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00:54:53

한스 로트


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 · 기록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중세 음악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 비트리 · 마쇼
기타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스페인 빅토리아
영국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프랑스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이탈리아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중부 유럽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영국 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 전고전(로코코)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초기 고전파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오페라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폴란드
낭만주의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미국
후기 낭만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국민​악파 러시아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중부 유럽 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흐리스토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모니우슈코 파일:폴란드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 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음악
인상주의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신고전주의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제2 빈 악파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 음악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영국 근현대 음악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헝가리 근현대 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폴란드 현대 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 음악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 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
<colbgcolor=#000><colcolor=#fff> 한스 로트
Hans Rott
파일:external/www.hans-rott.de/Hrott8.jpg
출생 1858년 8월 1일
오스트리아 제국
사망 1884년 6월 25일 (향년 25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직업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사조 후기 낭만주의

1. 개요2. 약력3. 평가4. 생애5. 주요 작품
5.1. 관현악5.2. 실내악5.3. 가곡5.4. 피아노

[clearfix]

1. 개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

2. 약력

1858년: 빈에서 출생했다.
1860년: 말러가 태어났다. 이후 말러와 로트는 동료 사이가 되었다.
1874년: 브루크너 밑에서 오르간을 배웠다.
1880년: 교향곡을 브람스와 한스 리히터에게 보여주었으나, 브람스는 이를 좋아하지 않았다.
1881년: 기차에서 정신착란을 일으켜 정신병원에 들어갔다.
1884년: 사망했다.

3. 평가

브루크너와 바그너의 영향을 받았고, 말러의 일부 교향곡에 영향을 주었다.

생전에 동료였던 말러는 이렇게 평가했다.
"음악계가 그를 잃은 것은 예측하기가 완전히 불가능하다. 그는 내가 이해하는 한 새로운 교향곡의 창시자였다."
- 구스타프 말러

4. 생애

빈 교외의 Braunhirschengrund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배우였다. 그의 아버지는 빈의 유명한 배우였으나 무대 사고로 다리를 크게 다쳤고 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양친이 모두 어렸을 때 사망했기 때문에 어린 시절 극도로 불우한 생애를 보냈다. 고아로서 여동생의 생계까지 책임져야하는 소년 가장이었다.

극도로 어려운 형편이었지만 음악적 재능을 인정받아 1874년 빈 음악원에 들어갔다. 음악원 동료 중에는 두 살 아래의 구스타프 말러도 있었다. 말러는 한스 로트의 재능을 크게 보았고 자신보다 뛰어난 재능을 가졌음을 인정했다. 말러에 따르면 로트는 음악원 교수인 브루크너가 가장 높이 평가하고 아꼈던 제자라고 한다.

로트는 바흐의 음악에 큰 관심과 재능을 보였으며, 동시에 바그너와 브루크너의 작품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학생시절인 1876년 니벨룽의 반지 4부작 초연을 직접 관람하였고, 이듬해인 1877년 동료 말러 등과 함께 브루크너 교향곡 3번의 초연을 직접 관람했다. 이 작곡가들은 로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졸업을 앞두고 로트는 자신의 교향시(훗날 그의 교향곡 1번 1악장이 된다.)로 당시 최고의 작곡 경연대회인 베토벤상에 응모했다. 당시 음악원에서는 로트의 대상을 기정사실로 보았다. 그러나 베토벤상 심사위원 중 브람스가 로트의 교향시에서 바그너적, 브루크너적인 성향을 간파하고 그의 대상을 결사적으로 반대하여 결국 낙선했다. 이때문에 한스 로트 본인은 물론 음악원 전체가 큰 충격에 빠졌다.

이 대목에서 브람스의 꼰대적 인간성이 잘 드러나는데, 브람스의 음악이 낭만주의 최정점에 있고, 또 본인 스승의 아내를 짝사랑하며 평생 독신으로 살아온 부분 등, 브람스에 대한 이미지가 세간에는 그의 음악과 같이 매우 낭만적, 서정적인 인물로 받아들여지나, 이는 실상과 조금 다르다. 당대 이름날린 음악가중에 성격 멀쩡한 사람 찾기 힘들지만, 브람스는 애초에 베토벤처럼 성격 자체가 파탄자면 모를까, 그도 아닌 피해의식에 사로잡힌 찌질이 꼰대 그 자체였다. 바그너가 살아생전에 바그너에게 호되게 까이고 치일때도 바그너한테는 찍 소리 한번 못하고 살다가 바그너가 죽자 비로소 브람스의 꼰대짓이 절정에 이른다.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또 후술한 한스 로트 사건이 대표적이다.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덴마크의 비운의 작곡가 루에드 랑고르도 어느정도 피해자라고 볼 수 있으며, 바그너파 계열 음악가들을 끊임없이 괴롭혔다.

이런 일련의 사건들을 직접 옆에서 본 대표적 친 바그너파인 구스타프 말러는 로트의 베토벤상 낙선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브람스가 살아있는 한 작곡가로서는 절대 성공할 수 없으리라 생각하고, 전업 작곡가가 되기를 포기하고 직업 지휘자가 되기로 결심하게 된다.

베토벤상에서 대상을 받아 직업 작곡가가 되려고 했던 로트는 졸업 후 음악 레슨으로 생계를 이러가려고 했으나 극도로 궁핍한 생활을 했다. 그의 친구들이 약간씩 돈을 모아 그를 도와 주기도 했다.

로트는 정신질환으로 고통받았다. 그 와중에 로트는 자신의 교향시를 확장하여 1880년 교향곡 1번을 완성했다. 그해 9월 그는 완성된 교향곡을 가지고 브람스를 찾아갔으나 브루크너 풍이었던 그의 교향곡은 브람스로부터 호된 질책을 받았다. 이어 그는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였던 한스 리히터를 찾아갔다. 한스 리히터는 그의 작품에서 가능성을 보고 빈 필하모닉 정기연주회에서 초연을 추진했다. 하지만 소문을 들은 브람스가 직접 한스 리히터를 찾아와 초연을 좌절시켰다.

로트의 정신질환은 더욱 심각해졌다. 교향곡 1번의 초연이 좌절된 직후인 10월 그는 기차에서 브람스가 자신을 죽이려 한다고 소리치다가 결국 정신병원에 감금되었고 결국 거기서 25세의 젊은 나이에 생을 마쳤다.

로트의 교향곡 1번의 존재를 알고 있었던 말러는 로트의 교향곡을 면밀히 공부했고, 이 작품은 말러의 초기 교향곡인 1, 2, 3번, 특히 교향곡 3번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오늘날 관점에서 표절이라 해도 할말이 없을 만한 부분들도 몇 군데 있다.[1] 이를 의식해서인지 말러 스스로도 자신의 교향곡 3번은 로트에게 크게 빚졌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스 리히터의 후임으로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가 된 말러는 로트의 교향곡 1번을 빈 필 정기연주회에서 초연할 지에 대해 깊이 고민했지만 끝내 초연을 실행하지는 못했다. 브루크너 교향곡 3번 초연[2] 파동을 로트와 함께 직접 경험했던 말러는 로트의 작품이 공개되면 자신에게 비슷한 후폭풍이 일어날 것을 두려워 했을 수 있다. 또 말러 본인이 브람스와의 개인적인 친분으로 브람스파의 지지를 얻어 빈 필의 상임지휘자가 된 만큼 로트 교향곡의 초연으로 브람스파의 심기를 거스를 것을 우려했을 수도 있다. 로트가 남긴 원고가 연주하기에 적합하지 않아 결국 연주에는 실패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오늘날 여러 교향악단이 무리없이 연주하고 있기 때문에 설득력은 떨어진다.

5. 주요 작품

5.1. 관현악

  • 햄릿 서곡(1876)
  • 전주곡 E장조(1876)
  • 카이사르 서곡(1877)
  • 관현악 모음곡 1번 B♭장조(1877)
  • 관현악 모음곡 2번 E장조(1878)
  • 전원 전주곡 F장조(1880)
  • 교향곡 (1번) E장조(1878~80)

5.2. 실내악

  • 현악 4중주 C단조(1879)

5.3. 가곡

  • 바이올렛
  • 나를 잊지 말아줘
  • 방랑자의 밤 노래
  • 겨울의 노래

5.4. 피아노

  • 실러의 “종”의 한 장면 C장조
  • 스케르초 A단조
  • 미뉴에트 A♭장조
  • 안단티노 F장조

[1] 예를 들어서 말러 교향곡 2번 3악장은 로트의 교향곡 1번 3악장의 명백한 표절이다. 특유의 박자며 멜로디까지. 말러는 이를 "영감을 받았다"라고 포장했다. [2] 브루크너 교향곡 3번의 초판과 2판에는 바그너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바그너 작품의 일부 선율이 인용되어 있다. 그러나 이 때문에 브루크너는 브람스파의 공격을 받아 큰 곤경에 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