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기록물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메소포타미아 음악 |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 |
그리스 음악 |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 |||
중세 음악 | 노트르담 악파 | 레오냉 · 페로탱 | ||
아르스 노바 | 비트리 · 마쇼 | |||
기타 |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 |||
르네상스 음악 | 부르고뉴 악파 | 뒤파이 · 뱅슈아 | ||
플랑드르 악파 |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 |||
이탈리아 |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
스페인 | 빅토리아 | |||
영국 |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 |||
독일 |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 |||
프랑스 |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 |||
이탈리아 |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 |||
중부 유럽 |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 |||
영국 | 퍼셀 · 헨델 · 애비슨 | |||
고전주의 | 전고전(로코코) |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 ||
초기 고전파 |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 |||
낭만주의 | 전기 낭만주의 | 초기 낭만파 |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 |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 |||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 |||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 |||
오페라 |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 |||
빈 왈츠 |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 |||
후기 낭만주의 |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볼프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 ||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 |||
프랑스 후기 낭만 |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 |||
러시아 후기 낭만 |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 |||
영국 낭만주의 |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 |||
폴란드 낭만주의 |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 |||
미국 후기 낭만 |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 |||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 |||
국민악파 | 러시아 |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 ||
중부 유럽 | 스메타나 · 드보르자크 · 야나체크 · 에네스쿠 · 도흐나니 · 흐리스토프 · 블라디게로프 · 모니우슈코 · 비에니아프스키 · | |||
북유럽 | 닐센 · 그리그 · 시벨리우스 · 알벤 | |||
스페인 |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 |||
프랑스, 이탈리아 |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 |||
20세기음악 | ||||
인상주의 |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 |||
신고전주의 |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 |||
제2 빈 악파 |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 |||
프랑스 근현대 음악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 |||
영국 근현대 음악 |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 |||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영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랭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 |||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 |||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 |||
헝가리 근현대 음악 |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 |||
폴란드 현대 음악 |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 |||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 |||
이탈리아 현대 음악 |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로타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 에이나우디 | |||
한국 현대 음악 |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 |||
기타 |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탄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첸 · 도이처 | }}}}}}}}} |
역대 웨스트민스터 사원 오르가니스트 | ||||
존 블로 | ← | 헨리 퍼셀 | → | 존 블로 |
헨리 퍼셀 Henry Purcell |
|
헨리 퍼셀의 초상화. 존 클로스터맨 作 (1695) |
|
출생 | 1659년경[1][2] |
[[잉글랜드 연방| ]][[틀:국기| ]][[틀:국기| ]] 런던 웨스트민스터 |
|
사망 | 1695년 11월 21일 (향년 36세) |
잉글랜드 왕국 런던 | |
국적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
사조 | 바로크 음악 |
서명 |
[clearfix]
1. 개요
▲ 세미오페라 《아서 왕King Arthur, Z.628》 3막 중 겨울 신의 아리아 '너는 무슨 힘으로What Power Art Thou'. 미칠듯한 분위기와 간지로 인해 영화 음악으로도 여러 차례 사용되었다.[3][4] |
▲ 부수음악 《압델라자르Abdelazer, Z.570》 중 론도(Rondeau). 연주는 Voice of Music으로, 시대연주 버전이다. |
그는 우리가 알고 있는 최고의 천재임이 틀림없다.
토머스 터드웨이, 퍼셀의 친구.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p.68에서 재인용.
토머스 터드웨이, 퍼셀의 친구.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p.68에서 재인용.
일찍이 영국에는 그보다 위대한 음악 천재가 존재하지 않았다.
로저 노스, 『음악의 문법학자The Musicall Grammarian(1728)』 中
로저 노스, 『음악의 문법학자The Musicall Grammarian(1728)』 中
바로크 시대의 영국 작곡가이자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오르가니스트이다. 영국을 대표하는 작곡가 중 한 사람이며, 그의 생전에는 유명한 영국 음악가가 별로 없었다는 점에서 영국 음악의 아버지로도 불린다. 퍼셀 사후 유럽과 세계에서 영국의 지위는 날이 갈수록 상승하여 대영제국으로까지 발전했으나, 200년이 지나 19세기 후반에 드디어 에드워드 엘가와 구스타브 홀스트가 동시에 등장할 때까지 영국에서는 성공회 교회음악가 몇몇을 제외하면, 클래식 음악계 전반에서 저명한 작곡가를 배출하지 못했다[5]는 점에서 헨리 퍼셀이 영국 고전 음악사에서 차지하는 입지는 매우 크다. 36세에 아쉽게 요절했다.
2. 생애
2.1. 어린 시절
1659년 9월 10일 런던 웨스트민스터, 음악가 집안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는데, 퍼셀의 형인 토마스 퍼셀(Thomas purcell)은 가수이자 작곡가였고, 역시 동생 대니얼 퍼셀(Daniel Purcell, c. 1664 ~ 1711) 또한 걸출한 작곡가였다.[6] 그러나 퍼셀이 불과 5살이던 1664년에 퍼셀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아버지가 죽은 뒤에 퍼셀은 마찬가지로 궁정 예배당에 직위를 가지고 있는 삼촌 토마스 퍼셀(Thomas Purcell)에게 맡겨지게 된다. 삼촌 아래 보호를 받으면 10살이 되던 1669년 궁정 예배당의 소년 성가대에 들어갔는데, 합창단의 지휘자였던 헨리 쿠크(Henry Cooke)와 그의 후임자인 펠햄 험프레이(Pelham Humfrey)의 밑에서 음악을 공부하였다. 그러나 바흐나 하이든이 그랬던 것처럼 퍼셀 역시 변성기를 피하지는 못했다. 14살이 되던 해인 1673년 퍼셀은 성가대를 나와 악기 관리인이었던 존 힝스턴(John Hingston)의 조수가 되었다. 공부 쪽으로는 그를 가르쳤던 험프레이가 타계하자 퍼셀은 존 블로의 밑에서 공부를 계속한다. 또한 3년 뒤인 1676년에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필사자로 임명된다.
퍼셀은 모차르트처럼 어린 나이에서부터 작곡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남아있는 퍼셀의 최초의 작품은 1670년 작곡된 Sweet tyranness이다. 이 곡[7]은 왕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한다. 또한 후에는 찬송가를 많이 작곡하는데, 16살이 되던 1675년에는 When Thyrsis did the splendid eye를 작곡한다.
2.2. 청년 퍼셀
퍼셀은 스무살이 되던 해에 스승인 존 블로가 맡고 있던 웨스트민스터 성당의 오르가니스트 직을 물려받았다. 이 시기부터 퍼셀은 무대용 작품들과 비올을 위한 환상곡 등을 쓰기 시작한다. 한편으로 안정된 직위를 얻게 되자 퍼셀은 결혼도 하고[8] 동시에 교회음악 작곡에도 박차를 가했는데, 그가 결혼했던 1681년쯤 작곡한 《주여, 제 기도를 들어주소서Hear My Prayer, O Lord》등은 번민하는 듯 불협화음, 복잡한 대위법 등을 사용한 심오한 작품이다.
2.3. 오페라와 무대음악
1683년에 퍼셀은 성 세실리아 축일의 송가를 처음썼고, 극장용 음악도 점점 많이 썼다.《디도와 아이네아스Dido and Aeneas, Z.626》를 시작으로 1690년 오페라 《디오클레티아누스Dioclesian, Z.627》를 작곡하고, 1691년에는 《아서왕King Arthur, Z.628》, 1692년에는 《요정여왕The Fairy Queen, Z.629》등 걸작들을 쏟아냈다.2.4. 말년
1695년 겨울이 끝나갈 무렵, 메리 2세를 위한 장송곡[9][10]을 작곡했다. 하지만 이것은 또한 자신의 장송곡이 되고 말았다. 결핵으로 죽었다는 추정도 있지만, 재미있는(?) 다른 설도 있다. 퍼셀의 아내는 남편이 술집(극장이라는 설도 있다)에 항상 너무 오래 죽치고 있어서 속을 많이 썩였었는데, 어느 날 또 퍼셀이 술먹고 늦게까지 안 돌아오자 화가 난 나머지 그만 퍼셀의 집 문을 걸어잠가 버렸고, 퍼셀은 결국 계단에서 밤을 새다가 독감에 걸려서 죽었다고 한다. 퍼셀이 조금만 더 살아 창작을 계속했다면, 어떤 성취를 해낼지 짐작만 할 뿐이다.그가 남긴 유작 <인도 여왕> 이라는 오페라는 동생 다니엘 퍼셀[11](1664~1717)이 형의 못 다 작곡한 부분을 작곡해 완성시켰다.
3. 작품세계와 주요 작품
퍼셀은 언어와 음악의 절묘한 접목과 선율, 프랑스와 이탈리아 양식을 모두 포괄하는 음악성, 특이한 작법[12] 등으로 높이 평가받는다. 일반적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작품은 오페라 《디도와 아에네아스》(Dido and Aeneas)이다. 작곡 연도는 1689년. 당시 영국은 음악의 변방이라고 불러도 할 말이 없을 정도로 기악곡 및 오페라에서 별 볼 일이 없었다. 그나마 블로, 애비슨, 스탠리 같은 작곡가들이 있다는 정도쯤? 그런 와중에 퍼셀의 이 오페라는 전체 바로크 오페라들을 놓고 보더라도 기념비적인 것이라고 평가되고 있다고 한다.그 외에 오르간과 트럼펫을 위한 곡을 작곡한 것으로도 유명하지만, 클래식덕후 외에는 그다지 알려진 기악곡 히트작이 없다. 이하에 소개되는 "뉴 그라운드" 같은 몇몇 건반 소품들이 그나마 알려져 있고, 1997년에 다이애나 왕세자빈의 장례를 치를 때에도 퍼셀의 곡이 연주되었다. 그런데 제목은 모르는데 곡조는 아는 작품이 하나 있다! 다름아닌 《압델라자르》(Abdelazer)[13] 중 론도(Rondeau)[14]로, 영화 《 오만과 편견》 에 삽입되었으며 훗날 벤저민 브리튼의 《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에서 한번 더 활용되기도 했던 선율이다. 귀족적인 우아함과 당당한 느낌을 준다.
퍼셀의 작품은 알파벳 Z로 표기하고 있다. 아래의 숫자를 보면 알겠지만 퍼셀도 상당한 다작 작곡가.
주요 작품들을 소개하자면 이하와 같다.
3.1. 무대음악, 오페라, 가면극
오페라 《디도와 아이네아스》 Z.626, 서곡
3.2. 기타 성악곡
《메리 2세 여왕을 위한 장례 음악》 Z.860 중 행진곡(March : Sounded Before Her Chariot).
《테 데움과 유빌라테 데오》 Z.232
3.3. 기악곡
건반 악기를 위한 《Music's Handmaid》 중 〈A New Ground〉 Z.682.[15] 연주는 시대연주의 본좌인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연주 악기는 하프시코드.
4. 퍼셀에 대한 평가
퍼셀의 음악은 움직임으로, 춤으로 가득하다. 세상 어디를 봐도 그의 음악만큼 연기하기 편안한 음악은 없다.
구스타브 홀스트
구스타브 홀스트
우리가 마침내 찾아낸, 세계 최고에 필적할 만한 영국인의 가치를 지닌 퍼셀.
존 드라이든(John Dryden)
존 드라이든(John Dryden)
[1]
"
Henry Purcell: English composer",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2]
"
Henry Purcell", nndb.com
[3]
우리의 사랑(À nos amours)(1983)(
클라우스 노미 버전),
사울의 아들 예고편,
더 울프 오브 월스트리트
# 등에 사용되었다.
[4]
본래는 베이스를 위한 곡이지만 전위 뮤지션
클라우스 노미의
커버처럼
카운터테너 레퍼토리로도 자주 쓰이며 안드레아스 숄이
부르기도 했다. 심지어
스팅까지도 커버한 적 있는 아리아. 이 때문에 'cold song'이라는 제목으로도 유명하다.
[5]
조지 프레드릭 헨델이 일찌감치 런던에 정착하여 영어로 된
오라토리오를 남겼고
요제프 하이든도 음악가로서 전성기의 후반부를 런던에서 누렸지만, 이 둘은 독일-오스트리아 음악의 거장으로 분류되지, 영국 음악가로 보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다만 헨델은 완전히 영국에 귀화했기 때문에 영국 음악가로 분류하기도 한다.
[6]
My dearest, my fairest는 헨리 퍼셀의 곡인지 대니얼 퍼셀의 곡인지 논란이 있는 곡이다.
[7]
3성부이다.
[8]
슬하에 여러 명의 자식이 있었으나 성인이 된 자식은 아들과 딸 한명 뿐이었다.
[9]
Funeral Sentences and Music for the Funeral of Queen Mary Z.860
[10]
이후
시계태엽 오렌지의 삽입곡으로 유명해졌다.
[11]
일설에는 사촌동생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12]
대표적으로 아서 왕 중 서리 장면에 나오는, 아래의 떨리는 듯한 아리아 What Power Art Thou가 있다.
[13]
"무어인의 복수" 라고도 한다.
[14]
사실상 이 곡이 퍼셀의 대표곡이자 가장 유명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15]
잠깐만 연습하면 쉽게 칠 수 있는 저난이도의 곡이다. 구성은 두도막 형식. Pieter-Jan Belder나 Malcolm Proud의 연주도 좋다.
[16]
오페라 아서 왕에 나오는 아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