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21:48:02

톰슨 기관단총

토미 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시카고 타자기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시카고 타자기(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hompson
Thompson Submachine Gun
톰슨 기관단총
파일:the_evolution_of_the_thompson_submachine_gun_by_tarttinter62-dcpazxh.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기관단총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38년~ 1971년 ( 미군 기준)
개발 존 T. 톰슨
개발년도 1917년~ 1920년
생산 오토 오드넌스
새비지 병기창
BSA[1]
콜트 매뉴팩쳐링
RPB 인더스트리
생산년도 1921년~ 1945년
생산수 562,511정 (M1928A1)
285,480정 (M1)
539,143정 (M1A1)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그 외 다수
기종
원형 M1919 어나이얼레이터
파생형 M1921AC
M1928
M1928A1
M1
M1A1
제원
탄약 .45 ACP
급탄 20, 30발들이 박스탄창
50, 100발들이 드럼탄창
작동방식 오픈 볼트
블리쉬 락 방식
스트레이트 블로우백 방식 (M1, M1A1)
총열길이 300 mm
267 mm (M1, M1A1)
전장 860 mm
810 mm (M1, M1A1)
중량 4.9 kg (M1928, 탄창 미포함)
4.5 kg (M1A1, 탄창 미포함)
발사속도 1500 RPM (M1919 어나이얼레이터)[2]
600~725 RPM (M1928)
700~800 RPM (M1A1)
탄속 285 m/s
유효사거리 150 m }}}}}}}}}
1. 개요2. 개발
2.1. 시카고 타자기
3. 개량4. 파생 시제품
4.1. 시제형 .30 카빈 소총4.2. AO-T24.3. 시제형 .30-06 스프링필드 소총
5. 사용 국가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7. 에어소프트건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Ahoy의 소개 영상 hickok45의 리뷰 영상
Forgotten Weapons의 사격 영상 톰슨 기관단총 사격술 교육용 동영상
미국의 존 탈리아페로 톰슨(John Taliaferro Thompson)이 개발하고 오토 오드넌스에서 생산하던 기관단총. 제2차 세계 대전 미군 금주법 시대의 마피아의 상징적인 총이다.[3] 군인부터 마피아까지 수많은 미국인이 사랑한 기관단총으로, 높은 신뢰성과 .45 ACP탄이 제공하는 강력한 저지력을 겸비한 업계의 명작이다. 워낙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은 세기의 명총이다 보니 별명도 가지각색이라서 시카고 타자기, 시카고 피아노, 토미 건(Tommy Gun), 어나이얼레이터, 톰슨, 초퍼, 스톰 드럼, 드럼 건 등 여러가지로 불렸다.

2. 개발

파일:1283545794.jpg
M1919 Persuader.
탄띠 급탄식이라는 경기관총의 흔적이 남아있다.
파일:tumblr_n0bpyh7kcv1s57vgxo5_r1_1280.gif
M1919 Annihilator.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톰슨 기관단총의 모습에 훨씬 가까워졌다.
파일:톰슨 기관단총.jpg
Thompson M1921.
소염기 탈착이 가능하며 20발들이 박스탄창과 50, 100발들이 드럼 탄창을 사용할 수 있었다.
톰슨 M1919 리뷰 영상 Forgotten Weapons의 톰슨 M1921 리뷰 영상
원래는 1919년에 존 T. 톰슨 소장이 .45 ACP 탄의 완전 자동 사격이 가능한 경기관총으로 설계, 제작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의 종전으로 빛을 보지 못한 프로토타입 'Annihilator'와 'Persuader'를 바탕으로 1921년 M1921 톰슨 기관단총(Thompson Submachine Gun M1921)이 완성되었다.

그러나 당시는 종전 직후 군축기인 데다 육군부는 자동소총을 더 필요로 하고 있었기에 정식 군납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오토 오도넌스 사는 .45 ACP 탄의 위력과 사거리를 강화시킨 .45 Remington–Thompson이라는 탄을 사용하고, 수평 핸드가드, 양각대, 기존 총열보다 더 긴 14인치 총열을 장착한 M1923을 개발하여 M1918 브라우닝과 경쟁하려 했지만 결국 실패하고, M1921만이 엉뚱하게도 무장 강도로 골머리를 앓던 연방 체신청이 집배원의 호신용 무기로 400정을 시험 구매하는 것으로 끝나버렸다.[4]

2.1. 시카고 타자기

파일:톰슨1928.jpg
M1928 Thompson.
시카고 타자기로 유명한 모델이며, 미국 마피아 외에도 2차 대전 초기의 영국군도 사용했다.
파일:Thompson_in_violin_case.jpg
당시 마피아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톰슨 전용 바이올린 케이스.
톰슨 M1928에 대한 대략적인 인식. Forgotten Weapons의 톰슨 M1928 리뷰 영상

톰슨 M1928을 면허생산하던 콜트 사는 민간시장에 톰슨을 내놓았으나 원체 복잡한 구조인데다가 절삭가공된 부품이 다량으로 들어가며, 형태를 보면 알겠지만 인체공학적인 총열 앞 손잡이가 달려있는 등[5], 값이 비싼 총이 된 덕분에 잘 팔리지 않았다. 당장 M1928 톰슨 한 정의 가격이 당시 기준으로 225달러였는데, 2018년 기준으로 따지면 3,283달러로, 한화로 약 360만 원이나 나가는 비싼 가격을 자랑했기에[6] 제대로 팔리지가 않아,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 두었던 15,000정의 톰슨은 한동안 창고에서 먼지가 쌓여가고 있었다고 한다.[7]

이후로 닥쳐온 세계 대공황 금주법을 틈타 당시 어마어마하게 성장한 마피아들이 시가지 안에서 분쟁과 암살 등에서 이 총의 진가를 알아내곤 너도나도 구입하여 사용하기에 이른다. 이와 관련된 좀 우습고도 살벌한 에피소드가 한 가지 있는데, 바로 톰슨 기관단총을 이용한 최초의 암살 사건이었다. 1925년 9월 25일, 당시 시카고 남부에서 밀주업으로 상당한 돈줄을 쥐고 있었던 밀주업자 루커스 '스파이크' 오도넬을 제거하기 위해서 지하철에서 기다리고 있던 라이벌 갱단의 히트맨 프랭크 매클레인(Frank McLain)은 오도넬을 습격해 톰슨 기관단총으로 약 70여 발을 난사했지만 단 한 발의 총알도 맞추지 못했다. 매클레인의 사격 실력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였지만 그보다는 총 자체의 설계문제와 연사로 인한 반동이 너무 강해서 총이 심하게 흔들렸기 때문이다.[8] 하지만 벽에 빼곡히 박힌 총알 자국을 보고 기가 질려버린 오도널이 밀주업에서 손을 놔버려서 효과가 있긴 했다.

그 후 톰슨에는 반동을 아래로 억누르는 특유의 컴펜세이터가 달리게 되었으며, 마피아들은 톰슨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톰슨으로 자기 부하들을 무장시키기 시작했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이라면 단연코 시카고 알 카포네였다. 이후 원체 갱들이 많이 들고 다니다보니 마피아를 소재로 한 영화만 나오면 톰슨이 불을 뿜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더욱이 이 떨어지는 명중률을 만회하기 위해서 이들이 선택한 방법은 양으로 밀어붙이기. 그러고도 요란하기만 하고 실속이 없는 편이었는데, 1926년 9월 20일 알 카포네와 그 부하들이 아일랜드 마피아들에게 호텔 1층에서 습격당했을 때는 수천 발의 난사로 길가던 시민들만 다쳤다. 당연히 마피아의 갱들이 사격연습을 열심히 했을 리는 없으므로 이들이 상대를 죽이려면 완전 자동으로 코앞에서 빠르게 총알을 쏟아붓고 내빼는 게 '그나마 확실한' 방법이었다. 마피아의 역사적인 암살도 대부분은 다가가서 뿌리는 방식이었다.[9]

현대까지도 이어져 내려온 유서깊은 수법으로 속칭 " 드라이브 바이 슈팅(Drive-by Shooting)"이란 것이 있는데, 현대를 다룬 범죄영화에서도 종종 톰슨이 현대의 기관단총이나 기관권총으로 바뀌어 나온다. 우선 2명 정도가 톰슨을 들고 자동차에 탑승한다. 그러면 운전자는 타겟의 주변을 빙빙 돈다. 이 때 톰슨을 든 사람들이 타겟을 향해 난사한다. 그려면 목표는 온 몸에 총알구멍이 나고 사망한다. 알 카포네가 반대 조직원 7명을 한꺼번에 살해한 악명높은 밸런타인 데이 학살에도 톰슨을 사용했다. 이렇게 총알을 말 그대로 쏟아붓다보니 그 쉴새없이 울려퍼지는 콩을 볶아대는 듯한 시끄러운 총소리가 마치 빠른 속도로 타자기를 치는 것처럼 들려서, 마피아들의 주요 본거지인 시카고와 타자기를 합쳐 시카고 타자기(Chicago typewriter)라는 별명이 붙었다.

파일:Chicago_piano.jpg
'시카고 피아노(Chicago Piano)'라고도 불리지만, 이건 톰슨 기관단총을 칭하는 말로는 잘 쓰이지 않고 위 사진의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미 해군의 함선들과 항공모함에 쓰이던 4연장 1.1인치 75구경장 대공포의 별명으로 사용되는 게 일반적이다. 다만 이 대공포의 성능은 잦은 탄걸림, 느린 선회속도, 애매한 위치 등으로 인해 좋지 않아서 전쟁 초기에나[10] 잠시 사용되다가 오리콘 20mm 기관포, 보포스 40mm 포 4연장 등으로 교체되었다.

물론 이 때의 마피아들 모두가 저렇게 50발들이 드럼 탄창을 쓰는 오리지널만을 들고 다닌 것은 아니고, 코트 안에 숨기기 쉽도록 개머리판을 떼고 20발들이 소형 박스탄창이나 그것을 개조한 확장탄창을 끼운 형태의 톰슨을 쓰기도 했다. 대표적인 개조형이 전설적인 은행털이범 존 딜린저(John Dillinger)가 사용한 '딜린저'로, 사후 그와 일당의 이야기를 다룬 퍼블릭 에너미에서 등장하면서 대중적으로도 유명해졌다. 여담으로 딜린저 일당은 톰슨 말고도 여러가지 총을 개조하는 데 능해서 경찰들에게 매우 위협적인 상대였다고...일이 이렇게 돌아가자 사법기관도 톰슨으로 무장했고, 군인들 쓰라고 만들었더니 정작 군대에선 비싸다며 안 쓰이고 범죄자와 경찰들이 서로에게 쏴갈기는 현실을 본 개발자 톰슨 소장이 대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파일:161810770.jpg
1920년대 당시 미국 경찰의 모습.
Forgotten Weapons의 경찰, FBI, 시크릿 서비스용 톰슨 기관단총 케이스 리뷰 영상
제조사인 오토 오드넌스 사에서 현재도 장총열을 달아 카빈으로 만든 민수용 버전을 생산하고 있다. 일반 반자동 소총 모델[11], SBR, 권총[12] 3가지 모델이 있다.

3. 개량

파일:attachment/톰슨 기관단총/m2.jpg
파일:external/www.deactivated-guns.co.uk/thompson_1928_17.jpg
파일:attachment/Thompson1928a1-disassemble.jpg
파일:deactivated-thompson-m1928-a1-submachine-gun-sliding-cocking-handle-sold-[5]-668-p.jpg
톰슨 M1928A1 톰슨 M1928A1을 분해한 모습. 조준기의 모습.
Forgotten Weapons의 M1928A1 리뷰 영상 1943년에 배포된 M1928A1 교육용 동영상
당시 미군은 톰슨 M1928A1을 한정 제식채용하고 있었으나 앞서 언급했듯이 복잡한 구조에 대부분이 절삭 부품인 이 총의 조달 비용이 만만치 않았다. 일부 공정을 줄인 전시 생산형(wartime production)이 나왔으나 이 또한 여의치 않았다.
파일:톰슨총.jpg
톰슨 M1A1
Forgotten Weapons의 M1(좌)/M1A1(우) 리뷰 영상
톰슨 M1A1. 전쟁성에 의해 부여된 새 제식번호로, 총열 상부의 냉각핀과 소염기가 폐지되고 조준기가 간략화되었다. 또한 드럼 탄창을 대신하여 30발들이 박스 탄창이 새롭게 지급되었다.

파일:external/www.warwicks.com.au/thompson_w_silencer.jpg
재미있게도 1984년 FBI 산하에서 창설된 특수부대인 FBI-HRT의 지급 화기로써 M1A1 톰슨이 부활할 뻔했다. 그것도 소음기와 접철식 개머리판을 장착한 단축형 버전으로... 그러나 이미 H&K MP5 같은 희대의 명품들이 설치고 있던 시점에서 굳이 비용을 들여가며 재생산해낼 이유가 없던 터라, 시제품만 몇 자루 만들어지고 입안 단계에서 사라졌다. 위의 사진이 그 시제품으로 추정된다.[13]

파일:external/www.forgottenweapons.com/tsmgstock-450x337.jpg
또한 M1928의 총구 상승으로 인한 반동을 제어하기 위해 개조한 실험용 모델도 존재했는데 개머리판을 총열축에 옮긴 만큼 높아진 조준선(접이식 가늠자와 삼각형 가늠쇠)도 특징이다.

접철식 개머리판이 부착된 바리에이션도 등장했다. # #

파일:external/r.ddmcdn.com/sons-of-guns-weapons-pictures0.jpg
미국의 총기 매니아들이 유사품을 만들어보이곤 한다. 주로 MAC-11 같은 다른 단순한 기관단총을 이용해 이런저런 마개조를 가해 톰슨처럼 비슷하게 만든다. 오퍼레이션7에 등장하는 SCA M11[14]란 기관단총은 이런 점을 반영하여 실제 게임상에서도 톰슨처럼 개조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드럼 탄창은 사용할 수 없다.[15]

미국 내 일부 경찰서에서 지난 수십 년 간 보유하던 총기를 경매에 내놓곤 한다. 이는 레이건 대통령에 의해 1986년 5월 19일부터 발효된 연방법인 총기 소유자 보호법에 의해 미국 내에서는 기관총의 신규 등록이 영구 금지되어 희소성이 생긴 기등록 기관총의 가격이 날이 갈수록 수직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총이 망가지면 등록이 말소되기만 하고 새로 등록되지는 않으니 말그대로 기관총으로 인플레이션 방어가 가능한 수준이다.

한국과 달리 자치경찰제를 운영하는 미국은 경찰서 예산이 주마다 들쑥날쑥하다. 그래서 경찰서는 골동품 재고를 비싼 값에 처분하면서 신규 총기를 구매할 예산을 충당하기 위해 경매를 실시한다. 모 보안관서에서 보유하던 총기 1정이 90,000 달러가 넘는 가격에 낙찰되기도 했다. 해군형 경매, 그외 여러 지역의 당국에서 남은 톰슨을 고가에 경매하여 관서의 무기구입 경비 등을 충당하고 있다.

원래 생산처인 오토 오드넌스에서 현재 M1 카빈, M1911 등과 함께 민수용 반자동 모델을 판매하고 있다. 종류는 소총형, SBR[16], 권총형[17]세 종류.

4. 파생 시제품

4.1. 시제형 .30 카빈 소총

파일:external/www.machinegunbooks.com/Thompson18.jpg
Forgotten Weapons의 .30 카빈 버전 톰슨 기관단총 리뷰 영상
.30 카빈(7.62×33mm) 탄을 쓰는 Thompson Light Rifle. 1941년에 기존에 톰슨을 생산하던 오토 오드넌스社에서 양산을 노리고 개발되려다가 전기형만 만들어지고 끝났다. 20발, 30발 박스 탄창을 사용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hompson_21_and_Rifle.jpg
맨 위는 7.62×54mmR 탄을 쓰는 톰슨의 반자동 소총 톰슨 M1923.
아래의 것은 첫 번째 양산형 톰슨 기관단총인 M1921로, 그 아래의 탄창은 18발들이 탄창이다.
참고로, 톰슨의 경우 단순히 기관단총과 .30 카빈 탄을 쓰는 바리에이션 뿐만 아니라 .30-06 스프링필드 탄, 7.62x54mmR 탄을 쓰는 M1923 톰슨 자동소총, .276페더슨 탄을 쓰는 M1929 톰슨 자동소총까지 내놓은 적이 있다.

4.2. AO-T2

파일:external/www.machinegunbooks.com/Thompson17.jpg
Forgotten Weapons의 톰슨 T2 리뷰 영상
톰슨의 생산처인 오토 오드넌스 사에서 톰슨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총기. 하지만 취소되고 1928년부터 다시 기존 톰슨을 생산한다.

4.3. 시제형 .30-06 스프링필드 소총

파일:BYELe29CMAA3Jg6.jpg
1943년 12월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전체적으로 총몸을 길게 늘인 듯한 외형과 긴 총열에 뒤쪽에도 완충 스프링 공간을 확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또 M1918 브라우닝의 탄창을 호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5. 사용 국가

5.1. 미국

이전 영국군의 요구로 수평 총열덮개와 멜빵 고리를 장비한 M1928A1이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인 1938년에 미 해병대 미 해군에게 최초로 제식 채용되었다.

1941년 이후 미국의 참전이 결정되자 전쟁성은 부사관급까지 톰슨을 보급하기로 결정했고, "야전에서 드럼 탄창은 오염에 약하고 정비성이 떨어지며 휴대가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드럼 탄창기구를 없앤 M1을 만들었으나 이것도 손이 많이 간다 하여 내부 설계를 대폭 간소화하고 가늠자 형상을 변경한 M1A1을 개발한다. 이렇게 해서 생산비를 줄이고 생산효율을 높인 결과 M1 계열 톰슨은 1942년 10월 기준 70달러(현대 기준 약 1,000달러)의 생산비가 들었는데, 열심히 간략화한 결과 1945년경에는 45달러까지 떨어졌다.

그 이후 톰슨 기관단총은 미군이 가는 대부분의 장소에서 보이게 된다. 유럽전선에서는 독일군을 잡았고, 태평양 전선의 전장은 대부분이 복잡한 정글이였고 매복해있던 일본군이 반자이 돌격 전술을 썼는데, 이들에게는 반자동 소총이나 자동소총인 M1918 브라우닝보다는 톰슨 기관단총이 제격이었다. 반면 일본군은 100식 기관단총을 총알만 낭비하는 애물단지로 보고 보급에 인색했으며, 그 결과 볼트액션 소총 총검을 달거나 일본군도를 들고 미친 듯이 반자이 돌격만 감행해오던 수많은 일본군들은 미군한테 쓸려나갔다. 덕분에 태평양 함대 보급함대 중 일부는 아예 톰슨 전용 보급함을 만들기도 했다.

다만 병사들의 반응이 꽤 엇갈렸는데, 훗날 그린베레 출신 사격교관 켄 해커손이 알아본 바로는 무게가 당시 주력소총인 M1 개런드 보다도 무거워서 행군을 주로 하던 병과 병사들은 매우 싫어했다고 하며, 주로 호평한 병사들은 기계화 보병이나 차량 승무원 같이 무게부담이 좀 덜한 병과 사람들이었다고 한다. 전투가 벌어졌을 때의 화력만큼은 다들 인정했다고 하지만, 이후 제식에서 사라진 이유 중 이 무게로 인한 불편함에서 나오는 저평가가 컸으리라는 것. 군수품 관점으로 보면 당시 제식 주력 소총이던 M1 개런드보다 비쌌다는 점이 단점이다. 그리고 더 싸고 오염에도 강한 M3 기관단총이 나왔을 뿐더러[18], 호신용으로는 M1 카빈이 더 좋은지라 전쟁 중에도 전선에서는 점차 밀려나고 있었다. 게다가 현역 기간이 긴 총이었던 것치고는 전 모델을 다 합해도 170만 정 정도로, 비교적 생산수도 적다. 하지만 종전 이후에는 단가가 훨씬 싼 M3 기관단총에게 밀려 대부분의 물량이 교체되게 된다. 하지만 이미 지급된 총을 다 폐기한 건 아닌지라 한국전쟁에서도 상당수 사용되었고, 이후 베트남 전쟁에서도 사용되게 된다.

파일:한국전쟁미군톰슨.jpg

한국전쟁 당시 톰슨에 태극기를 매단 채 서울에 입성하는 미 해병대.

파일:external/theamericanwarrior.files.wordpress.com/hue109.jpg

베트남 전쟁에서는 초기인 60년대에 각국 특수부대와 CIA 등이 기관단총을 애용하면서 다시 사용되었다. 다만 이때가 되면 온갖 훌륭한 대체품이 많이 있었던 데다가 무게 때문에 웬만하면 잘 사용되지 않았다. 일단 제대로 제작될 경우 총 자체의 퀄리티가 높은 만큼, FBI 같은 사법 기관에서는 1976년까지 제식 화기로 사용하였으며 미 해안경비대 역시 톰슨을 1960년대까지 사용했다.

톰슨이 미군의 주력화기에서 퇴역한 21세기에도 미군 특수부대에서는 톰슨을 사용하는 기관단총 사격훈련을 한다. 단, 제식총기로 지급해서가 아니라 세상 어느 전쟁터에서 미군이 운용하는 M16 계열 소총에서 사용하는 탄환이 떨어질 시 여타 다른 소총, 기관총, 기관단총이나 탄환을 주워서 쓰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적응훈련 차원에서 하는 연습이다.

5.2. 영국

1940년에 영국에서 배포된 톰슨 기관단총 홍보 동영상. 1941년에 영국에서 배포된 톰슨 기관단총 교육용 동영상.
스텐 기관단총이 양산되기 전까지 영국군에서도 상당수를 사용했으며, 스텐 양산후에도 코만도 같은 특수부대에서는 스텐보다 톰슨을 더 좋아했다. 그러나 영국군 코만도의 실질적인 데뷔무대인 노르웨이 침투 당시에는 방아쇠를 당기자 총알은 안 나가고 탄창이 빠져버리는 추태를 보이기도 했다. 게다가 당시 방아쇠를 당긴 건 코만도 부대 지휘관이다. 그런가 하면 동아시아 주둔군이 받아서 정글에서 사용한 톰슨은 신뢰성이 안좋다고 평가가 매우 박했다.

아무튼, 스텐의 가격은 1정에 10달러[19]2달러로 엄청난 초저가가 되어버렸다.]밖에 안 되었기 때문에 결국 빠르게 톰슨을 대체해 나가게 되었다.
파일:attachment/churchill-met-tommy-gun.jpg
2차대전 당시 톰슨 기관단총을 든 윈스턴 처칠의 사진.

나치 독일의 선전상 파울 요제프 괴벨스가 이 사진으로 ' 마피아 보스나 다름없는 처칠'이란 선전물을 제작해 영국에 뿌렸는데, 독일군을 잔혹하게 다 쓸어버릴 것 같은 모습이라 처칠의 인기가 더 올라가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실패했다.[20] 국민들의 반응과는 별개로, 윈스턴 처칠 본인은 정말 무슨 마피아 보스같다며 이 사진을 굉장히 싫어했다고 한다. 즉 괴벨스의 목적이 이뤄지긴 했는데, 정작 처칠 본인에게만 해당된 것.[21] 참고로 윈스턴 처칠은 젊었을 적을 보면 지금 기준으로도 엄청난 꽃미남이다. 또한 처칠은 제2차 세계대전 연합국 지도자들 중에서 젊었을 시절이 가장 잘생긴 지도자로 꼽혔었는데, 참고로 2위는 스탈린.

5.3. 중국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3c3b088861173d2a60ab09568d77f6e6.jpg
파일:external/www.forgottenweapons.com/chinesethompson1.jpg
파일:800px-Музей_истории_донецкой_милиции_088.jpg
국민혁명군이 중일전쟁 이전에 M1921을 구매하여 사용하였고, 특히 옌시산 군벌은 자신들의 군수공장에서 톰슨을 자체 생산할 정도였다. 이후 연합군의 지원을 받아 M1928A1, M1A1 등을 추가로 운용했다. 국공내전 당시에는 국민당군이 미국으로부터 대량의 톰슨을 받아서 사용했고, 자체적으로 생산하기도 했다. 국공내전 종료 후 인민해방군이 이들을 노획하여 6.25 전쟁에서 사용하기도 했다. 위 사진의 모델은 7.62×25mm 토카레프 탄을 사용하도록 개조한 제품이며, 기존의 직선형 탄창이 아닌 35발들이 곡선형 탄창을 사용한다.

5.4. 한국광복군

파일:광복군 톰슨.png
클라이드 싸전트(Clyde B. Sargent)유가족이 제공한 한국광복군의 사격훈련 사진.
1945년 3월 1일, 광복군 제 2지대와 미전략사무국간에 체결되어 이글프로젝트의 야전지휘관인 클라이드 싸전트(Clyde B. Sargent)의 지휘하에 두취(豆曲)에서 한국광복군에 스프링필드 M1903소총, M1941 존슨 소총, M1 카빈소총과 함께 광복군도 톰슨 M1A1 모델을 운용한 바가 있다.

5.5. 대한민국

국군은 미군에게서 M1 톰슨을 정식으로 공여받은 적은 없으나 1949~1950년의 대한민국 육군 해군 무기재고표에선 M3 기관단총과 함께 M1 톰슨도 소량이나마 분명히 존재가 확인되고 있다.

아마도 미 해안경비대 금주법 시대에 밀주 밀수선박 단속을 위해 기관단총 소요가 있었던 1930년대 초반 톰슨을 상당량 발주했고 이 총들이 길게는 1970년대까지도 남아 있었는데, 미 해안경비대가 해군의 전신인 해방병단의 군사고문단으로 오면서 같이 흘러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파일:홍천_말고개_용사_(육군역사사진집).jpg
춘천 전투 당시 육탄으로 북한군의 SU-76M 자주포를 격파한 조달진 소위를 찍은 사진에서 한국군이 톰슨을 들고 있는 사진이 발견되어 국군에서 실제로도 사용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다만 조달진 소위 본인은 우측 하단에 북한군으로부터 노획한 PPSh-41을 들고 앉아 있다.

이후 2023년 3월, 1948년 1월에 한국군 1여단을 대상으로 실시된 검열 보고서에서 톰슨 운용 사실이 확인되어 한국군이 톰슨을 전쟁 전부터 운용을 하고 있었음도 입증되었다. #

5.6. 일본

파일:ThompsonMachinegun2.jpg
파일:20221218_235214.jpg
사진 중앙에 M1928A1 톰슨을 든 일본군 병사가 보인다. 톰슨 기관단총을 들은 일본 해군육전대
일본군 노획하여 사용한 예가 있다. 중일전쟁 당시 중국군의 톰슨을 노획해 쓰기도 했고, 공수부대에 노획한 톰슨을 제공한 적이 있으며, 이후로도 노획하여 사용된 사례가 종종 보인다. 특히 태평양전쟁 후반에 들어서는 미군 군복에 미군 화기로 무장한 일본군을 사살한 사례가 종종 발견되는데,[22] 이때 빠짐없이 톰슨이 등장하곤 했다.[23] 이후 일본이 패전하면서 경찰예비대 창설 시기 M1 톰슨 소량을 공여받았으나, M3 그리스건을 워낙 많이 받은 관계로 M1 톰슨은 장비분류명에만 있고 실제로는 거의 운용되지 않는 수준이었다고. 그래도 1992년까지는 항공자위대 기지경비대 일부가 사용하는 것이 관측된 적도 있다.

5.7. 소련

흔히 소련이 톰슨을 미국의 랜드리스 지원 시기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소련 건국 극초기 레닌 시대 직후였던 1924년부터 테스트를 시작해 1929년부터 도입을 결정해 대량으로 미국에서 정식으로 들여왔다. M1928, M1928A1 모두 사용했다. 전반적으로 병기의 현대화와 자동화기가 부실했던 건국 극초기 소련에서 정예 장비로 취급되어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 NKVD 국경군 위주로 다수 배치되었다. 할힌골 전투와 중국 군벌과의 분쟁에서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2차대전 당시엔 무기대여법에 의해 소련군이 대량의 미군 무기들을 사용하면서, 약 14,000여 정이 도입되었다. 2차 대전의 스케일에 비해선 공여 수량이 적은 것에서 짐작할 수 있듯, 총 자체로 지원되기보단 전차/하프트랙 등 궤도 장비에 세트로 승무원용 자기 방어 화기로 공여되었다.[24]
파일:external/www.e-reading.ws/1004339-i_018.jpg
톰슨 기관단총을 사용하는 소련 해군 보병대.
파일:Pp-kalashnik-1.webp
미하일 칼라시니코프가 처음 설계한 총기는 톰슨 기관단총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이었다.
소련에 공여된 일부는 창고에 치장물자로 쌓아두었는지 무려 2014년 우크라이나 내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반군의 무기로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5.8. 나치 독일

파일:219168009_385135379702188_8208684076511469208_n.jpg
노획한 톰슨 기관단총을 살펴보는 팔슈름예거 장병들.
일본군처럼 노획하고 사용한 사진은 있으나 사진이나 자료가 적은 것을 보아 탄 수급 문제로 PPSh-41이나 스텐 기관단총처럼 많이 쓰이진 않았으나 독일에서 톰슨을 MP760(a)으로 불리는 것을 보면 가끔씩 노획되어 쓰인 것으로 보인다.[25] # # #

5.9. 유고슬라비아

크로아티아의 락밴드 톰슨 기관단총 톰슨을 들고 찍은 데뷔곡 Bojna Čavoglave의 뮤직비디오
1950년 트루먼 행정부 당시 미국이 유고슬라비아에 군사 지원을 함에 따라 유고슬라비아도 톰슨을 사용하였다.

이 톰슨 기관단총은 한동안 잊혀졌다가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터지며 각 세력의 민병대들을 무장시키는데 사용되며 다시금 나타나게 되었다.

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톰슨 기관단총/대중매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에어소프트건

7.1. 에어코킹건

  • 토이스타
    시카고 타입(M1921AC 버전)과 2차대전 버전(더 정확하게는 M1928A1 버전) 2종이 있다. 한정판 옵션으로 다이캐스팅 외부 배럴이 판매되었다.

7.2. 전동건

  • 도쿄 마루이
    준수한 퀄리티와 준수한 발사성능을 자랑한다. M1A1 모델만 생산했으며 일본 법규에 따라 아연합금으로 만들었는데 이게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한다. 탄창이 들어가기 위해 얇아지는 목 부분이 아웃바렐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노후화되지 않더라도 충격을 받으면 아웃바렐이 깨져 분리되어 버린다. 교환을 위해서는 상부 부품 전체를 갈아야 하며 나온지 오래되어 부품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 CYMA
    토이스타에서 수입하는 풀메탈 전동건. 도쿄 마루이 M1A1 톰슨을 데드 카피한 물건으로 초창기 시마에서 만든 물건답게 굉장히 조잡하다. 마루이제 톰슨과 마찬가지로 총목이 약한편이다.
  • 킹암즈
    톰슨 라인업중에는 가장 준수하다. 마루이 톰슨이 베이스인 물건이긴 하지만 마루이급의 퀄리티에 풀메탈로 만들었고 총목도 그나마 마루이보다 조금 더 보강을 해놔 훨씬 튼튼하기는 해도 역시 과도한 충격을 받으면 여지없이 총목이 아작이 났다. M1A1과 M1928 모델이 라인업으로 나와 있으며 1928의 경우 금장과 은장 에디션이 있다.
  • 더블이글
    중국의 저가형 제작업체 답게 시마제 톰슨보다 더 허접한 외관을 자랑한다. 각인이라곤 거의 없으며 플라스틱 부품이 대부분이라 그냥 보기에도 싼티가 나는 편이고, 생각보다 발사속도도 느린 편이지만 일단 톰슨의 전동건 자체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800발 드럼탄창을 기본으로 끼워주는데다 어쨌든 국내 정식 수입품[26]이라 A/S나 소모품 구하기도 쉽고, 무엇보다도 가격이 저렴하기에[27] 게임용이 아닌 가지고 노는 용도로는 괜찮은 편이라고.

7.3. 가스건

  • WE-Tech
    네모반듯한 큼직한 노리쇠뭉치가 특징. 역시나 WE답게 RA-Tech에서 나온 리얼 우드스톡 전용옵션이 있다. 국내에서는 65만원이 넘는 정신나간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는데, 해외 직구를 할 경우 저 가격대이면 RA-Tech 튜닝버전을 사올수 있는 가격이다.(...) 참고로 WE 오리지널 모델의 해외가격은 300달러(약 34만원) 선이다.

7.4. 크리스탈 건

마루이제를 카피한 제품이 나왔다. 특이하게도 바이올린 케이스에 포장되어 오며, 블로우백 기능이 지원된다.

8. 기타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국립국어원 때문에 톰슨 기관단총을 비롯하여 톰슨이 들어가는 거의 대부분의 문서가 ' 톰프슨'으로 바뀌어버렸다. 일단은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하면 '톰프슨'이 맞기 때문. 이는 상당히 늦은 수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철자가 흡사하며 세기의 로맨스로 유명한 심프슨 부인은 톰슨과 달리 수십 년 전부터 심슨이 아닌 심프슨 부인으로 표기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 경우에는 외래어 표기법 제1장 제5항[28]을 적용하여 예외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다만 호머 심슨(Homer Simpson)이라는 압도적인 인지도를 가진 캐릭터가 있어서...
'머리없는 톰슨 사수 롤랜드'라는 노래가 존재한다. 가사 내용은 콩고 전쟁과 비아프라 전쟁에 참전했던 노르웨이인 용병 롤랜드가 동료의 배신으로[29] 머리가 날라가버려 사망했으나, 생전에 사용했었던 톰슨 기관단총과 함께 머리 없는 귀신으로 나타나 배신자를 죽이고 전 세계의 전장을 누빈다는 무시무시한 내용.

9.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1903, M1917, M70
반자동소총 M1 Garand, M1 Carbine, M1941, M3 Carbine, M1922, M1923, T1E3, M1940, Hillberg Carbine
자동소총 M1918A2, Bendix-Hyde, M1944, M2 Carbine, M45A
기관단총 M1928A1, M1, M1A1, M2, M3, M42, M50, M55
산탄총 M97, M12, M520. M620, M37, M10, M31, M11, M720
권총 자동권총 M1903, M1907, M1911A1, HDM
리볼버 S&W M&P, M1909, M1917, M1927
단발식 권총 FP45, SAC-46
조명탄 권총 M2, AN-M8, Mk.III, M5
지원화기 기관총 M1917/18, M1917A1, M1919A4, M1919A6, M1941, M2
대전차화기 Boys Mk I, M1, M9, M18, M20
화염방사기 M1, M1A1, M2
박격포 M1, M2
폭발물 수류탄 Mk.2, Mk.3, No.75
총류탄 M1, M2, M7, M8
화학탄 M18, M7A3, M14, M25
지뢰 대인지뢰 M2, M3
대전차지뢰 M1, M5
폭약 M1, M1, M1A1, M2A3, M37, M039
도검 단검 및 총검 M1905, M1, M1917, M1918, M3
예도 M1902*
취소선 :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 : 몇몇 자료에서는 M1907이라고 표기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1903A1/A4, M1917, M70, M4, MA-1, M40/M40A1, M24 SWS
반자동소총 M1 Garand, M1 Carbine, M21 SWS
자동소총 M1918A2, M2, M3, M1946, AR-10B, M14, M15, T48, Springfield SPIW, AAI SPIW, Winchester SPIW, H&R SPIW, M16, Mk.I A, GAU-5, M16A1, AR-18, GUU-4/P, XM19, XM70, SBR, LMR, M231, M16A2, M16A2E2, Steyr ACR, ARES ACR, AAI ACR, MDHC ACR, G11K2
기관단총 M1928A1, M1A1, M3, M3A1, M6, TRICAP
산탄총 M12, M11-48, M37, M870, M1100, M1200, M500, M520, M590, H&K CAWS, AAI CAWS, S&W CAWS, Jackhammer, SPAS-16, MIWS
컴비네이션 건 M6
권총 리볼버 M10, M13, M1909, M1917, M1927, M15
자동권총 M1903, M1911A1, M9, XM10, M1971, TZ-75, P85, FN BDA
기관권총 SCAMP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다목적기관총 M1919A4/A6, M37, M73, M60, M134, M240, XM214
중기관총 M1917A1, M2, M2HB, EX-17, M85, GAU-19
유탄발사기 M79, X-1, XM148,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T148E1, XM174
로켓발사기 M20, M72 LAW, M202 FLASH, Mk.153, RAW
미사일발사기 MGM-21, MGM-32, FIM-43, M47, BGM-71, FIM-92
무반동총 M18, M20, M28, M29, M67, M40, M136
화염방사기 M2, M9A1-7
박격포 M2, M19, M29, Mk.2, Mk.4, M224, M252
특수전 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M500, RC-50, M86, M88
반자동소총 G3SG/1, M82
자동소총 CAR-15, XM177E1, XM177E2, M653, M723, M733
기관단총 M76, MAC-10, MPL, MPK, UZI, M635, MP5A3, MP5SD3, MP5-N, MP5SD-N, HK54A1, SMG I/II
권총 리볼버 M66, QSPR, M686, GS32-N
자동권총 HDM, Ruger Mk.1/Mk.2, Mk.22, PPK, P9S-N, P11, M45, P226
산탄총 Masterkey, M7180, M7188
기관총 Mk.23, EX-27, HK21, HK23A1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V40
총류탄 M7
화학탄 M7A3, M14, M18, M25, M34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37, M039, M112, M118, M183
냉병기 총검 M6, M7, M9
단검 Gerber Mk II, Ka-Bar USMC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브루투스 작전 당시의 미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브루투스 작전
2506여단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1903A1, M1903A4
M1 Garand, M1941, M1 Carbine, M1A1 Carbine
M1918A2, M2 Carbine
기관단총 M1A1, M3A1
권총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M1941, M1919A4, M1919A6, M2HB
대전차화기 M9A1, M18, M20
화염방사기 M2
박격포 M2, M29, M30
수류탄 Mk.2
냉병기 총검 OSS Stiletto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베트남 전쟁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1903, M40, M70
반자동소총 M1 Garand, M1 Carbine, XM21, M21
자동소총 M1918A2, M2 Carbine, M14, M16, XM16E1, CAR-15, GAU-5, XM177E1, XM177E2, M16A1, T223
기관단총 M1A1, M3A1, MP40, MAC-10, UZI, M/50, M76, m/45, PM12, Sten Mk.IIS
산탄총 M12, M37, M520, M77E, M870, Auto-5, M11-48, M1100, M1200, M7188, SOW
권총 M1903, M1907, M1911A1, M1917, M1927, PPK, Hi-Power, HDM, Ruger Mk.1, M15, Mk.I B, QSPR, Mk.22
지원화기 기관총 M1917A1, M1919A6, M37, M73, Mk.23, M60, M134, HK21, HK23A1, M2HB
유탄발사기 M79, China Lake, X-1, XM148, XM174,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대전차화기 M20, M72, M18, M20, M67, M40, XM26
화염방사기 M2, M9, XM191
박격포 M2, M19, M29, M30, Mk.2, Mk.4
맨패즈 FIM-43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V40
화학탄 M7A2, M14, M18, M25A2, M34
지뢰 M14, M16, M18A1
폭약 M1, M1A2, M2A4, M3A1, M039, M112, M118, M37, M183
냉병기 단검 Gerber Mk II, Ka-Bar USMC
총검 M6,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차코 전쟁기의 파라과이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CE1126> 차코 전쟁
파라과이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colbgcolor=#0038A8> 볼트액션 소총 마우저 M1895, 리-메트포드, 마우저 M1907, M1909, M1924, 베테를리-비탈리 M1870/87/15, FN M24/30, Vz.24, Vz.33
기관단총 VMP30, 톰슨 기관단총
권총 S&W M&P, FN M1900, FN M1903, 콜트 M1903, 만리허 M1905
지원화기 기관총 맥심 기관총, 콜트-브라우닝 M1895, 마드센 경기관총, 브라우닝 MG38, MG40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영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LM Mk.II, SMLE (Rifle No.1 Mk.III/Mk.III*/Mk.V, No.4 Mk.I/Mk.2, No.5 Mk.I), Rifle No.3, De Lisle Carbine
반자동소총 S&W Mk.II, M1 Carbine
레버액션 소총 Winchester M1894
기관단총 Thompson M1928/M1928A1/M1A1, Lanchester Mk.I, Sten Mk.I/II/IIS/III/V, V-42, Welgun, Viper Mk.I/III, Patchett Mk.I
권총 Webley Mk.IV/VI, Webley Self Loading Mk.I, Pistol No.2 Mk.I, M1911A1, S&W M&P, Welrod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Lewis Mk.III/IV, Vickers-Berthier Mk.III, Bren Mk.I/II/III, Besal Mk.II, Hotchikiss Mk.I
중기관총 Vickers Mk.I, Besa Mk.I/II/III, Vickers Gas Operated No.2 Mk.I, Browning M1919/Mk.II, Browning .5
대전차화기 Boys Mk.I/II, PIAT
화염방사기 Flamethrower, Portable, No.2
박격포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ML 3 Inch Mortar
유탄 Mills No.36/36M, No.73 Thermos, No.82 Gammon, No.74 ST, No.75 Hawkens
냉병기 단검 Fairbairn-Sykes, BC-4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아일랜드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아일랜드군 보병장비
<colbgcolor=#FF883E> 개인화기 <colbgcolor=#FF883E> 볼트액션 소총 SMLE No.1 Mk.III, P14, M1903, M1917
기관단총 MP18, MP28, M1921
산탄총 M1897
권총 웨블리 Mk.IV, 엔필드 No.2, C96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FF883E>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마드센 경기관총, M1909
중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대전차화기 보이스 대전차 소총
박격포 Mle 27/31, 오드넌스 ML 3인치, Mle 1935
유탄 밀즈 수류탄, Mk.3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le 1874, Mle 1886, Mle 1916, Mle M1907/15 M34, MAS-36
반자동소총 Mle 1917, RSC Mle 1918, MAS-40, MAS-44
기관단총 MAS-38, EMP35, M1928
권총 MAS 1873, Mle 1892, 92 Espagnol, M1907, 루비 권총, Mle 1914, MAB Mle D, Mle 1935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1909, CSRG 1915, Mle 1918 B.A.R., Mle 1922, Mle 1926, FM 24/29
중기관총 Mle 1907, Mle 1914, Mle 1930, Mle 1922, Mle 1933, MAC 31, MAC 34
대전차화기 보이스 대전차 소총
박격포 Mle 27/31, Mle 1935
유탄 F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비시 프랑스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le 1886, Mle 1916, Mle M1907/15 M34, MAS-36, Kar98k, 리-엔필드M
기관단총 MAS-38, EMP35, M1928, MP38, MP40, 스텐 기관단총M
권총 Mle 1892, 92 Espagnol, 루비 권총, MAB Mle D, Mle 1935, 웨블리 리볼버M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CSRG 1915, FM 24/29, 브렌 경기관총M
중기관총 Mle 1914, Mle 1930, MAC 31, MAC 34
유탄 F1, M24
※ 윗첨자M: 민병대가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LM Mk.II, SMLE No. III, No. 4 Mk.I, Ross Mk.III, M1917 Enfield
반자동소총 M1 Carbine
레버액션 소총 Winchester M1894
기관단총 M1928A1, M1A1, Sten Mk.II, Mk.III, Mk.V, M50 Reising
산탄총 M1897, M37
권총 Webley Mk.VI, Browning Hi-Power, M1911A1, S&W Victory Model, S&W Triple Lock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Lewis Mk.III Mk.IV, Bren Mk.III Mk.IV, Browning M1918, M1941 Johnson
중기관총 Vickers Mk.I, Browning M1917, Browning M1919, Mk.II
대전차화기 Boys Mk.I, Mk.II, PIAT, M9
화염방사기 Flamethrower, Portable, No.2
박격포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SBML 3 Inch Mortar
유탄 Mills No.36M, Mk.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c3b091,#6e5b3c> 제2차 세계 대전
호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c3b091,#6e5b3c> 볼트액션 소총 MLM Mk.II, SMLE No. 1 Mk.III, No. 5 Mk.I
기관단총 M1928A1, Owen Mk.I, Sten Mk.II, Mk.V, Austen Mk.I, Mk.II
권총 Webley Mk.VI, Browning Hi-Power, S&W Victory Model
지원화기 기관총 Vickers Mk.I, Lewis Mk.III Mk.IV, Browning M1917, Browning M1919, Bren Mk.I, Mk.II
대전차화기 Boys Mk.I, Mk.II, PIAT
화염방사기 Flamethrower, Portable, No.2, M2
박격포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ML 3 Inch Mortar
유탄 Mills No. 36M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d98880> 제2차 세계 대전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d98880> 볼트액션 소총 MLM Mk.II, SMLE No. 1 Mk.III, No. 5 Mk.I
기관단총 M1928A1, Owen Mk.I, Sten Mk.II, Mk.V
권총 Webley Mk.IV, Browning Hi-Power, S&W M&P, P08
지원화기 기관총 Charlton Automatic Rifle, Lewis Mk.III Mk.IV, Vickers Mk.I, Bren Mk.I, Mk.II
대전차화기 Boys Mk.I, Mk.II, PIAT
유탄 Mills No. 36M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인도 제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b22222> 제2차 세계 대전
인도 제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b22222> 볼트액션 소총 MLM Mk.II, SMLE No. 1 Mk III, No. 4 Mk I, No. 5 Mk I, Pattern 14
기관단총 M1928A1, M1, Sten Mk.II, Mk.III
권총 Webley Mk.IV, M1910, M1911A1, Pistol No.2 Mk.I
지원화기 기관총 Lewis Mk.II, Mk.III, Vickers Mk.I, Vickers-Berthier Mk.III, Bren Mk.I, Mk.II
유탄 Mills No. 36M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인도 제국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e86722> 2차 세계대전
네덜란드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e86722> 소총 <colbgcolor=#e86722> 볼트액션 소총 M.95, 리-엔필드, Vz.24
반자동소총 M1941 존슨 소총K, M1 카빈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K, MP28K, 스텐 기관단총K, 오웬 기관단총K
권총 M1903, M1910/22, 하이파워, C96K, M.73, M.91K, P08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경기관총, M.20, 브렌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K
중기관총 M.8, M.18, M.25
대전차화기 PIAT, M1, S-18/1100
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유탄 Mk.2 수류탄K
※ 윗첨자K : 네덜란드령 동인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브라질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09c3b> 2차 세계대전
브라질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009c3b> 볼트액션 소총 M1908, M1903, Vz.24, Vz.33, FN M24
반자동소총 M1 카빈
기관단총 MP18, 톰슨 기관단총, M50, M3
산탄총 M1897, Auto-5, M37
권총 P08, M1911, M1917, 브라우닝 하이파워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009c3b> 경기관총 마드센 경기관총, M1909, M1918
중기관총 MG08, M1914, M1917, M1919, M2
대전차화기 M1, M18
화염방사기 M2 화염방사기
유탄 Mk.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멕시코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차 세계대전
멕시코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마우저 M1895, Gew98, Vz.24
레버액션 소총 윈체스터 M1895
반자동소총 몬드라곤 M1908
기관단총 EMP35, M1A1, M3
권총 M1911, 오브레곤 권총, S&W M&P
지원화기 경기관총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C-1934
중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M1914, M1919A4
대전차화기 M9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 멕시코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그리스 왕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d5eaf> 2차 세계대전
그리스 왕국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0d5eaf> 볼트액션 소총 FN M1930, M1903, Mle 1874, M1886, Mle 1907/15, Mle 1892/M16, 리-엔필드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스텐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권총 루비 권총, 나강 M1895, 베르크만 M1903, 베르크만 M1910, FN M1910/22, 콜트 오피셜 폴리스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0d5eaf> 경기관총 M1909, 쇼샤, M1922, M1926, M30, 브렌 경기관총
중기관총 Mle 1907, M1914, MG M.07/12
대전차화기 PIAT
박격포 브랑 M27/3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의 중화민국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국민혁명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마우저 M1871, 88식 소총, 24식 소총, Vz.24, Wz.29, Kar98k, 스프링필드 M1903L, M1917 엔필드L, 리-엔필드L, 모신나강, 카르카노 M1891, 만리허 M1886, 만리허 M1888, 81식 카빈C
반자동소총 ZH-29, M1 개런드L, M1941 존슨L, M1 카빈L
기관단총 MP18, SIG M1920, 마우저 M712, MP34, 스텐 기관단총L, 톰슨 기관단총, M42L, PPD-40C, PPSh-41C, PPS-43C
권총 C96, P08, M1914, 발터 PP, M1900, 루비, 콜트 M1903, FN M1922,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0, TT-33, M1911A1L, M1917L, FP45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Vz.26/30, 마드센 M1902, MG13, DP-28C, 루이스 경기관총, 맥심-토카레프C, 호치키스 M1922, 라티-살로란타 M/26, SIG KE7, Wz.28, FN M1930, 브렌 경기관총L
중기관총 PM M1910, 24식 중기관총, ZB-53, 호치키스 M1914, 30식 중기관총, M1919 브라우닝L
대전차화기 PTRD-41C, 바주카L, 보이스 대전차 소총L
화염방사기 M1A1 화염방사기, M2 화염방사기L
박격포 20식 82mm 박격포, 27년식 척탄통, 31식 60mm 박격포
유탄 23식 수류탄
냉병기 도검 대도
※ 윗첨자C : 홍군이 사용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에 의한 지원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화평건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화평건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000096>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88식 소총, 24식 소총, Vz.24, Wz.29, Kar98k, 38식 소총, 만리허 M1895, 카르카노
기관단총 MP18, SIG M1920, 톰슨 기관단총
권총 C96, 남부 권총, 북지 19식 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Vz.26, 24식 중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3년식 기관총, 쇼샤
박격포 27년식 척탄통
유탄 23식 수류탄, 91식 수류탄, 97식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의 운용장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 유고슬라비아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왕국군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71, M78/80, M24, Gew98, Wz.29, Vz.24, Kar98kC, M1895, 카르카노C
자동소총 StG44C
기관단총 PPSh-41L, PPS-43L, EMP35, MP40C, KP/-31C, MAB 38C, 39M 기관단총C, 톰슨 기관단총L, 스텐 기관단총L
권총 나강 M1895, 라스트&가서 M1898, TT-33L, 마우저 C96, 루거 P08C, 발터 P38C, 루비 권총, M1910/2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CSRG M1915, 브레다 M30C, Vz.26, 브렌 경기관총L, 마드센 경기관총
중기관총 피아트-레벨리 M1914, 브레다 M37C, MG34C, MG42C
대전차화기 보이스 대전차 소총L, PIATL, M1 바주카L
화염방사기 플라멘베르퍼 42C
유탄 M24C, M39C
※윗첨자L: 연합군으로부터 공여받음
※ 윗첨자C: 추축군으로부터 노획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겨울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1891/30, M1938, М1944
레버액션 소총 M1895
반자동소총 SVT-38, SVT-40, SKS, M1 카빈L
자동소총 표도로프 자동소총, AVS-36, AVT-40, AS-44, AK-45
기관단총 PPD-34, PPD-38, PPD-40, PPK-41, PPSh-41, PPK-42, PPS-42, PPS-43, 톰슨 기관단총L, M50 레이징L
권총 M1895, M1921, TK, TT-30, TT-33, M1911L
지원화기 기관총 PM M1910/30, 맥심-토카레프, DP-28, DPM, DT, DTM, ShKAS, DShK, DS-39, LAD 기관총, SG-43, RD-44, 브렌 경기관총L, 쿠비노프
대전차화기 RPG-40, PTRD-41, PTRS-41, VPGS-41, RPG-43, RPG-1, M1 바주카L, PIATL
화염방사기 ROKS-2, ROKS-3
박격포 37mm VM-37, 50mm RM-38/40, 82-BM/PM-36/37/41/43
유탄 F-1, RG-14/30, RGD-33, RG-42
지뢰 PMD-6M, PMD-7, PMD-57, POMZ-1
냉병기 M1927, M1942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으로 지원받음
취소선 :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스웨덴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Gevär m/96, Gevär m/38, Gevär m/41, Karbin m/94, Gevär m/39, m/40
반자동소총 Ag m/42
기관단총 MP18, Kpist m/37-39, Kpist m/39, Kpist m/40
권총 m/87, m/07, m/40
지원화기 기관총 Kg m/1914, Kg m/21, Kg m/37, Kg m/40, Ksp m/14, Ksp m/36, Ksp m/42
대전차화기 Pvg m/21, 14mm pst kiv/37, Pvg m/42, Pskott m/45
화염방사기 Esp m/41
박격포 GrK m/4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크로아티아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5b2c6f> 제2차 세계 대전
크로아티아 독립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5b2c6f> 소총 <colbgcolor=#5b2c6f> 볼트액션 소총 Kar98k, Vz.24, 카르카노
자동소총 StG44
기관단총 KP/-31, EMP35, MP40, PPSh-41, 톰슨 기관단총
권총 P08, M1922, P38
지원화기 기관총 M1914, Vz.26, MG34, MG42
대전차화기 판처파우스트, 판처슈렉
박격포 브랑 Mle 27/31, 8cm GrW 34, 스토크스 박격포, 12cm Grw 42
유탄 M2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알바니아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d30404> 제2차 세계 대전
알바니아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d30404> 볼트액션 소총 M1891, M1903, Kar98k, SMLE, P14, M91/30
기관단총 MAB 18, MAB 38, MP18, MP35, MP38, MP40, Lanchester Mk.I, Sten Mk.II, M1928A1, PPSh-41, PPS-43
권총 M1889, M1910, M1934, C96, P38, M1910, P-35, M1895, Mk.IV, M1911
지원화기 경기관총 DP-28, M30, Bren Mk.I
중기관총 MG M.07/12, M37, MG34, SG-43, Vickers Mk.I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룩셈부르크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룩셈부르크군의 보병장비
<colbgcolor=#00a1de> 개인화기 <colbgcolor=#00a1de> 볼트액션 소총 M/96, Gew98, Kar98k, 리-엔필드, P14, 로스 소총
기관단총 스텐 기관단총, M1A1 톰슨
권총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00a1de>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
중기관총 MG08, 빅커스 기관총, M1919 브라우닝
대전차화기 보이스 대전차 소총, M1 바주카, PIAT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 국내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국내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le 1886/93, Mle 1907/15, Kb wz.98, Kb wz.98a, Kbk wz.29, Vz.24, Kar98k, Kbk wz.91, Kbk wz.98
자동소총 StG44
기관단총 MP28, 스텐 기관단총, 브위스카비차, 베호비에츠, 톰슨 기관단총, M42, 호로즈마노프, PPSh-41, PPS-43, MP40
권총 Wz.30, Wz.32, Wz.35 Vis, M1911A1, TT-33, C96, P08, 마우저 HSc, P38
지원화기 경기관총 Rkm wz.28, 브렌 경기관총, DP-28
중기관총 MG08/15, Ckm wz.30, MG34, MG42
대전차화기 PIAT, 판처파우스트
화염방사기 K형 화염방사기
박격포 50mm RM-38/40
유탄 wz.33, 시도로프카, M24, N39, M43, M39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이집트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이집트 왕국군의 보병장비
<colbgcolor=#007a3d> 개인화기 <colbgcolor=#007a3d> 볼트액션 소총 게베어 1888, 만리허 M1895, 리-엔필드, P14
기관단총 MP18, 스텐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권총 웨블리 리볼버, 마우저 C96, 라스트&가서 M1898, M1903 포켓 해머리스, M1911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007a3d> 경기관총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중기관총 맥심 기관총, 슈바르츠로제 기관총, MG08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인도 국민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인도 국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리-엔필드, 38식 소총, 99식 소총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권총 웨블리 리볼버, M1911A1, 남부 권총, 94식 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중기관총
유탄 밀즈 수류탄, 97식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버마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버마 국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리-엔필드
기관단총 M1928A1, M1A1, 스텐 기관단총
권총 남부 권총, 웨블리 리볼버
지원화기 기관총 3년식 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필리핀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FFFFFF> 2차 세계대전
필리핀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M1899, M1893,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P14, M1917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M42, M3
산탄총 M1897, M1912, Auto-5
권총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M1911, M1917, 웨블리 리볼버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ff0000>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M1918
중기관총 M1895,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 M1919, M2
대전차화기 바주카
화염방사기 M1, M1A1, M2 화염방사기
유탄 91식 수류탄, 10식 수류탄, 97식 수류탄, Mk.2
박격포 M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체트니크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체트니크 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M71, M78/80, M24, M.95, 카르카노, 리-엔필드, 모신나강
기관단총 ZK-383, MAB 38, MP34, MP38, MP40, MP41, 톰슨 기관단총, 스텐 기관단총, PPD-38, PPD-40, PPSh-41
권총 M1910/22, C96, P08, P38
지원화기 기관총 Vz.26, M30, MG30, MG15,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FM 24/29, MG34, M.07/12, ZB-53
대전차화기 보이스 대전차 소총
유탄 F-1, M24, M43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2차 세계대전기의 한국독립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 2차 세계대전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Gew71, 그라 소총, 13년식 소총, 베르단, Kar98k, Gew88, 88식 소총, Gew98, Vz.24, 24식 보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모신나강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권총 C78, M1879, Mle 1873, Mle 1892, 웨블리 리볼버, M1895, 26년식 권총, C96, 14년식 권총, 94식 권총, M1911, P08, TT-33, P38
지원화기 기관총 맥심 기관총, M1895/14, 루이스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유탄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밀즈 수류탄, F1, Mk.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한국광복군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나치 독일군의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Gew71V, Gew88/05V, Gew98, Kar98b, Kar98k, VG1V, VG2V, VG3V, VG4V, VG5V
반자동소총 Gew41, Gew43, MP507V
자동소총 FG42, MKb42, MP43, StG44
컴비네이션 건 M30
기관단총 MP18, MP28, M712, MP35, EMP35, MP38, MP40, MP41, EMP44V, MP3008V
권총 자동권총 C96, M1907V, P08, M1915, PPK, M1934, 38H, P38, HSc, VPV, Astra 400, Astra 600/43
리볼버 M1883
조명탄 권총 M1894, LP34, LP4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G08/15, MG15nAV, MG13, VMG27, MG30, MG35/36
중기관총 MG08, MG15, MG34, MG42, MG81
대전차화기 대전차 소총 M1918V, PzB 38/39, PzB M.SS.41, S-18
대전차 로켓 FPatr 30, PzF 30/60/100/150, RPzB 43, 54, 54/1
기타 Gebalte Ladung, StP, H3, H3.5
화염방사기 FmW 35, FmW 41/42
박격포 8cm GrW 34/42, 5cm GrW 36, 12cm GrW 42, 10cm NbW 35/40
맨패즈 Fliegerfaust
유탄 M24, N39, M43, M39, GrB 39, Schießbecher
지뢰 S Mine
노획무기 오스트리아 P12(ö), G29/40(ö), Gew95(ö), MP34(ö), MG07/12(ö), 8.14cm GrW33(ö)
헝가리 Gew98/40(u), P37(u)
체코슬로바키아 Gew95(t) Gew24(t), Gew33(t), Gew33/40(t),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ZH-29, ZK-383, P24(t), P27(t), P39(t), MG26(t) ,MG30(t), MG37(t), 8cm GrW36(t), 8.14cm GrW278(t)
폴란드 Gew29(p), Gew298(p), Gew98(p), Gew299(p), Kar493(p), Kar497(p), Wz.38M, R612(p), P35(p), P645(p), MG28(p), MG154/1(p), MG154/2(p), MG30(p), MG249(p), MG238(p), MG257(p), MG248(p), PzB770(p), 4.6cm GrW36(p), 8.14cm GrW31(p)
노르웨이 Gew211(n), Gew213(n), Kar411(n), Kar412(n), Kar413(n), Kar414(n), R610(n), P657(n), MG102(n), MG103(n), MG201(n), MG240(n), MG245/1(n), MG245/2(n)
덴마크 Gew311(d), Kar506(d),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6(d), P644(d), MP741(d), MP746(d), MG158(d), MG159(d), MG258(d), 8.14cm GrW275(d)
벨기에 Gew220(b), Kar420(b),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0(b), P621(b), P622(b), P626(b), P641(b), P640(b), MP740(b), MG125(b), MG126(b), MG127(b), MG220(b), MG221(b), MG222(b), 5cm GrW201(b)
네덜란드 Gew211(h), Gew212(h), Kar411(h), Kar412(h), Kar413(h), Kar414(h), P626(h), P641(h), MG100(h), MG241(h), MG242(h), MG243(h), MG244(h), MG231(h), PzB785(h), 8.14cm GrW278(h), 8.14cm GrW279(h), 8.14cm GrW286(h)
프랑스 Gew361(f), Kar561(f), Gew301(f), Gew303(f), Gew241(f), Gew302(f), Gew304(f), Gew305(f), Kar551(f), Kar552(f), Kar553(f), Gew242(f), Gew310(f), P623(f), P624(f), P625(f), MAB D, P647(f), P642(f), R654(f), R637(f), R634(f), R635(f), MP722(f), MP740(f), MP761(f), MG105(f), MG106(f), MG115(f), MG116(f), MG331(f), MG331(f), MG156(f), MG157(f), MG256(f), MG257(f), MG271(f), 5cm GrW203(f), 6cm GrW225(f), 8.14cm GrW278(f)
영국 Gew248(e), Gew280(e), Gew281(e), Gew281/2(e), Gew283(e), Gew283/2(e), Gew282(e), Gew282/3(e), R646(e), R655(e), MP748(e), MP749(e), MP750(e), MP751(e), MP752(e), MP760(e), MP760/2(e), MP761(e), MG135(e), MG136(e), MG137(e), MG138(e), MG230(e), MG341(e), PzB782(e), PzB789(e), 5cm GrW202(e)
유고슬라비아 Gew223(j), Gew361(j), Gew293(j), Gew291/3(j), Kar492(j), Gew214(j), Kar416(j), Gew252(j), Gew309(j), Gew288(j), Gew295(j), Gew307(j), Gew298(j), Gew290(j), Gew291(j), Gew291/2(j), Kar491(j), Kar491/2(j), Kar491/3(j), Kar491/4(j), Gew308(j), Kar561(j), Gew301(j), Gew292(j), Gew294(j), Gew306(j), Kar505(j), Gew302(j), Gew304(j), Kar502(j), Kar503(j), Gew301(j), P641(j), MP760(j), MG145(j), MG147(j) MG156(j), MG146/1(j), MG148(j), MG246(j), MG200(j), MG247(j), MG248(j), MG256(j), MG257(j), 7.58cm GrW229(j), 8.14cm GrW270(j)
그리스 Gew307(g), Kar561(g), Gew215(g), Kar417(g), Kar417/2(g), Gew301(g), Gew305(g), Gew502(g), Gew306(g), Kar505(g), Gew302(g), Gew285(g), R612(g), R613(g), MG136(g), MG104(g), MG152(g), MG202(g), MG156(g), MG256(g)
소련 Gew252(r), Gew253(r), Gew254(r), Gew256(r), Kar453(r), Kar454(r), Gew255(r), Gew257(r), Gew258(r), Gew259(r), Gew259/2(r), Gew260(r), R612(r), P615(r), MP715(r), MP716(r), MP717(r), MP41(r), MP718(r), MP719(r), MG120(r), MG121(r), MG320(r), MG216(r), MG218(r), MG268(r), PzB783(r), PzB784(r), HG336(r), 3,7cm SpGrW161(r), 5cm GrW200(r), 5cm GrW205(r), 8.2cm GrW274(r), 12cm GrW378(r), 12cm GrW379(r)
미국 Gew249(a), Gew250(a), Gew251(a), Gew455(a), P660(a), R661(a), R662(a), MP760(a), MP760/2(a), MP761(a), MP762(a), MP763(a), MG123(a), MG124(a), MG219(a), MG321(a), MG269(a), PzB788(a), 6cm MW219(a) NbW263(a)
이탈리아 Gew208(i), Gew209(i), Gew210(i), Gew214(i), Gew231(i), Gew240(i), Kar408(i), Kar409(i), Kar410(i), Kar416(i), Kar430(i), Gew306(i), Kar505(i), P670(i), P671(i), R680(i), MP738(i), MP739(i), MG099(i), MG200(i), MG255(i), MG259(i), MG261(i), MG350(i), PzB785(i), PzB770(i), 4.5cm GrW176(i), 8.1cm GrW276(i)
※ 윗첨자V : 국민돌격대가 사용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무기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냉전기의 영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영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Rifle No.4 Mk.I, L8A1, Rifle No.3 Mk.I, De Lisle Carbine, L42A1, L81A1, L96A1, L118A1
반자동소총 M1 Garand, M1 Carbine, L1A1
자동소총 M2 Carbine, EM-1, EM-2, L85A1
기관단총 Sten Mk II/V, Lanchester Mk.I, L2A1, L34A1, M1928A1, M1A1
산탄총 L32A1, L74A1
권총 Webley Mk IV, S&W 38/200, L9A1, L9A1 DS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Lewis Mk IV, Bren Mk2, L4A4, L86A1
다목적기관총 L7A2
중기관총 Vickers Mk I, Browning L3A1, Browning L2A1
로켓발사기 PIAT, M20, L72A9
미사일발사기 Blowpipe, Javelin, Milan, FIM-92
무반동총 L2, L4, L6, L14A1
화염방사기 Flamethrower, Portable, No.2
박격포 Ordnance SBML 2 inch mortar, L9A1, L16A1
유탄 Mills No. 36M Mk I, L2A2
특수전 화기 자동소총 L22A1, M16A1, M16A2, L100A1, L101A1, HK33
기관단총 Bushman Mk.I, MAC-10, L80A1, L90A1, L91A1, L92A1
권총 Welrod, L47A1, L66A1, L102A1
유탄발사기 M79, M203
비치사성무기 ARWEN 37
냉병기 Fairbairn-Sykes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북아일랜드 분쟁기 아일랜드 공화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북아일랜드 분쟁(1969~1997)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4 Mk.I, No.5 Mk.I, Kar98k, M77, M300, G98, Type 38
반자동소총 M1 Garand, M1 Carbine, L1A1, G43, Mle 1949, Mini-14, AR-15C, AR-180C, SKS
자동소총 M14, M16A1, XM177, FAL, G3, BM59, FNC, SG510, SG540, AK-47, AKM, Vz.58, M62/S, PM.md.63, Type 56
기관단총 Mk.II, Mk.V, L2A1, F1, M1928A1, M1A1, M42, M3, M3A1, MAC-10, M2, MP40, MPL, m/45, M12, Vz.23, Vz.61, UZI, MP5
산탄총 SPAS-12
권총 Webley Mk.IV, Mk.VI, Hi-Power L9A1, FN M1903, FN M1910, M1911A1, M1920, C93, C96, P08, M1934, PT92, M1907, M1912, MCM, Type 94, Type 14
지원화기 기관총 Lewis Mk.IV, Bren Mk.II, L4, Besa Mk.III, L7A1, MG08/15, MG34, MG3, FALO, M1919A4, M60, M2, DShK
유탄발사기 M79
대전차소총 Boys Mk.II, S-18/1000
로켓발사기 M20, RPG-7
무반동포 m/42, M40, MBB Armbrust
미사일발사기 9K32
박격포 M-37
화염방사기 M2, LPO-50
유탄 F1, Mk.2, RGD-5
※ 윗첨자C: 민수용 반자동화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FFF
※둘러보기 : 파일:지구본_white.png 유럽권 국가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캐나다군 보병장비
<colbgcolor=#012169>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4 Mk.I, C3, C3A1
반자동소총 C1, C1A1
자동소총 C7, C7A1
기관단총 M1928A1, M1A1, Sten Mk II, C1 SMG
권총 Webley Mk IV, Colt "New Service", FN M1910, M1911A1, S&W Victory Model, Inglis Hi-Power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BAR, Bren, C2A1 SAW, C9 LMG
다목적기관총 C5 GPMG, C6 GPMG
중기관총 Vickers Mk I, M2 HMG
로켓발사기 PIAT, M9, M20, M72
미사일발사기 Blowpipe, Javelin
무반동총 M40A2, M2
박격포 Ordnance SBML 2-inch mortar, C3, Ordnance ML 3-inch mortar, M19
폭발물 수류탄 No.36M, V40, M61, C13
화학탄 M7A3
폭약 Bangalore torpedo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호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SMLE No.1 MkIII*, SMLE No.4 Mk.I, L81A1
반자동소총 L1A1 SLR, M21 SWS, AR-7
자동소총 M14, M16A1, CAR-15, T2, F88 Austeyr
기관단총 Owen Mk.I, L2A1 SMG, F1, M1928A1
권총 Webley Mk IV, Webley Mk VI, S&W Victory Model, L9A1,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Bren Mk2, L4A4, L2A1 LMG, F89
다목적기관총 MAG58, M60, MG3
중기관총 Vickers Mk I, Browning L3A1, M2HB-QCB
유탄발사기 M79, M203
로켓발사기 PIAT, M20, L72A9
미사일발사기 FIM-43, Milan
무반동총 L6, L14A1
화염방사기 No.2, M2A2
박격포 SBML 2-inch mortar, L9A1, ML 3 Inch Mortar, L16A1
폭발물 수류탄 Mills No. 36M, M26
화학탄 M7A2, M18, M25A2
지뢰 M18A1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SMLE No.4 Mk.I, L81A1
반자동소총 L1A1 SLR
자동소총 M16A1, IW Steyr
산탄총 L32A1, L74A1
기관단총 Sten Mk.II, L2A1 SMG, Lanchester Mk I*, M1928A1, MP5
권총 Webley Mk VI, S&W Victory Model, L9A1,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Bren Mk2, L4A3, L2A1 LMG, C9
다목적기관총 L7A2, L43A1, M60
중기관총 Vickers Mk I, Browning L3A1, L3A4, M2HB-QCB
유탄발사기 M79, M203
로켓발사기 PIAT, M20, L72A1
무반동총 M40, L4, L14A1
박격포 SBML 2-inch mortar, L9A1, ML 3 Inch Mortar, L16A1, L16A2
폭발물 수류탄 Mills No. 36M, M67
지뢰 M18A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프랑스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le 1886, Mle 1934, MAS-36, FR-F1, FR-F2,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리-엔필드
반자동소총 MAS-49, M1 개런드, M1 카빈, G3SG/1
자동소총 FAMAS F1, CETME 모델 B, SG540, M2 카빈, M16A2
기관단총 MAS-38, MAT-49, PM9, M1928A1, M1A1, 스텐 기관단총, MAB 38, MP40, Mini Uzi, MP5A3
산탄총 발트로 PM-5, 레밍턴 M870, Manufrance Rapid
권총 Mle 1892, MAB Mle D, Mle 1935A, Mle 1935S, Mle 1950, PAP F1, PA-MAS G1, 마뉘랭 MR 73, M686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브렌 경기관총, Minimi
중기관총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HB
로켓발사기 M1A1, M9A1, M20, PIAT, LRAC F1, RAC-112 APILAS
미사일발사기 MILAN, Eryx, Mistral
무반동총 M18, M40
화염방사기 M2, LFP 54
박격포 브랑 M27/31, 브랑 M1935, M1, M2
유탄 F1 수류탄
취소선 :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독일 연방군(서독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독일 연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Kar98k, SSG 69, SP66, Gewehr M1903, Gewehr Lee-Enfield, MAS-36
반자동소총 G3SG/1, WA2000, PSG1, WSG2000, Gewehr M1, Karabiner M1
자동소총 StG44, G1, G2, G3, G4, HK32, HK33, G8, G41, RH-70, HK36, Mauser G11, H&K G11
기관단총 MP40, MP1, MP2, PM9, MP3, MP4, MP5, KP/-31, M1A1, DUX-53, DUX-59
산탄총 HK512, M870
권총 P08, PPK, P1, P2, P3, P4, P5, P6, P7, P9, P11, VP70, P51/52, M19
조명총 P2
지원화기 기관총 M1918, MG1 ,MG2, MG3, MG8, HK23, M1919, M73, MG50
유탄발사기 HK69, HK79
대전차화기 PzF44, PzF3, MBB Armbrust, M40, MILAN, M20, RL-100, M72 LAW, BGM-71 TOW, Leuchtbüchse 84 mm
맨패즈 Fliegerfaust 1, Fliegerfaust 2
박격포 Esperanza
유탄 DM21, DM41, DM51
지뢰 PARM 1
냉병기 총검 Arbeitsmesser, KCB-77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냉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91/38, SMLE No. 4 Mk I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BM59, AR70/223, AR-10, M16A1
기관단총 MAB 38/44, MAB 38/49, LF-57, M12, Socimi 821, CB-M2, M4, MP5, M1928A1, M1A1
산탄총 RS-202, SPAS-12
권총 M1934, M1935, M1951, 92S, 92SB, 92FS, 93R, P1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1918A2, 브렌 경기관총, AS70, FN 미니미
중기관총 M37, M38, M1919A4, M1919A6, MG42/59, M2HB
유탄발사기 M7, GLF-40, M203
대전차화기 M20A1, RL-83, M40, BGM-71 TOW, 브레다 폴고레
맨패즈 FIM-92A
화염방사기 M41, T148
박격포 M62
지뢰 VS-DAFM 7
유탄 M35, OD82, Mk.2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그리스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그리스군 보병장비
<colbgcolor=#004C98>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만리허-쇠나우어 M1903,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FN FAL, G3A3, M16A1
기관단총 스텐 Mk.II, M1928A1, M1A1, M3A1, MP5
권총 M1911A1, P7M8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브렌 Mk.III, M1918A2, FN FALO
다목적기관총 M1919A4, MG3, HK11, FN MAG, M60
중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M2HB
유탄발사기 M79, HK69, M203
대전차화기 M20, M72, M40
박격포 M1, E44
유탄 Mk.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튀르키예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튀르키예군 보병장비
<colbgcolor=#E30A17>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Gew88/05, 마우저 M1938, Kar98k, 리-엔필드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M2 카빈, G1, G3A3, G3A4, HK33, M16A1, M16A2, CAR-15
기관단총 스텐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M3A1, MP5
산탄총 M1912
권총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1918A2, 브렌 경기관총, FN 미니미
다목적기관총 M1919A4, MG3, M60
중기관총 MG08, M1917A1, M2HB
유탄발사기 M79, HK69, HK79, M203, Mk.19
대전차화기 M20, M72, M40
박격포 M2, M19, M29, M30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화학탄 M14, M18
지뢰 M14, M16, M18A1, M19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대한민국 군경의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M1903, M1917, 대한식 소총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M1918A2, M2 카빈, M14, M16A1, K2, MX 소총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M3, M3A1, K1, K1A
산탄총 S&W M916TG, M1200TG, 스티븐스 67/77TG, FABARM SDASS(초기형)TG
권총 자동권총 M1911A1, K5
리볼버 M1917,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 M&PP, M19P, M36P
지원화기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 M1919A6, M73, M60, M2, K6, M134C
유탄발사기 M7, M8, M79, M203, K201, 페더럴 37mm 최루탄 발사기TG
대전차화기 M9, M20, M20A1K, M18, M20, M67, M40, M72 LAW, K.LAW, BGM-71
화염방사기 M2, KM202A1
박격포 M1, M2, M29, KM29A1, KM181, KM187, M2, KM30
견인포 M101A1, M101A2, M114, M59, KH178, KH179
맨패즈 재블린 지대공미사일
유탄 MK2, MK3A2, M26, M61, M67, K75, K400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특수전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SSG 69, 마우저 SP66
반자동소총 PSG1P
자동소총 CAR-15, XM177
기관단총 UZI, Mini UZI, MAC-10, MAC-11, MP5A3, MP5SD3
권총 PPK, 베레타 92SB, 92F, P7M13P, M459
산탄총 M1897, M1912, M870
냉병기 도검류 신군도, 경찰도, 30년식 총검, KM7, KCB-77
TG: 경찰이 시위 진압을 위한 최루탄 발사용으로 사용
P: 군 이외의 경찰이나 대통령경호실 등이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냉전기
스웨덴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colbgcolor=#004b87> 볼트액션 소총 Gevär m/96, Karbin m/94, Gevär m/38, Gevär m/41, Gevär m/41B, Karbin m/40
반자동소총 AG m/42, AG m/42B
자동소총 AK4, AK4B, AK5, AK5B, AK5C, MKR
기관단총 MP18, Kpist m/37, Kpist m/39, Kpist m/40, Kpist m/45, m/45B, m/45C
권총 m/39, m/40, Pist 88
지원화기 <colbgcolor=#ffcd00> 기관총 경기관총 Kg m/37, Kg m/40, Ksp 90
중기관총 Ksp m/39, Ksp m/41, Ksp 58, Ksp 58B, Tksp 12,7 mm
유탄발사기 M203, Grsp 40 mm
대전차화기 Raketgevär 46, Grg m/48, Pskott m/68, Pskott m/86, Pvpj 1110, RBS 56
박격포 m/84
맨패즈 RBS 69, RBS 70
화염방사기 Esp m/4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1951~1992)
Jugoslovenska Narodna Armija
'''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24, M48, M1944
반자동소총 M59, M66, M76
자동소총 M44, M64(A, B), M70(A, A1, AB2, AB3, B, B1), M80(A, A1), M90(A, NP), M85, M92*
기관단총 M1, M49, M56, MAC-11, M84, M97
권총 M57/70, M88, CZ99
지원화기 기관총 M53, M72, M77, M84, DShKM, M87, M2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PBG 40mm M70*
대전차화기 M57(A1, A2), M60, M-79 오사, M80 Zolja, RPG-7, PORS 3M6, 9K11AI, 9K11M, PORS 9K111
박격포 M57 60mm 박격포, M69 82mm 박격포, M74, M75
맨패즈 9K32, 9K34 스트렐라-(2, 3), 9K38 이글라
지뢰 PMR-1, PMR-2A
*: 도입 연도 불분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냉전기의 중국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88식 소총, 81식 기병총, 24식 보총, Kar98k,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53식 보기총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1941 소총, 56식 반자동소총, 79/85식 저격소총
자동소총 56식 자동소총, 63식 자동소총, 81/87식 자동소총
기관단총 M1928A1, M1A1, 50식 기관단총, 36식 기관단총, 54식 기관단총, 64식 소음기관단총, 79식 기관단총, 82식 기관단총, 85식 기관단총
권총 C96, 52식 권총, 54식 권총, 59식 권총, 64식 권총, 64/67식 소음권총, 77식 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Vz.26, MG34, 브렌 경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53식 경기관총, 56식 분대 기관총, 67식 다목적 기관총, 80식 다목적 기관총, 81식 분대 기관총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24식 기관총, 53/57식 중기관총, 54식 중기관총, 77/85식 중기관총
유탄발사기 QLZ-87
대전차화기 PTRD-41, PTRS-41, 52식 무반동포, 56식 무반동포, 56식 화전통, 69식 화전통, 65식 무반동포, 78식 무반동포, HJ-73, HJ-8
화염방사기 74식 화염방사기
박격포 비뢰포, 53식 박격포, 67식 박격포, 84식 박격포, 86식 120mm 박격포, PP-87, PP-89, QLT-89
맨패즈 HY-5
유탄 인민해방군/수류탄
지뢰 59식 대인지뢰
냉병기 군도 65식 기병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파나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나마 방위군(1952~1989)
Fuerzas de Defensa de Panamá
개인화기 권총 M10-2, 콜트 오피셜 폴리스, M1911A1, 하이파워, TEC-9
기관단총 M1928A1, M3A1, M50, UZI, MAC-10
산탄총 M870
소총 자동소총 M2 카빈, AK-47, AKM, M16A1, T65, FAL, MPi-KMS-72
반자동소총 브레다 PG, M1 개런드, M1 카빈, M21 SWS, SVD
볼트액션 소총 M1893, M1903, M1917 엔필드, M24
지원화기 <colbgcolor=#072357> 기관총 <colbgcolor=#072357> 경기관총 M1918A2, MG42, MAG, M60
중기관총 M1917A1, M1919A4, M2 브라우닝, ZB-53
유탄 발사기 M79, M203, HK69
대전차 화기 무반동포 52식 무반동포, M67
대전차 로켓 RPG-2, RPG-7, RPG-18, M20A1B1, LRAC F1
박격포 M2, M29, M30, MO-120-RT
유탄 Mk.2, RGD-5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당시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영연방군 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1 Mk.III, No.4 Mk.I, No.5 Mk. I, De Lisle Carbine, M1903A3
반자동소총 M1 Carbine, M1A1, L1A1
기관단총 M1928A1, M1A1, Sten Mk.II, Mk.V, L2A1, Owen Mk.I, M50, M55, M3, M3A1, M/50
산탄총 L32A1
권총 Webley Mk.IV, S&W M&P, Browning Hi-Power, M1903,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Lewis Gun, Bren Gun, Vickers Mk.I, Browning M1917A1
대전차화기 Boys Mk.II
유탄 Mills No.36M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호주 국기.svg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반영 민족해방전쟁기의 말라야 공산당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반영 민족해방전쟁
말레이시아 해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f2023> 리-엔필드, M.95,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Gew88, Gew98, Kar98k, M1903A3
반자동소총 M1, M1A1
자동소총 AK-47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스텐 Mk.II, Mk.V, 스털링 기관단총, M50, M55, M1928A1, M1A1, PPSh-41
산탄총 Auto-5
권총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TT-33, C96, P08, P38
지원화기 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척탄통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유탄 밀즈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한국전쟁기의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한국전쟁 시기
대한민국 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M1918A2, M2 카빈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권총 M1911A1, M1917, M10
지원화기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A6, M2 중기관총
대전차화기 M9, M20 로켓발사기, 57mm 무반동총, 75mm 무반동총
화염방사기 M2 화염방사기
박격포 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유탄 Mk.2 수류탄, MK3A2 수류탄, M7 총류탄발사기
냉병기 군도 구군도, 신군도, 경찰도, 30년식 총검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6.25 전쟁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6.25 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50식 보총, 한양 88식C, 24식 보총C, 81식 마병총C, Kar98kC, Vz.24C. 스프링필드 M1903C. M1917 엔필드C
반자동소총 SVT-40, SKS
자동소총 AVS-36C
권총 남부 권총, 나강 M1895, C96, TT-33, 발터 P38, 루거 P08C
기관단총 PPSh-41, 49식 기관단총, 50식 기관단총, PPS-43, 봉천 2형 기관단총C, 36식 기관단총C, M1921C, M1928A1C, M1A1C, MP34C, 스텐 기관단총C, 100식 기관단총C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1식 경기관총, 89식 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DP-28, DPM, Vz.26, Vz.30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24식 중기관총, PM M1910, DT, DTM, DShK, SG-43, KPV, MG34C
대전차화기 PTRD-41, PTRS-41, RPG-43, 52식 무반동포C
화염방사기 ROKS-3
박격포 27년식 척탄통C, 82-PM-37, 120-PM-43
유탄 F1 수류탄, RGD-33, RG-42
지뢰 목함지뢰, POMZ-1
※ 윗첨자C: 중공군이 사용
취소선 : 사용 여부에 논란이 있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6.25 전쟁기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한국전쟁 시기
영연방군 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Rifle No.1 Mk.III*, No.4 Mk.I, No.4 Mk.I(T), No.5 Mk. I, P14, De Lisle Carbine
반자동소총 M1 Garand, M1 Carbine, M3 Carbine
기관단총 M1928A1, M1A1, Sten Mk.II, Mk.V, L2A1, Owen Mk.I
권총 Webley Mk.IV, Pistol No.2 Mk.I,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Lewis Mk.III/IV, Bren Mk.I/II/III
중기관총 Vickers Mk.I, BESA, Browning M1919A4, Browning M2HB
대전차화기 PIAT
화염방사기 Flamethrower, Portable, No.2
박격포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ML 3 inch mortar
유탄 Mills No.36M
냉병기 Fairbairn-Sykes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호주 국기.svg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f2023> Mle 1886, Mle 1934, MAS-36,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Kar98k
반자동소총 MAS-49, 게베어 43,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자동소총 StG44, M2 카빈
기관단총 MAS-38, MAT-49, 스텐 기관단총, MP40, 톰슨 M1A1, M/50
권총 Mle 1892, Mle D, Mle 1935, Mle 1950, 브라우닝 하이파워, HSc,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중기관총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무반동포 M18
로켓발사기 PIAT, M9, M20
화염방사기 M2, LFP 54
박격포 브랑 M27/31, 브랑 M1935, M1, M2
유탄 F1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베트남 전쟁
베트남 공화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소총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AS-36,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자동소총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XM177
기관단총 M45, UZI,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권총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M10
산탄총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지원화기 기관총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37, M73, M2
유탄발사기 M7, M8, M79, M203
대전차화기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XM26, M72 LAW
화염방사기 M9A1-7, XM202
박격포 M2, 브랑 M27/31, M1, M29
폭발물 수류탄 OF-37, DF-37, M26, Mk.2
지뢰 M14, M15, M16, M18/M18A1 클레이모어
냉병기 총검 M1905, M1, M6,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6e8b3d> 베트남 전쟁
베트남 인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6e8b3d> 소총 <colbgcolor=#6e8b3d> 볼트액션 소총 M1886F, M1902F, MAS-36F,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Kar98kF, 88식 소총
반자동소총 SKS, SVT-40, SVD, Vz.52, MAS-49F
자동소총 AK-47, 58식 보총, K-56, K-63L, AKM, Vz.58, StG44L, FG42L
기관단총 K-50M, PPSh-41,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M1928A1, M1A1, 마드센 M/50, M56,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권총 K-54, K-59, CZ52, C96, APSL,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B 모델 DF, MAC M1950F, P-64, 67식 권총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22F, 11년식 경기관총J, 96/99식 경기관총J, DP-28, RP-46, Vz.26/30, FM 24/29F, 브렌 경기관총, RPD, Vz.59, 67식 기관총, RPKL, PK, PKML
중기관총 호치키스 M1914F, 24식 중기관총, DTM, M1910/30, MG34, MG42,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KPV
대전차화기 PIATF, B-40/50, B-41, B-10, B-11, SPG-9, 54식 무반동포, 자돌폭뢰J
화염방사기 LPO-50
박격포 10식 척탄통J, 89식 척탄통J. 50-PM-40,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55식 박격포
유탄 10식 수류탄J, 91식 수류탄J, 97식 수류탄J, 1식 수류탄, RGD-33, RG-42, RPG-43, RGD-5
지뢰 POMZ-1, POMZ-2
※ 윗첨자J/F: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윗첨자L: 제한적 사용
※ ''기울임체'':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당시의 해방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해방전쟁
아프리카 해방군 보병장비
파일:앙골라 해방인민운동 당기.svg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파일: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당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1974-1975).svg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당기.svg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1874, M12, FN M24/30, Kar98k, 리-엔필드, P14, MAS-36, M/52, 53식 기병총
반자동소총 SKS, 56식 반자동소총, Vz.52
자동소총 AK-47, AKM, 56식 자동소총, Vz.58, PM.md.63, MPi-KM, MPi-KMS-72
기관단총 M1928A1, MP34, MP39, MAB 38, MP40, PPSh-41, PPS-43, 스텐 기관단총, Z-45, 스털링 기관단총, Vz.25, MAT-49, 비뉴롱 기관단총
권총 TT-33, 54식 권총, PM, APS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경기관총, FM 24/29, 브레다 M30, 브렌 경기관총, DPM, RP-46, 53식 경기관총, RPD, 56식 경기관총, Vz.52
다목적기관총 MG34, MG42, Vz.59, PK
중기관총 SG-43, 53식 중기관총, ZB-53, DShK, 54식 중기관총
대전차화기 RPG-2, P-27, 56식 화전통, RPG-7, 69식 화전통
무반동총 52식 무반동총, B-10
맨패즈 9K32
박격포 31식 박격포, 63식 박격포,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폭발물 수류탄 F-1, 1식 수류탄, RGD-5
지뢰 POMZ-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앙골라 국기.svg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히론 전투 당시의 쿠바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히론 전투
쿠바군 보병장비
<colbgcolor=#CE1126> 개인화기 <colbgcolor=#CE1126> 소총 <colbgcolor=#CE1126>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1896, M1903, 모신나강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Vz.57
자동소총 FAL, AK-47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PPS-43, Vz.23, Vz.25
권총 아스트라 600,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1918A2, DP-28, RP-46, 브렌 경기관총
다목적기관총 M1919A4, M1919A6, Vz.26, MAG-58
중기관총 M1917A1, ZB-53, DShK
대전차화기 M1
유탄 F1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캄보디아 내전기의 크메르 공화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캄보디아 내전
크메르 공화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AS-36, M1903, 리-엔필드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L1A1
자동소총 M2 카빈, M16A1, XM177, G3
기관단총 MAT-49, M1A1, M3A1
산탄총 M37
권총 M1911A1, M10, M1917, Mk.22, L9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FM 24/29, M1918A2, 브렌 경기관총
다목적기관총 M1919A4, M1919A6, M60
중기관총 M1917A1, M2HB
유탄발사기 M79, M203
대전차로켓 M72, M202
무반동총 M20, M40, M67
박격포 브랑 M27/31, M19, M29, M2, M30
유탄 수류탄 Mk.2, M61, M67
연막탄 M18, M34
지뢰 M18A1, M16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2478ff> 소총 <colbgcolor=#2478ff> 볼트액션 <colbgcolor=#FFFFFF,#191919> 모신나강, PTRD-41
반자동소총 SVT-40, SKS, SUB-2000D, Springfield Saint, NEA-15, POF P415, 루거 AR556, Adams Arms P1D MSR-15, POF 레볼루션, KMR-A, PTRS-41, 루거 SFAR
돌격소총 StG44, AKM, AKMS, AK-63D, 56식 자동소총C, PM md. 63.D, AR-M9D, MPi-KM-72, AK-74*, PM md. 90.D, AKS-74U, Vepr*, AK-74MC, KM-AKC, AK-103C, AK-12C, FNCD, Vz.58D, M70D, M14D, M16A2D/ M16A4D, G3D, FN FALD, M4A1D, G36KD, SCAR(L/H)D, F2000D, Wz.88D, C7(A1/A2/NLD)D, MSBS GrotD, SIG516, H&K HK416D, QBZ-97, DDM4, ARX-200, M5 카빈D, MDRX, ACARD, CETME LD, FAMASD, XCR, IWI Zion-15
저격소총 Fort-301*, Z-008, VPR-308*, Z-10, SVD, SVDMC, 85식 저격소총, PSL, M82*, M99, M107A1, ZVI 팔콘D, AW308D, AXD, 레밍턴 M700D, FR-F2D, M98D, SV-98C, T-5000C, OSV-96C, KSVKC, WKW WilkD, HLR 338D, Snipex T-Rex, Snipex Rhino Hunter, Snipex Alligator, Snipex 모노마흐, Snipex M100, Savage 10, Savage 110, M21 SWSD, M24 SWSD, SIG SSG-3000*, SRS-A1, HTI, TAC-50, C14D, LRT-3D, CADEX CDXD, RPR*, RAR*, SIG100*, SIG CROSS, R93*, 부시마스터 BA50, BFG-50, PGM 헤카트 II, FA-50T, TASCO 7ET3
기관단총 PPSh-41, PPS-43, 톰슨 기관단총, MP40, 칼 구스타프 m/45, Vz.23, MP5*, Vz.61D, KRISS VectorD, UZID, Z-84 Corto, 루거 MP9*, Fort-230, 보르즈 기관단총, PM-63D, SP9, Aselsan SA-9
권총 PM, Makarych*, TT-33,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4, PPK, 발터 P22, P08, VIS Wz.35, PSM*, Fort-12*, Fort-14TP, MP-443C, GSh-18C, CZ75D, CZ P-07D, P-10CD, M9D, R7 MakoD, SFP9D, SIG P320, Canik TP9, PL-15C
지원화기 기관총 DP-27, DP-28,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SGMT, RPK, RPK-74, 자스타바 M72, PK, PKM, 자스타바 M84D, MG-1MD, Mayak K(T/M/TM), PKPC, KordC, KPVC, DShK, DShKM, NSV, PM M1910, RPD, Vz.59D, MG34, M53D, CETME AmeliD, MG3, MG42/59D, M60, Ksp 58D, C6D, M240D, FN 미니미D, C9D, C9A2D, M2(A1)D, AN/M3D, M249D, M249E3D, W85, UKM-2000PD, AAT-52D, PZD 556D, MG5D, Laska K2, Ares Shrike, M134D, MMG556D
유탄발사기 UAG-40*, 댜코노프 총류탄, AGS-17, AGS-30C, RGM-40, RG-6C, GP-25, GP-34C, Fort-600, GM-94C, Mk.19 Mod.3D, M32D, RGP-40D, AG36D, M320(A1)D, M203D, UGL-40, GMGD, FN40GLD, RDS40D, 팔라트D, M11 RGDD, RG-1
대전차화기 대전차로켓 RPG-7, RPG-7V, RPG-7D, 69식 화전통, ATGL-L, LGL-7D, PSRL-1, PzF 3D, RPG-16, RPG-18, RPG-22, BULSPIKE-AT, DRTG-73D, M80 Zolja, M72A5, NM72F1, M72 ECD, RPG-26, RPG-27, RShG-1, RPG-29, RPG-30C, RPG-32, RPG-76D, SMAWD, M141 BDMD, RGW-90D, APILASD
대전차 미사일 Corsar, 스키프, 쉐르쉔, 아뮬렛, 9K115-2, 9M113, 9K111, 9K135C, NLAW, FGM-148, 밀란 대전차 미사일D, TOWD, RBS 56D, 아케론 MPD
무반동총 SPG-9 "Spis", AT4D, 칼 구스타프 M4D, C90D, Pvpj 1110D, Alcotán-100D, RPO-A, RPV-16, RPG-75(M)D
박격포 82-BM-37, KBA-118, KTH1, LMR-2017D, m/68D, M224 LWCMSD, 63식D, MP-60, M60-16, UB-81, UPIK-82, M60CMAD, KBA-48M, M69A, 20N5D, 2B9, 2B14, M252 MERMD, HM-16, HM-19, M84D, 2B16, Vz.82, М120-15, 2S12, 120-PM-43, MP-120, M74D, 120 KRH 92D, Mod.63D, MO-120-HBD, M120 BMSD, M240
견인포 122mm 2A18 D-30, 85mm D-44, 85mm D-48, BS-3, 100mm 2A19 MT-12, 152mm M1955 D-20, M-46, 150mm 2A65, 152mm 2A36, M2A1D, M101D, { M114}D, M119D, L119D, M777D, FH70D, TRF1D, Mod.56D
대공포 보포스 40mm 포D, 57mm S-60, KS-19, L/70D, ZU-23, 자스타바 M55D, 자스타바 M75D, 72-K, 오리콘 GDF, { MANTIS}
맨패즈 9K310, 9K38, PiorunD, 9K32, 9K34, FIM-92, Starstreak HVM, 미스트랄D, LWM 마틀렛D, SungurD, RBS 70D, Anza 2D
자폭 무인기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피닉스 고스트D, UJ-32 Lastivka, 라텔-S
지뢰 TM-57, TM-62M, PTM-1, PTM-3, MON, OZM-72, AT2D, DM12 PARM-2D, PTKM-1RC, DM-31D, M18A1D, Mini HailstormD, POMZ, PFM-1, HPD-2A2D, M/47D, M/56D, Mi AC AH F1D, FFV-028D, M/52D, PMN, RAAMD, PK-14D, PT Mi-BaD, C-3-BD, M86 PDMD, YaRM, L9A1D, M15D, M21D
폭약 M112D, M/97D, KZ-6, C4D, PENOD, M1 관형폭약D, M2A4D, UR-83P, Minröjningsorm 1D, AO-1Sch, UYA-95-1.5
수류탄 F1 수류탄, RG-42, RGD-2, RGD-5, RKG-3, M67, OF 37, DM41D, DM51D, DM61D, M/54D, L109D, RGR, RG-60TB, Sirpalekäsikranaatti M50D, F1D/N, GHO-1D, Mecar M72D, M50 P3D, NR20C1D, PGN-60
비치사성무기 M18D, DG-01, L83A2, L84A3, Zarya-3, UDSh, M4A2
<colbgcolor=#ffe400>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Fort-221, Fort-223, Fort-224*, MCX, ACR, AS Val, ASM ValC, Malyuk, WAC-47, Z-15, Fort-227, Fort-228, Fort-229, CZ 브렌 2D, AUG HBARD, AK-105C, C8D, 헤넬 MK556, CR 308D. DD Mk.18D, SIG716, 콜트 M933, HK433
저격소총 VSS, TRG-22, T3, TS.M.308, TS.M.338, HS.50, M110 SASS, CheyTac Intervention, Horizon's Lord, 베레타 Victrix Corvus*, 바렛 MRAD, SAN 511*, Mk.14 EBRD, HK417D, VSSKC, M1500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스콜피온 EVO 3, P90, PP-91C, MPX, APC9 PRO*, B&T MP9*
산탄총 Saiga-12*, Fort-500, Fort-500T, Fort-500M*, KS-23, 모스버그 500D, 베넬리 M4D, TOZ-87, BTS12*, RS S1, CZ1012, Target X7, M26 MASS, Sierra 12, KSG
권총 스테츠킨 APS, SPP-1, Fort-17, Fort-20, Fort-21, PB, 글록 17/19/45D, Fort-15, 나강 M1895, CZ82D
기관총 Fort-401
수류탄 RGO, RGN, Mk.14 Mod 0 ASMD, RGT-27S, RGT-27S2
*: 우크라이나 내무부 예하 및 준군사조직에서 사용
C: 노획 장비
D: 여러 국가들에서 지원물자로 기증
{중괄호}: 도입 예정 장비
N: F1 수류탄과 이름만 같은 현대적인 호주산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shininpath.png 빛나는 길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cc0000> 빛나는 길
개인화기 <colbgcolor=#cc0000> 소총 갈릴, AK-47, FN FAL, IMI ROMAT, FN FNC, HK33, G3, 리-엔필드, AR70, 루거 10/22
기관단총 MP40, 톰슨 기관단총
산탄총 M870
권총 베레타 92, PPK, 글록 19
지원화기 기관총 PKM, FN MAG
유탄 발사기 Federal Riot Gun, 밀코 MGL
대전차화기 RPG-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shininpath.png 빛나는 길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보병장비 둘러보기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Frente Sandinista de Liberación Nacional
개인화기 소총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M16A1, FN FAL, AKM, 갈릴, FN CAL, M2 카빈, M14 소총
저격소총 SVD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UZI, M45 기관단총, M953, S&W M76
산탄총 M870, Auto-5
권총 M1917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지원화기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 FN MAG, MG42, M1941 존슨 경기관총, RPD, DP-28, PKM
중기관총 M1919 브라우닝,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유탄발사기 HK69
대전차화기 RPG-7
※둘러보기 : 파일: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Birmingham Small Arms Company. 버밍엄 소화기 회사라는 뜻이다. [2] 흔히 연사력이 무려 1200RPM이라고 알려져있는 KRISS Vector보다 300RPM이나 더 높다! [3] 미국에서 마피아 관련 영화에서 보면 M1921이나 M1928계열이 단골로 등장한다. [4] '도대체 우편집배원에게 왜 기관단총이 필요한가?'라고 생각할 수 있겠으나, 미국은 독립할 때부터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의 전간기에도 우편배달차량이 채권이나 현금 등 현물수송 또한 겸하고 있었기 때문에 강도들의 습격을 받는 일이 많았으며, 서부 개척 시대부터 역마차 조수석에 산탄총을 든 호위인원이 탑승했고, 전간기에도 산탄총으로 무장한 해병대원 한 명이 조수석에 동승하게 되었다. 이 영향으로 현재까지 미국에서 조수석을 뜻하는 은어로 '샷건'을 쓴다. 그 덕분에 한때 범죄율이 90%까지 급감하기도 했으나 시간이 흐르고 총기가 발달하면서 무장강도들의 무장도 그만큼 발달했기에 더 이상 산탄총 든 군인 한 명을 호위로 붙이는 것은 불운한 순직자 한 명이 더 생기는 것 외엔 별 효과가 없었다. 그렇기에 우편집배원한테도 제대로 된 호신용 화기가 필요해진 것이다. [5] 1차대전기부터 2차대전기까지 개발된 기관단총들은 대부분 왼손으로 잡을 만한 곳이 없었다. 교범상으로는 탄창과 방아쇠울 사이의 공간을 파지하도록 정해져 있지만, 실제로 그 자세로 잡아보면 손 사이 간격이 매우 좁아져서 무게중심도 불안해지고 엄청나게 불편했기에 병사들은 대부분 탄창을 손잡이처럼 잡고 쐈다. 이로 인해 왼손으로 잡은 탄창이 반동에 의해 삐걱거리다 급탄불량이 일어나는 일도 잦았다. 대표적인 총들이 MP40 스텐 기관단총. 하지만 초기형 톰슨은 손잡이가 달려있었고 전시 양산형도 제대로 된 핸드가드가 달려있었기에 병사들이 매우 선호했다. 그리고 현세대의 어지간한 기관단총은 대부분 톰슨처럼 제대로 된 핸드가드를 달고 있다. [6] 다른 물건들과 비교하자면 진짜 타자기가 65달러, 텔레비전이 100달러, 자동차가 300달러 하던 시절이었다. 현대 화기 중에서 이와 비견될 만한 것으로는 300만 원을 조금 넘는 89식 소총이나 400만 원이 조금 안 되는 FAMAS가 있다. 두 소총이 기관단총보다 우월한 돌격소총인 것을 생각하면 톰슨 기관단총은 성능에 비해 정말 비싸다고 볼 수 있다. 이 비싼 값은 톰슨이 군문에 들어와 전시생산형으로 개량된 뒤로도 계속 말썽을 빚어서, 결국 천하의 미군도 미국판 스텐 기관단총이랄 수 있는 M3 기관단총을 개발, 보급하기에 이른다. [7] 현재는 3~4만 달러로 팔리는 것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이다. 그리고 민수용 톰슨은 반자동 전용이지만 이 민수용 톰슨을 완전자동으로 개조해주는 컨버전 킷이 개발되었다. [8] 자세히 보면 개머리판의 문제가 심각한데, 개머리판이 총열과 일직선을 이루지 않고 아래쪽 대각선 방향으로 꺾여있다. 이는 개머리판이 총몸 뒷면이 아니라 밑면에 부착되도록 잘못 설계되어 그런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반동 컨트롤이 쉽지 않다. 악명높은 낮은 명중률 때문에 톰슨을 애용하는 마피아들이 제조사에 명중률이 너무 낮다고 항의했다는 웃지못할 이야기가 있었다. (심지어 미군 납품형 M1, M1A1 톰슨도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아서 실전에서 심각한 명중률 저하가 발생했다. 보다못한 나머지 아래의 일직선 개머리판 개량형이 나오기도 했지만 어째서인지 시제품만 만들어보고 채용되지 않았다. 오히려 톰슨 가격의 3분의 1정도에 불과했던 M3 기관단총이 더 잘맞았을 지경.) 여기에 높은 연사력으로 인해 반동이 더욱 심해져서...이하 생략. 하지만 사실 .45 ACP는 그리 반동이 높은 탄약이 아니다. 그리고 톰슨 1928의 연사력은 최대가 725RPM밖에 안된다. 물론 당시로선 빠른 수치지만... [9] 출처 : 「뇌물의 역사」, <이야기가 있는 집>, 223p. [10] 미드웨이 해전까지. [11] 박스형 핸드가드인 M1과 수직 손잡이가 달린 M1928 2가지 모델이 있다. [12] 개머리판을 제거하고 총열을 단축해 미국 현행법상 '권총'으로 분류된다. [13] 다만 사진속 물건은 M1928A1이다. [14] SCA社에서 만든 M11 기관단총...정확히는 SCA에서 M11을 주문 개조해주는 것이다. [15] 2018년에는 톰슨 드럼 탄창도 삽탄할 수 있는 택티컬 카빈형도 등장했다. # [16] 총열이 16인치로 연장된 소총형과 달리 원래의 총열을 쓰며, 미국 총기법상 총열의 길이가 16인치 이하인 소총들은 SBR로 분류되고 추가 세금이 부과된다. [17] 미국 법의 허점을 이용한 것으로, 반자동만 되고 총열이 16인치 미만으로 짧고 개머리판이 없다면 권총으로 인정된다. [18] 허나 탄창은 오히려 톰슨이 더 오염에 강했다. [19] 2018년 기준으로 145달러로, 한화로 고작 16만원 밖에 되지 않는다. 심지어 이것도 초기 생산에 한해서고 나중에 품질관리까지 때려쳐가며 양산해댄 결과 무려 정당 [20] 비슷한 케이스로 블라디미르 푸틴이 있다. 다만 처칠이 의도치 않게 이미지 장사가 된 경우라면 푸틴은 고의적으로 한다는 점이 다른데, 참고로 푸틴은 진짜 KGB 요원 출신이라 진짜로 호랑이를 잡는 등의 활약을 한 적이 있다. 자세한 건 본인 항목 참고. [21] 사실 처칠의 갱 컨셉은 강인한 지도자의 이미지를 위해 일부러 저렇게 입고 다녔다고도 한다. 부정적인 이미지인 갱을 컨셉으로 잡은 건 괴팍해서 그런 걸지도. 그래도 처칠 본인은 갱단 두목처럼 보이는 저 사진을 죽도록 싫어했다고 하는데, 이 사진 때문에 노동당과 소련에 엄청 까였다고 한다.어찌나 데였는지 "손에 술이나 총을 든 모습을 찍히지 않도록 주의하게나. 난 술은 피했는데 그 몹쓸 사진, 손에 기관단총을 들고 있는 모습이 찍힌 사진 때문에 여태까지 곤욕을 치르고 있지. 다른 것도 있지만 그 사진이 나한테 입힌 손해가 커."라고 말했다고 한다. [22] 대표적인 사례가 이오지마 전투인데, 이오지마 전투 막바지에 벌어진 일본군 최후의 기습공격에서 일본군은 M1 개런드나 BAR, 톰슨 기관단총 등 노획한 미제 장비로 무장한 병력이 굉장히 많았다. [23] 다만 일본군은 톰슨 기관단총보다는 M1 개런드나 BAR같은 소총탄을 사용하는 자동화기를 더 좋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애초에 일본군에게 100식 기관단총같은 자국산 기관단총과 베식 기관단총들같은 정식 수입 제품들이 엄연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권총탄의 위력에 회의감을 가진 나머지 공수부대나 상륙전을 주로 벌이는 해군육전대 등 특수한 병종 외에는 기관단총이 불필요하다고 느꼈던 걸 생각하면 특이한 일은 아니다. 실제로 일본군은 일선 부대에 보급이나 양산을 제대로 못해줘서 그렇지, 자기네가 보기에도 자기네 무기가 약해 보이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한 시제품이라도 한두 개쯤은 만들어봤다. 개런드를 카피한 4식 반자동소총 같은 걸 만들어볼 생각은 했지만 자기네 설계가 멀쩡하게 있는 기관단총같은 경우에는 본토결전 직전까지도 생산량을 원래보다 딱히 많이 늘렸다는 정황이 없는 걸로 보아 톰슨을 든 미군과 교전해본 이후로도 기관단총의 화력을 딱히 좋다고 보지는 않았던 듯하다. 근데 이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인데, 태평양의 열대우림은 교전거리가 짧은 데다가 적인 일본군이 근접전을 선호했던 탓에 자동화기로 갈길 일이 많다고 판단했던 미 해병대는 유럽 전선의 미군 분대보다 더 많은 자동화기를 휴대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때 수량을 늘린 자동화기는 톰슨같은 기관단총이 아니라 BAR이었다. 일본군 입장에서는 아군을 더 많이 죽인 총기가 소총탄을 발사하는 물건이었으니 톰슨보다 그런 쪽을 더 고평가할 만하긴 하다. [24] 해군보병 등의 정예전력과 파르티잔에 지급한 사진도 있는 것을 보면 소련에서도 중요한 자동화기로 취급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PPSh-41만 300만 정이 넘게 나와 비중이 커보이지 않을 뿐이다. [25] 노르망디에서 살아남은 독일 병사는 사살당한 미군 3명의 시체에서 전우가 톰슨과 여분의 탄창들을 노획하자 기겁했다는 일화도 있다. 이유는 동부전선에서의 경험 때문에 연합군들에게 즉결처분당할 수 있으므로. [26] 대진무역이라는 곳에서 더블이글사의 총기 대부분을 수입하는 듯 하다. [27] 정가 156,000원에 인터넷 쇼핑몰을 잘 찾아보면 14만 원 전후로도 구입이 가능하다. [28]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29] CIA가 의뢰했다는 내용이 가사 중에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