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에 천체 목록의 천체(바다뱀자리의 산개성단)에 대한 내용은 메시에 48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002664><tablebgcolor=#ffffff,#002664> [[T-34-76| |
}}} | |||||
파생형 | 실전 | 운용국 | 미디어 | 모형 |
|
90mm Gun Tank M48 "Patton" |
1. 개요
|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M48 기동 영상 |
|
AAF 전차 및 병기 전쟁 기념 박물관 소장 M48A5 기동 영상 |
미국에서 많이 생산되고 타국에게 공여되거나 판매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대한민국의 경우도 상황은 다르지 않아서 도입이 된 전차가 많다. 그 결과 군부대의 본부 앞을 비롯하여 고속도로 휴게소, 놀이공원 등에도 퇴역한 M48 패튼이 전시되어 있는데 군부대의 경우에는 제20기계화보병사단 앞에도 전시가 되어있으며 강원도의 모 최전방 사단 본부 영내에는 3개의 전시용 패튼이 전시되어 있으며, 전방만이 아니라 2작사 예하 경남에 소재한 모 사단의 사단사령부 연병장에도 전시되어 있다. 고속도로의 경우에는 서울방향의 신탄진과 안성 등에 전시가 되어있다. 게다가 전쟁기념관에도 M46 패튼, M47 패튼, M48 패튼이 전시되어 있다. 여러모로 M113과 비슷한 처지인 셈.
또한 일부 군 특성화 대학교/고등학교에도 있는데, 일례로 광주대학교 학생회관 앞에는 F-5A 전투기, KM900 장갑차와 함께 M48A2C가 전시되어 있고, 서산시 운산면의 운산공업고등학교의 운동장에도 M48A3K가 있었다.(현재는 사라짐) 그리고 광주광역시의 놀이공원 광주패밀리랜드에는 90mm를 단 유물급 M48A2C 패튼이 처음 전시되었을 때에는 열차 이동시처럼 주포탑을 후방으로 돌려놓은 상태로 전시되었으나 언제부터인가 주포탑이 전방으로 돌아왔다. 울산대공원과 육군사관학교에도 위의 패튼과 같은 사양으로 전시되어 있다. 대전 국립과학관에도 같은 전차가 전시되어있으며 그와 동시에 구경 203mm M110 자주포도 함께 전시되어 있다. 경북 구미시 산동면에 위치한 경운대학교 군사학과동 운동장에도 해병대 상륙장갑차와 함께 M48 패튼이 전시되어 있다. 물론 무장이나 구동계통은 제거된 상태이다.
미국에서 M48 패튼을 대체할 중형전차를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의 산물인 T95 전차는 전용 포탑이 달릴 예정이었지만 만드는 것을 실패해서 M48A2의 포탑을 달아 T95E2라는 이름을 가진 실험 전차가 있다. 이후 T95를 거쳐서 초기형 M60과 M60A1의 포탑이 완성되었다.
오래된 전차가 그런지 시동 시 딜레이가 있는데. 이때 스타팅 사운드는 시동줄을 당겼다가 놓으면서 발생하는 소리로 예초기를 가동시키거나 발전기를 수동으로 발전해야 될 경우에도 사용하고 있다.
2. 제원
M48 "Patton" M48 패튼 |
|
개발 설계국 | 크라이슬러[3] |
생산연도 | 1952 ~ 59년 |
운용국가 |
미국[4],
대한민국[5], 그리스, 터키, 이스라엘, 대만 등 |
생산댓수 | 11703대 |
전장 | 6.97m (차체), 9.30m (전체) |
전폭 | 3.65m |
전고 | 3.10m |
중량 | 44.95t |
주무장 |
90mm M36 강선포(시제 및 초기형) 90mm M41 계열 강선포[6] (M48A3까지) 1문 105mm L7계열 또는 M68 강선포 1문[7] |
도하능력 | 1.2 ~ 1.5m 추정(도섭)[8], 불가능(도하)[9] |
주포 상하부각 | -9 ~ +19 ° |
부무장 |
12.7mm
M2HB 대공기관총 1정[10] 7.62mm M37(초기형) / M73 또는 M60D 동축기관총 1정 |
차체 전면 상단 장갑 두께 / 경사각도 | 152.4~110 mm / 60° |
차체 전면 하단 장갑 두께 / 경사각도 | 152.4~102 mm / 53° |
차체 측면 장갑 두께 / 경사각도 | 76.2 mm / 곡면 |
차체 후면 상단 장갑 두께 / 경사각도 | 35 mm / 30° |
차체 후면 하단 장갑 두께 / 경사각도 | 25.4 mm / 60° |
차체 하단 장갑 두께 | 13 ~ 67 mm |
차체 상단 장갑 두께 | 57 mm |
포탑 전면 상단 장갑 두께 / 경사각도 | 178 mm / 0° |
포방패 장갑 두께 / 경사각도 | 114 mm / 30° |
포탑 상단 장갑 두께 | 25 mm |
마력 / 엔진 | 29.36L 810마력 컨티넨탈 모터스 AV-1790-5B~7C V12 공랭식 가솔린 엔진(M48A1까지) |
825마력 컨티넨탈 AVI-1790-8 V12 공랭식 가솔린 엔진(M48A2) | |
750마력 컨티넨탈 AVDS-1790-2A V12 공랭식 트윈터보 디젤 엔진(M48A3부터) | |
변속기 | 앨리슨 CD-850-4A/4B/5/6A 자동변속기 (전진 2단, 후진 1단) |
속도 / 항속거리 | 48km/h / 130km(가솔린 엔진,A2는 257km), 48km/h / 463km(디젤 엔진) |
현가장치 | 토션바 서스펜션 |
승무원 | 4명 (전차장, 포수, 탄약수, 조종수) |
3. 개발사
|
90mm Gun Tank T48 |
기술적으로 이전부터 개발되는 중이었던 중(重)전차 M103 전차의 프로토타입 T43[11]의 설계를 많이 참고했으며 전후 기술도 많이 도입됐다.
각 프로토타입들의 형식은 다음과 같은데, 1차 시제차량인 Pilot #1은 1951년 11월에 크라이슬러가 제작했다. 90mm M39 주포와 Y자 머즐브레이크를 장착했으나, 해당 주포 조합은 양산형 M48에 사용되지 않았다. 차체와 포탑 설계는 Mod.A 설계안을 따랐으며, 포탑의 해치 지름은 더 작아졌다. 차체는 토션바 서스펜션에 달린 6쌍의 보기륜과 5쌍의 지지륜을 가졌다. 덤으로 조종수 해치에 해치를 열고 내리기 쉽도록 잠망경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적용되었다.
이후 2차 시제차량인 1952년 2월에 제작된 Pilot #2는 Pilot #1과 마찬가지로 해치가 작은 Mod.A 설계안을 따랐지만 주포가 90mm M41로 변경되었고 머즐브레이크 대신에 원통형 폭발 반사기가 장비되었다. 포탑 중앙에는 T46E1/M12 스테레오 거리 측정기가 장비되었다.
3차 시제차량인 Pilot #3은 1952년 11월에 제작되었고, Mod. B 설계안을 따랐으며, 조종수 해치 설계가 단순해지는 동시에 크기가 더 커지면서 조종수가 해치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되었고, 향후 조종석에 신형 관측장비를 탑재하는 업그레이드를 염두에 두어 조종수 해치 관측창이 쉽게 탈착될 수 있었다. 여기서부터 장전수와 전차장 해치의 직경도 커졌다. 보기륜과 지지륜 개수는 1번과 2번 시제차와 동일하다.
시제차량 Pilot #4~#6은 1953년에 Pilot #3를 기반으로 제작된 3대의 차량으로, 1955년까지 M48A2의 부품 개발에 사용되었다.
이후 미 국방부에서도 생산에 용이하다 판단하여 초도 생산이 1952년부터 시작되어 1959년까지 진행되어 12,000대 가량의 차량이 생산되었다.
4. 특징
|
T48(시제전차)에서 시작하여 여러 테스트를 받은 끝에 생산, 운용되기까지를 담은 영상 |
그런데 1950년대 중반에는 T-54 / T-55 전차와 같은 최신의 소련 전차가 연이어서 등장하자 공격력, 기동성 모두 불안요소로 떠올랐고, 헝가리 혁명에서 영국 대사관이 얻은 T-54를 통해 이들이 100mm 강선포를 무장하고 있다는 게 밝혀지자 방어력조차 안심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결국 미 육군은 105mm M68 강선포를 탑재한 신형 전차의 도입을 서두르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M60 전차이다.[15] M60의 등장으로 냉전의 최전선이던 NATO 배치 차량은 곧 철수했고 잉여분은 해외 수출로 돌려지거나 주 방위군에게 넘겨지게 되지만 생산량이 많은 관계로 퍽 오랫동안 현역에 머무르다가 미국 본토의 경우에는 M1 에이브람스 전차와 M60을 다수 운용하고 전시 예비용 물자로 M48 패튼의 경우 1990년대 초까지 비축과 소수 운용하고 있었다.
실제로 1990년대 초반까지 주한미군이 예비용으로 비축/운용하다가 WRSA로 대한민국 국군에게 판매(M48A5KW 혹은 M48A5W)하면서 공식적으로 전시 예비용 물자에서 해제했다. 그리고 미군의 경우 M60 계열이 전시 예비용 물자가 되었다가 2000년대 중반에 M60 계열도 역시 전시예비물자에서 해제가 되었으며 현재는 M1 에이브람스 계열 중의 일부 전차(초~중기형으로 추정)들이 이어받게 되었다.
4.1. 무장
주포의 경우 90mm 48구경장의 M41 계열 주포를 사용하기로 결정되었다. 90mm M41의 철갑탄은 소련의 IS-3M 중전차의 전면을 관통하지는 못할 정도라 뛰어난 수준은 못되었으나 대전차고폭탄을 사용하면 충분히 관통 가능했다. 장전속도가 빠르고 장거리 명중률이 상대적으로 높은데다 고폭탄 위력도 발군이었다.주포에는 부앙각을 자동 조절해주는 T30 탄도계산기가 탑재되고 포탑 측면의 스테레오식 거리 측정기의 위치도 개선되었다. 다만 T46E1 측원기도 타고난 신뢰성의 한계만은 어쩔수 없어 결국 A2C 이후부터 단안합치식의 M17측원기로 교체된다. 이런 개량의 결과 본격적으로 현대적인 사격통제장치가 완성되었다. 정지 상태에서 표준교전거리 초탄명중률 50%, 차탄명중률 90%라는 평가였다. 당시 기준에서는 상당히 뛰어난 사통장치였다. 이는 조준경에 그려진 눈금만으로 거리를 계산해서 조준하여 포수의 숙련도에 따라 천차만별이던 2차 대전 때보다 크게 개선된 것이다.
이후 개량된 M48A5에 와서는 무장이 M60 전차의 105mm M68 전차포( 로열 오드넌스 L7의 미국 라이센스 버전)로 교체되어 M60 전차와 동일한 공격력을 가지게 되었다.
부무장으로는 7.62mm 공축기관총과 전차장용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이 사용되었다. 12.7mm 중기관총은 M48A1부터 M1 큐폴라에 내장되어 기관총탑처럼 사용되었으나, 기관총탑 큐폴라가 없던 극초기형과 큐폴라를 우르단 큐폴라로 교체한 후기형 차량들에서는 큐폴라 외부 마운트에 장착되었다.
4.2. 장갑
|
M48A1 장갑 배치도 |
장갑 자체의 두께는 M47 패튼과 비슷했지만 T43 설계의 영향으로 차체가 주조식으로 설계되면서 모양도 전반적으로 둥글게 바뀌었기 때문에 방어력은 M47 패튼보다 향상되었다.
차체는 크게 Mod A, Mod B로 두가지 설계 형식이 존재한다. Mod.A는 처음 나온 설계안으로 1~2번 시제차에 적용되었다. 이후 1~2번 시제차량을 베이스로 양산된 극초기형 M48과 초기 생산분 M48A1에까지 적용되었다. Mod.B 차체는 두번째로 나온 설계안으로, 6쌍의 보기륜과 5쌍의 지지륜같은 차체의 특징은 Mod.A와 거의 동일하나 포탑과 차체의 해치 직경이 늘어났다는 차이점이 있다. Mod.B는 3번 시제차량부터 적용되었고, M48A1의 차체 수정과 M48A2의 차체 설계에도 반영되었다.
한 때 미국에서 탈부착식 복합장갑을 차체 전면에 장착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취소됐다. 게다가 대한민국 국군도 역시 반응장갑의 개발은 완료하고 장착을 시도했으나 예산 투자 대비 효율성이 낮다고 판단해서 취소되었다.
4.3. 기동
미군 전차 최초로 조향 장치에 핸들을 적용해서 조종 성능도 크게 개선되었다. 그 이전의 전차는 각각 한쪽 무한궤도를 담당하는 레버를 조작하는 방식인 데 반해 독일군은 6호 전차 티거부터 핸들식 조향 장치를 써서 그야말로 자동차 운전을 할 수 있으면 조종 가능하다는 말[16]까지 나왔을 정도로 조종에 유리했다. 다만 이렇게 만들면 가격이 상승하고 기술력도 필요해서 미국도 M48에서나 적용한 것이다. 그래도 이 M48과 티거를 동일선상에 놓는 건 곤란한데, 48은 트랜스미션과 구동륜이 후방에 있고 엔진과 변속기를 합친 파워팩인 데다가 자동변속기로, 2종 보통 자동차의 깜박이 위치에 있는 레버 하나로 속도 조정한다. 티거보다 변속기 면에선 내구도와 위치 및 성능에선 레벨 자체가 다르다.M48 패튼에 장착된 CD-850형 자동변속기는 당시 자동차 왕국으로서 세계 최고의 기술을 자랑하던 미국 제품답게 매우 우수하고 신뢰성도 높아 M48 패튼의 모든 모델에서 개량되면서 계속 탑재되었다.
그러나 M48A3 이전의 패튼에 사용하던 가솔린 엔진의 항속거리는 여전히 이전의 패튼 전차들 처럼 좋지 않았다. 내부연료 800리터로 고작 130km 내외의 항속거리를 보였는데, 이는 기름먹는 괴물로 악명높았던 티거 2와 별로 차이가 없는 수준이었다.[17] 물론 고려해야 할 요소[18]가 많기 때문에 평면 비교는 어렵지만... 그리고 후대의 이야기지만 가스터빈 엔진이라서 기름을 들이마신다는 소리를 듣는 M1 에이브람스도 이것보다는 연비가 좋다.[19]
처음에는 연료 탑재량을 늘리기 위해서 차체 후부에 랙을 달아 증가 연료 탱크 드럼통 4개를 그대로 올려놓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 방법은 소련군이 T-34-85 이래로 쓰던 방법을 모방한 것이다. 하지만 경유를 썼기 때문에 피탄 당해도 큰 문제가 없던 소련 전차들과 달리 M48은 가솔린 드럼통을 엔진 위에 올려놓은 셈이니 피탄되면 그대로 움직이는 화염병이 되어 버릴 위험성이 있었다.[20] 그리고 이런 식으로 하면 기본형 드럼통을 써도 1회 주유시 유류소모량이 무려 1600리터를 초과한다. 결국 연비를 올리기 위해 M48A2에서 기존 카뷰레터식 가솔린에서 인젝션방식으로 변경해보았으나 언발에 오줌누기 정도의 효과밖엔 없었다. 결국 M60이 배치된 후에야 등장한 M48A3부터 디젤 엔진으로 교환, 항속거리를 일거에 500km 가까이로 늘렸다.
그래도 이 가솔린 엔진은 허접한 연비를 제외하면 1940~1950년대에 등장한 전차용 가솔린 엔진들 중에서는 최고의 성능과 신뢰성을 가진 것으로 정평이 나 있었다. 다만 엔진화재나 과열 등으로 전차가 전소되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이는 애초에 엔진 개발이 충분한 기간을 투입해야 개발과정상의 문제점들을 잡고 야전에서 쓸 수 있을 정도의 신뢰성을 달성할 수 있는데 일정상 경직되어 있기 때문. 그런 조건을 생각하면 단기간에 매우 튼튼하고 신뢰성 높은 전차 엔진을 만들어낸 것 자체는 높이 평가해 줘야 한다. 그래도 이 처참한 연비는 좀 심했다. 참고로 이 저연비는 가솔린 엔진이 아닌 가스터빈 엔진을 장착한 추후에 개발되는 3세대~3.5세대 전차인 M1 에이브람스로 계승된다.
4.4. 관측장비
M47 패튼에 이어서 포탑 측면에 영상 합치식 스테레오 거리 측정기가 장착되었다. 다만 거리 측정기 렌즈의 위치가 M47보다 뒤쪽으로 옮겨졌다.M48 패튼의 관측장 특징으로는 이전의 미국제 전차들과 달리 기관총이 내장된 기관총탑 형태의 큐폴라(전차장용 전망탑) 해치를 장착했다는 점이다. 프로토타입 단계에서는 기존 전차들처럼 M2 브라우닝 기관총을 해치 외부 마운팅에 걸쳐놓았지만, 총탄 100발이 든 탄통이 다 떨어진 다음에 재장전을 위해 전차장이 전차 외부로 나와야 하는 점이 지적되어 아예 큐폴라 해치 안에다가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을 내장한 M1 큐폴라가 개발되어 M48 패튼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큐폴라 해치 내에 M2 브라우닝을 우겨넣은 결과 전차장의 거주성이 매우 떨어졌다. 이를 조금이라도 해결하려고 탄통의 크기를 100발 급에서 50발급으로 줄였더니 이번에는 탄통이 금방 비워지는 만큼 전차장이 더 자주 재장전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겼다.
미군과 전차 설계자들도 이 문제를 인지하고 있어서 M60 전차부터는 직경이 더 커져서 내부가 넓어진 신형 M19 큐폴라를 도입했다. M19 큐폴라를 M48에도 이식하려고 시도했지만, 큐폴라 직경이 다른 만큼 별도의 어댑터 없이는 개조 장착이 불가능해서 결국에는 몇가지 시도 끝에 포기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국 M48A5PI부터는 기관총탑 형태의 큐폴라를 포기하고 다시 큐폴라 밖에 기관총이 설치된 설계로 돌아왔다. 이때 사용된 큐폴라는 이스라엘에서 개발된 우르단 큐폴라로, 제4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군이 M48에 개조 장착한 것을 미군도 도입한 것이다.
M48A3부터는 M60 전차처럼 포방패 바로 앞에서 주포 위쪽에 AN/VSS-1(V)1 제논 서치라이트가 장비될 수 있으며, 백열등 모드와 적외선 램프 모드 모두 존재했다. 헤드램프도 백열등 1구와 적외선등 1구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백열등과 적외선등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구조다.
5. 형식
5.1. M48
|
M48 |
- M48C: M48의 훈련용 차량. 방어력 저하가 예측된 초기 양산분 차량들을 전용한 것이다.
5.2. M48A1
|
M48A1 |
처음에는 초기 M48처럼 Mod.A 설계안을 기반으로 차체를 기반으로 약간의 수정만 적용되었지만, 좁은 해치 문제를 비롯한 Mod.A 설계안의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생산이 시작된지 얼마 뒤에 금방 Mod.B 설계안을 기반으로 설계가 변경되었다.
가장 큰 변화로 전차장 전망탑(큐폴라)이 포탑 안에서 기관총 사격이 가능한 M1 큐폴라로 교체되었고[21], 해치들이 너무 좁다는 불만들을 반영하여 설계안이 Mod.B로 수정되면서 조종수 해치를 포함한 해치들의 직경이 늘어났다. 여전히 Mod.A 설계안을 따라서 포탑 해치가 작은 극초기형 생산분에는 어댑터를 사용하여 M1 큐폴라가 장착되었다.
- M48A1E1: 1960년도에 제작한 기술실증전차이다. 궤도를 M60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 교체[22], M60의 광학식 거리 측정기, 디젤 엔진, 105mm M68을 장착했다. 그 결과로 항속거리, 기동성, 화력, 연비 모두가 증가했다. 에버딘 실험장에서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여 M48의 현대화 계획이 승인됐으나 이미 M60 전차의 배치가 시작되었으므로 양산으로 이어지지는 못했고, 이 녀석의 연구 결과는 M48A5에서 구현했다. M60과 같은 주포를 사용하는 M48A5는 1975년에 배치되었다.[23]
- M48A1E2: M48A1E1과 같은 현대화 개수형 시제품으로 역시 기술실증전차이다. 그래서 이 연구 결과는 90mm M41 계열 주포와 디젤 엔진 장착형인 M48A3와 같다. 단, M48A3는 궤도까지 바꾸진 못해서 리턴롤러가 5개에, 큐폴라의 높이가 높아졌다. 높이가 커졌지만 대신 전차장이 전차 아래까지 큐폴라를 통해 볼 수 있게 되었다.
5.3. M48A2
|
M48A2 |
전체적으로 M48A1에 여러가지 개선이 적용되었다. 엔진의 연료 분사장치가 카뷰레이터에서 인젝션으로 바뀌었다. 변속기의 마이너 체인지와 더불어 지금의 패튼과 같은 대형의 후부그릴을 갖춘 형태로 엔진실의 설계가 변경됐고, 연료탱크의 증설이 이루어진 덕분에 이전 사양들과 같은 가솔린 엔진을 썼음에도 항속거리가 130km 내외에서 거의 두 배에 가까운 250km 내외로 늘어났다. 항속거리 480km 내외의 디젤 엔진보다는 못하지만 급한 불은 끈 셈이었다. 그리고 차체 측후면의 장력 조절용 보조바퀴(텐션 아이들러)가 제거되었으며, 궤도 지지롤러가 5개에서 3개로 감소하는 변경이 가해지면서 외관적으로도 변화가 생겼다. 헤드라이트 가드 모양도 바뀌었고[24], 테일램프도 부분적으로 재설계 되어 주변에 장갑화 된 상자가 둘러졌다.
동시기에 디젤 엔진을 장착한 M48A3가 등장했음에도 M48A3와 M48A2는 병행운용되었다. 그러다가 1967년부터 주방위군으로 돌려진 M48A2들도 A3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되었고, M48A3로 개조된 이후에도 1979년까지 훈련용으로 사용되었다.
- M48A2C: M48A2의 개량형. 구형 스테레오식 거리 측정기를 신형 M17 영상합치식(Coincidence) 거리측정기로 변경하였고, 포신 온도도 반영되는 신형 M13 사격통제장치가 적용되었다[25]. 덤으로 포탑도 완전히 Mod.B 설계안을 따르면서 장전수와 전차장의 해치 직경도 커졌다.
-
M48A2GA2:
서독에서 M48A2를 독자적으로 근대화 개수한 모델. 105mm L7A3[26], 신형 포수 조준경, 탄도계산기, 신형 적외선 암시장치, 우르단 큐폴라[27], 전기식 포가동 장치를 탑재하여 전투력은
레오파르트 1 초기형보다 낫다는 소리도 들었다. 서독이 장비했던 1,300여 대의 M48A2 모두가 이 사양으로 개수, 독자 형식으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개량할 예산이 부족했던건지 개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는지 몰라도 항속거리에서 특히 문제가 있어서 욕먹던 가솔린 엔진은 그대로 사용했다.
이후 M48A2GA2에서 더 성능을 개선하는 'Super M48'이라는 개량형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화력통제체계, 주포, 엔진, 변속기, 포탑구동체계, 장갑, 기타 등을 교체하는, 사실상 전차를 머리부터 발 끝까지 고치는 개량으로 M60 전차을 기반으로 개량된 사브라 전차보다는 부족했지만 그래도 M48 패튼 중에서는 가장 현대화된 버전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독일 연방군은 이 개량 형을 채택하지 않았으며 5대의 시제형 Super M48만 만들어졌다. 출처
5.4. M48A3
|
M48A3 |
구형 차량들에 새로운 디젤엔진을 탑재하기 위해서 엔진룸 구조가 M48A2처럼 변경되었고, AVDS 엔진을 장착하는 개조가 완료된 구형 M48들은 차체 형식에 상관없이 M48A3로 명명되었다. 그리고 포방패 앞에 M60 전차처럼 서치라이트를 장착할 수 있게 되었고, 차체 펜더에는 M60처럼 외장형 건식 에어 클리너가 추가되었다[28]. 이렇듯이 M48A3는 대부분이 구형 차량의 개수형이고, 같은 M48A3일지라도 베이스가 된 차량에 따라서 포탑과 차체 몇몇 부위의 모양이나 리턴롤러의 개수같인 부분에서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아무튼 디젤 엔진을 도입한 결과 드디어 연비 문제가 해결되었다. 원래는 M48A3부터 동시기에 개발된 최신 105mm 로열 오드넌스 L7 주포를 달아버릴 계획이었지만 예산 문제와 90mm 탄약이 쌓였다는 이유로 90mm 주포는 유지되었고 105mm 전차포는 당시 M48을 대체하기 위해 차기 전차로 개발중이던 XM60부터 적용되었다.
M48A3는 등장 이후 유럽 주둔 미군에 배치되었으나, M60 전차의 등장으로 1961년 10월부터 M60으로 대체되어 2선급 장비로 물러났다. 대신에 M48A3들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의 주력전차로 사용되었다.
M48A3는 분량 대다수가 구형 차량의 개수형이지만, 크라이슬러에서 M60의 생산이 시작된 이후에도 잠깐동안 M48(M48A2C)의 생산을 이어나갔기 때문에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로 신규 생산된 M48A3도 극소수 존재한다. 신규 생산된 M48A3 차량들은 M48A2C의 차체를 이용하여 지지롤러가 3쌍이고, 전차장의 큐폴라 해치가 M1E1해치로 새롭게 바뀌어 전차장의 거주 공간이 넓어졌으며, 큐폴라 뒤쪽의 관측창 2개가 제거되었다. 조종석도 업그레이드되어 핸들(스티어링 휠)이 기존의 요크형 항공기 조종간같은 형태에서 T형 핸들로 바뀌고 조종수 좌석에는 쿠션이 들어갔다. 뉴어크의 공장에서 생산되다가 1961년 5월에 단종되었다. 공장도 1961년 10월에 폐쇄되면서 M48A3 생산분을 마지막으로 M48 패튼은 완전히 단종되었다.
- M48A3 mod. B: 마이너체인지 개량형. 기본 M48A3에 대해 전차장 M1 큐폴라 아래에 사방으로 관측창이 있는 링 블럭을 삽입하여 큐폴라의 높이를 올려서 내부 시야를 개량한 버전. 후미등과 배기구 주변에도 보호용 장갑판이 추가되었다.
- M48A3K: M48A1을 베이스로 M48A3 Mod.A에 준하는 개조를 가한 대한민국 국군의 M48 패튼. M48A3 Mod.A에서 사격통제장치가 M48A5K 수준으로 개선된 것이 특징으로 자세한 내용은 M48A3K / A5K 문서 참고.
5.5. M48A4
|
M48A4 |
5.6. M48A5
|
M48A5 |
M60 전차에 탑재된 105mm M68 강선포를 장비하였고, 국제단위계를 따르는 M16 사격통제장치가 장착되었다. 부무장도 7.62mm 2정이 M73 기관총이나 M60D 기관총으로 교체되었다. M48A5로의 개조에 필요한 많은 부품들은 M60 차량들의 것을 활용하여 M60과의 부품 호환성과 통일성을 최대한 높였다. 엔진도 연비가 좋아진 AVDS-1790-2의 신형 버전으로 개량되었고, 일부 차량은 큐폴라가 기존의 M1 기관총탑에서 이스라엘의 우르단 큐폴라로 교체되었다. 궤도의 경우 기존의 T97 계열을 그대로 사용한 차량들도 있었지만 M60 전차 후기형처럼 신형 T142 계열로 교체받은 차량들도 있다[30]. 초기형에는 없던 NBC 보호 기능을 위해 M13A1 NBC 방호 시스템을 다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대망의 "M48A5PI"에서는 그렇게 말도 많고 탈도 많던 실패작인 M1 큐폴라를 이스라엘제 우르단 큐폴라로 교체하면서 중대결함이었던 전차장의 안전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M48A5는 주로 본토의 주방위군이 운용하였다. 주방위군의 물량도 1990년대에 와서는 M60A3로 대체되면서 미군에서 M48 계열 전차들은 완전히 퇴역되었다. 그런데 주방위군의 M60A3들도 오래 가지 않아서 구형 M1 에이브람스들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M48A5는 M60보다 저렴한 가격과 기존의 낮은 화력에서 벗어나 드디어 공산권 전차들과 전면전으로 싸워 볼 만한 성능을 보였으며, 이 덕에 세계 각지로 판매 및 개조 키트로 적용되어 현재까지 다수의 국가들에서 일선으로 운용 중에 있다.
5.7. E48 시리즈
대외 군사판매로 수출된 M48의 미국 제식명. 이스라엘이 M60 전차와 함께 다량 도입하여 마가크 전차를 만드는데 사용했다.- E48: 수출형 M48/M48A1
- E48A: 수출형 M48A2
- E48B: 수출형 M48A3
- E48C: 수출형 M48A5
- E48 AVLB: 수출형 M48 AVLB
6. 평가
6.1. 장점
-
안락한 내부 용적
M48 패튼은 타국의 전차들에 비해 큰 크기와 매우 넓은 내부용적을 지니고 있었는데, 이 덕에 30발 남짓에 그쳤던 T-54/55의 탄약 적재량보다 무려 2배가 많은 60발을 적재할 수 있었고, 전투 효율 또한 상대적으로 라이벌인 T-54/55 시리즈에 비해 지속시간이 길었다. 특히 비교할 수 없는 장점 중 하나는 바로 포탑 내 승무원들의 좌석이 전부 있다는 점이었다. 이는 탄약수가 서있어야 하는 센추리온 전차나, 똑같이 모두 포탑 내에 착석하지만 너무나도 좁은 용적 탓에 전투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소련제 전차들과 달리 전투 중 스트레스나 승무원이 우왕좌왕하는 일을 줄일 수 있었다.
-
높은 생산성
M48 패튼은 포탑과 차체 모두가 주물로 이루어져 있었기에 용접과 같은 가공 작업이 상대적으로 타 전차들에 비해 적었다. 이 덕분에 M48 패튼은 생산과 개수 모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매우 많은 수량들이 크라이슬러 공장에서 출고되었으며, 하술할 단점들도 각 국의 사정에 따라 쉽게 개수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
범용성 높은 주무장
M48 패튼의 주무장인 90mm M41 전차포는 종전에 M26 퍼싱 및 M36 GMC가 사용하던 M3 포가 그 기원으로, 매우 높은 관통력을 지닌 경심철갑탄인 M332, 중장갑차량을 쉽게 격파 가능한 M431 날개안정식대전차고폭탄, 2차 대전 시기부터 사용된 M82 저저항피모철갑탄, 고폭탄인 M71 등, 여러가지 포탄을 가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매우 높은 포였던 덕분에 실전인 중동전쟁 당시 중전차인 IS-3나, 최신예 전차 T-62를 상대로도 판정승을 거둘 수 있었다.
-
빠른 반응성
M48 패튼에는 기존 낮은 포탑 회전 및 반응성을 해결하기 위해 유압식 선회장치를 탑재하였는데, 이 덕에 수동으로 움직이는 T-54/55의 포탑 선회속도를 상회하였으며, 헌터 킬러 시스템을 적용하였기에 혹여 포수가 무력화되어도 전차장이 급히 작동하여 발포할 수 있어 반응성이 매우 높아 실제 전차전에서도 높은 교환비를 보여주었다.
-
쉬운 조작법
M48 패튼은 종전의 전차들과는 달리, 자동차 왕국인 미국, 그 중에서도 선두를 달리던 크라이슬러의 기술력을 아낌없이 투자한 전차라 무려 스티어링식 레버를 채택하였기에, 레버 2개를 이용해 변속 및 좌우 선회를 해야하는 기존의 전차들과 다르게 좌-우로 핸들 스티어링을 당기면 그 방향대로 선회할 뿐만 아니라, 기어 전환도 스티어링 우측에 있는 레버를 당겨 변속이 가능해[31]조종수 양성에 많은 시간을 쏟아야 하는 타국의 전차들과 달리 조종수의 학습 시간 감축 및 숙련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되었다.
6.2. 단점
-
비효율적인 M1 큐폴라 총탑
원래 해당 총탑은 전시 중, 전차장이 무장을 사용할 시에 해치에서 나와야한다는 문제점 때문에 만들어진 것인데, 이미 1942년에 해당 설계를 채용하고 욕을 작살나게 먹은 M3 리의 사례가 있음에도 무작정 적용했다. 그러나 이론은 좋았지만 총탑 크기부터 작은데 거기에 큼지막한 M2 중기관총까지 들어가 있어서 실제로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했고, 주변 시야확보도 쉽지 않아서 베트남 전쟁 도중엔 아예 총탑 밑에 시야확보용 큐폴라를 한겹 더 달아버렸다. M48 계열 전차와 함께 허구한날 전쟁을 치르던 이스라엘 육군은 해당 총탑의 불편함에 학을 떼고 제4차 중동전쟁 이후 운용중인 모든 M48계열 전차의 총탑을 떼고 우르단 큐폴라로 바꿔버렸다. 똑같은 위치에 총탑을 단 M60 전차의 경우 제거하지는 않되 그 크기를 크게 늘렸다.
-
저화력 주포
M36 GMC, M26 퍼싱, M46 패튼과 M47 패튼에 적용된 90mm 포는 1940년대 말 ~ 1950년대 초까지만 해도 충분한 화력을 소유하고 있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막상 헝가리 혁명 당시 시민군이 노획한 T-54를 분석한 결과 이마저도 충분하지 않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러나 M48을 대체할 차기 주력전차 계획인 T95가 실패하고, MBT-70이 등장하기 전까지 땜빵용으로 M60 전차를 생산하고 배치하느라 M48의 화력개량은 후순위로 밀려버렸다. 결국 본가인 미국에서 M48에 105mm 전차포를 탑재하는 시기는 1970년대였다.
-
선회장치 설계 결함
포탑 선회를 빠르게 하기 위해 유압식 선회장치를 채택하였으나 이는 막상 피격시 화재를 일으키고, 심지어 포탑 측면에 준비탄 적재가대가 있었기에 피격 후 바로 탄약 유폭으로 산화되는 끔찍한 설계 결함이 존재했다.
6.3. 총평
원전 자체야 충분히 좋은 전차지만 국군에서는 워낙 사골급으로 우려먹히다보니 2020년대 들어 대한민국 국군 출신 병사들 및 전역자들과 밀리터리 동호인 사이에서는 불쌍한 고물 전차 이미지로 인지도가 높다. 포탑만 떼서 구축전차로 만들자는 등.실전에 있어서는 가장 잘 알려진 중동전쟁에서의 실적으로 라이벌격인 T-55 계열은 물론이고 카달로그 데이터로는 115mm 활강포를 탑재해서 더 우수해보이는 T-62에게서도 판정승을 거두었다. 물론 미국이 아직 현대적인 전차 개발 노하우를 쌓기 전에 나온 물건인지라 치명적인 결함도 몇몇 발견되었는데, 특히 포탑의 구동에 유압을 사용한 덕에 포탑 회전은 엄청나게 빨랐지만 유압계통이 피격되면 불붙은 기름이 터져나와 승무원들을 덮쳐서 산채로 태우는게 가장 큰 약점이었다. 심지어 승무원들이 산채로 불타며 내지르는 끔찍한 비명을 무전기를 통해 생방송으로 들으며 시커멓게 불타죽은 시체를 꺼내는데 질려버린 이스라엘군 전차병들은 시체 숯덩이 운반차[32]라는 끔찍한 별명을 붙여줄 정도였다. 일각에서는 좀 순화된 별명인 지포라이터라고도 불렀지만 그 안에 타고 있다는 걸 생각하면 끔찍하긴 매한가지. 다만 지포라는 별명은 M67에도 쓰였으므로 잘 구별할 필요가 있다.
7. 파생형
자세한 내용은 M48 패튼/파생형 문서 참고하십시오.8. 실전
자세한 내용은 M48 패튼/실전 문서 참고하십시오.9. 운용국
자세한 내용은 M48 패튼/운용국 문서 참고하십시오.10. 미디어
자세한 내용은 M48 패튼/미디어 문서 참고하십시오.11. 모형
자세한 내용은 M48 패튼/모형 문서 참고하십시오.12. 둘러보기
'''Patton Tank
패튼 전차 ''' |
||
[[M46 패튼| |
[[M47 패튼| |
[[M48 패튼| |
M46 Patton I | M47 Patton II | M48 Patton III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25285A><tablealign=center><tablebgcolor=#25285A>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25285A> 소형차 | - | 선빔 · 입실론 | |
준중형차 | - | 호라이즌 · 어벤저 · 네온 · PT 크루저 · 델타 | |
중형차 | - |
200 ·
세브링 ·
시러스 ·
E클래스 · 레 바론( GTS) · 새러토가(6세대) · 알파인 · 코르도바 · 헌터 |
|
준대형차 | - | 180 · 300M · 300 | |
대형차 | - |
로얄 ·
로얄(호주형) ·
에어플로우 ·
윈저 · 임페리얼 · 임페리얼 레 바론 · 에어스트림 · 뉴포트 · 뉴요커 ( 14세대 · 스페셜)· 새러토가(1~5세대) · 밸리언트 · 바이 크라이슬러 · 300 레터 시리즈 · 300 논 레터 시리즈 · 피프트 애비뉴 · 콩코드 · LHS |
|
그랜드 투어러 | - | TC 바이 마세라티 | |
스포츠카 | - |
발리언트 차저 ·
컨퀘스트 ·
레이저 ·
프라울러 · 크로스파이어 |
|
SUV | - | 아스펜 · 퍼시피카(2003) | |
MPV | 퍼시피카 · 보이저 | TE밴 · 그랜드 보이저/타운 & 컨트리 | |
콘셉트 카 | ME 4-12 · 파이어파워 · 에어플로우(2022) · 임페리얼(2006) · 터빈 카 | ||
전차 | M1 에이브람스 |
M3A3 스튜어트 ·
M3 리 ·
M4A4 · M4 (105) VVSS · M4 (105) HVSS · M4A3 (105) VVSS · M4A3 (105) HVSS · M45 중형전차 · M48 패튼 · M103 전차 · M60 전차 |
|
플리머스의 차량 | |||
드 소토의 차량 | |||
램 트럭스의 차량 | |||
닷지의 차량 | |||
지프의 차량 | |||
임페리얼의 차량 |
베트남전기의 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캄보디아 내전,
라오스 내전 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
||||
기타전차 | <colbgcolor=#fefefe,#191919> M31 TRVFR, 89식 중전차 치로 을형FR, M4A1FR, 전투공병전차, M67A1 지포 화염방사전차, T-34-85C | ||||
전차 | 경전차 | 95식 경전차 하고FR, AMX 13ROV/KH, M41(A1/A3)ROV, M5 스튜어트FR/ROV, M24 채피FR/ROV/KH/LAO | |||
공수전차 | M551 셰리든 | ||||
주력전차 | M48(A2C/A3), 센추리온 Mk.5/1AUS, 59식 전차C/ROV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닷지 WC62FR, GMC CCKWFR, Coventry Mk.IFR, V-100, M8 LACFR/ROV/LAO, 험버 정찰장갑차FR, 파나르 178BFR/ROV, 링스ROV, 알비스 살라딘(FV601)AUS, M3 스카웃 카FR | |||
궤도장갑차 | 94식 경장갑차 TKFR, 르노 UE 슈니예트FR, Sd.Kfz. 251FR, LVT-4FR, LVT-4/40FR, M113ROK/ROV/KH, M59, LVTP-5ROV, LVTH-6, M113 76mm FSVAUS, M114 장갑차, M2 하프트랙FR/ROV, M3 하프트랙FR/ROV/LAO, 유니버설 캐리어FR, M29C 위즐FR | ||||
차량 | 소형 | M151, M715, 랜드로버 시리즈 IIAUS | |||
트럭 | ZIS-150C, 건 트럭, M37, M602, M211, M274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LVT(A)-4FR, M8 스콧FR, M53/M55, M107, M109, M108, M110 | |||
자주박격포 | M125, M106 | ||||
대전차 자주포 |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M36B2FR | ||||
대공 차량 | 자주 대공포 | GMC CCKW 353 AAFR, M16 MGMC 미트쵸퍼, M167 VADS, M42 더스터, Phòng không T-34C/ROV | |||
※ 윗첨자ROV: 남베트남(Republic Of Vietnam)군 소속 차량 ※ 윗첨자AUS: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군 소속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FRance)군 소속 차량 ※ 윗첨자KH: 캄보디아 왕국 및 크메르 공화국(KHmer)군 소속 차량 ※ 윗첨자LAO: 라오스(LAOS) 왕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ROK: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미군의 운용장비 | 호주군의 운용장비 |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남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태국군의 운용장비 |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라오스군의 운용장비 | 대한민국 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
냉전기의 이라크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냉전기 이라크군(1958~2003) 의 기갑차량 |
||||
기타전차 | T-34-85CZ, M4A3 (105) HVSSC, 처칠~1958 | ||||
MBT | 1세대 | 센추리온~1958, T-54, T-55(QM/M1/M2/이니그마)M, 59식 전차, M47 패튼C, M48 패튼C | |||
2세대 | 빅커스 MBT Mk.1C, FV4201 치프틴C, M60C, 69식 전차(69-2식/QM/M1/M2)/이니그마M, T-62, T-72M1/아사드 바빌, M-84(AB/BN/BK)C | ||||
경전차 | M24 채피~1958, PT-76, FV101 스콜피온C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OT-64-(C/2A),
BRDM-1,
BRDM-2,
BTR-60, BTR-152, BTR-40, AMX-10(P · SAO), FV601 살라딘, LAV-300C, EE-9/EE-11, 파나르 M3, PSzH-IV, PSzH D-442 FÚG, AT105C 색슨, V-150S, Fhad, AML-(60/90) |
|||
궤도장갑차 |
M113A1C/R,
BMP-1 · 사담,
BMP-2,
BMD-1,
OT-62 TOPAS,
MT-LB M113, AMX-VCI, YW531 · YW750, OT-M60, PTS-2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M109A5, M110, M-1978 (S-23)C/M, AU-F1, 150mm sFH13/1(Sf) LrS | |||
대전차 자주포 | M36B1C, M36B2C, ISU-152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ZSU-23-4 쉴카, ZSU-57-2, M53/59 프라가 | |||
대공미사일 | 9K31, 9K35, 9K33M, AMX-30 롤랜드2/ FRR 롤랜드 | ||||
다연장로켓 |
BM-11, BM-13, BM-16,
BM-21, BM-27,
BM-30, 63식 기반 MRL, M-87 오르칸, ASTROS II · Sajeel, 아바빌-100, APR-40, 9K55 GRAD-1, 81 mm 테크니컬 MRL(GAZ-66 트럭 기반) |
||||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1958: 1958년 이전까지 이라크 왕국(Kingdom of Iraq)에서 운용한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
냉전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A5034> 대한민국 국군 (1945~1991)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
|||||
기타전차 | <colbgcolor=#2A5034> 경전차 | M36 전차R/M, M24 채피L/R | ||||
중형전차 | M4A3 (76) W HVSSR, T-34-85C/R | |||||
MBT | 1세대 | M46 패튼R, M47 패튼, M48(A1R/A2C) 패튼, M48(A3K / A5K · K2 · KW) 패튼M | ||||
2세대 | Tiran-6X, T-72M1X, M60X | |||||
3세대 | K-1 | |||||
장갑차 | 차륜형 | M8 LACR, M20 유틸리티 카R, KM900, UR-416X, M706R | ||||
궤도형 |
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113A1R, M577A1R,M548R,
LVT-3CR,
LVTP-7R, KAAV7A1, K200(A1), K277, K533 · 534, K-77, |
|||||
차량 | ||||||
소형 |
K-131,
K-111,
K-100 M38 (A1)R, M606R, J601R, M151R, 윌리스 MBR |
|||||
트럭 |
닛산 180IJA/R,
토요타 BMR,
GAZ-51C/R, GAZ-63C/R
ZIS-150C/R,
K300R, K301R,
K311(
A1),
K511(A1),
K711,
K800,
K409 TEL,
K501 TEL, M37R, M715R, G509/10/116R, J602R, M602R, M35R, M211R, J603R, M809, CCKWR, 민수용트럭, FOX RRV, HEMTT(M977, M984, M985, M1142)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107, M110, K-55( A1), 곡산 170mmX | ||||
자주박격포 | M106R, M125R, K242(A1), K281(A1), K532 | |||||
대전차 자주포 | M56 스콜피온R, SU-76MC/R/NONE | |||||
자주대공무기 | 자주대공포 | M16 MGMCR, ZSU-23-4 쉴카X/R, K263(A1/A3) | ||||
자주대공 미사일 |
없음(?) | |||||
다연장로켓 | K-136 구룡 I/II | |||||
대포병 체계 | AN/TNS-10 | |||||
공병 차량 | 구난차량 |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 TRVR, K288A1, K1 구난전차, K-912 10톤 구난차량, M88(A1) 구난전차, KAAVR7A1 | ||||
AEV | KM9 ACE, M728 X/R/? | |||||
교량 차량 | K-1 AVLB 교량전차, K-719 부교 운반차 | |||||
기타 | K-313, K-512 | |||||
대테러부대용 차량 | 없음(?)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 사용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문헌에만 등장하는 차량 ※ ※ 윗첨자L: 전량 타국으로 공여된 차량 ※ 윗첨자NONE: 잔존 개체 없음 ※ 윗첨자M: 개조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한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
현대 이탈리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98019>
이탈리아군 (1946~현재) Forze Armate Italiane |
||||
기타전차 | L6/40R, 까로 레체로 M24R, 까로 레체로 M3A3R, 까로 레체로 M5R, 까로 레체로 M5A1R, 까로 메디오 M4A1R, 까로 메디오 M4A1 76/52R, M4 티포 IC 콤포지토R, 까로 메디오 M4A4R, 까로 메디오 셔먼 VCR, 까로 메디오 M4 하이브리드R, 까로 아르마토 M26A1R | ||||
MBT | <colbgcolor=#198019> 1세대 | M47 패튼R | |||
2세대 | M60A1R, 레오파르트 1(A2/A5)R, OF-40E | ||||
3세대 | C1 아리에테 | ||||
3.5세대 | { 아리에테 AMV}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R, 피아트 CM6614/6616R, VBR NBC, 아우토블린도 푸마, B1 첸타우로, VBM 프레치아, VTMM Orso MRAP, {VBA} | |||
궤도장갑차 | VCC80 다르도, AAV-7A1, M113 VCCI | ||||
차량 | 소형 | VM-90, AR-90, VTLM 린체 | |||
트럭 | 이베코 ACM 80/90 4X4 · ACL 90 4X4 · ACTL 6x6 · HD6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7B1 HMCR,
섹스턴R,
M44R,
|
|||
자주박격포 | M106A1, VBM 프레치아 포르타 모르타이오 | ||||
대전차 자주포 | 세모벤테 da 76/50 M10R, 세모벤테 콘트로카리 M18 da 76/52R, 세모벤테 da 90/50 M36R, 세모벤테 da 90/50 M36B2R, 세모벤테 da 90/50 M36B1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M113 SIDAM-25*,
|
|||
다연장로켓 | M270 MLRS, { M142 HIMARS}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M74 TRVR, M32B1 TRVR, BPz 2 | |||
전투공병차량 | PiPz 2 닥스 | ||||
교량차량 | 밸런타인 가교전차R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 M113 위에 4연장 25mm 기관포탑을 단 자주대공포. {}: 예정 및 계획중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스페인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373a3c>
스페인군 (15세기 ~ 현재) Las Fuerzas Armadas Españolas |
||||
기타 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 3호 돌격포 G형R, 4호 전차 H형R, T-26R, 1호 전차R, CV-33R, M8 그레이하운드R, M20 유틸리티 카R, Carros de combate M-24 ChaffeeR, M41 워커불독R | ||||
MBT | <colcolor=#373a3c> 1세대 | M47(E · E1 · 2)R, M48A5ER | |||
2세대 | M60(A1/A3 TTS)R, AMX-30ER | ||||
3세대 |
|
||||
3.5세대 | 레오파르트 2E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MR-M1, VEC-M1, 첸타우로, RG-31 Mk.5E, TM-170, UR-416, 드래곤 | |||
궤도장갑차 | AAV-7A1, Bv 206S, ASCOD 피사로, M113A1 | ||||
차량 | 소형 | M151R, URO VAMTAC, 이베코 LMV, { KGM 렉스턴 스포츠} | |||
트럭 | 이베코 유로카고 · M250W.37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Obús autopropulsado M-37R, M108R, M109A5, M110A2R | |||
자주박격포 |
BMR-PM-81, BMR-PM-120, |
||||
대전차 자주포 | M56 스콜피온R | ||||
대공 차량 | 단거리 대공미사일 | AMX-30 롤랑, URO VAMTAC 미스트랄, NASAMS | |||
다연장로켓 | 테루엘-3R, { SILAM}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Pz 3 뷔펠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페인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포르투갈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colbgcolor=#006600> 기타 전차 |
<colbgcolor=#006600> '''[[경전차| 경전차 ]]'''
|
M24 채피R | M5(A1) 스튜어트R | |||
순항전차 | 밸런타인 Mk.IIR | ||||
중형전차 | M4A3E4 셔먼R | 그리즐리 IR | ||||
'''[[주력 전차| MBT ]]'''
|
'''[[1세대 전차| 1세대 ]]'''
|
M47 패튼R | M48A5 패튼R | |||
'''[[2세대 전차| 2세대 ]]'''
|
M60A3 TTS 패튼R | ||||
3.5세대 | 레오파르트 2A6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판두르 II | V-150 | 헨셸 콘도르 | 차이마이트 V-200R | 파나르 EBR-(75 FL10/ETT)R | 파나르 M3R | FV601 살라딘R | FV701 페렛R | M8 LACR | 험버 장갑차 | 다임러 딩고R | M3A1 스카웃 카R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M113A1 | M901A1 ITV | M577A2 | M548 | M2 · M3A1 · M5 하프트랙R | ||||
차량 | 소형 |
ATV Q-150D |
폴라리스 MRZR · 스포츠맨 · 레인저 크루IMV
URO VAMTAC ST5 |
험비 |
VBL |
디펜더 (90/110)TDi · RSOV민수용
토요타 하이럭스 ·
랜드 크루저 |
미쓰비시 L200 |
쉐보레 서버번R | UMM 얼터R
|
|||
트럭 |
군용
MAN 10.224 |
벤츠 유니목 U1750L |
이베코 40.10WM · 90.17WM |
M809 |
DAF YA 4440D |
벤츠 유니목 S416R | 발리에 GBC 8KTR상용
MAN TGM ·
TGA |
벤츠 아테고 ·
1017 · 1222A
|
||||
'''[[자주포| 자주포 ]]'''
|
'''[[자주박격포| 자주 박격포 ]]'''
|
M106A2 | M125(A1/A2) | |||
'''[[자주곡사포| 자주 곡사포 ]]'''
|
{ CAESAR} | M109(A2R/A5) | 섹스턴 Mk.IIR | ||||
대공 차량 |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
MIM-72(A2E1/A3) 채퍼럴 | 크로탈R | |||
지원차량 | 구난차량 | M88(A1/A2G) 허큘리스 | M578 LRV | |||
공병차량 | M728 CEVR | ||||
교량 차량 | M60 AVLB | MAN KAT1 EWK 부교운반차 | M48 AVLBR | ||||
건설기계 | 캐터필러 D6H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포르투갈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그리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그리스군 Eλληνικές Ένοπλες Δυνάμεις |
||||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전차 | 센토어 A27L Mk VIIIR | ||||
MBT | <colbgcolor=#ffffff,#191919> 1세대 | M47R, M48A5 MOLF | |||
2세대 | AMX-30R, M60A3 TTSR, 레오파르트 1(A5/V/GR) | ||||
3세대 | 레오파르트 2A4 | ||||
3.5세대 | 레오파르트 2A6 HEL | ||||
경전차 | M24 채피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마몬-헤링턴 장갑차R, M8 그레이하운드R, UR-416R, M1117 | |||
궤도장갑차 |
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59R,
유니버설 캐리어R,
AMX-10PR,
M113(A1/A2), BMP-1P Ost, 레오니다스 I/II, BMP-3, 마르더 1A3, { AAV-7A1} |
||||
차량 | 소형 | VBL, 험비(M1114GR), G바겐 | |||
트럭 |
MAN KAT 1 · HX81,
KrAZ-255,
M35,
M939, 메르세데스-벤츠 우니모크, 타트라 T-810, 오시코시 M977 HEMTT · FMTV, 슈타이어 12M18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110A2, PzH2000, M109(A1B/A2/A3GEA1/A3GEA2/A5) | |||
자주평사포 | M107R | ||||
자주박격포 | M106(A1/A2), M125A1 | ||||
대전차 자주포 | M18 헬캣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M42 더스터R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3M3 오사, 9K331 TOR-M1 | ||||
다연장로켓 | M270 MLRS, RM-70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Pz 2, BPz 3 뷔펠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튀르키예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e30a17>
튀르키예군 (1920~현재) Türk Silahlı Kuvvetleri |
||||
기타전차 | T-26R, T4R, 5호 전차R, M4 셔먼R, M24 채피R, M3 스튜어트R, 밸런타인R T-34-85CZC/R | ||||
MBT | <colbgcolor=#e30a17> 1세대 | M48A5T2 | |||
2세대 | M60(A1/A3 TTS), 레오파르트 1A3 · 1T | ||||
3세대 | M60T 사브라, 레오파르트 2(A4TR/A4T1) | ||||
3.5세대 | 알타이 T1 | ||||
중형전차 | 카플란E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TR-80, UR-416, BMC 키르피 I/II MRAP | |||
궤도장갑차 | 케말 투랄 APCR, M113A3T1/T2, ACV-15, FAARV, ZAHA | ||||
차량 | 소형 | 오토카르 코브라/ Engerek, ZPT, 디펜더, M151, 지프 랭글러 | |||
트럭 |
벤츠
악트로스 ·
악소르 ·
유니목 · NG,
M977 HEMTT, BMC 185-09 · 235-16 · 380-26 · Fatih 280 · M35, M939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44TR, M52T, M55 SPHR, M107R, M108TR, M109*, M110A2R, T-155 (프르트나/프르트나 2) | |||
자주박격포 | M106A1, M125A1, ACV-AMV-81 | ||||
대전차 자주포 | M36B2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M42A1 더스터R, ACV-30 코르쿠트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아틸간 PMADS, Zıpkın PMADS, HISAR-A | ||||
다연장로켓 | M270A1 MLRS, T-122 사카리아, T-300 카쓸가 | ||||
구난전차 | M74, BPz 2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터키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태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태국 왕립군 (1852~현재) กองทัพไทย |
||||
<colbgcolor=#a51931> MBT | <colbgcolor=#a51931> 1세대 | <colbgcolor=#fefefe,#393b42> M48A5PI | |||
2세대 | M60(A1/A3) | ||||
3.5세대 | T-84 오플롯-T, VT-4 | ||||
경전차 | M41 워커 불독R, 83식R, 스팅레이, FV101 스콜피온, VN-16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TR-3E1, VN-1, V-100, V-150 코만도, M1126 | |||
궤도장갑차 | M113(A1/A2/A3), AAV-7A1, 85식, 브롱코 ATTC | ||||
차량 | 소형 | 험비, TR MUV4, M151, G클래스, 퍼스트 윈, REVA Mk.II | |||
트럭 | M35, M813, KrAZ-6322, FMTV · LMTV, 유니목 U 1700 L, M939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CAESAR, ATMOS 2000, M109A5 | |||
자주박격포 | M106(A1/A2)R, M125R, M361 ATMM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M163 VADS, M42 더스터R, M16 MGMC | |||
다연장로켓 | SR-4, DTI-1/1G, D11A*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테스트용으로 운용 중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태국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노르웨이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
||
<colbgcolor=#BA0C2F> 기타전차 |
<colbgcolor=#BA0C2F> '''[[경전차| 경전차 ]]'''
|
스트리스보인 M24R | 1호 전차G/R | |
중형전차 | 스트리스보인 KW-IIIG/R | ||
'''[[주력 전차| MBT ]]'''
|
'''[[1세대 전차| 1세대 ]]'''
|
M48(A1/A5) 패튼R | |
'''[[2세대 전차| 2세대 ]]'''
|
레오파르트 1(A1NO/A5NO · NO2)R | ||
'''[[3세대 전차| 3세대 ]]'''
|
레오파르트 2A4NO | ||
3.5세대 | { 레오파르트 2A8NO}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XA-180 · 185 MLU · 186NO | XA-203N | ATF 딩고 | 푹스 1A8 NBC | M8 LACR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 ACSV G5} | { K-10} | CV9030(N/NF1) | Bv 206S | M113(F1 ~ F4) | NM-209 | NM-199 | 로케트판세르예거 NM-142(F1) | NM-135R | M3 하프트랙R | ||
차량 |
''' 초소형 '''
|
이륜차 야마하 450 WRATV 봄바디어 링스 시리즈 |
폴라리스 MRZR-4 · 빅보스
|
|
소형 |
IMV
이베코 LMV | 수파캇 HMT |
겔란데바겐 |
랜드로버 울프민수용
토요타 랜드 크루저 |
닛산 테라노 II
|
||
트럭 |
군용
RMMV HX 시리즈 | 알비스 택티카 |
M35R | M621R상용
MAN TGS |
스카니아 P93 · P113 · P143
|
||
'''[[자주포| 자주포 ]]'''
|
''' 자주곡사포 '''
|
K-9 VIDAR | M109(G/A3GN · GNM) | 셀브레베트 105mm FH M7R | |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
{ CV90 멀티 BK} | NM-204 | NM-125R | ||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
NM-116 판세르예거R | 스토름카논 KW-IIIG/R | ||
다연장로켓 | M270 MLRSR | ||
대공 차량 |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
참고: 틀:현대전/노르웨이 유도무기 | |
무인 차량 |
'''[[UGV| UGV ]]'''
|
미션 마스터 XT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NM217 베르게판세르 2 | 위센트 2 ARV | NM-130 베르게판세르R | |
공병차량 | CV90RWS STING, 위센트 2 AEV | ||
교량차량 | AVLB 레구안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G: 나치 독일 항복 이후 독일군이 남기고 간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둘러보기 :
노르웨이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현대 이란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
<colbgcolor=#99cc99,#336633>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1979~현재) ارتش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
||||
기타 전차 | M4A1 (76) WL/R/이란 제국, M4A3 (105) HVSSL/R/이란 제국 | ||||
MBT | <colbgcolor=#99cc99,#336633> 1세대 | T-54, T-55, 59식 전차, M47, M48 | |||
2세대 | FV4201 치프틴 Mk.(2K, 3, 5), 모바레즈M, M60, 천마호 가형, 69식 전차, 사피르-74M*, T-72(M1/S), Sabalan, 줄피카-1/2 | ||||
3세대 | 줄피카-3, KarrarM | ||||
경전차 | M24 채피, FV101 스콜피온, Tosan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RDM-2, BTR-40, BTR-60PB, BTR-82, EE-9 Aghareb, Rakhsh, Sarir, Haweize | |||
궤도장갑차 | BTR-50PK, OT-62B, BMP-1 · Boragh, BMP-2, M113, FV107 시미터 | ||||
차량 | 소형 | M38R, KM410, KM414, M151R, Safir | |||
트럭 |
MAZ-543,
Ural-4320,
ZiL-130 · 131 · 135,
M548,
KrAZ-5233 벤츠 악트로스 · L 시리즈, Neynava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107, M110, M109A3, 알-라으드 2, 곡산포, 2S1, 알-라으드 1 | |||
자주박격포 | Boragh 자주박격포형 | ||||
대전차 자주포 | M18 헬캣L/R/이란 제국, M36B2L/R/이란 제국, A-36L/R/이란 제국 | ||||
대공 차량PADAJA | 자주대공포 | ZSU-57-2 · Bahman, ZSU-23-4 쉴카, 판치르-S1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Herz-9, Shahab Saqeb · Ya Zahra | ||||
다연장로켓 | 63식 다연장로켓, BM-11, BM-21, BM-13, BM-24, M-1989, Fajr-3/5 | ||||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참자PADAJA: 이란 이슬람 공화국 방공군 소속 차량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59식 전차, T-54, T-55의 현대화 개수 모델. ※ 윗첨자이란 제국: 1979년 이전까지 이란 제국에서 운용한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란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미사일 전력 |
}}} }}}}}} |
현대 파키스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파키스탄군(1947~현재) پاکستان مسلح افواج |
||||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전차 | M4A1E6, M4A4R, M4A4 (76)R, T-34-85CZ, 58식 전차 | ||||
MBT | <colbgcolor=#ffffff,#191919> 1세대 | M47 패튼, T-55, M48A5R, 59식 전차, 알-자라르 | |||
2세대 | 69-IIMP식 전차, 85-IIAP식 전차 | ||||
3세대 | T-80UD, 알-칼리드(I/II) | ||||
3.5세대 | VT-4, 하이더 | ||||
경전차 | M24 채피, 63식 전차, AMX-13C/R, M3A3 스튜어트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OT-64, BRDM-2, UR-416, 알-파트 IFV, WZ-551, 오토카르 코브라, 오토카 아크리프, 맥스프로, FV701 페렛R, BTR-70, BTR-80 | |||
궤도장갑차 | M113(A1~A3), 탈하 APC, 사아드 APC, 63식 장갑차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7 프리스트R, M109(A2/A5), M110A2, SH-15 | |||
대전차 자주포 | M36B2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ZSU-23-4 쉴카, M19 더스터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FM-90 | ||||
다연장로켓 | 알자르, KRL 122, BM-27, A-100E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키스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인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인도군 (1947~현재) भारतीय स्थलसेना |
||||
기타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 M4A1E6C/R, M4A3E4, M4A4R, M4A1E9 (SA50)M/R M4A4 (76)C/R, M4A4 (SA50)M/R, M4A4 (D-56T)M/R | ||||
MBT | 1세대 |
센추리온R,
T-54BR,
T-55(A/1951년형)R,
59식 전차C/R,
|
|||
2세대 | T-72A, 비쟈얀타R | ||||
3세대 | T-90S 비쉬마 Mk.(1, 2) · T-90MS 비쉬마 Mk. 3, T-72M1 아제야 Mk.(1, 2), 아준 Mk.(1, 1A) | ||||
경전차 | AMX-13R, PT-76, M3A3 스튜어트R, { 조라와르}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OT-64, BRDM-2, FV701 페렛, 카스피르, 아디트야, 타타 WhAP | |||
궤도장갑차 | BMP-2 사라스, BMP-1R, FV432, 타모르 HAPCM, PRP-3, NAMICA, { FICV}, Sisu NA-201, TOPAS(2A)/FRT TOPAS | ||||
차량 | 소형 | 마힌드라 550, 마힌드라AXE, 미쓰비시 파제로, 마루티 집시, 윈디 505, 타타 사파리, 토요타 랜드 크루저, 미쓰비시 파제로, 티그르 | |||
트럭 |
KrAZ-6322,
스와라즈 마츠다,
이스즈 F시리즈, VFJ-LPTA713TC · 스탈리온 Mk.(3/4), 타타 LPTA1615TC/1621 · 프리마 4038S/4938S · 타트라 BEML 시리즈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FV433 애봇R, 2S1, K-9 바즈라-T, {MGS} | |||
자주평사포 | M-46 캐터펄트R | ||||
자주박격포 | CMT | ||||
대전차자주포 | Mk.I 아처R, M36B2C/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ZSU-23-4 쉴카, 2K22M1 퉁구스카, 소스나-R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1 스트렐라-1, 9K35 스트렐라-10, 9K33 오사, { BMP-2 아카시M} | ||||
다연장로켓 | BM-21, 9A52-2T, 피나카 MBRL Mk.(1, 2, 3) | ||||
공병 차량 | 구난차량 | VFJ 경구난차, 유크티라스 경구난차, CL-70, ARV-2, ARV-3, VT-72B | |||
AEV | AERV, BMP-2 불도저M, OT-62 FV180 C.E.T. | ||||
교량 차량 | 카르틱 ABL, MT-55, T-72 BLT, 살바트라, CEASE | ||||
기타 | 하이드레마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인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베트남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베트남 인민군 (1944~현재)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
||||
기타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 T-34-85CZ, T-34-85M, T-34-85M1 | ||||
MBT | 1세대 | 59식 전차, T-54, T-55(MV/M3), M48A3C/R | |||
2세대 | T-62, T-72M1 | ||||
3세대 | T-90(S/SK) | ||||
경전차 | M24 채피C/R, PT-76, 62식 전차, 63식 전차, M41 워커 불독C/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C/R, BTR-152, BTR-60, BTR-70, BTR-80, BRDM-1, BRDM-2, V-150C/R | |||
궤도장갑차 | M113C, 63식 장갑차, BMP-1, BMP-2, BTR-50(P/PK) | ||||
차량 | 소형 | UAZ-469, UAZ-452, M151C, 둥펑 EQ-2050 | |||
트럭 | ZiL-130 · 157 · 485, KrAZ-214B · 255B, KamAZ-43253, M35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2S1, 2S3 아카치야, M110C/R, M107C/R | |||
대전차 자주포 | SU-76MR, SU-100, ASU-85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Phòng không SU-76MR, Phòng không T-34R, ZSU-57-2, ZSU-23-4 쉴카 | |||
다연장로켓 | BM-14, BM-21, BM-24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장비 |
}}} }}}}}} |
현대 튀니지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
<colbgcolor=#e70013>
튀니지군 (1956~현재) الجيش الوطني التونسي |
||||
MBT | <colbgcolor=#e70013> 1세대 | M48A5R | |||
2세대 | M60(A1/A3) | ||||
경전차 | AMX-13R, SK-105 퀴라시어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AML 60, AML 90 | |||
궤도장갑차 | M113A1 | ||||
차량 | 소형 | 험비 | |||
트럭 | M35, 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 U4000 · U5000, FMTV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108R | |||
대공 차량 | 단거리 대공미사일 | M48 채퍼럴 | |||
다연장로켓 | BM-24R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튀니지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남레바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남레바논군 (1976 ~ 2000) جيش لبنان الجنوبي ,, |
||||
기타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 M-50, M-51 | ||||
MBT | 1세대 | M48A5, 티란 4 | |||
경전차 | AMX-13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RDM-2, AML-90, BTR-152 | |||
궤도장갑차 | M113, BTR-50, 나그마티란 | ||||
반궤도 장갑차 | M3A1 하프트랙, M-3 자흘란 | ||||
차량 | 소형 | M151A2, 랜드로버 디펜더 | |||
트럭 | CCKW, M35 | ||||
자주포 | 자주박격포 | 마크마트 | |||
다연장로켓 | BM-21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남레바논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레바논의 힘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레바논의 힘 (1976 ~ 1994) القوات اللبنانية Forces Libanaises |
||||
기타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 M-50, M-51 | ||||
MBT | 1세대 | M48A5, T-54A, T-55A, 티란 4 | |||
2세대 | T-62 | ||||
경전차 | AMX-13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AML-90, BTR-152, BTR-60PB | |||
궤도장갑차 | M113(A1), M577 | ||||
반궤도 장갑차 | M-3 자흘란 | ||||
차량 | 소형 | 윌리스 M38A1, M151(A1/A2), 거화 M-5GA1, 랜드로버 시리즈 II, 랜드로버 시리즈 III | |||
트럭 | M35(A1/A2), 우니모크 406, 우니모크 416 | ||||
자주포 | 대전차 자주포 | 채리어티어 | |||
자주대공포 | ZSU-23-4M1 쉴카C, M42A1 더스터 | ||||
공병 차량 | 구난 차량 | M88A1, M578, VT-55KSC | |||
교량 차량 | |||||
다연장로켓 | APR-40/RO-40, BM-14, BM-21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레바논의 힘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3. 관련 문서
[1]
다만 이는 현재 기준으로 분류되는 것이며, M48이 나올 당시에는 미군이
주력 전차라는 분류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이전이었다.
[2]
M60 전차에는 패튼이라는 별명이 공식적으로 붙지 않았다.
[3]
현재의 제너럴 다이나믹스 랜드 시스템.
[4]
1970년대 말에 미국 본토에서 M1 에이브람스 전차 생산의 영향으로 대체되면서 퇴역 및 비축하다가 90년대 초반까지 주한미군이 전시대비 비축물자 겸 최후로 소수라도 사용하다가 대한민국 국군에게 WRSA로 판매하면서 완전히 퇴역
[5]
1960년대에 초기형을 도입해서 1970년대 후반에 개량, 1990년도에 주한미군이 사용했던 중고 전차 수백 대(200~300여 대 추정) 도입(WRSA)해서 미군 도입 사양도 추가로 독자 개량(M48A5W)해서 기존 보유 물량과 동시에 2017년 현재도 800여 대 추정 운용중, 추후 K-2 흑표 혹은 차기 전차로 대체 예정
[6]
T자형
머즐 브레이크인 90mm M41 강선포 또는 Y자형 머즐 브레이크인 90mm M41E1 강선포.
[7]
L7계열은 M48A2GA2, M68의 경우 M48A1E1(기술실증전차), M48A5 및 후기 개조형
[8]
M48 도섭 훈련 이미지가 있다.
#
[9]
도섭은 별도의 도하장비 없이 전차만으로 하천을 극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도하는 별도의 심수도하장치를 장착하였을 시 하천을 극복할 수 있는 깊이이다 그리고 엔진에서도 도하가 가능한 형식이있다.
[10]
내부 모습
http://wkfyd0188.blog.me/150023273225
[11]
1945년 퍼레이드에서 공개된
IS-3의 영향으로 1948년도부터 개발되어 시제기는 M48의 시제기인 T48과 동일한 51년도에 나왔다. 하지만 개발 자체는 T43이 T48보다 먼저 시작한 만큼 M48 패튼의 둥근 차체는 M103의 연구 과정에서 나온 자료를 통해서 만들어진 셈이다. 차체 형상 뿐만이 아니라 가솔린 엔진룸과 서스펜션 설계도 거의 같다. 사람으로 비유자면 M48과 M103은
이복형제인 셈이다.
[12]
정확히는 프로토타입
T43.
[13]
M48의 포탑은
T-54와
IS-3같은 당대 소련 전차들의 반구형 포탑을 의식했다는 의견도 있다.
[14]
M48 패튼의 포탑링은 이후 M48의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된
M60 전차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15]
105mm 강선포를 탑재한 전차를 개발 및 배치된 것을 본 소련 역시 대응하고자 T-62와 T-64를 개발하면서 115mm 활강포와 125mm 활강포를 개발한다. 추후 서방 역시 추후 120mm 활강포를 탑재한 전차를 개발...
[16]
핸들은 처칠 전차에도 달려있었고, 조종이 가능하다고 했지 고장을 안 낸다는 말은 아니다. 티거는 숙련도 낮은 전차병이 운용하면 바로 고장이 나는 전차로 유명하며 이 부분은 티거의 무용담만큼이나 티거 에이스들의 기록에 정말 자주 등장한다. 이 부분에서 실제로 정말 조종이 쉬운 것은 뜨락또르나 몰던 시골 농부도 바로 운전을 할 수 있는 소련제 T-34였다. 사실 티거 이전에도 샤르 전차나 테트라크처럼 핸들식으로 조종하는 전차들이 여럿 있었다.
[17]
티거 2의 경우 860리터로 도로상 170km, 야지기동 120km.
[18]
엔진출력이 M48 가솔린은 800마력,
티거 2는 700마력이었다. 무게 차이는 꽤 나서 미터톤 기준 M48은 45톤,
티거 2는 69.8톤이라는 걸 생각하면 좀 그렇지만... 무게만 따지면 M48은 44.8톤인
판터하고 비교해야 한다! 판터의 경우 720리터로 도로상 250km.
[19]
1리터로 M1 에이브람스는 250~220미터정도, M48 가솔린버전은 160미터~180미터.
[20]
가솔린은 영하 30도에서도 증발해서 유증기 가스가 발생하는 휘발성과 인화성이 매우 높은 물질로, 휘발유 드럼 안이라도 스파크 한번만 날려줘도 화염과 폭풍(폭발압력, 폭압, 충격파라고도 한다)을 날리며 폭발, 드럼통이 공중으로 20여미터를 솟구친다.
[21]
이 큐폴라는 미군에서 두고두고 우려먹어서 현역 장갑차에 부착하거나
T71,
T92,
T110,
T95,
M59 APC,
M60에까지 이어지다가 이스라엘의 전훈을 받고 후기형부턴 제거하기 시작했다. 일본 같은 경우엔
M47 패튼의 영향을 받은
61식 전차에 달려고 STA-4에 넣기도 했지만 최종본에선 기관총을 뺐다.
[22]
궤도 하부의 작은 바퀴인 텐션 아이들러 제거, 궤도 상부를 지지하는 리턴 롤러의 2, 4번을 제거
[23]
이때 생긴 잉여 90mm M41 포들은
M46 패튼과
M47 패튼에게 돌아갔다.
[24]
반원에 가까운 형상이면 구형, 둥근 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이면 신형이다. 헤드라이트 모양도 구형은 백열등과 적외선등이 서로 떨어진 모양이었지만, 신형에서는 두 전구가 하나의 마운트에 붙어서 M60 전차의 헤드라이트 부품과 비슷하게 생겼다. 그리고 신형 헤드라이트는 탈부착 기능이 있다. 일부 구형 M48A1도 M48A3로 개수되는 과정에서 신형 헤드라이트로 변경되었다.
[25]
덤으로 수출도 염두에 두어 사통장치의 단위가
미국 단위계에서
국제단위계로 변경되었다.
[26]
미제 M48A5와는 포방패 모양이 다르고 L7 강선포를 약간 개량하여 탑재하였기 때문에 세부적으로는 다르다.
[27]
큐폴라 주변에 360도 관찰이 가능한 관측창을 배열한 형태의 큐폴라로, 기술적으로는 낡은 것이지만 피격 위험이 적고 사주 경계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해치를 약간 들어 올려 머리만 살짝 내밀어 외부를 볼 수 있는 기구를 갖춘 것도 특징이다.
[28]
이전까지는 오일식 에어클리너를 사용했다.
# 아마도 화재 위험 때문에 건식 외장형 에어 클리너로 교체했다고 여겨진다(
#).
[29]
반대로 M60 계열 차체에 M48 계열의 포탑을 장착한 사례도 있는데, 이는 중화민국 육군이 사용하는
CM-11을 참고할 것.
[30]
위 사진의 차량에 장착된 것처럼 T97 궤도는 두 고무 패드 모양이 V자에 가깝게 이어지는 구조나, T142 궤도는 각 패드 모양이 단순한 팔각형으로 바뀌었다.
[31]
마치 1950년대 미국 자동차와 유사한 형태의 조종석이다.
[32]
מוביל גוויות חרוכות(Movil Gviyot Charukhot, 모빌 그뷔욧 하루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