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03:37:12

부산 버스 46

{{{#!wiki style="margin: -10px 0" <tablebordercolor=#39f>
부산광역시
일반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부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5
86 87 88 88-1 90 96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09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2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801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46신도색고상.png
파일:부산46저상.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구.46번3.2. 구.111번
4. 특징
4.1. 여담4.2. 연간 일평균 승차량4.3.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4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46_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구포3동기점) 종점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명륜역.동래중학교)
종점
첫차 04:55 기점
첫차 05:42
막차 22:50 막차 23:42
평일배차 출퇴근 9분 / 평시 13분 주말배차 17분
운수사명 태진여객 인가대수 11대[토요일·공휴일]
노선 구포3동기점 - 부산과학기술대학교 - 부산학생문화예술회관.유림아파트 - (→ 구포교회 → 구명역 →/← 구포대진아파트 ←) - 덕천교차로 - (← 구포시장종점 ←) - 덕천역 - 남산정역 - 만덕교차로. 만덕역 - 제1만덕터널 - 미남교 - 삼정그린코아포레스트 - 사직2동주민센터 - 사직 야구장 - 사직역 - 미남역.반도스카이뷰 - 동래역 명륜역. 동래중학교 → 명륜교차로 → 동래전화국 → 메가마트동래점 → 동래역 → 이후 역순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4.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2007년 5월 15일 구포3동~덕천역~남산정역~만덕1터널~동래역~동래전화국~온천장 간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 2008년 7월 2일 구포유림아파트를 양방향 경유하며 구포3동 방면시 구남역으로 온 뒤 구남중 방면으로 올라갔다가 백양고 쪽으로 내려와서 다시 유림아파트 쪽으로 가도록 운행했으나 교통안전에 대한 학부모들의 반발로 얼마 못가서 폐지되었고, 구포유림아파트는 동래 방면 노선만 가게되었다.[2]
  • 2011년 4월 1일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과 부산시의 21대 순 감차 정책으로 인해 이 노선의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었다.
  • 2013년 온천장 방면 만덕교차로 정류장이 구만덕로로 이전 조치되었다.
  • 2021년 6월 5일 쇠미로(달북초등학교) - 사직운동장 - 사직역 - 미남역 경유로 우회하도록 조정되었다. 이리하여 태진여객으로서는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 대개편으로 111번 노선이 폐선된 후[3] 이후 약 14년 만에 사직동 구간을 재경유하게 되었다.[4]

3.1. 구.46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 과거에도 46번 노선이 있었다. 구.진성여객에서 운행했으며, 노선은 '반여1동 - 동래한전 - 동래시장 - 동래역 - 교대역 - 거제리 - 부전시장 - 서면 - 부산진시장 - 부산역 - 중앙동 - 부산데파트 - 남포동 - 충무동' 이었다. 현. 43번과 5-1번을 합쳐놓은 노선. 현재 운행중인 43번 또한 이 노선과 95% 일치하는 형태로 운행하였는데, 1984년도에 동성여객이 진성여객을 인수하자마자 43번 노선을 중앙동~남포동~충무동 구간에서 영주터널입구~코모도호텔~ 메리놀병원~민주공원(현.중앙공원)으로 개편되면서 수요가 크게 늘자 동성여객에서는 46번을 홀대하기 시작하였고 1987년도에 노포동에서 범내골까지만 다녔던 1호선이 범내골에서 중앙동까지 연장되면서 43번이 살아남고 이 노선이 폐선되었다.

3.2. 구.111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설명에 앞서 덧붙이면 현재 운행 중인 111번은 과거에 111-2번이었다가 2008년 9월 1일에 111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된 것이므로, 현재 이 문단에 서술된 111번 노선과는 엄연히 다른 노선이다.
  • 현.46번의 전신인 노선이었다.
  • 111번은 국일여객에서 운행한 노선이었으며 1973년에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 노선은 만덕1동[5] - 만덕1터널 - 미남교차로 - 사직동 - 거제리 - 하마정 - 서면 - 자유시장 - 국제호텔 - 부산진시장 구간을 운행했다. 1984년 부로 화명동 - 와석 - 화명주공 - 덕천교차로 - 만덕성당 구간을 연장운행하고 국제여객이 공동배차하였다. 1994년에 구포3동 - 덕천교차로 - 만덕 - 만덕1터널 - 사직운동장 - 서면 - 부산진시장으로 변경되며 국제여객은 다시 철수한 대신 태진여객이 참여하여 국일여객과 태진여객이 공동배차로 운행을 하게 되었다. 이후 국일여객이 111번 노선에서 철수하고 차량은 태진여객에 매각한다.
  • 이후에 신만덕/만덕2터널을 경유하는 111-2번[6]이 신설된 이후 111번 수요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급기야 2005년에는 3호선의 개통으로 직격탄을 맞아, 구만덕로[7] 연선지역 주민들 수요로만 연명하게 되었다. 그러나 구만덕로 연선지역을 경유 노선들 중 배차간격이 가장 좋음에도 생활권인 동래역으로 연결되지 않아 이용불만이 상당하였다.[8] 결국 2007년 부산 준공영제 개편 때 동래역을 경유하는 46번으로 노선번호와 노선이 전환되면서 마침내 구만덕로 연선지역 주민들의 요구를 들어주었다.[9]

4. 특징

  • 구포3동에서 출발하는 노선이 다 그렇듯이 이 노선도 무슨 롤러코스터 마냥 비탈길을 오르락내리락 한다.
  • 33-1번과 더불어 제1만덕터널을 경유하는 둘뿐인 버스노선이다.[10] 그래서 제2만덕터널이 막힐 때는 우회노선으로서의 가치를 발휘한다. 그리고 다음 헬게이트가… 다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오히려 시간을 더 잡아먹는 구간이 될 수도 있다.
  • 이 노선의 수요는 쇠미로 경유 전후로 나뉘는데, 공통적으로는 구포3동~덕천역을 잇는 노선으로, 쇠미로 경유 전에는 화신아파트를 비롯한 구만덕로 연선에서 동래역으로 가는 수요를 담당했다면, 쇠미로 경유 이후에는 쇠미로~사직운동장~사직역, 쇠미로~덕천역 구간 수요를 담당하고 있다.[11]
  • 덤으로 만덕에서는 신만덕으로 들어가지 않고 만덕성당을 경유하여 만덕대로를 직통한다.[12][13] 기점인 구포3동 방면 운행 시 덕천교차로에서 좌회전이 금지되어 있으므로 구포시장을 찍고 2호선 덕천역 방면으로 P턴하여 돌아온다.[14] 때문에 구포시장 환승센터에 정차하지 않는다.
  • 스티커에 부산과학기술대학교가 표기되어 있다. 노선 막바지에 160번과 마찬가지로 덕천역에서 환승하는 학생들로 자주 붐비기도 한다. 물론 성도고등학교 삼정고등학교 통학생들도 자주 탄다. 주로 160번이나 북구6번과 수요를 분담하는 실정인데 다만 구포3동에서 출발하여 덕천교차로에서 구포시장으로 가는 160번과 북구6번과는 반대로 우회전하여 덕천역(뉴코아아울렛, 구포전화국 방면)을 직접적으로 연결해주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중요성은 있다.
  • 주말이 되면 금정산의 등산객들이 금정마을쪽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 노선을 많이 이용하기도 한다.[15] 하지만 그 이북 구간부터는 도시철도 혹은 타 노선들과 중복이 상당한 탓에 승객을 거의 태우지 못하고 있다. 특히 내성교차로에서 좌회전하여 바로 온천장으로 가지 않고 수안역까지 빙 둘러서 수요가 없는 명륜교차로 - 온천입구로 운행된 점과 온천장에서 노선이 애매하게 끊기는 점이 한몫 하여 결국 동래중학교로 노선이 단축되었다. 동래로 가는 수요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되고 동래메가마트 동래점/ 대동병원에서 만덕, 덕천으로 넘어가는 수요가 비교적 존재한다.
  • 이 노선은 단독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구간에서는 중복노선들이 많아서 인지도가 크게 떨어진다.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은 39~41만원대에서 왔다갔다하는 수준이고 방학시즌 비수기에는 32만원까지 떨어진 적도 있었다. 태진여객 노선들 중에서는 마을버스[16]를 포함해서도 운송수입금이 월등하게 떨어진다.[17] 2018년 6~7월 기준으로 1일 대당 평균 승객수는 450~500명 사이를 꾸준히 기록하고 있다. 당시 제1만덕터널을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인 점[18]과 부산시 정책노선인 점을 감안해보면 1일 대당 승객수와 운송수입금 수준이 그렇게까지 나쁜 수준은 아니다. 조정 이후 2021년에는 코로나 시기임을 감안해도 운송수입금이 34만원대가 나오면서 어느 정도 조정으로 얻은 이익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만덕초등학교, 만덕중학교 학생들의 등교 시 통학 수요를 어느 정도 담당하고 있다. 북구2번의 배차간격은 22분으로 긴 편이며 전차량 소형 카운티로 운행하다보니 학생들로 인하여 콩나물 시루를 이루는 경우가 다반사라 북구2번 탑승을 포기하고 이 노선과 307번, 김해8번을 이용하여 만덕성당 정류장에 하차 후 만덕교를 건너 학교로 등교하는 학생들도 상당히 많다. 지금은 33-1번이 신설되었고, 북구2번은 해당 구간에서 철수했다. 쇠미로 경유 이후에는 사직동에 거주하는 삼정고등학교 학생들이 집에 한번에 가기 위해 이 노선을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덕천역을 지나서도 입석이 발생하기도 한다.

4.1. 여담

  • 이 노선의 신설배경은 상당히 복잡한데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 실시 때 구.111번(구포3동 - 제1만덕터널 - 사직운동장 - 거제리 - 부산진시장) 노선을 변화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구.111번의 경우에는 부산 준공영제 개편 이전에 구만덕로 연선지역 경유 노선들 중 유일한 정상 노선임에도[19] 동래역으로 연결되지 않아 구만덕로 연선지역 주민들이 별로 선호하지 않는 노선이었고 동래역으로 연결되는 노선은 배차간격이 막장인 구.48번 뿐이라 교통 불만이 상당했었다. 그래서 구.111번 기존 구간인 구포3동 - 덕천교차로 - 만덕1터널 - 화신아파트 구간만 남겨놓고, 구.48번을 정리하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덕천역~만덕1터널~동래역~동래전화국을 거쳐 종점이 온천장인 이 노선을 신설하였다.
  • 하지만 46번도 2021년 6월 5일부터 사직동을 재경유하게 되었다. 쇠미로 연선지역 최초 시내버스인 데다가 만덕1터널을 통해 북구로 환승 없이 갈 수 있다는 점과 111-1번 분리신설로 인하여 배차간격이 매우 안좋아진 111번을 덕천역~사직야구장 구간에 한하여 상호 보완[20] 역할을 하게 된 점에서는 찬사가 이어지고 있으나, 증차도 해주지 않고 동래중학교까지 운행을 고집하는 탓에 졸지에 굴곡 노선이 되었고 사직북로~사직역~광혜병원 구간은 210번과 과다 중복되는 거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21] 특히 미남교차로~내성교차로 구간은 교통 체증이 심한 구간인데 노선을 더욱 굴곡지게 만들어버려 이동 소요시간을 반감시키고 있다.
  • 원래는 폐선이 예정되었던 200-1번(현.200번)의 대체노선의 하나로 구포3동 - 부산정보대(현.부산과기대) - 덕천교차로 - 만덕교차로 - 동래역 - 안락동 - 센텀시티역 - 센텀파크 간을 잇는 노선으로 신설할 계획이었지만 구청 순환 공청회 이후 200-1번의 폐선이 취소되고 적자가 심했던 구.202번이 폐선되면서 구.202번의 구간을 대체하고자 동래전화국~온천입구~온천장 회차 노선으로 신설되었다.[22] 당시 운행 중이던 111-2번(현.111번)과 더 이상 연관성이 없는 이유 때문인지 노선번호도 46번이 되었다. 46번으로 전환되었어도 수요는 구.111번 시절과 크게 차이가 없으나, 만족도는 구.111번보다 훨씬 높은 상황이다.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5229.71
2015년 4609.29 ▽ 620.42
2016년 4947.29 △ 338.00
2017년 5273.00 △ 325.71
2018년 4953.14 ▽ 320.86
2019년 4991.29 △ 38.15

4.3.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46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중앙대로
명륜역.동래중학교 ▼ ▲ 동래역
동래로 충렬대로
부산지방기상청 ▼
명륜로
메가마트 동래점 ▼
충렬대로
미남역.반도스카이뷰 ▼ ▲ 광혜병원
아시아드대로
사직운동장 ▼ ▲ 사직역
여고로
▲ 사직운동장
종합운동장로
사직야구장 ▼
사직로
사직사거리 ▼
사직북로
사직초등학교앞교차로 ▼ ▲ 사직2동주민센터
쇠미로
효자암 ▼ ▲ 화신아파트
구만덕로
만덕교차로(만덕역) ▼ ▲ 만덕교차로
만덕대로
▲ 덕천역
낙동대로 백양대로
구포시장종점 ▼
금곡대로37번길
금곡대로
덕천교차로 ▼
백양대로
고려당제과점 ▼ ▲ 구명역
시랑로 낙동북로
유림아파트(부산학생예술문화회관) ▼
낙동북로
▲ 부산솔로몬로파크
시랑로
포천삼거리 ▼
시랑로94번길
구포3동주민센터 ▼ ▲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시랑로132번길
태평양아파트 ▼ ▲ 구포3동주민센터
시랑로
금수선사 ▼ ▲ 태평양아파트
시랑로181번길
}}}}}}}}} ||

5. 연계 철도역


[토요일·공휴일] 8대 운행 [2] 구포2동 방면으로 가는 수요는 어차피 169-1번이 가져가므로46번 기다릴 시간에 169-1번이 2대는 온다그닥 효과가 없었을지도 모른다. 한때는 169-1번이 통학시간대에 한해 해당구간으로 운행할 뻔 했으나 기존 이용객들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3] 현행 111번은 준공영제 이전에 111-2번이었으며, 본 노선과는 다르다. [4] 원래 부산시에서는 111-1번 쇠미로로 변경하려 했으나 그렇게 하면 마을버스 노선과 너무 중복되기 때문에 마을버스 운송수입 감소 우려 및 사업자의 반대가 있어 46번으로 대체하였다. [5] 구만덕 [6] 현. 111번 [7] 병풍사입구~만덕1터널~화신아파트(동래구) [8] 당시 동래로 가는 노선은 구. 48번뿐이지만 알다시피 있으나 마나하는 노선이었다. [9] 2015년의 130번 → 124번과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이때부터 2008년 8월 31일까지는 111번이라는 번호가 없었다가 2008년 9월 1일에 부산시 정책으로 111-2번의 부번호가 삭제되어 111번이라는 번호가 다시 생겨났다. [10] 준공영제 이전에는 구.48번, 구.110번, 구.111번 3개 노선이 존재했지만 구.111번을 제외하면 거의 있으나 마나하는 수준으로 배차간격이 막장이었다. 반면 이 노선은 10~15분 간격으로 그나마 양호하다. 하지만 동래를 경유하지 않아서 호응도는 떨어졌다. 준공영제때 사실상 구.48번, 구.110번, 구.111번 노선을 이 노선 하나로 압축시켰다고 보면 된다. [11] 기존 구만덕로에서 동래로 가는 수요는 33-1번을 탑승한 뒤 미남교 정류장이나 미남역에서 환승을 유도하도록 조정했다. 화신아파트의 경우 조금 걸어 내려오면 만덕2터널 앞에서 동래행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12] 33-1번은 만덕1로와 구만덕을 거쳐서 간다. [13] 물론 구포3동 방향 기준 구만덕로를 벗어난 뒤 신만덕으로 들어가려면 바로 좌회전 차로를 들어가야하기 때문에 신만덕을 경유하기에는 무리다. 반대 방향도 마찬가지. [14] 이는 169번도 마찬가지이다. [15] 바로 앞에 동래3번 마을버스 차고지가 있다. [16] 태진여객이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은 북구1-1번 북구6번이 있다. 북구6번의 경우에는 본선 노선 뺨치는 수준인데다 부산 마을버스 전체 승객순위로 4위를 기록할 정도의 수요가 굉장한 노선이며 북구1-1번도 15위 내에 드는 상위권 노선이다. [17] 2016년 9월 기준으로 169번이 약 60만원대(이용률은 자사노선들 중에서 가장 높다.), 169-1번이 약 59만원대, 160번이 약 65만원대의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을 기록했다. 160번은 흑자노선이고, 169번과 169-1번도 상위권에 랭크되어 있다. [18] 참고로 만덕1터널은 터널 진입 전 양방향 고개를 타고 올라가야 하는 곳이며 미남교차로를 직통으로 이어주지 않는다. 그나마 미남→만덕 방향이 빠르다. [19] 당시 병풍사입구~ 제1만덕터널~화신아파트를 경유하는 다른 노선은 언제 올지 알 수 없는 구.48번과 구.110번이 전부였다. [20] 또다른 덕천역~사직동 행 노선인 33-1번은 구만덕 굴곡구간이 있는 데다가 사직야구장을 미경유한다. [21] 물론 210번은 온천2동, 원예고교로 돌아가기 때문에 같은 구간에서는 이 노선보다 소요시간이 더 길다. 하지만 사직북로에서는 동래5번이 가장 빠르며 실제로 이 점을 알고 이용하는 승객들이 상당수이기 때문에 46번이 쇠미로 연선지역을 계속 경유할 것이라면 동래중학교까지 운행을 해야할 타당성이 매우 떨어진다. 사직역이 수요의 기점이 되고 있어 사직역 종점으로 단축하자는 의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22] 센텀파크 구간은 당시 센텀시티역.벡스코까지만 운행이 예정되었던 181번이 대신해서 들어가게 되었다. 그리고 같은 날에 재송동에 종점을 두었던 구.247번이 해운대로의 노선연장이 무산되자 급행좌석으로 전환하여 1002번으로 노선번호를 변경함과 동시에 센텀파크에 종점을 두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동래중학교] 방향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