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01:48:18

부산 버스 80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39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5
86 87 88 88-1 90 96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 버스 80H.png
파일:80유니.jpg
삼신교통 차량 세진여객 차량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구.80번3.2. 구.금강여객 폐업 이후
4. 특징
4.1. 80번의 하위호환 노선들4.2. 이용 시 유의할 점4.3. 연간 일평균 승차량4.4. 시간표4.5.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8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80번_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금정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부산진시장.남문시장)
종점
첫차 04:50 기점
첫차 06:00
막차 22:00 막차 23:15
평일배차 출퇴근 6분 / 평시 8분 주말배차 토요일 8분 / 공휴일 10분
운수사명 삼신교통, 세진여객 인가대수 28대[1][2]
노선 금정공영차고지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노포역 - 범어사입구 - 남산동.요산문학관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샘골공원 - 구서롯데캐슬 - 구서역.구서시장 - 장전초등학교 - (→ 장전중앙교회 →/← 장전역 ←) - 부산대학교 - 식물원입구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 온천장 - (→ 금강원입구 → 원예고등학교 →/← 동래3차SK뷰 ← 전자공고 ←) - 우장춘기념관 - 미남교차로. 미남역 - 사직1치안센터 - 사직운동장 - 종합운동장역 - 거제리안동네 - 거제해맞이역 - 하마정 - 송상현광장 - (→ 부전시장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범내골역 →/← 전포초등학교 ← 부전도서관 ← 지오플레이스 ←) - 중앙시장 → 자유.평화시장 → 시민회관.동부산우체국 → 부산진성공원[단독] 부산진시장.남문시장 → 범일역 → 중앙시장 → 이후 역순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1998년 쯤에 후술할 구.80번에서 분리신설 된 노선으로 이 노선의 노선번호는 원래 80-1번이었다. 운행대수는 16대, 삼신교통에서 단독운행하였다. 왜 분리신설했는지는 '구.금강여객 폐업 이후' 문단에 자세히 후술되어 있다.
  • 2004년 11월 범어사입구까지 노선이 재단축되었다. 노포동 연장 이후 노포동 수요가 기대에 못미쳤고 배차간격만 늘어나 세진여객 구.80번과의 경쟁에서 불리해지자 범어사입구 시종착 노선으로 환원시켰다고 했다.
  • 2007년 5월 15일 구.80번을 흡수하게 되어 총 인가대수는 29대(삼신교통 15대, 세진여객 14대)로 설정되었다.
  • 2007년 5월 말 인가대수 조정 건으로 삼신교통 14대, 세진여객 15대로 설정되었다. 세진여객 차량은 29-1번(현.29번)에서 1대 감차하여 가져왔다.
  • 2007년 9월 1일 구.12번이 폐선되면서, 1대가 세진여객 증차분으로 넘어와 80번의 총 인가대수 30대(삼신교통 14대, 세진여객 16대)로 설정되었다.
  • 2008년 9월 1일에 지선번호 정리정책에 따라 노선번호를 80-1번에서 80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9월 30일 개통된 300번 차량 차출로 인해 세진여객 차량 2대가 감차되어 총 인가대수는 28대가 되었으며 배차간격이 1분 가량 늘어났다.

3.1. 구.80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 구.80번은 신설 당시, 부산대학교 - 온천장 - 유락여중 - 미남교차로 - 사직동 - 거제리 - 부전시장 - 서면 - 중앙시장 - 부산진시장 - 부산역 - 국제시장 - 공설운동장[5] 간을 운행하였다.
  • 1980년, 구서주공아파트 준공으로 구서주공아파트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대신에 구덕운동장에서 시민회관까지 노선을 단축시켰다. 단축 당시 노선은 구서주공아파트 - 장전동 - 부산대학교 - 온천장 - 유락여중 - 미남교차로 - 사직동 - 거제리 - 하마정 - 서면 - 시민회관 - 국제호텔 - 중앙시장이었다.
  • 1985년에 두실역으로 노선이 연장, 1988년에 자성대를 거쳐 진시장으로 연장, 1989년에 남산동으로 연장되었다.
  • 이 노선을 탄생시킨 업체는 바로 금강여객이었다. 물론 단독배차였으며, 금샘초교 인근에 위치한 주차장이 80번 전용 차고지였다. 그 외에 21번[6], 51번 좌석노선[7]을 화신여객과 공동배차했던 업체이며, 자체 마을버스도 운행하기도 했다.
    • 바로 위에 전술한 금강여객 마을버스는 노선 번호는 따로 부여되지 않았으며, 노선은 남산동(80번 종점)에서 출발하여 남산고등학교~외대운동장 입구[8]~남산동예비군훈련장[9]~남산소방서~남산동어린이놀이터[10]~ 두실역까지 20분 배차간격으로 운행되었다고 한다.[11] 그러다 1997년도에 청룡동(금샘로 연선지역)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하여 노선을 개편하여 구서1동(51번 종점)에서 출발시켜서 구서역~두실역~남산아파트[12]~구서2파출소~선경3차아파트정문~남산성당~80번 종점~포석정앞~청룡동 어린이놀이터~한아름빌라 순으로 운행하였다. 요금은 시내버스 요금과 동일하였고 면허판도 시내버스와 동일한 부산 5자 → 부산 70자 면허를 사용하여 한마디로 구색만 갖춘 마을버스였다. 1998년도에 금강여객이 폐업함에 따라 자연스레 폐선되었다. 이후 청룡동 어린이놀이터~한아름빌라 구간은 또다시 시내버스 노선이 단 하나도 다니지 않는 지역이 될 위기에 처했는데, 그래서 삼신교통이 80번을 통째로 청룡동까지 연장시키려고 한 것이다. 대체 노선은 300번[13] 금정3-2번[14]이 있으며, 사실상 금정3-2번이 그 계보를 잇고 있다해도 무방하다. 다만 금정3-2번은 두실역을 지나지 않으며 구서2치안센터 → 선경3차아파트 정문 구간 또한 구서역 방면 한정으로만 경유한다.
  • 51번이나 80번 모두 고수익 노선이었기에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나름 잘 나가던 회사였고 1995년에 계열사인 구.금정여객을 흡수하고 금강여객의 대표이사는 과거 진주시장을 지낸 적이 있으며 1992년부터 1996년까지 부산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의 이사장으로 역임되어 지내기까지 했다. 그러나 97년 2월분 월급이 밀리더니 3월 22일 대표이사가 잠적하며 부도, 98년 6월에 운송면허가 말소되었다. 관련기사 본문보기, 금강여객의 폐업과정 금강여객 부도 관련 또 다른 이야기[15]
  • 참고로 금강여객의 면허번호는 일반버스가 부산 70 자 11XX, 좌석버스는 부산 71 자 11XX(후발대)였다. 가나다순 배정에 의해 유일하게 일반버스와 좌석버스의 면허가 동일한 회사였다.[16]
  • 2007년 5월 15일에 삼신교통에서 운행하는 80-1번에 통합되면서 폐선되었다.
  • 이 노선을 금강여객이 운행했던 시절 운행대수는 32대였다.[17]

3.2. 구.금강여객 폐업 이후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설명에 앞서 덧붙이면 현재 운행 중인 80번은 2008년 8월 31일까지 80-1번이었다가 2008년 9월 1일에 80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된 것이므로 현재 이 문단에 서술된 80번 노선과는 엄연히 다르다.
  • 원래 구.금강여객의 노선 및 차고지를 삼신교통에서 아예 통째로 인수할 예정이었다. #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금강여객이 부도가 나고 금강여객의 부채가 생각보다 상당한 금액이라 삼신교통은 섣불리 인수를 못하고 포기하게 된다. # 그리하여 금강여객 문제는 금강여객에 대출을 해준 금융사의 요청에 의해 법원 경매로 넘어가게 되었고 #, 경매 진행에 의해 화신, 삼신, 세진이 공동응찰 및 공동낙찰을 받았다. # 결과적으로는 21번[19] 51번 좌석노선은 공동배차에 참여했던 화신여객이 낙찰받아 아예 화신여객 단독배차 노선으로 되었고[20] 80번의 경우에는 삼신교통과 세진여객이 공동으로 낙찰되면서 공동배차를 하게 되는데, 후술하겠지만 안그래도 세진여객과 삼신교통은 구.48-1번/148번 사태[21]때문에 원래도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이번 문제로 서로 불구대천지원수가 되어버리고 만다.
  • 세진여객에서는 80번 노선을 금강여객 시절과 동일한 노선을 고집했고[22] 삼신교통에서는 80번 종점과 삼신교통 본사까지 거리차가 얼마 되지 않아 청룡동 본사까지 연장시키려는 입장이었다.[23] 결국 두 업체는 절대 양보할 의지를 내비치지 않아[24] 타협 지점을 찾지 못하였고 세진여객은 지난번 구.48-1번 철수 사태를 답습하려는 삼신교통 측의 행태에 그동안 쌓였던게 폭발하면서 서로 되돌아갈 수 없는 강을 건너고 말았다. 결국 그렇게 80번은 두 개의 노선으로 분리되었다. 80번은 세진여객이 단독으로 가져가고 삼신교통에서는 80-1번을 신설시켜서 사측에서 원했던 청룡동(범어사입구)에서 시종착하여 운행하게 된다. 80번과 80-1번은 80-1번이 범어사입구까지 더 가는거 외에는 진시장부터 남산고등학교까지 100% 동일한 형태였다. 한 마디로 80번은 구.48-1번, 80-1번은 148번과 같은 맥락이었다.
  • 이후에도 동일 구간을 점유하는 세진여객(80번)과 삼신교통(80-1번)의 과당 경쟁은 도를 넘어서는 수준이었고, 이용하는 승객들도 모두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상대회사차에 대한 추월시비나 길막이 자주 벌어지곤 했는데, 90년대 말 즈음에는 고의 충돌사고까지 발생해 지역 언론에 대거 보도되는 사태도 있었다.[25] 또한 세진여객은 당시 잘 나가던 29-1번, 35번, 186번, 190번 등을 제쳐두고 신차는 무조건 80번에만 투입하였으며[26] 삼신교통도 본사노선에 신차투입이 활발해진 때부터 80-1번에도 신차를 투입하였다.[27]
  • 이런 운행 형태는 2007년 5월 14일까지 지속되었다가 다음날인 2007년 5월 15일에 준공영제가 시행되면서 80-1번 노선으로 통합되고 구.80번이 폐선되어 80-1번 노선을 양사가 공동배차를 하게 되면서 상술한 과당 경쟁은 완전히 종결되었다. 또한 2016년도에 세진여객과 삼신교통이 모두 본사를 금정공영차고지 이전시킴으로 인해 세진여객 소속 승무원들의 처우 문제가 단번에 해결되었다.
  • 여담이지만 서울로 따지면 131번 134번의 과당 경쟁 수준. 두 노선은 개편 전 신촌~청량리 구간이 100% 동일하여 과속, 길막기 등이 일상이었다. 멀리 떨어진 두 회사(경성여객-면목동, 서부운수-북가좌동) 간의 싸움도 이 80번과 비슷했다. 개편 이후에도 서울의 두 노선이 신촌~신설동 구간에서 동일하지만 과격한 싸움은 없어졌다.

4. 특징

  • 세진여객과 삼신교통이 공동배차하고 있지만, 상술했듯이 두 업체는 서로 견원지간이었다. 그동안 두 업체들이 왜 이 노선을 놓고 서로 못 잡아먹어서 안달이 났는지는 수요를 보면 알 수 있다. 2014년에는 일일 평균 승객수 약 1만 8천명으로 세진여객에서 가장 많은 승객수를 보유하는 노선이었고, 2012년 전까지는 148번보다 더 많았기 때문이다.
  • 금정구 동래구 금정산 일대에서는 49번과 마찬가지로 깡패(?)노선이다. 일단 역사부터가 꽤 오래된 노선이므로 인지도가 넘사벽급이다. 사직동 주요지역에서도 서면으로 가장 최단거리로 이어주는 노선으로 선호도가 꽤 높다.[28]
  • 우장춘로를 경유하는 유일한 시내버스[29]여서 우장춘로 일대 고정수요도 상당하다. 우장춘로 덕분에 온천2동으로 들어갔다 나오는 노선들보다 소요 시간 절감 효과가 있어서 이용 선호도 역시 높을 수밖에 없다.
  • 거제리 안동네에서 유일하게 서면으로 이어주는 노선[30]이어서 해당 일대 지역에서의 고정수요만 해도 상당한 편이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개통 초기에 이 노선에 타격이 조금 있었지만 도시철도의 환승저항이라는 치명적인 문제로 다시 이 노선의 수요가 예전으로 돌아오기도 했다.
  • 금샘로를 경유하고 있어서 고정수요가 상당하며 최근에 부산외국어대학교 남산동으로 이전하면서 신규 통학수요가 상당수 창출되었으며, 이런 점들이 있기 때문에 러시아워 시간대는 물론이고 평시에도 앉아서 가기 힘든 버스 노선이다.
  • 부산진시장에서 회차하는 시내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부산진성공원 정류장(03-129)에 정차한다. 57번, 99번, 111번도 동일한 코스로 회차하지만 해당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으며[31] 회차하지 않는 노선까지 다 합쳐도 80번 밖에 정차하지 않는다.[32]
  • 배차는 무작위 배차가 아니라 운수사별 배차로 정해놓은 순서 및 방식대로 쭉 배차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날의 첫차가 삼신교통 OOOO호 차량이면 삼신교통 차량이 OOOO호부터 배차순서대로 나가고 그 다음에 세진여객 차량이 배차순서대로 다 나가는 형식이다.
  • 최근 들어서 저속운행이 상당히 심해졌다. 심지어 차 안 막힌다고 대놓고 저속하는 경우도 있다.

4.1. 80번의 하위호환 노선들

  • 상위호환 노선으로 35번이 존재했지만 동부시외버스터미널과 고속버스터미널의 이전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수요가 감소되었고[33], 급기야 준공영제가 실시된 2007년 5월 15일에 많은 사람들이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35번은 기어이 폐선되고 만다.
  • 그 이후에 12번 19번이 개통되었지만 해당 노선들은 심각한 적자운행으로 모두 폐선되었다. 특히 구.12번은 110일만에 폐선크리 이 노선에 묻힌 준공영제 최악의 노선, 구.19번은 그나마 구.12번보다는 오래 버텼으나 2007년 9월 1일에 잘못된 노선변경 및 노선단축으로 인하여 결국 1년 2개월 만인 2008년 7월 2일에 폐선되고 말았다. 그 대신 미남역까지만 운행하던 자사노선 131번이 구.19번이 다녔던 구간을 그대로 이어받아 남산동까지 연장되면서 전형적인 하위호환노선이 되었다.[34][35]
  • 반면에 구.12번은 사직운동장까지만 운행했던 54번에 흡수통합되어 54번 노선은 사직운동장에서 더 나아가, 초읍고개~어린이대공원~부전시장입구~부전시장→/←서면을 거쳐 전포동까지 연장되었고 수요가 급증하여 현재 삼성여객의 준 간판 노선으로 등극하여 성공적으로 자리잡았다.
  • 미남역/사직야구장~부산진시장 구간 한정 경쟁노선으로 111번이 존재했다. 다만 아시아드대로로 질러가는 80번과는 달리 111번은 법원.검찰청을 경유하였기에 조금 불리하였지만 그래도 운행대수가 33대나 되었기에 치열한 경쟁상대였다. 그러나 현재는 국제여객이 배차에서 철수하면서 대량 감차되어 18대로 운행했다가 2023년 7월 29일에 추가로 2대가 감차되어 총 16대로 운행중이라 배차간격이 길어진 여파로 111번조차도 하위호환 노선으로 놓이게 되었다. 겹치는 구간에서 수요가 이 노선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4.2. 이용 시 유의할 점

기점인 금정공영차고지와 종점인 부산진시장 간 이동 시에는 이 노선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굴곡 구간은 거의 없지만 교통 체증으로 인해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 비해 이동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36] 때문에 기점과 종점 이동이 목적이라면 그냥 1호선 타고 가는 편이 훨씬 낫다.[37]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8243.71
2015년 18216.14 ▽ 27.57
2016년 15223.14 ▽ 2993
2017년 15952.71 △ 729.57
2018년 15629.14 ▽ 323.57
2019년 15255.42 ▽ 373.72

4.4. 시간표

2021년 5월 17일 기준 시간표이다.

4.5.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80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범일로
범내골역.상공회의소 ▼ ▲ 부산진시장
황령대로 자성로
지오플레이스 ▼ ▲ 자성대
동천로 조방로
송상현광장 ▼ ▲ 자유시장
중앙대로 범일로
▲ 중앙시장
중앙대로
양정대원칸타빌 ▼ ▲ 송상현광장
거제대로
거제교회 ▼ ▲ 동해선 거제해맞이역
아시아드대로
사직운동장 ▼ ▲ 창신초등학교
여고로 사직로
종합운동장로
사직야구장 ▼
사직로
▲ 사직운동장
사직북로
사직사거리 ▼ ▲ 사직사거리
석사로
사직1치안센터 ▼ ▲ 사직1동주민센터
아시아드대로
농협미남지점 ▼ ▲ 미남교차로(미남역)
우장춘로
우장춘기념관 ▼ ▲ 농협미남지점
금강로
구 온천시장 ▼ ▲ 금강원입구
차밭골로 금강공원로
온천장 ▼ ▲ 온천장
온천장로
식물원입구 ▼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온천장로125번길
금정초등학교 ▼ ▲ 식물원입구
금강로
부산대학교후문 ▼ 금강로
장전로
부산대학교정문 ▼
금정로
수림로
장전초등학교 ▼
금강로
남산119안전센터 ▼ ▲ 선경3차아파트
두실로
남산성당 ▼ ▲ 남산119안전센터
금샘로
어린이놀이터 ▼ ▲ 한아름빌라
청룡로
노포삼거리 ▼ ▲ 범어사입구
중앙대로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부산종합버스터미널 경유 부산시내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1002
일반 29 37 49 50
51 80 90 131
148 300 301
마을 금정 2-2 기장 2-3
심야 51 1002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교내 진입
금정7
부산대정문, 부산대후문 정류소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1002 (심야) 1008
29 49 51 77
80 100 100-1 110
110-1 111-1 121 131
144 148-1 183 301
양산시 시내버스 16[Y]
양로원(산성방면), 광명사( 온천장역방면) 정류소
203
부산대역 (부곡2동)정류소 (양산시 시내버스 정차)
1100 1200 1300[Y] 1500[Y] 12
부산대역 정류소
금정5-1
[Y]: 양산캠퍼스(양산부산대병원) 경유 노선 }}}}}}}}}


[1] 운수사별로 각각 14대씩 운행 [2] 토요일 26대(운수사별로 각각 13대씩) / 공휴일 22대(운수사별로 각각 11대씩) 운행 [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4] 당시 90번을 제외한 모든 삼신교통 본사노선이 노포동으로 연장되었다. 이후 구.47번은 불과 한 달 뒤인 2001년 10월에, 구.80-1번은 후술한대로 2004년 11월에 노포동 미경유로 환원되었다. [5] 현 구덕운동장 [6] 당시 노선은 구서아파트에서 출발하여 부산대 - 온천장 - 시청 - 진시장 - 부산역을 거쳐 영도구 영선동까지 운행했었다. 해당노선은 준공영제에 폐선된 창성여객소속 구.21번과도 연관이 있다. [7] 현재 운행중인 51번 버스의 전신이다. 나중엔 구.51번과 구분짓기 위해 51-1번으로 노선번호를 변경한 적도 있었다. 금강여객의 본사가 위치했던 현.구서국민은행에서 출발하였고, 현.구서롯데마트에도 별도의 차고지가 있었다고 한다. [8] 현. 부산외국어대학교 [9] 현. 남산성당/부산과학고교 정류장 [10] 현.샘골공원 [11] 현재 운행중인 300번과 두실역까지 선형이 99% 일치한다. [12] 현. 신동아아파트 [13] 범어사입구~남산성당~ 두실역 [14] 부산외대 입구~우성아파트~구서2치안센터~구서역 [15] 전자는 금강여객 방만경영설을 부정하나 후자는 금강여객 노선들이 대부분 고수익에다가 95년에 이미 차고지를 매각했고, 부도 시기가 바트화 폭락 이전이라는 점을 근거로 이를 긍정한다. [16] 본래라면 금진여객도 동일해야 했으나 남부여객과 서로 뒤바꿔 13XX를 받는 바람에 일반버스와 좌석버스의 차량번호가 다르다. [17] 참고로 1998년부터 준공영제 시행 전까지 세진여객 80번, 삼신교통 80-1번으로 따로 운행했을때도 16대+16대로 동일했었다. [18] 금강여객의 버스들은 화신여객, 세진여객, 삼신교통으로 뿔뿔이 흩어졌으며 이때 삼신교통은 금강여객 출신의 BS105를 전부 대차한다. 또한 세진여객에서는 금강여객 출신의 대우차가 2000년 가을까지 다녔다. [19] 이 노선의 경우에는 인수된지 얼마되지 않아 동남여객으로 이관되었다. [20] 51번의 경우에는 화신여객이 구서2동 영업소를 사용해왔기에 자연스럽게 인수가 가능했다. [21] 예전에 48-1번을 두 업체가 공동배차를 했으나 삼신교통에서 임의로 148번 노선으로 분리신설한 뒤에 48-1번 소속차량 전량을 그대로 148번으로 빼가는 바람에 48-1번 노선이 도태되었다가 결국 유령노선으로 전락되고 말았다. 그런데 148번의 신설은 단순히 48-1번 수요에만 영향을 미친게 아니라, 당시 서동 - 동래시장 경로로 운행했던 세진여객의 계열사 삼화여객의 주력노선이었던 89번이 수요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결국 구.89번은 태종여객(현.신한여객)의 88번을 마치 굴러 온 돌(구.89번)이 박힌 돌(88번) 뺀것 마냥, 안락2동/연산8동으로 우회조정되다 구.89번은 그대로 폭망크리를 맞고 말았고 88번의 경우에는 당감동까지 단축되기 이르렀고 이 여파로 당감동~동평로~서면~부산역~남부민2동으로 운행했던 태진여객 66번은 아예 폐선되고 말았다. 이 당시 삼신교통은 엄청난 대민폐를 끼친 셈이다. 66번 노선을 잃은 태진여객은 그야말로 고래 싸움에 등 터진 새우 꼴이나 마찬가지였으며 더 큰 문제는 당시 66번에 세진여객도 공동배차에 참여하고 있었다.(...) [22] 아무래도 공차거리가 늘어나봤자 회사입장에서는 좋을 것이 전혀 없기 때문에 그랬던 것으로 보인다. [23] 상술했듯이 청룡동 구간의 경우에는 금강여객 마을버스가 폐선된 이후로 또다시 버스노선이 단 하나 오지 않는 교통 오지가 될 위기에 처했기때문에 삼신교통 측에서 80번을 범어사입구까지 연장 운행을 시도하려고 했던 것이다. [24] 148번 신설 사태로 세진여객이 구.48-1번과 구.66번을 잃어 막대한 손해를 봤기 때문에 누가봐도 세진여객의 입장이 충분히 이해가 된다. [25] 당시 목격담으로 80-1번을 타고 가던 중 앞에 있던 80번이 길을 막아 삼신교통 승무원이 제대로 빡쳐서 차를 길에 세워두고 세진여객 승무원과 싸웠는데 뒤차가 올 때까지 싸웠음에도 뒤차 승무원들은 말릴 생각은 하지 않고 자기 회사 편들기에만 바빴던 장면이 목격되기도 했다. 이 문제로 참다못한 삼신교통 관계자들은 세진여객에게 항의하러 남산동 본사까지 직접 찾아갔다가 세진여객 관계자들과 고함을 치며 언쟁을 벌이고 결국에는 두 사간의 감정싸움으로까지 발전하게 된다. 이 때문인지 세진여객 남산동 본사에 일반인이 본사 건물에 접근하면 관계자가 굉장히 예민하게 반응을 하기도 했다. [26] 29-1번, 35번, 186번, 190번에서 운행하던 낡은 차량들을 대차해서 80번에 투입시키고 80번에 운행하던 차량을 다른 노선으로 돌려서 운행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앞의 노선들은 수익이 형편없는 노선도 아니었고 하나같이 많은 승객 수를 자랑하던 노선들이다! [27] 다만 삼신교통은 49-1번(현재 49번), 148번 등에도 골고루 신차를 투입하였다. 물론 80-1번에 가장 우선적으로 투입되었다. [28] 사직에서 서면을 가는 노선은 10번, 57번, 111번이 있지만 10번은 교대역으로 연계시키는 목적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57번 동래와 토곡으로 크게 우회하기 때문에 사직에서 서면으로 가기에는 부적합한 노선이고, 그나마 111번이 가장 비슷하지만 배차간격이 길다. [29] 마을버스로는 동래1-1번 동래3번이 존재한다. 준공영제 이전에는 구.110번(백병원~감전동)도 감전동 방면 운행 시 우장춘로로 운행했으며 우장춘로에서 만덕터널쪽으로 바로 우회전해서 제1만덕터널로 들어갔었다. [30] 111번은 안동네로 들어가지 않고 거제역을 경유한다. [31] 세 노선은 BRT가 신설되면서 마땅한 휴식공간이 없어 자성대교차로 우회전하는 공간에 범일2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03-190)을 신설하여 정차한다. [32] 2015년 8월 29일까지는 42번도 이 정류장에 정차했으나 그 다음날부터 범일5동주민센터 연장(현재는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로 연장) 및 부산진시장 양방향 경유로 조정됨에 따라 더이상 이 구간으로 오지 않게 되었다. [33] 미남역에서 범내골까지 겹치는 형태였다. 동부시외버스터미널이 이전되기 전까지만해도 80번 노선과는 비교불가 수준의 수요를 자랑하였다. [34] 구.19번과 131번은 둘다 화신여객 노선이었기에 가능했다. [35] 여담으로 구.19번이 다녔던 부전지하철역~전포동~문현교차로 구간은 부산진3번 마을버스 신설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구.부산진3번은 공기수송만 하다가 폐선되어 최악의 대체노선이라는 오명만 쓰고 말았다. [36] 도시철도를 이용하면 40분 안팎으로 이동 가능한 반면에 이 노선을 이용하면 70~80분 이상 소요되며, 길이 막히면 2시간 가까이 걸린다. [37] 범일역에 내려서 조금만 걸어가면 부산진시장에 도착할 수 있다. 다만 1호선 이용 시 버스보다 100원 더 비싼 요금에 2구간 요금이라 200원을 추가로 내야 하기에 300원 더 내기 싫다면 그냥 이 노선 타고 가자. [38] 금정공영차고지 방향 한정. [부산진시장] 방향 한정. [부산진시장] [부산진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