 고릴라, 센추리온, M36 GMC, 옥스포드 캐리어, 와스프 IIC, M46 패튼, M18 헬캣 | ||
※ 윗첨자?: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사진 등)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증명이 되지 않은 차량 ※ 윗첨자CN: 인민지원군이 사용 ※ 윗첨자X: 소련에게 공여받은 차량이나 소수 만을 운용 ※ 윗첨자NONE 전시 중 전량 유실 |
|||
}}}}}}}}} |
냉전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A5034> 대한민국 국군 (1945~1991)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
|||||
기타전차 | <colbgcolor=#2A5034> 경전차 | M36 전차R/M, M24 채피L/R | ||||
중형전차 | M4A3 (76) W HVSSR, T-34-85C/R | |||||
MBT | 1세대 | M46 패튼R, M47 패튼, M48(A1R/A2C) 패튼, M48(A3K / A5K · K2 · KW) 패튼M | ||||
2세대 | Tiran-6X, T-72M1X, M60X | |||||
3세대 | K-1 | |||||
장갑차 | 차륜형 | M8 LACR, M20 유틸리티 카R, KM900, UR-416X, M706R | ||||
궤도형 |
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113A1R, M577A1R,M548R,
LVT-3CR,
LVTP-7R, KAAV7A1, K200(A1), K277, K533 · 534, K-77, |
|||||
차량 | ||||||
소형 |
K-131,
K-111,
K-100 M38 (A1)R, M606R, J601R, M151R, 윌리스 MBR |
|||||
트럭 |
닛산 180IJA/R,
토요타 BMR,
GAZ-51C/R, GAZ-63C/R
ZIS-150C/R,
K300R, K301R,
K311(
A1),
K511(A1),
K711,
K800,
K409 TEL,
K501 TEL, M37R, M715R, G509/10/116R, J602R, M602R, M35R, M211R, J603R, M809, CCKWR, 민수용트럭, FOX RRV, HEMTT(M977, M984, M985, M1142)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107, M110, K-55( A1), 곡산 170mmX | ||||
자주박격포 | M106R, M125R, K242(A1), K281(A1), K532 | |||||
대전차 자주포 | M56 스콜피온R, SU-76MC/R/NONE | |||||
자주대공무기 | 자주대공포 | M16 MGMCR, ZSU-23-4 쉴카X/R, K263(A1/A3) | ||||
자주대공 미사일 |
없음(?) | |||||
다연장로켓 | K-136 구룡 I/II | |||||
대포병 체계 | AN/TNS-10 | |||||
공병 차량 | 구난차량 |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 TRVR, K288A1, K1 구난전차, K-912 10톤 구난차량, M88(A1) 구난전차, KAAVR7A1 | ||||
AEV | KM9 ACE, M728 X/R/? | |||||
교량 차량 | K-1 AVLB 교량전차, K-719 부교 운반차 | |||||
기타 | K-313, K-512 | |||||
대테러부대용 차량 | 없음(?)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 사용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문헌에만 등장하는 차량 ※ ※ 윗첨자L: 전량 타국으로 공여된 차량 ※ 윗첨자NONE: 잔존 개체 없음 ※ 윗첨자M: 개조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한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러시아 내에서 현재까지 의장용 및 후방 부대의 수송 차량으로 운용 중에 있다.
[2]
GAZ-63 경우 90L+105L
[3]
일례로 북한의 면허 생산형인 승리-58 트럭의 경우 "승리-58"이라 이텔릭체로 적혀 있다.
[4]
후일 RAF로 사명을 변경한 뒤, 승합차나 버스 제작에 매진하게 된다.
[5]
1951년 3월 리퍼 작전의 일환인 문산 공수작전 당시 촬영, 차량 대열 중 2번째 있는 차량이다. 그 뒤에 있는 트럭은
ZiS-150 트럭.
[6]
일본제 차량들이 다수 있었으나 대부분 소형이었으며, 중형급 이상 차량이 드물었던데다 수송할 여력이 안된 것이 컸다.
[7]
시나이 방면으로 진격 도중 촬영된 사진으로, 6일 전쟁을 대표하는 사진이기도 하다.
[8]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발발 당일인 10월 6일 오후 촬영된 사진으로, 뒤따라 오는 대형 트럭은 ZiL-157이다.
[9]
욤 키푸르 전쟁 중 촬영된 영상에서 발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