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02:18:12

빈(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빈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800px-Burgenland_Wappen.svg.png
부르겐란트

(아이젠슈타트)
파일:800px-Kaernten_CoA.svg.png
케른텐

(클라겐푸르트)
파일:니더외스터라이히 문장.svg
니더외스터라이히

(장크트푈텐)
파일:800px-Oberoesterreich_Wappen.svg.png
오버외스터라이히

(린츠)
파일:800px-Salzburg_Wappen.svg.png
잘츠부르거란트

(잘츠부르크)
파일:Steiermark_Wappen.svg.png
슈타이어마르크

(그라츠)
파일:867px-AUT_Tirol_COA.svg.png
티롤

(인스브루크)
파일:746px-Vorarlberg_CoA.svg.png
포어아를베르크

(브레겐츠)
[[빈(오스트리아)|파일:빈(오스트리아) 문장.svg
수도
]]
}}}}}}}}}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오스트리아 수도 · 최대도시
{{{#!wiki style="margin: -5px 0;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빈(오스트리아) 문장.svg

Wien
Vienna
}}}
<colbgcolor=#DA121A><colcolor=#fff> 시청 소재지 Friedrich-Schmidt-Platz 1, 1010 Wien
하위 행정구역 23구[1]
면적 414.9㎢
인구 2,014,614명[2]
인구밀도 4,857명/㎢[3]
주총리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사민당
]]
미하엘 루트비히[4]
주의회[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여당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사민당
]]
46석 / 100석


8석 / 100석
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인민당
]]
22석 / 100석


16석 / 100석


8석 / 100석
}}}}}}}}}
연방의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하원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사민당
]]
9석 / 29석

[[오스트리아 인민당|
인민당
]]
5석 / 29석


4석 / 29석


6석 / 29석


3석 / 29석
상원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사민당
]]
5석 / 11석

[[오스트리아 인민당|
인민당
]]
2석 / 11석


2석 / 11석


1석 / 11석


1석 / 11석
}}}}}}}}}
지역번호 01[6]
행정구역코드 90001
IATA 도시 코드 VIE
ISO 3166-2 AT VIE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7]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8]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olbgcolor=#000>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틀:깃발|]][[틀:깃발|]][[영어|]] Historic Centre of Vienna
[[틀:깃발|]][[틀:깃발|]][[프랑스어|]] Centre historique de Vienne
[[틀:깃발|]][[틀:깃발|]][[한국어|]] 빈 역사 지구†[9]
국가·위치
오스트리아
등재유형 문화유산
등재연도 2001년
등재기준 (i)[10], (iv)[11], (vi)[12]
지정번호 1033 }}}}}}}}}
1. 개요2. 지명3. 역사4. 인구5. 행정6. 교통7. 관광
7.1. 고건축7.2. 음악7.3. 예술, 문화7.4. 자연7.5. 리히텐슈타인 성
8. 문화와 학문의 도시
8.1. 음악8.2. 교육∙학문8.3. 음식8.4. 스포츠
9. 공공임대주택의 천국
9.1. 빈 공공임대주택의 탄생과 역사
10. 현지 언론사11. 기타1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빈 소개 영상
오스트리아 수도 최대도시이다. 과거 한국에서는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중국어 계통 음차인 유야납(維也納)으로 불리기도 하였다.[13] 광복 이후에는 Wien을 가타카나로 읽은 '윈'[14]이라는 명칭이 통용되기도 했는데 1960년대부터 빈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정작 여기서 영향을 받은 문화어에서는 아직도 윈이라고 한다. 언중 용례에서는 라틴어· 이탈리아어 표기를 따른 비엔나(Vienna)로도 알려져 있다.

빈이라는 이름은 고대 로마어 "Vindobona"에서 유래했다.. "Vindobona"는 "정착지" 또는 "보호된 곳"을 의미하며, 이 이름은 로마 시대에 이 지역이 군사적 요충지로서 기능했던 것과 관련이 있다

면적은 414.9㎢이며 605㎢인 서울특별시보다 작으며, 공원과 같은 녹지가 50%나 된다. 2024년 기준 인구는 201만 명. 서울 주위의 수도권처럼 주변 권역까지 다 합하면 인구 280만 명 정도이며, 오스트리아의 종주도시이다. 현재 오스트리아의 타 연방주에서 분리되어 독자적 연방주를 형성했을 정도로 인구가 많으며, EU에서 다섯 번째로 큰 대도시이다.

과거부터 신성 로마 제국의 주요 도시이자 오스트리아 공국- 오스트리아 대공국-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수도였다. 합스부르크 왕가의 통치하에 오스트리아 주요 열강이었을 때는 많은 인구를 품은 세계적 대도시로 성장하여 번영했으며, 전성기엔 인구 200만을 넘나들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제국 해체로 타국민이 된 사람들이 대거 떠나고 전간기 대공황을 겪으며 인구가 급감했던 것이 서서히 회복되었지만 지금도 전성기 인구보다는 적다. 최근에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서 2024년에 다시 200만 선을 넘어섰다.

빈은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살기 좋은 도시에 뽑혔다. # 뛰어난 치안 수준뿐만 아니라, 온난한 기후에 울창한 가로수가 잘 가꾸어진 깨끗한 거리 환경을 자랑하며, 거리 곳곳에는 유럽 예술의 중심지답게 각종 문화 시설이 즐비하다. 도시 구획과 도로 정비가 깔끔하여 교통 체증이 심하지 않으며, 대중교통, 특히 트램의 노선망이 우수하여, 굳이 자차가 없어도 도시의 어디든 갈 수 있다는 것도 장점. 실제 2019년 빈 도시 통계에 따르면 이동 수단 이용률은 도보 30%, 대중교통 38%, 자전거 7%에 비해 자차는 25%에 그쳤으며, 주민 100명당 자동차 소유 대수는 37대로, 클라겐푸르트주(62대), 부르겐란트주(68대)에 비해 현저히 낮다.

도시 소득 수준도 높다. 2018년 기준 오스트리아 GDP 3860억 유로 중 빈의 GDP는 960억 유로, 빈의 1인당 GDP는 5만 1천 유로에 달했다. 주력 산업인 Finance and consulting과 더불어 도나우강변을 중심으로 펼쳐진 오스트리아 유수의 공업 지대에서 활발한 제조업 활동이 전개되고 있으며, 중부 유럽 최대 에너지 기업이자 오스트리아 최대 상장기업인 OMV[15][16], 세계 최대 벽돌 제조 업체인 Wienerberger[17], A1 Telekom Austria[18]를 비롯한 대기업과 대다수 은행이 빈에 본사 또는 사무소를 두고 있다. 또한 빈은 오스트리아의 ICT 센터이며, 기업 6200개, 직원 약 5만 6660명, 총 부가가치 66억 유로, 2017년 매출액 약 206억 유로를 기록한 바 있다.[19] 2020년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빈의 외국 기업 법인 설립은 218건으로 역대 세 번째 높은 기록을 달성하였다. 외국 기업들이 이처럼 많이 관심함은 빈이 국제적으로 안정적이고 경제적 기반반이 탄탄한 비즈니스 중심지로서 여전히 확고하게 인식됨을 증명한다.[20]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가는 뉴욕이나 샌프란시스코, 런던과 같은 다른 대도시와 비교하여 높지 않다. Mercer’s 2020 Cost of Living Survey에서 빈은 54위를 기록했다. 뉴욕의 소비재 가격 지수를 100으로 했을 때 빈은 49에 그치고, 이는 코펜하겐(66), 파리(67), 암스테르담(67)보다 낮다. Business Location 2020 (Series "Vienna in Figures") (4 MB PDF) 문서 53/64 page 참조.

유엔의 유럽 거점 도시로 지정되어 유엔 기구 도시(UNO City)[21]가 있으며, IAEA(국제 원자력 기구)의 본부도 빈에 있다. 1955년 모스크바 각서로 영세 중립국이 된 오스트리아가 더 이상 전쟁을 하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유치를 한 결과이다. 국제기구가 많은 만큼 스위스 제네바와 함께 스파이가 많은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에서 외국인 정보기관원의 밀도가 가장 높은 도시다.[22] 빈 체제, 빈 협약으로도 유명하며, 2015년 7월 독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미영프러중)이 경제 제재를 받고 있던 이란과 '이란 핵문제 해결을 위한 포괄적 공동행동계획'(JCPOA: Joint Comprehensive Plan of Action)[23]에 최종 합의한 곳이기도 하다.

2. 지명

<colbgcolor=#ccc,#333> 독일어 Wien
오스트로바이에른어 Wean
영어, 이탈리아어 Vienna
프랑스어 Vienne
헝가리어 Bécs
러시아어 Вена
문화어

3. 역사

도시 명칭은 고대 로마의 전선 기지인 빈도보나(Vindobona)[24]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지며, 12세기 들어 바벤베르크 가문의 소유가 되었다. 도나우강을 이용한 교역이 발달에 따라 점차 번영하였고 1221년 상업 독점권의 인정으로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1241년 정복자 징기스 칸의 손자이자 킵차크 칸국의 건국자 바투 칸이 1240년 말에 수부타이라는 몽골 역사상 최고의 지휘관과 함께 레그니차 전투 모히 전투 등의 유럽 대침공을 벌여 모스크바 키예프는 물론 폴란드 왕국 헝가리 왕국까지 쓸어버렸다. 오스트리아 공국까지 몽골 제국군의 눈앞에 놓였으나 그해 말 바투가 철수하면서 침공 위기에서 벗어났다.

1278년 보헤미아의 왕 오타카르 2세에 대한 처벌을 위한 전투를 하러 가던 독일왕 루돌프 1세가 이 도시에 잠시 머물렀다가 마르히펠트 전투에서 승리를 챙긴 이후 맏아들 알브레히트에게 오스트리아와 슈타이어마르크를 챙겨주면서 합스부르크 왕가의 거점이 되었지만, 막시밀리안 1세 황제가 수도를 서쪽의 인스브루크로 옮기면서 수도의 지위를 상실하기도 했다. 막시밀리안 1세와 그의 뒤를 이은 카를 5세 중세처럼 여기저기 옮겨다니는 성향이 있었지만 스페인에서 자란 막시밀리안 1세의 둘째 손자 페르디난트 1세가 형 카를 5세로부터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물려받아 1521년부터 빈에 영주하면서 다시 합스부르크 왕가의 영구적인 거처로 자리잡았고 또한 신성 로마 제국이 망할 때까지 사실상의 수도 역할을 하게 되었다. 특히 페르디난트 1세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1529년 제1차 빈 공방전을 방어해 내는데 성공했고, 이후 오스만 제국의 재침에 대비하여 빈을 난공불락의 요새로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529년과 1683년에는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받았는데( 제1차 빈 공방전 제2차 빈 공방전) 모두 막아내는 데 성공했다. 1683년에 이미 인구가 11만 명에 달해 신성 로마 제국의 핵심 도시였고 1803년 인구는 23만 명으로 당시 주요 도시들이 인구 수만 명에 불과할 때 합스부르크 제국 내에서 독보적 위상을 가졌다. 1805년과 1809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게 두 차례나 굴복하였으나 곧 나폴레옹은 몰락하였고, 1814~1815년에 빈 회의가 개최되었다. 그 뒤 빈 체제 하에서 유럽의 수도와 같은 역할을 하였으며, 1848년까지 30여 년 동안 빈 체제가 유지되었다. 1848년 3월과 5월에는 프랑스 2월 혁명의 영향을 받아 소시민·학생·노동자 등의 폭동이 일어났으나 같은 해 10월에 진압되었다.[25]

그 후 자유주의 시대(1860∼1895)인 프란츠 요제프 1세 치세에는 세계적인 문화의 도시로 변모하였다. 구시가지를 둘러싼 성벽을 해체하고 현재의 링슈트라세[26]를 조성하는 프로젝트가 1857년부터 프란츠 요제프 1세의 명으로 시작되었고, 건축가 테오필 한젠(Theophil Hansen)[27] 등이 참여하였다. 이 도로를 따라 국회 의사당, 증권 거래소, 콘서트 홀(Musikverein[28]), 국립 오페라 하우스(Staatsoper[29]), 빈 미술 아카데미[30], 각종 관청 등이 조성되었다. 발전을 거듭한 빈은 1913년경에는 아돌프 히틀러, 레온 트로츠키, 요시프 티토, 지그문트 프로이트, 이오시프 스탈린, 프란츠 요제프 1세, 프란츠 페르디난트 등 세계 역사를 송두리째 바꿔놓을 인물들이 대거 거주했을 정도로[31] 도시의 명성과 영향력을 굳히게 된다. 이미 19세기 말부터 빈은 신흥 부르주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구질서가 충돌하고, 민족주의 사회주의, 반유대주의 시오니즘(당시 테오도르 헤르츨 등이 주창)이 들끓던, 유럽 사회의 계급적, 민족적, 인종적 모순의 집결지이자 모더니즘 탄생기의 꿈의 도시, 천재들의 놀이터였다.[32]

이후 1918년 1차 세계대전 종전에 이르면 오스트리아는 부상 병사의 귀환, 제국 해체와 분할에 따른 급격한 인구 이동 등으로 혼란스러워지게 되는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없어진 뒤인 1920년대에는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거점 도시가 되어 '붉은 빈(Rotes Wien)'이라는 별칭까지 얻게 된다. 오스트리아 총선에서 승리한 건 우파인 기독교사회당[33]이었는데, 오직 빈에서만 좌파인 사회주의 정당이 이긴 것이다.

빈을 장악한 사회주의자들은 당시 바뀐 법에 따라 얻게 된 조세 자치권을 바탕으로 빈의 주택과 상가의 임대 수입에 세금을 크게 부과하였고 이런 식으로 얻은 세수를 바탕으로 저렴한 임대료를 받는 공공 임대주택을 꾸준히 만들었다. 임대 수입에 세금을 급격히 올리는 등 지주들은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재산권 행사를 막는 시 정부의 압박에 지쳐 땅을 팔고 빈을 떠난다. 시장성이 떨어진 땅을 빈 시 정부는 싸게 사들여 이 부지에 또 영구 공공임대주택을 지었다. 나치 지배를 벗어난 이후에도 이런 정책은 다시 계속되었다.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공공임대주택들을 열심히 지은 도시들 중 많은 도시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재정 문제로 자금 확보를 위한 손쉬운 방법으로 공공주택을 일반 분양해 버려 결국 임대주택의 수량이 충분하지 못한 예들이 많이 존재한다. 그러나 빈은 기존의 공공임대주택을 오래되었다고 쉽게 부수거나 일반인에게 팔아버리는 대신 고쳐서 계속 임대주택으로 공급한다. 기존 공공임대주택을 지속시키는 가운데 새로운 영구 공공임대주택을 계속 지어오기 때문에 빈은 세계적으로 영구 공공임대주택의 비중이 매우 높은 도시이다. 근 100년을 이어온 이런 역사적 배경과 노력의 결과 오늘날 빈은 유럽에서 손꼽히는 낮은 주택 가격 상승률과 소득 대비 저렴한 임대료를 자랑한다. # #

1933년부터는 아돌프 히틀러 독일 총리로 취임하면서 히틀러 동조 세력인 오스트리아 나치당에 국가가 휘둘리는 혼란한 상황이 전개되었고, 1934년 2월 오스트리아 전역이 내전을 겪게 되자[34] 수도 빈도 그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된다. 결국 1938년에서 1945년까지 나치 독일에 오스트리아가 합병당한 여파로 제국의 수도였던 도시는 일개 지방 도시로 전락하는 수모를 겪어야 했고[35], 대전 말기에는 소련군 독일군 간 빈 공세 등의 전투가 일어나 큰 피해를 보았다.
전간기의 빈 시민들 일상(c.1934), British Pathé 뉴스릴 자료. 히틀러의 진군(c.1938), British Pathé 뉴스릴 자료.

전후 1945~55년에는 독일과 마찬가지로 승전국들인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군정의 공동 통치를 받았고, 1955년에 영세 중립국을 선언하면서 통치에서 해방되어 지금까지 오스트리아의 수도이자 '국제적 외교 거점'의 역할을 하고 있다. 덕분에 현대사에서 굵직한 사건들의 무대가 되기도 했는데, 1956년 헝가리 혁명으로 헝가리인들이 대거 빈을 찾았고, 1961년에는 흐루쇼프 존 F. 케네디가 빈의 임페리얼 호텔에서 미소 정상 회담을 가졌다. 1968년에 프라하의 봄이 강압적으로 진압된 이후에는 수많은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들이 빈으로 모여들었으며, 1979년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과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빈에서 만나 전략무기제한협정(SALT) II에 서명하기도 했다. 1980년에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UN의 청사가 들어섰고, 국제 회의와 분쟁 조정의 도시로 마침내 자리매김하였다.

4. 인구

2020년 1월 기준 빈 인구의 69.2%가 오스트리아 자국 국적이며, EU 국적은 13.4%, 그외 국적은 17.4%로 조사되었다. 상위 5개 외국 국적은 세르비아 4.1%, 독일 2.6%, 튀르키례 2.4%, 폴란드 2.3%, 루마니아 1.9% 순이었다.

시민의 평균 나이는 41세였으며, 0-14세 인구는 27만 8397명, 15-64세 인구는 131만 7304명, 65세 이상은 31만 5490명이었다.[3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빈(오스트리아)/인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행정

빈은 23개 구(Bezirke)로 구성된다. 빈 행정 구역 사무소는 다른 오스트리아 주의 사무소와 비슷한 역할을 맡고, 경찰을 제외한 공무원들은 빈 시장 아래서 일한다. 경찰은 연방 정부가 관리한다.

빈의 23개 구는 아래와 같다.
구역 번호 구역 이름
1 인네레슈타트 (Innere Stadt)
2 레오폴트슈타트 (Leopoldstadt)
3 란트슈트라세 (Landstraße)
4 비덴 (Wieden)
5 마르가레텐 (Margareten)
6 마리아힐프 (Mariahilf)
7 노이바우 (Neubau)
8 요제프슈타트 (Josefstadt)
9 알저그룬트 (Alsergrund)
10 파포리텐 (Favoriten)
11 지머링 (Simmering)
12 마이들링 (Meidling)
13 히칭 (Hietzing)
14 펜칭 (Penzing)
15 루돌프스하임퓐프하우스 (Rudolfsheim-Fünfhaus)
16 오타크링 (Ottakring)
17 헤르날스 (Hernals)
18 베링 (Währing)
19 되블링 (Döbling)
20 브리기테나우 (Brigittenau)
21 플로리츠도르프 (Floridsdorf)
22 도나우슈타트 (Donaustadt)
23 리징 (Liesing)

6. 교통

빈과 세계를 연결하는 주요 관문으로는 다음이 있다.
도시철도 빈 지하철(U-Bahn: 지하철을 뜻하는 독일어 Untergrundbahn의 줄임말), 광역철도(S-Bahn), 노면전차(Straßenbahn, 슈트라센반) 가 있으며, 그중 U-Bahn은 U1, U2, U3, U4, U6 5개 노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핵심 관광지가 밀집한 인네레 슈타트(Innere Stadt-구시가=제1구)를 기준으로 한 U-Bahn 주요 역은 다음과 같다. 여행 시 숙소 선정과 도시 내 활동 계획의 기준으로 활용하면 편리하다. Vienna-metro-map 교통권 정보(wiener linien 공식 홈)
  • U1-U2-U4 노선이 지나는 남쪽 카를스플라츠(Karlsplatz)
  • U2-U3 노선이 지나는 서쪽 폴크스테아터(Volkstheater)
  • U1-U3 노선이 지나는 중앙 슈테판스플라츠(Stephansplatz)
  • U1-U4 노선이 지나는 북쪽 슈베덴플라츠(Schwedenplatz)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ÖBB) 및 체코 철도(ČD)에서 운행하는 고속철도 레일젯(ÖBB Railjet- 공식 홈)으로는 오스트리아 주요 도시를 비롯해 부다페스트, 프라하, 뮌헨 등과 연결된다. 또한 동유럽, 서유럽 주요 도시로 가는 열차가 많아 유레일 패스로 여행하는 이들이 많이 들르는 도시이다. 특히 ÖBB에서 운행하는 야간 열차인 nightjet 의 경우, 파리, 브뤼셀, 암스테르담을 비롯한 서유럽 주요 도시와 빈을 연결해주기 때문에 많은 이용객들이 이용한다. 이외에도 부쿠레슈티, 키이우, 자그레브, 카토비체 등 거리가 꽤 있는 도시와도 철도 연결편이 잘 갖추어졌다.

주변국 수도들인 체코 프라하, 헝가리 부다페스트,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와 모두 자동차로 약 2~3시간 거리에 있어 동유럽 여행의 시작지로 삼기도 한다. Twin City Liner라는 크루즈선을 통해서도 브라티슬라바와 연결된다.[38]
도로 운전 시 유의 사항 실시간 도로 교통 상황(빈 시 공식 홈)

빈의 노면전차와 시내버스는 다른 유럽 도시대비 난폭운전을 하는 경향이 있어 주의하는게 좋다. 특히 시내버스와 노면전차가 신호위반을 저지르는 경우가 꽤 많으며, 승무원이 운행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은근히 불친절하기도 하다. 노면전차도 급가속과 급정차를 자주 하는지라 손잡이나 안전바를 단단히 잡자. 마찬가지로 저 멀리 잘츠부르크도 시내버스의 분위기가 한국같다는 의견이 꽤 있는 편이다.[39]

7. 관광

오스트리아 빈 여행(네이버 지식백과)[40][41]
빈에서 만난 운명적 사랑, 영화 비포 선라이즈[42]
오스트리아 관광청 한국어 공식 사이트

오래전 신성 로마 제국 시대부터 전해진 중요한 역사적 유물과 건물이 많이 남아 있다.

7.1. 고건축

런던이나 파리 못지않게 유적과 문화 유산이 넘쳐나기 때문에 도시의 중심부인 구시가지(Innere Stadt[43])는 전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탈리아처럼 절대로 외관을 바꾸는 건축 허가는 내지 않아서 리모델링만 해서 사용 중이다.

7.2. 음악

7.3. 예술, 문화

20세기 초반 아르누보 분리파 미술의 중심지였던 덕분에 구스타프 클림트를 비롯해 에곤 실레, 아돌프 로스 등 이 사조와 운동에 참가했던 미술가와 건축가들의 제체시온(secession), 로스 하우스 같은 작품이 많이 남아 있다.

루브르처럼 엄청난 규모는 아니지만 좋은 미술관이나 박물관들도 많다.

7.4. 자연

이외에도 빈에서 25km 근교에 유럽에서 가장 큰 지하호수동굴인 제그로테가 있다.

7.5. 리히텐슈타인 성

리히텐슈타인의 통치 가문인 리히텐슈타인 가문의 본성인 리히텐슈타인 성도 빈에 있다. 리히텐슈타인 가문 자체가 오랫동안 합스부르크 제국의 귀족이었던데다가 원래 빈과 현대 체코가 주요 거주지였고 리히텐슈타인은 신성 로마 제국 제국의회에 참석하기 위해서 매입한 땅이었기 때문이다. 대공가가 방문하는 때를 제외하면 상시 개방하고 있다.

8. 문화와 학문의 도시

8.1. 음악

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 · 기록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중세 음악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 비트리 · 마쇼
기타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스페인 빅토리아
영국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프랑스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이탈리아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중부 유럽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영국 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 전고전(로코코)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초기 고전파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오페라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폴란드
낭만주의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미국
후기 낭만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국민​악파 러시아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중부 유럽 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흐리스토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모니우슈코 파일:폴란드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 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음악
인상주의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신고전주의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제2 빈 악파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 음악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영국 근현대 음악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헝가리 근현대 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폴란드 현대 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 음악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 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

언제쯤 당신은 깨닫게 될까요, 비엔나가 당신을 기다린다는 것을.
- Ariana Grande 'Vienna' 中(Original Billy Joel[46][47]) -

독일어권 유명 작곡가들이 생애의 상당 기간을 빈에서 보내며 수많은 명곡들을 남겼기에, 음악도나 음악 애호가들에게 중요한 곳이자 클래식 음악의 성지이다.[48]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약 35년 동안 빈에서 살다가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베토벤의 제2의 고향이라 알려져 있다. 음악의 신동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49], 가곡의 왕 프란츠 슈베르트도 빈에 머물며 짧은 생애를 대표하는 수많은 대작들을 남겼다.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왈츠의 왕으로 칭송받는데 슈트라우스 가족들도 빈을 본거지로 활동했고, 이들이 남긴 수백여 곡의 춤곡은 지금도 오스트리아의 전통과 자부심을 상징하는 음악이자 중요한 관광 상품으로 많은 곳에서 연주되고 있다.[50] 요한 슈트라우스 2세와 교류했던[51] 독일 함부르크 출신 요하네스 브람스는, 1862년 가을 빈을 처음 방문하였다. 1863년에 Wiener Singakademie의 지휘자로 임명되어 본격적으로 빈 생활을 시작했으며, 빈 교외의 Lichtental[52]과 Karlsgasse 4에 위치한 아파트[53]에서 오래 살았다. 그는 빈에서 음악가로서 최고의 명예를 얻었으며, 베토벤슈베르트요한 슈트라우스와 함께 악성(樂聖)들의 안식처인 빈 중앙 묘지(Vienna Central Cemetery) 32A 구역에 안장되었다.[54]

안톤 브루크너 린츠 근교의 시골에서 태어나서 중년기에 빈으로 이주한 뒤 교향곡 작곡가와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했고, 프란츠 요제프 황제의 막내딸 발레리 공주의 도움으로 벨베데레 궁전에서 말년을 보내기도 했다. 빈 국립오페라극장 음악감독을 역임한 구스타프 말러, 그와 빈 음악원 동급생이었던 휴고 볼프[55], 신 빈 악파로 불리는 아르놀트 쇤베르크, 안톤 베베른, 알반 베르크도 빈에서 파격적인 음악들로 찬사와 비난을 동시에 받으며 중요한 작품을 남겼다. 프란츠 레하르는 헝가리계 작곡가로, 오페레타 '유쾌한 미망인'(The Merry Widow)을 1905년 빈의 극장에서 초연하여, 몇 주 되지 않아 가장 사랑 받는 오페라로 등극시켰다.[56][57] 20세기 음악사를 대표하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지휘자들 가운데 한 명인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또한 빈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자와 빈 국립 가극장의 음악감독으로 활약하며 음악사의 한 획을 그었다.

음악 도시라는 명성답게 세계적으로 유명한 연주자들이 매우 자주 와서 공연하며[58][59],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60]를 비롯해 빈 교향악단, 빈 방송 교향악단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현악단들의 연주회나 양대 오페라단인 국립 오페라단(Staatsoper)과 국민 오페라단(Volksoper)의 오페라 공연, 세계적인 합창단인 빈 소년 합창단 공연 등을 현지에서 즐길 수 있다. 특히 빈 국립 오페라 극장에서는 저렴한 비용의 입석으로 얼마든지 오페라를 감상하게 해주고 있다. 입석으로 보통 3유로에서 비싸봤자 6유로 이내로 볼 수 있다. 다만 늦게 가면 별로인 자리를 배정받아 오페라 소리밖에 듣지 못하지만 제대로 자리를 차지하면 오히려 좌석보다 더 괜찮은 시점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오페라 시작 80분 전부터 입석 좌석을 판매하는데, 40등까지는 1층 좌석의 바로 뒤에서 감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명한 성악가가 나오는 날에는 이른 시간부터 아예 접이식 의자까지 준비해서 줄을 서 있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반면 좌석 값은 상당히 비싼 편이다.

8.2. 교육∙학문

빈은 비옥한 지적 토양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도 유명한데, 이는 도시 내 대표적인 지성의 본산으로 일컫는 빈 대학교 빈 경제경영대학교를 통해 발현되고 있다.

독일어 사용권에서 가장 오래된 학문 연구의 산실인 빈 대학교[61]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에르빈 슈뢰딩거, 노벨문학상 수상자 엘프리데 옐리네크[62]를 비롯한 20여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며[63], 심리학의 대가인 정신분석 의사 지그문트 프로이트도 빈 대학교 의학부[64] 졸업생이다. 그는 1859년 가족과 함께 빈으로 이주한 뒤 나치의 탄압으로 1938년 6월에 영국 런던으로 망명할 때까지 생애 대부분을 빈에서 보냈으며[65], 빈 대학교 의학부 동문이자 대문호(大文豪)인 아르투어 슈니츨러와 교류하며 많은 지적 영감을 주고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66][67] 또한 빈 대학교 철학 교수 모리츠 슐리크를 중심으로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걸쳐 활동한 논리실증주의 경향 그룹 빈 학파, 그들과 교류한 빈 출신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칼 포퍼 등이 활약한 곳이기도 하며, 이성 만능주의와 물질 문명이 초래한 인간 소외를 반성하고 미래의 새로운 자유와 질서를 모색한 예술 및 철학 사상인 빈 모더니즘(Wiener Moderne)의 탄생지[68]이기도 하다. 불교논리학 연구의 중심지이기도 해서, 빈 대학교 교수 프라우발너(Erich Frauwallner)는 20세기를 대표하는 인도철학자로 활동하면서 불교논리학의 연구에 많은 탁월한 업적을 남겼고 그 전통을 이어받은 슈타인켈너(Steinkellner)는 다르마키르티[69][70]연구를 진척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71][72]

한편 유럽 최대 규모의 상경대학인 빈 경제경영대학교[7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정부의 주도로 국가의 경제를 이끌 유능한 인재들을 양성하기 위해 세워졌으며, 이에 1898년 설립된 해를 기점으로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오스트리아를 비롯해 유럽 정재계에 장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들을 꾸준히 잉태해 왔다. 오스트리아 대통령, 오스트리아 총리, 유럽연합 정상회의 의원 등 다수의 정치인들은 물론이거와 오스트리아 재무부장관, 오스트리아 국립은행장, 그리고 수많은 회장 및 CEO들과 같은 각종 재계 관련 인사들을 배출했는데, 대표적으로 제10대 오스트리아 대통령 토마스 클레스틸, 제24대 오스트리아 총리 프란츠 프라니츠키, 에너지 음료 기업 레드불을 설립한 디트리히 마테쉬츠, 그리고 폭스바겐 포르쉐의 설립자 페르디난트 포르셰의 손자인 폭스바겐 그룹 포르쉐 회장 볼프강 포르셰가 본교의 졸업생이다.

생물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그레고어 멘델의 이름을 딴 Gregor Mendel Institute (GMI)가 있으며, 이 연구소의 상위기관인 Vienna Biocenter도 소재하고 있다.

8.3. 음식

인근 동유럽 국가들이나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아 나름대로 소박하면서도 이국적인 향취를 내는 메뉴가 많은 것이 빈 요리 문화의 특색이다.[74] 돈까스와 매우 유사한 고기 튀김인 비너 슈니첼(Wiener Schnitzel)[75]이나 비엔나 소시지라는 영어식 명칭으로 흔히 불리는 비너 뷔어스트헨(Wiener Würstchen)[76], 쇠고기를 각종 채소와 함께 육수에 삶아내는 타펠스피츠(Tafelspitz), 헝가리에서 전해진 매콤한 전골식 요리 굴라쉬(Gulasch) 등이 유명하다. 한국인 입맛에도 대체로 잘 맞는 숯불 돼지갈비 구이인 (rib) 전문 레스토랑들도 상당히 유명하며, 립 요리에 맥주 샐러드를 곁들여 먹는 경우가 많다.[77]

나슈마르크트(Naschmarkt) 재래시장[78] 등에서는 한국에서 접하기 쉽지 않은 중동 음식, 인도식 커리 등의 다양한 음식을 접할 수 있으며, 시내 곳곳에 훌륭한 고급 식당들도 자리하고 있어서 외국 음식에 지친 한국 여행자들의 오아시스가 되기도 한다.

그 외에 유명한 먹을거리는 빈에서 최초로 개발된 페이스트리인 아펠 슈트루델, 빈의 카페 자허[79]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졌던 오리지널 초콜릿케이크 자허토르테, 대포알처럼 둥근 모양의 초콜릿을 모차르트 초상화가 그려진 포장지로 포장한 모차르트 쿠겔 등이 있다. 특히 자허토르테는 꼭 먹어봐야 할 명물 중 하나로 꼽힌다.[80] 여기서 판매하는 초코 라테도 정말로 초콜릿을 녹여 타주는 경우가 많아서 차원이 다른 진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초콜릿을 좋아한다면 프라터(Prater) 놀이공원[81][82] 내 마담투소 박물관[83] 근처에 빈 초콜릿 박물관이 운영되고 있으니 방문해보는 것도 좋다.[84][85]

빈은 유럽에 커피를 전파한 지역으로도 유명하다. 1683년 빈을 침공했던 오스만 제국 군대가 철수하면서 버린 물품 중에는 커피 원두 자루가 있었고, 콜시츠키(G.F. Kolschitzky)라는 통역사가 왕의 허락을 받아 빈 최초의 카페를 열게 되었다. 이후 '아인슈패너 커피(일명 비엔나 커피)’를 비롯, 30여 종의 커피가 개발됐으며, 1910년에는 1,200곳의 카페가 영업을 할 정도로 카페가 많아졌다.[86] 현재도 빈 시내를 돌아다니다 보면 카페(커피숍)가 굉장히 많고, 빈 시민들은 카페를 거의 집안 거실처럼 친숙하게 드나들곤 한다. 덕분에 2011년에는 빈 카페하우스 문화(Wiener Kaffeehauskultur)가 유네스코(UNESCO)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했다.[87] 커피뿐 아니라 빈산 와인 또한 도나우강과 수많은 나무로 우거진 빈 숲이 최고의 포도와 와인이 생산되기에 최적의 기후 조건을 갖추고 있어 뛰어난 품질과 맛으로 정평이 나 있다.[88][89] 독일과 유사한 문화권이다 보니 맥주 문화 또한 발달했는데, 국내에도 상당히 알려진 오타크링거(Ottakringer) 맥주 브랜드의 양조장이 빈 16구역에 위치해 있다.[90]

빈 요리 추가 정보(독일어 위키백과)

8.4. 스포츠

축구의 경우, 빈을 연고로 하는 축구 구단으로 FK 아우스트리아 빈 SK 라피트 빈이 있다. 피르스트 비엔나 FC 등 다른 팀들도 있지만 보통 이 둘이 유럽에서 알려진 오스트리아 구단이며 리그 우승 횟수도 1~2위를 다투고 있다.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의 홈 경기장인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이 빈에 있으며, 여기서 2008년 6월 29일 UEFA 유로 2008 독일 對 스페인의 결승전이 열린 역사가 있다.

또한 빈 산에는 사이클리스트가 이용할 수 있는 수많은 산악 자전거 트레일이 있어, 산악 자전거 라이딩이 빈의 인기 있는 대중 스포츠로 자리잡혀 있으며[91], 도나우 섬 경로를 비롯한 아름다운 러닝 코스가 많아 러닝을 즐기는 이들도 많다. 이들을 위해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큰 마라톤인 빈 시티 마라톤[92]이 1984년부터 매년 봄 빈에서 개최되고 있다.

9. 공공임대주택의 천국

빈은 타 유럽 도시보다 집값 상승률이 높지 않고 주거 비용도 비교적 저렴하여, 특히 유럽 지역에서 심각해져가는 주거 문제에서 가장 자유로운 도시 중 하나이다.

먼저 빈의 집값은 2000년을 100으로 잡았을 때 2019년에 250 정도인데 이는 20년 동안 2.5배 정도 올랐다는 것을 뜻한다. 암스테르담, 파리, 런던 등의 유럽의 다른 도시들이 같은 기간 400, 450까지 오른 것에 비하면 매우 낮은 상승률이다. 또한, 주거 비용의 경우 런던에서는 한 달 벌어 세금 제하고 손에 쥔 돈 중에 50% 이상을 주거비로 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유럽 대다수 도시가 이 비율이 40% 내외이지만 빈은 15~18%에 그치고 있다. 즉 같은 월급을 받으면 빈에서는 훨씬 더 여유롭게 살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빈에 사회주택(social housing)이라고 불리는 공공임대주택의 비율이 전체주택의 26% 가량이나 되는 덕분이다.

이처럼 공공임대주택이 많은 데다 원가에만 얽매이기 보다는 수요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그 임대료를 정하다 보니, 민간임대주택 주인들도 다수의 공공임대주택과 경쟁하기 위해서 세를 비싸게 매기지 못하는 편이다. 덕분에 민간임대주택도 임대료 통제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임대료 규제가 이루어지는 민간임대주택까지 합하면 임대주택은 전체주택의 60% 정도에 이른다. 즉 시민들의 60%가 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내 집에 사는 사람은 40%도 안 된다는 것.

즉 공공임대주택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일단 물량이 많아야 한다. 원하는 사람이 쉽게 언제든 공공임대주택에 들어갈 수 있어야 민간임대주택도 임대료 통제가 쉽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빈 시 정부는 공공주택을 지금도 지속적으로 많이 짓고 있다. 2016년은 난민이라든지, 외부의 유입이 많아서 3만 명 정도 시 인구가 증가했는데[93] 이 당시에 1만 가구를 신규로 공급했다. 그리고 그다음 해에 또 1만 3천 가구 공급하는 식으로, 180만 명 정도 되는 도시가 연평균 1만 가구 이상의 주택들을 계속 공급하고 있다. 즉 수요에 맞춰서, 분양하는 주택도 있지만, 임대주택도 연간 6~7천 채 정도를 꾸준히 새로 짓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직접 건설했지만, 지금은 보조금 지급 형태로 민간한테 임대주택을 짓도록 하는 형태도 많다. 또한 외곽보다는 수요가 많은 도심에 주로 건설하고 있으며, 평균면적은 약 70㎡ 정도이다. 한국의 59㎡와 비교해도 꽤 넓은 편이다.

여타 도시들과 빈과의 결정적 차이는 임대주택의 재고를 유지하는 것이다. 즉 한번 지어진 공공임대주택을 팔지 않는다. 독일 통일 이후의 베를린이나 마가렛 대처 집권기 영국을 비롯한 많은 유럽의 도시들이, 돈이 필요하면 갖고 있던 공공임대주택을 분양으로 넘겼다. 돈이 많이 들어와야 도로를 짓거나 시청을 새로 짓거나 혹은 복지 수당을 주거나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유럽의 도시들이 공공임대주택을 차곡차곡 쌓다가 때 되면 처분하는 것을 반복했고 결국 주택난이 최근 들어 심해졌다. 반면 빈의 경우는 80년 동안 계속 임대주택 재고를 축적해왔다. 덕분에 현재에는 그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는 것이다.

빈은 기존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재생, 관리에도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2017년의 경우 신규 공공임대주택 건설에 8천억 원을 썼는데 기존 임대주택을 최첨단 고에너지효율 주택인 패시브 주택(passive house)으로 만드는 데 3천억 원을 투입했다. 즉 꾸준하게 임대주택을 새로 짓고 오래된 임대주택은 계속 최신형으로 새롭게 개보수하고 있다.

유럽의 행정 절차가 느리긴 하지만 빈 시 정부의 경우 주택을 빨리 공급하기 위해서 각종 관련 인허가 절차를 단축하는 데도 열심이다. 시 정부의 우선순위 업무 중 하나가 안정된 주거 환경 공급이다. 그러다 보니 상당히 실용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 보통 유럽의 도시들을 가보면 아파트는 별로 없거나 외곽에만 있고 단독주택이나 2~3층 정도의 저층 주택이 많지만, 빈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9% 정도밖에 안되고 대부분 공동주택이다. 문화재 보호나 스카이라인 보호라든지 여러 고려 대상들이 생길 수 있지만, 빈의 경우 정말 문화적 가치가 있는 대저택이라든지, 소유가 잘 유지되었던 집들을 제외하고는 대다수를 공공임대주택으로 바꾸었다. 그래서 도시 계획상으로 봐도 단독주택 구역을 따로 정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상당히 고밀도 지역이다. 고밀도라고 해서 초고층 빌딩은 아니지만 계속 6층에서 8층 정도의 빌딩들이 죽 늘어서 있기 때문에 전체 용적률로 보면 그렇게 낮은 지역이 아니다. 역사성이 있을 수 있는 오래된 집을 부순다고 비판할 수도 있으나, 공공임대주택을 상당히 아름답게 잘 지었기 때문에 모던함과 예술성을 다 갖춘 아름다운 임대주택이 아주 많아진 도시이기도 하다.

보통 오래된 도시는 토지 공급이 없어서 공공임대주택을 못 짓는다는 이야기들을 많이 하지만 빈은 과감하다. 예를 들어 예전에 쓰던 공업 지역이나 장사가 잘 안되는 지역이 생기면 시 정부에 넘기도록 하여 주거 지역으로 바꾼 뒤 임대주택을 짓고 있다. 과거 공항이었던 곳도 필요 없는 공항이면 바로 주택 지역으로 바꾸고 있다.[94]
파일:5b56e2011900002900c687a9.jpg
파일:AAFBB0A2-A17C-4627-A99F-7251CA9DF0B8.jpg
훈데르트바서 하우스

20세기 초반부터 임대주택 사업에 세계적 건축가들이 다수 참여했으며, 고품질 고밀도를 추구하며 지속적으로 주택을 건설해왔다. 세계적인 건축가들을 참여시키는 비용은 비쌀 수밖에 없는데 이를 빈 시는 공모를 통해 해결하고 있다. 단순하게 디자인만 보는 게 아니고 경제성, 건축미, 생태적 고려, 소셜믹스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이런 식이면 여전히 비싸지 않겠냐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여기에 다음과 같은 역설이 있다.

즉 공정하게 경쟁하다 보니 제곱미터당 건설비가 1100 유로(한화 약 150만 원)로 의외로 낮다. 평당 5백만 원이 안되는 비용이다. 한국도 정부에서 표준건축비를 매년 물가 인상률을 고려해서 공시하는데 표준건축비가 2018년 기준 제곱미터 당 185만 원으로 오스트리아보다 훨씬 더 비싸다. 그리고 이렇게 싼 추가적 이유는, 오스트리아 인건비가 비싸므로 사람을 가능한 한 쓰지 않고 집을 지을 수 있도록 건축가들이 특별히 노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국의 경우 집을 지을 때 전부 현장에서 만든다. 반면 오스트리아는 대부분 다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 온다. 그래서 더 싸고 품질도 균질하게 만들 수 있다. 현장에서는 이렇게 가지고 온 자재들을 조립만 한다. 조립하여 바로바로 얹는 공법이므로 시간도 단축되고 인건비도 많이 쓸 필요가 없다. 빈은 근 80년 동안 이런 표준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한국보다 훨씬 저렴하고 좋은 주택을 지을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관리비도 매우 낮아져 임대주택에 사는 사람들의 관리비 부담도 줄었다.

한국에서도 1980년대, 1990년대에 상계동 아파트라든지 1기 신도시를 건설할 때 몇 차례 시도했다. 처음 하면 물이 샌다든지, 어딘가 불편한 부분이 생긴다든지, 층간 소음이 있다든지 하는 하자나 실수, 문제점이 당연히 생길 수 있지만, 그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노력하기보다는 문제가 있으니 더 시도하지 말라는 쪽이 되었다. 그래서 이후에 주목할 만한 관련 기술 개발이 사실상 거의 없다. 주택 품질을 높인다는 것이 주로 인테리어라든지 여러 가지 정보 통신 시설 위주이고, 타 분야의 비용 절감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은 부족했다. 그러다 보니 주로 외국인 노동자를 이용해서 인건비를 낮추는 식으로 간 데 비해 빈은 표준화, 공업화로 나아갔다. 즉 집을 공산품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표준화된 창문, 표준화된 자재들을 사용해 효율성을 높였다. 표준화된 자재들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그 표준품이 충분히 쓰일 수 있을 만한 규모의 경제가 작동해야 하는데, 빈의 사회 시스템은 그러한 것들을 지원하는 데 충분히 맞춤화된 상태이다.

결국 빈은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격이다. 충분히 주거요구 충족을 시키면서 디자인이 나쁘지도 않아 여전히 아름다운 도시를 이루고 있다. 런던이나 파리를 가보면 첫 느낌이 생각보다 너무 지저분하다는 느낌이 많이 드는 반면, 빈은 비교적 깨끗하다. 빈이 이렇게 된 이유 중 하나는 후술할 역사적 배경도 있다.[95]

9.1. 빈 공공임대주택의 탄생과 역사

빈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수도이다 보니 원래 인구가 많았고, 19세기 말에는 200만 명에 달하게 되었다.

결국 과거 오스만 제국의 침공을 막아내는 데 기여한 빈 주위를 둘러싸고 있던 성벽을 19세기에 철거해야만 했다. 도시가 더 커져야 하는데 성벽이 차량 흐름을 방해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철거한 자리에 링 슈트라세라고 하는 순환형 도로망을 설치했다. 한국으로 치면 지금 서울의 내부순환로쯤 된다. 이후 이촌향도 현상에 따라 사람들이 몰려들면서 빈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고 주거 환경이 크게 악화하였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기록을 보면 임대계약이 한 달 단위로 매우 짧았고, 95%의 주택이 상수도와 화장실이 없었다. 왕궁과 달리 일반 시민들의 삶은 상당히 열악했던 것이다. 작은 주택 한 채에 10명씩 거주했고 보건이나 위생이 열악해, 유럽 전체를 놓고 봤을 때도 최악의 주거 환경이었다.

그러나 이는 정치적 변화를 계기로 크게 바뀌게 된다. 1914년에 사회주의 세력인 사회민주당이 투표를 통해서 빈 시(市) 정부를 장악하게 된 것이다. 시 정부는 다음 3가지 목표를 세운다. (1) 공공주택을 시(市)가 짓겠다. (2) 이를 위한 세금을 걷겠다. (3) 이를 위한 토지를 적극적으로 확보하겠다.

이런 목표 설정이 쉽게 받아들여졌던 것은 당시 1차 세계대전이 진행 중이었기 때문이다. 아버지나 남편이 전쟁에 나가 있는데 집 주인이 빈에 남아 있는 가족들을 마음대로 내쫓을 수도 있는 상황이라면 군인들은 전선에서 마음 편하게 싸울 수가 없으니, 주택 퇴거에 대한 보호 조치를 취하고 임대료 인상 금지 조처를 한 것이다. 즉 시대적 상황 때문에 시 정부의 주택 정책이 부담 없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이후 오스트리아는 1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하게 된다. 그리고 곧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찾아온다. 그러다 보니 공공주택을 공급한다는 계획은 없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제국이 붕괴한 뒤 많은 피난민이 빈으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집이 없고 먹을 것도 없어 길거리에서 굶어 죽은 사람들이 널려있는 참상이 빈에서 벌어진다. 다들 먹고살기 급급하다 보니 이전의 제국 시대에 귀족들이 가지고 있던 땅을 무단 점거해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기 시작하였고 잘 갖춰져 있던 수많은 잔디밭이 텃밭으로 변했다. 이러한 무단 경작은 식량난을 어느 정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한편 당시 빈 시 정부는 사회주의 정부이다 보니 노동 시간을 8시간 이내로 제한을 가하는 정책을 펼쳤고, 그 결과 그전에는 공장에서 하루에 12시간, 15시간 일하던 사람들이 내 집 주변 어딘가의 텃밭을 일굴 시간이 생기게 되었다. 빈 서민들이 점차 이 텃밭 주위에 오두막이나 판잣집을 짓게 되었는데 이것이 확대되다 보니 점차 대규모 건축 활동처럼 번져갔다. 슬럼화가 시작된 것이다. 이 과정에 빈 시 정부가 효과적으로 개입하게 된다. 오두막, 판잣집을 단속하거나 철거하지 않고 오히려 체계적인 조언을 해 주기 시작한 것이다. 당시 실업자 신세였던 오스트리아의 유명한 디자이너들이나 건축가들이 이 과정에 투입되었다. 또한 시 정부는 필요한 건축 자재들도 일부 공급을 해주었다. 당시 시대 상황은 사회주의 혁명 정신이 넘쳐흘렀기 때문에, 1918~1934년 동안의 빈은 '붉은 빈(Rotes Wien)'[96]와 같은 표현으로 불렸으며, "네가 혼자 짓는 집이 중요한 게 아니다. 우리가 같이 사는 주거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라는 설명도 수용되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블록 단위로 집을 짓자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해 간다. 이리하여 시민들이 직접 삽을 들고 만들기 시작했던 풀뿌리 건축 사업으로 10만 호를 건설하게 된다. 내 집 마련의 이기심만 나타났다면 판자촌, 슬럼화가 진행되었을 상황을 시 정부가 효과적으로 개입을 해 가면서 방향을 잘 잡았고, 사람들의 내 집을 갖겠다는 욕구를 나의 이기주의가 아닌 공동체주의로 나아가게 만드는 데 성공한 것이다.
 
내 집 하나씩 짓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게 되자, 내 집을 짓고 나면 같이 운동할 운동 공간도 필요하고 영화를 볼 극장도 있어야 하고 학교도 지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공공 시설들은 나라가 공급해야 할 것들이지만 전쟁에서 패한 상황이라 예산이 없었으므로 이런 시설들 역시 직접 자신의 손으로 만들자는 혁명 정신이 나왔다. 이때의 협동주택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집만 짓는 것이 아니고 단지(團地, complex) 개념의 주거였다. 그래서 회의장, 운동 공간, 극장, 연주회장, 성인 교육 센터, 이런 것들을 포함한 주거 단지를 만들자는 쪽으로 설득이 되었다. 현재 한국의 아파트 커뮤니티 센터와 비슷한 개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빈의 역사와 비교해서 역설적으로 사회주의 혁명 정신이 100년의 세월을 뛰어넘어서 한국의 최고 아파트에서 구현되었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파일:karlmarxhof222.jpg
칼 마르크스 호프[97]

실제 협동조합을 만들어서 이런 단지에 이런 집을 짓겠다고 하면 건축가들이 와서 설계도 해주고 빈 시 정부에서 여러 가지 행정 지원도 해 주었는데, 재미있는 것은 내 집을 먼저 지으면 안 되었다는 것이다. 협동조합에 가입한 사람들은 2천 시간 이상 노력 봉사를 해야 했는데 커뮤니티 시설부터 먼저 지어야 했다. 그런 후에 내 집을 지을 수 있는 순번이 주어졌다. 이것은 자재나 기타 필요 물품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있어 가능했다. 원래 오스트리아는 문화 중심지이다 보니 세계적으로 뛰어난 건축가들이 많았고 이들을 거의 무보수로 약간의 돈을 주고 활용하였으니 이 역시 사회주의 시대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그리고 이 당시 벌써 빌트인 형태의 부엌이 포함된 모델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920년대에 지어진 집에 빌트인 부엌이 있고 실내 화장실이 있다는 것은 지금 생각해도 놀라운 것이다.
 
그러면 빈에는 공공임대주택들이 어떻게 그렇게 많이 확보되고 지어지고 사람들은 다른 가치보다 그것이 더 중요하다며 우선순위에 두게 되었을까? 사실 임대주택 건설 문제의 핵심은 돈이다. 아무리 자발적으로 짓는다고 하지만 여러 가지 도와줘야 하는 것도 있고 땅도 구매해야 하니 결국 돈이 매우 중요했다.

재정 확보의 역사를 살펴보자. 1차 세계대전 에서 지고 1919년에 다시 선거를 했는데 완벽하게 사회민주당이 빈 시(市) 정부를 장악하게 된다. 단순하게 시 정부를 장악했다는 수준이 아니고 중앙정부에 재정 독립을 요구했다. '빈에서 걷는 세금은 모두 빈이 쓸 것이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따로 독립하겠다'는 식으로 위협했고 결국 조세 주권을 획득했다. 그러다 보니 빈 시의 재정 요건이 개선되었고 빈 시 정부는 별도의 세금도 새로 만들었다. 신 토지세, 부가가치세, 주택세…. 한국으로 치면 종부세 같은 이런 세금을 신설했다. '이것은 목적세이기 때문에 전부 집 짓는 데 쓴다'고 했고, 이렇게 새로 거두어들인 세금이 전체 세금의 1/3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이 돈으로 짓기 시작한 것이다.

건설된 공공임대주택의 임대료는 건축 비용의 4% 수준으로 연간 임대료를 징수하다 보니 매우 낮은 임대료가 가능해졌다. 즉 실제 땅값을 제외하고 건축비를 25년간 나눠 내는 셈이다. 공공임대주택을 지을 땅이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도 아닌데 시 정부가 돈 주고 산 땅이라면 원가를 생각하면 그렇게 싸게 임대를 하면 계속 손해겠다는 계산이 나왔을 건데도 감수하고 밀고 나간 요인이 궁금해질 것이다. 여기서 마술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살 땅의 가격을 낮출 필요가 있었기에, 빈 시 정부는 각종 규제를 땅을 가진 사람들한테 퍼붓기 시작한다. 개인적인 목적으로 땅 활용을 못 하도록 하여 헐값에 팔 수밖에 없게 한 것이다. 즉 토지 가격을 하락시키도록 한 것이다. 시 정부의 그런 규제와 요구에 시장에는 헐값에 내놓은 토지들이 매물로 넘쳐나게 되었고 시 정부는 필요한 땅을 선택적으로 구매할 수 있었다. 세입자 보호를 위해서 임대료 상한을 정하다 보니 임대 수익률이 안 나오는 집은 지을 필요가 없었고, 매우 저렴한 임대주택을 계속 짓다 보니 비싼 돈을 지불하고 개인 임대주택에 입주하려는 이들은 사라져갔다. 당시 토지 소유자들은 대부분 옛 귀족들이었는데 결국 이들은 “이렇게 있을 바에는 차라리 이 땅을 팔고 다른 나라로 이사를 하겠어.”라는 생각에 이르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시유지 면적이 급속히 늘어났다. 1918년에는 시유지가 총면적의 17% 정도였는데 13년이 지난 1931년에는 33%가 되어 거의 두 배가 된다.
 
집 지을 땅들을 규제하고 땅 주인들을 압박하는 그 기간 동안은 시장성이 없어 땅 주인들이 주택을 짓지 않게 되자 주택공급이 줄어들어 임대료 폭등이 일어났는데, 시 정부는 임대료 상한이라는 제도로 누르며 도시 외곽에 임대주택을 새로 건설하여 대응했다. 불편하게 외곽에서 출퇴근하거나 한 집에서 열 명이 사는 시절을 견뎌야 했지만, 결국 무엇이든 계속 지어지고 조금씩 나아진다는 것을 사람들이 깨달았기 때문에 기다리면 된다고 생각했고, 덕분에 시 정부는 이런 활동을 꾸준하게 전개하게 된다. 자본주의 시대에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었지만 당시의 빈은 거의 혁명적 분위기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렇게 해서 확보된 토지 40여 곳[98]을 바탕으로 시 자체 주택 프로그램을 시작하였고 시 정부는 협동조합을 구성해서 공공임대주택을 짓도록 하였다.

즉 단순하게 법률이나 정책에 의해서 추진되었다기보다는, 오랜 역사적 변화와 강력한 사회주의 정부가 힘을 발휘하며 공공성으로 밀어붙인 것이다. 오늘날의 한국도 유사한 정책을 쓰려고 하고 있다. 즉 다주택자들에게 세금을 무겁게 매기면 매물들이 나올 것이고 그러면 그 매물이 많아지면 집값이 내려가리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 정책이 실제 작동하는 것을 보면 다주택자들은 “2, 3년 후에 정권이 바뀌면 이 정책이 사라지는데 왜 매물로 내놓나? 좀 기다리지”라는 생각으로 버티는 경향이 있다. 그러다 보니 오히려 매물이 잠기게 되어 그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당시 빈의 분위기는 2, 3년 버틴 뒤에도 마찬가지 상황일 것이라는 분위기였다. 이 시기는 혁명 정부, 사회주의 시 정부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가 10년, 20년 가리라는 것을 다들 알았다. 결국 주택, 토지 소유주들은 가진 것을 빨리 팔고 차라리 자신이 영국이나 다른 쪽으로 가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즉 이런 정책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그 정책을 펴는 정부가 오래가거나 정권이 바뀌더라도 정책의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국민들도 전폭적으로 지지하여 향후 계속되는 정책이겠다는 생각을 하도록 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하겠다. 오스트리아의 경우 제국은 무너지고 도시는 폐허가 된 상태였기 때문에 가능했던 정책이었다고 볼 수 있다.[99]

비엔나가 비싸지 않은 공공 주택 천국이 된 이유: 다른 나라 사람들이 찾아오면 이렇게 좋은 집이 이렇게 싸다는 걸 믿을 수 없어 한다.

이런 정책이 가능했던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이후 나치의 결집에 기여하게 되는 카를 뤼거의 빈 시장 임기의 영향도 있었다. 반유대주의와 각종 대중 슬로건에 기반해 전통적인 자유주의자들의 반대를 누르고 1897년 시장에 당선된 뤼거는 1910년 숨을 거둘 때까지 가스, 수도, 전기, 병원, 학교, 공원 등을 공유화하는 '도시사회주의'(municipal socialism)와 반유대주의를 선구자 정신으로 혼합해서 온갖 저항을 대중의 힘을 이용해 억누르고 장기 집권으로 빈을 다스렸다.

10. 현지 언론사

빈 현지에 대한 심층적 정보가 필요할 때,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오스트리아 언론 개황(2006, 주오스트리아대사관)

11. 기타

  • 2020년 11월 2일 빈 테러 사건이 발생해 시민 4명이 사망하고 22명이 다쳤다.

1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문화유산
1996년

잘츠부르크 역사 지구
Historisches Zentrum der Stadt Salzburg
1996년

쇤브룬 궁전과 정원
Schloss und Gärten von Schönbrunn
1997년

잘츠카머구트 지방의
할슈타트 - 다흐슈타인 문화 경관

Kulturlandschaft
Hallstatt-Dachstein / Salzkammergut
1998년

제메링 철도
Die Semmeringeisenbahn
1999년

그라츠 역사 지구와 에겐베르크 성
Stadt Graz
- Historisches Zentrum und Schloss Eggenberg
2000년

바하우 문화 경관
Kulturlandschaft Wachau
2001년

빈 역사 지구
Historisches Zentrum von Wien
2001년

페르퇴 노이지들러 호 문화 경관
Kulturlandschaft Fertö-Neusiedler See
2011년

알프스 주변의 선사 시대 호상 가옥
Prähistorische Pfahlbauten um die Alpen
2021년

로마 제국 국경
: 서부 다뉴브 경계
Grenzen des Römischen Reiches
- Westlicher Abschnitt Donaulimes
2021년

유럽의 거대 온천 도시들
Bedeutende Kurstädte Europas
자연유산
2017년

카르파티아 및 유럽의 기타 지역에
생육하는 고대 및 원시 너도밤나무 숲
Alte Buchenwälder und Buchenurwälder der
Karpaten und anderer Regionen Europas
}}} }}}}}} ||

유럽의 국가별 수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서유럽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더블린 문장.png 더블린 파일:그레이터 런던 휘장.svg 런던 파일:파리 문장.svg 파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암스테르담 문장.svg 암스테르담 파일:Greater_coat_of_arms_of_the_City_of_Brussels.svg.png 브뤼셀 파일:룩셈부르크 국장.svg 룩셈부르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모나코 국장.svg 모나코
중부유럽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베를린 주장.svg 베를린 파일:빈(오스트리아) 문장.svg 파일:WARSAW Coat of arms.png 바르샤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프라하 문장.png 프라하 파일:브라티슬라바 문장.svg 브라티슬라바 파일:부다페스트 휘장.svg 부다페스트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베른 주장.svg 베른 파일:파두츠 문장.svg 파두츠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모스크바 휘장.svg 모스크바 파일:민스크 시 문장.png 민스크 파일:키이우 문장.svg 키이우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키시너우(수도).png 키시너우 파일:예레반 시 휘장.png 예레반 파일:Seal_of_Tbilisi,_Georgia.svg 트빌리시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Coat_of_Arms_of_Tskhinval.png 츠힌발리 파일:아스타나 시 휘장(라틴어).png 아스타나 파일:바쿠 시 휘장.png 바쿠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Coat_of_arms_of_Tiraspol_1847.svg.png 티라스폴 파일:1000003902.png 수후미
남유럽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마드리드 시장.svg 마드리드 파일:Coat_of_Arms_of_Lisbon.svg.png 리스본 파일:안도라라벨랴.png 안도라라베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로마시 휘장.svg 로마 바티칸 파일:산마리노 문장.svg 산마리노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발레타(Valletta).png 발레타 파일:류블랴나 시 문장.png 류블랴나 파일:자그레브 시 문장.png 자그레브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Coat_of_arms_of_Sarajevo.svg.png 사라예보 파일:베오그라드 문장.svg 베오그라드 파일:프리슈티나.png 프리슈티나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Coat_of_Arms_of_Podgorica.svg.png 포드고리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49px-Wappen_Tirana.svg.png 티라나 파일:스코페 휘장.png 스코페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아테네 문장.png 아테네 파일:Ankara_City_Logo.svg.png 앙카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cosia_city_fl_n7160.gif 니코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616px-ROU_Bucharest_CoA.svg.png 부쿠레슈티 파일:소피아 시 휘장.png 소피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cosia_city_fl_n7160.gif 레프코샤
북유럽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Tallinn_wapen.svg.png 탈린 파일:리가 문장.png 리가 파일:Grand_Coat_of Vilnius.png 빌뉴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Helsinki.vaakuna.svg.png 헬싱키 파일:1280px-Stockholm_vapen_bra.svg.png 스톡홀름 파일:오슬로 주장.svg 오슬로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코펜하겐시.png 코펜하겐 파일:레이캬비크 휘장.svg 레이캬비크
아메리카의 수도 | 아시아의 수도 | 아프리카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


[1] Gemeindebezirke [2] 2024년 기준. [3] 2024년 대도시권 기준. [4] Michael Ludwig(위키백과 영어 문서) [5] https://www.wien.gv.at/wahlergebnis/en/GR201/index.html [6] 국제:(+43 1) [7] 도시통계 [8] 빈 무역관(KOTRA) [9]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10]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 [11]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12]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 [13] 지금도 중화권에서는 웨이예나(维也纳 / Wéiyěnà)라고 한자로 쓴다. [14] 일본어로 Wien을 ウィーン이라고 표기한다. 물론 원음을 반영한 ヴィーン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사족으로 1980년대에 한국 육가공 공산품 중 비엔나 소시지 형태의 제품들이 나오기 시작할 때 '윈나' 등의 명칭을 사용했던 제품도 존재했었는데, Wien의 형용사형 Wiener에서 유래한 걸로 보인다. [15] (카드뉴스) 세계의 석유 회사 4화. OMV [16] OMV(위키백과 영어 문서) [17] Wienerberger(위키백과 영어 문서) [18] A1_Telekom_Austria_Group(위키백과 영어 문서) [19] https://www.wien.gv.at/forschung/staerkefelder/ikt.html [20] 빈 무역관(2021. 3. 19.): 오스트리아 수도 빈, 코로나19 속에도 외투기업 핫플레이스로 주목 [21] Vienna International Centre(위키백과 영어 문서) [22]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3&aid=0003581332 [23] 포괄적 공동행동계획(위키백과 한국어판) [24] Vindobona(위키백과 영어 문서) [25] 3월 혁명과 메테르니히의 실각(네이버 지식백과) [26] https://www.wien.info/en/sightseeing/ringstrasse [27] Theophil Hansen(위키백과 영어 문서) [28] https://www.musikverein.at/en/history-of-the-building [29] 빈 국립 오페라 극장(네이버 지식백과) [30] https://www.akbild.ac.at/portal_en/university/about-us/history [31] 서울신문(2016. 12. 30.): 히틀러 트로츠키 티토 프로이드 스탈린이 함께 머물렀던 도시는? [32] 비트겐슈타인과 세기말 빈(스티븐 툴민, 앨런 재닉 지음; 석기용 옮김) 책 소개 중에서. [33] 오스트리아기독교사회당(네이버 지식백과) [34] 오스트리아 내전(위키백과 한국어판) [35] 오스트리아 내에서도 통일 자체는 호의적이었다. 다만 나치 독일의 강압적인 방식으로 통일되어, 나치 패망 이후 다시 분할되었다. [36] 도시 통계 [37] THE GURU(2022. 6. 15.): 대한항공, '항공화물 허브' 비엔나공항 의존도 심화 [38] Twin City Liner(공식 홈) [39] 게다가 잘츠부르크의 시내버스는 한국의 소규모 지역에서 보일법한 1x1의 맨뒤까지 중문 이후로도 의자가 1개씩만 장착된 버스가 많아, 한국 버스의 기분이 더욱 연출된다는 평이 많다. [4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hat to Do in Vienna, Austria | 36 Hours Travel Videos | The New York Times [4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Vienna in 4K(빈 풍경 감상하기) [42] https://bucketlist.austria.info/kr/bucketlist/74/ [43] Innere Stadt(위키백과 영어 문서) [44] 메인 홀은 내부의 화려한 장식과 금빛 기조의 도색 때문에 황금 홀(Goldener Saal)이라고 불리며( The Musikverein’s concert hall(영어 문서)), 클래식 공연장 중 최상의 음향 조건을 갖춘 곳으로 손꼽힌다. 그 화려한 면모는 매년 1월 1일에 거행되는 신년 음악회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 New Year Concert Vienna) [45] Nude, Self-portrait 1910(네이버캐스트) [4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illy Joel - Vienna (Audio) [47] Billy Joel - Vienna(위키백과 한국어판) [4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세계테마기행-봄의 왈츠, 오스트리아 3부-음악을 사랑한 도시, 빈_#00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0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03 [49] 왕궁정원(Burggarten)에 모차르트 동상이 있다. [50] stadtpark에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금 도금된 동상과 기념비가 있다. [51] Smithsonian : Johann Strauss II and Johannes Brahms [52] Brahms_House (Baden-Baden)(위키백과 영어 문서) [53] http://www.viennatouristguide.at/Gedenktafeln/pers/B/brahms_4.htm [54] 뉴시스(2015. 5. 25.): ‘음악의 성지’ 빈 중앙묘지 [55] 휴고 볼프(네이버 지식백과) [56] 프란츠 레하르(두산백과) [57] The Merry Widow(네이버 지식백과) [5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All Ears on: Vienna | Vienna 2020. Capital of Music - Medley) [5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ans Zimmer performs INCEPTION "Time") - Hollywood in Vienna 2018 [6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John Williams & Wiener Philharmoniker – "Main Title" from "Star Wars: A New Hope") [6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University Of Vienna - Image Video 2014 (Corporate Video, English)) [62] 엘프리데 옐리네크(두산백과) [63] 빈 대학교(네이버 지식백과) [64] 현재 Medical University of Vienna (빈의과대학교) [65] 공식 홈페이지: 프로이트 박물관(빈) / 프로이트 박물관(런던) [66] 중앙SUNDAY(2020. 8. 8.): 슈니츨러·프로이트…지식인 융합 모임, 비엔나 이끌다 [67] 프로이트의 대표저서로는 1900년작《 꿈의 해석》이 있으며, 슈니츨러는 1926년 《 꿈의 노벨레》를 집필했다. [68] Wiener Moderne(위키백과 영어 문서) [69] 다르마키르티(두산백과) [70] Dharmakirti(위키백과 영어 문서) [71] 인식론과 논리학(가츠라 쇼류 외 저; 박기열 역) 책 소개 중에서. [72] On the History of South Asian, Tibetan and Buddhist Studies in Vienna [7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elcome to WU) [74] 오스트리아의 음식 문화(네이버 지식백과) [75] 대부분 소스는 없고 레몬 감자가 함께 나오는 음식. 소금을 곁들인다. 크랜베리 소스를 곁들여 먹기도 한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rispy, Juicy and Tender - The Secrets of the Genuine Wiener Schnitzel | Food Secrets Ep. 4 (DW) [76] 다만 이 소시지는 모양도 작지 않고, 맛도 좀 다른 편이다. [77] MICHELIN Guide Austria [78] Naschmarkt(네이버 지식백과) [79] cafe sacher wien(공식 홈) [80] https://bucketlist.austria.info/kr/bucketlist/69/ [81] 영화 비포 선라이즈의 명장면 중 하나인 대관람차 키스 신이 프라터 놀이공원 대관람차에서 촬영되었다. 영화 <비포 선라이즈> 촬영지 따라 오스트리아 빈 산책하기 [82] https://www.praterwien.com/en/prater/fun-in-vienna/history/ [83] Madame Tussauds Wien(공식 홈) [84] https://www.wien.info/en/vienna-for/families/museums/chocolate-museum-vienna [85] Chocolate Museum Wien(공식 홈) [86] https://www.natgeotraveler.co.kr/article.php?type=h&idx=28 [87] 빈 카페하우스(위키백과 한국어판) [88]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02/2017080200995.html [89] https://www.wien.info/en/shopping-wining-dining/wine [90] Ottakringer(위키백과 영어 문서) [91] https://www.wien.info/en/vienna-for/sports/cycling/mountainbiking [92] Vienna City Marathon(공식 홈) [93] 대부분이 1인 가구로 밝혀졌다. [94] 베를린의 경우 과거 공항에다가 임대주택을 지으려다가 여러 반대로 인해서 못 짓게 되어 난리가 났었다. [95] 출처: MBC 라디오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2019. 9. 12. 오스트리아 빈, 깨끗하고 집값까지 싸다? 최준영 전문위원 [96] Red Vienna(위키백과 영어 문서) [97] Karl Marx Hof(위키백과 영어 문서) [98] 한국으로 치면 택지개발지구 [99] 출처: MBC 라디오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2019. 10. 5. 공공주택의 천국, 오스트리아 빈(2), 최준영 전문위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