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22:09:57

부산 버스 126

부산 버스 116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0" <tablebordercolor=#39f>
부산광역시
일반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부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5
86 87 88 88-1 90 96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09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2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801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126번4857.jpg
파일:부산126신도색저상.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폐선된 형제노선 구.116번3.2. 구.126-1번
4. 특징
4.1. 이용 시 유의할 점4.2. 연간 일평균 승차량4.3.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26 노선도.svg
기점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금곡역) 종점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4가(남포동)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54
막차 22:30 막차 23:43
평일배차 출퇴근 9분 / 평시 10분 주말배차 토요일 11분 / 공휴일 12분
운수사명 삼진여객 인가대수 25대[주말]
노선 금곡역 - 동원역 - 율리역 - 코오롱아파트 - 대천리중학교 - 푸르지오헤리센트아파트[2] - 화명역 - 수정역 - 낙동고등학교[단독] - 덕천역 - 구포역 - 북구청 - 서부주유소 - 괘법르네시떼역 - 엄궁정비 - 엄궁한신1차아파트 - 동아대 승학캠퍼스 - 하단교차로 - 당리역 - 사하역 - 괴정역 - 대티역 - 대티터널 - 서대신역 - 서부교회 → 동아대 부민캠퍼스 국제시장 남포역 자갈치역 → 서구청 → 보수초등학교 → 서부교회 → 이후 역순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3.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1982년 말 개통됐으며 태화교통[4]에서 운행했다. 당시 노선은 '덕천교차로 - 구포역 - 산업도로 - 엄궁 - 에덴공원 - 하단교차로 - 괴정 - 공설운동장[A] → 대청동 → 남포동 → 충무동 → 보수동 → 공설운동장[A] → 이후 역순'이었다. 좌석버스로 과거 태화시절부터 운행한 노선이었지만 1990년대 후반에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됐다.
  • 1998년 초 남포동행이 낙동고교를 경유하게 되면서 화명동( 수정역)을 수박 겉핥기식으로 경유해 덕천으로 빠져나오는 형식으로 조정되었다. 다만 구포행은 덕천과 화명주공일대를 경유하지 않고 구포시장에서 바로 차고지로 갔다.
  • 2002년 태화교통이 가야IBS계열에 인수되어 태영버스로 사명이 변경되고 2004년 6월에는 태영버스가 화진여객을 인수함에 따라 당시 59번, 126번, 159번을 삼진여객에 매각했다. 이 때 업체가 삼진여객 계열이 되면서 성보버스로 사명이 변경됐다. 그리고 2005년 12월에 성보버스가 삼진여객과 흡수 통합되면서 삼진여객 소속 노선이 됐다.
  • 2003년 과거에 운행했던 126번 좌석버스가 부활했다. 그러나 빗길에 맞은편 68-1번 버스와 정면 충돌하는 교통사고로 인해 3명이 숨지는 불미스러운 일과 승객 저조로 인해 얼마 못 가 폐선되었다. 당시 운행하던 차량들은 대부분 58-1번으로 이동해 구형 차량 대차분으로 쓰였다.
  • 화명동 연장 전에는 덕천2동 구룡사 앞이 기점이었으나 행선판은 무슨 이유인지 구포 ◀▶ 동아대 ◀▶ 충무동으로 표기되었다. 2007년 5월 15일 드디어 화명동 주민들이 바라던대로 화명동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화명동 수요를 그대로 흡수했기 때문에 수요가 준공영제 이전보다 대폭 상승해으나 여전히 의성로 경유를 하지 못해 이에 관련된 불평들이 존재했었다.
  • 본래 구.태화교통 시절에는 새벽 첫차 출발 시 기점인 구포나 종점인 충무동이 아닌 당시 태화교통 본사가 있던 하단동[7]에서 중간 출발하는 차량도 있었다.
  • 2008년 7월 2일 금진여객이 130번에서 2대를 감차하여 이 노선 공동배차에 참여하게 됐다. 하지만 삼진여객 차량들 중에서 2대가 빠져서 총 인가대수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 2009년 1월 금진여객이 성원여객에 126번 2대를 넘겨주게 되면서 금진여객은 철수하고 성원여객이 참여하게 됐다.
  • 2010년 12월 14일 126-1번( 현.1009번)이 신설되면서 삼진여객에서 2대가 감차되어 총 인가대수 27대로 운행을 하게 됐다.
  • 2012년 4월 27일 128번이 폐선되면서 성원여객 공배차량을 1대 추가했을 뿐만 아니라 금진여객도 2대가 재공배하면서 총 인가대수가 30대로 설정되었다.
  • 2020년 12월 말 화명동 차고지 임대계약 기간이 만료된 점과 화명동 주민들의 차고지 관련 불편민원이 다수 발생했던 점으로 인해 차고지를 금곡동으로 이전했으며, 국제여객 구.금곡영업소로 사용했던 곳으로 이전했다. 다만 노선연장 승인이 나지 않아 금곡동~화명동 구간은 금곡대로를 거쳐 공차회송하며, 화명동 구.차고지에서 시종착하고 있었다. 처음에는 비어있는 구.차고지에서 한바퀴 돌아서 회차했지만 어느샌가 토지주가 사유지 내 차량 출입을 통제하여 화명 푸르지오 헤리센트 정문 앞에서 승객들을 내리고 금화횟집 앞에서 T턴하여 회차했다. 하지만 보행자 사고 위험과 차량 사고 위험에 따른 화명동 주민들의 불편 민원이 다수 발생하여 산성터널영업소 앞 회전교차로에서 회차하여 빠져나오도록 재변경되었다.
  • 2021년 7월 31일 기존에 59번이 경유하던 대천리중학교, 금명여고 및 화명2동 일대(산성로, 양달로)을 59번과 반대 방향으로 경유한 후 금곡대로로 다시 빠져나와 금곡역까지 공식 연장됐다. 이로써 왕복 운행거리가 63km가 넘어가는 초장거리 노선이 됐다.
  • 2022년 10월 1일 기존에 무정차 통과했던 금곡대로에 위치한 벽산아파트 정류장[8]에 정차하게 되었으며 기존 양달로에 위치한 벽산아파트 정류장은 경남아파트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1. 폐선된 형제노선 구.116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 구포와 문현동을 잇는 노선이었으며 태화교통에서 운행했다.
* 노선은 덕천교차로 - 구포역 - 모라 - 서부터미널 - 주례 - 개금 - 가야 - 서면 - 중앙시장 - 조방앞 - 문현교차로 - 문현안동네구간을 운행했다.
* 종점이 문현안동네라서 그런지 한양아파트 정류소 앞에는 현재도 종점생활용품DC마트라는 슈퍼마켓이 있다.[9]
* 한 때는 구포-에덴공원 간 운행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1976년 당시에는 인가대수가 36대였던 것으로 보인다. #

3.2. 구.126-1번

  • 1994년 금곡동 - 화명동 - 덕천교차로 - 구포역 - 삼락동 - 엄궁농산물시장 - 강변대로 - 하단교차로 - 괴정 - 충무동 구간을 좌석버스로 운행을 시작했으며 1998년에 폐선되었다.

4. 특징

  • 15번, 59번과 기종점(금곡동, 충무동)이 모두 동일하지만 이 노선의 진가는 따로 있다.[10] 지리상으로는 멀지 않으나 도시철도로는 이동이 불편한 북구 - 사하구를 바로 이어주는 몇 없는 노선이기 때문이다.[11] 따라서 구간 수요보다는 장거리 수요가 많은 노선. 이는 123번도 마찬가지이지만 126번은 배차간격이 비교적 짧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배차간격이 10분을 넘어가며 이마저도 들쑥날쑥해 123번이 수요를 많이 흡수해버렸다. 그러나 123번이 2023년 7월 29일부로 하단역까지 단축되어 이젠 126번을 탈 수 밖에 없다.
  • 68번과 비슷하게 하단 - 엄궁 간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중간 경유지인 동아대학교로의 통학수요도 상당하다. 따라서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구포역에서부터 엄궁삼거리까지 이미 만차가 된 상태로 오기 때문에 승차거부를 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더군다나 부산 도시철도 5호선 공사 여파로 교통 체증이 심각하여 하단교차로를 지나 낙동초등학교 정류장까지는 거북이운행을 할 때가 허다하다. 여담으로 이 쪽 이용객 대부분이 사하구 갑 지역 주민들이다.
  • 대중교통이 부족한 삼락동을 지나가는 두 노선 중 한 노선이다.[12] 삼락동 구간에 2012년 7월에는 국제식품 정류소가 양방향에 추가됐으며 2016년 11월에 (주)대정.성지 정류장이 추가됐다.
  • 서구 - 중구 구간을 제외하면 거의 직진만 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의외로 줄어들기도 하는 특징도 있다. 하지만 하단교차로부터 동대신교차로 구간까지는 대표적인 상습 정체구간이라 RH 시간대에는 시간이 좀 걸리기도 한다. 여담으로 이 노선은 부산 내에서도 손꼽히는 장거리노선으로 자사노선 15번보다 운행거리가 10.5km 더 길다. 그럼에도 인가대수는 15번에 비해 7대나 부족하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상대적으로 더 길다는 단점이 있다. 배차간격이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13]
  • 의성로 낙동고등학교, 화명 롯데캐슬 카이저 남문을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7월 29일 개편전까지 1009번이 의성로를 경유하였으나 워낙 배차간격도 길고 요금이 비쌈에도 시내로는 가지 않는 노선이라 탈 일이 거의 없었다. 개통 당시부터 남포동행 운행 시 경유하다가 2010년 11월부터 양방향 경유로 변경됐다.[14] 15번, 59번이랑 달리 양방향 구포시장 환승센터 정류장을 직접 경유하며 바로 덕천뉴코아아울렛을 찍고 의성로 전 구간을 완주하는 노선이라서 이 구간 내에서도 고정수요가 꽤 많다. 더불어 화명 롯데캐슬 카이저 남문을 직접 경유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아파트 주민 고정승객이 상당하다. 반대로 말하면 화명동, 금곡동으로 가는 노선들 중에 유일하게 양방향 구포시장 환승센터랑 덕천역 정류장을 경유하는 노선이다.[15] RH 시간대에는 해당 구간에서 수요가 매우 폭발적이라 금방 혼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 구.태화교통 부도 직전[16]에는 126번 역시 차량 상태가 말이 아니었으며 무냉방 에어로시티에 신도색으로 재도색한 차량이 1대 운행하기도 했다. 지금도 자사노선들 중에서 차급이 썩 좋은 편은 아니다. 이 노선도 승객수요와 운송수입금이 상당히 많은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본사 노선이 아닌 이유로 소외받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다.
  • 1일 평균 총 22,000명 가량의 승객수, 1일 대당 평균 7백명이 훌쩍 넘는 승객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평시에도 가축수송이 잦은 노선이다. 그런데,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123번 노선이 명지동 신호동으로 변경된다는 발표가 있고 나서 이 노선의 가축수송이 상당히 심해질 것이라는 많은 우려가 있었다.[17] 하지만 2016년부터 부산시 노선담당관을 맡고 있는 안 모씨의 답변에 따르면 명지를 경유하는 58-2번 168번의 수요가 평균에도 못미쳐 교통편 추가 투입 계획이 없다고 했다. 그리고 2016년 11월 27일에 1009번 투입, 2017년 4월 22일에는 1005번 투입과 3번 신설 등이 있었지만 123번은 개편에 전혀 포함되지 않았으며 부산시에서 당분간 123번 변경계획이 없다고도 언급했다. 그러나 담당관 인사이동 이후 2023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때 123번의 회차지점을 하단역 환승센터로 단축시켰다. 자세한 건 이 문서를 참고하자.
  • 2017년 4월, 자사 노선 15번을 제치고 운송수입금 순위 4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다음 달에 다시 원래 순위로 떨어졌다.
  • 왕복 63km가 넘어가는 장거리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막차 시간이 22:30로 상당히 늦은 편이다.[18] 막차가 서구청을 찍고 다시 덕천역으로 돌아오면 약 00:35 정도 된다.[19] 덕분에 서구청과 하단, 덕천역 연선에서는 그야말로 구세주나 다름 없다.[20]
  • 서대신교차로에서 덕천교차로까지 이어지는 낙동대로를 전 구간 주파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 낙동대로를 이용하는 특성상 복잡한 부산 도심 및 부도심을 회피하는 특성이 있어 광주/목포 ~ 울산 시내버스 여행에 쓰인다. 하단역에서 2000번에서 내린 뒤 조금 걸어서 이 노선을 이용하면 구포시장이나 화명동에서 언양 방면은 양산시내버스, 울산 방면은 300번으로 환승하여 노포동으로 이동한다.

4.1. 이용 시 유의할 점

  • 15번과 달리 동아대 부민캠퍼스 남포동, 서구청행만 경유한다. 금곡동행은 서구청 - 부평시장 - 보수초교 - 서부교회 이하 역순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남포동, 서구청 일대에서 부민캠퍼스를 가려고 이 노선을 기다리고 있으면 안된다.[21] 부민캠퍼스를 가려면 남포동에서는 15번, 70번 그리고 103번 113번[22]이 정류장을 유일하게 무정차 통과한다. 따라서 해당 구간에서 126번을 이용하려면 서부교회 정류장까지 좀 걸어야 한다. 참고로 두 정류장은 약 245m 정도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을 국제시장에서는 40번, 86번을 이용하는 편이 좋다.[23] 승학캠퍼스는 양방향 경유하므로 무조건 이 노선을 타야 한다.[24] 자신이 가려는 캠퍼스를 잘 살핀 후 탑승할 것. 화명동에서 부민캠퍼스를 갈 때에는 15번 버스가 구덕터널을 통과하는 것과 달리 126번은 승학캠퍼스를 경유하여 빙 돌아가기 때문에 15번을 타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 그리고 이 노선은 행선지를 금곡동 ◀▶ 동아대 ◀▶ 충무동으로 표기하지만 금곡동 수요의 대부분인 금곡주공단지는 전혀 지나가지 않고 금곡대로를 직통으로 통과하므로 금곡동 안동네로 갈때는 이용해서는 안된다. 금곡동 안동네로 가려면 15번, 111번, 111-1번, 121번을 이용해야 한다.[25]
  • 구포시장 방면 덕천역 정류장에서 금곡동으로 가려는 사람들은 절대로 이 노선을 타면 안된다. 111번처럼 금곡대로로 우회전하겠지 생각할 수 있지만, 이 노선은 구포시장으로 직진하기 때문이다. 금곡동 방면으로 가려면 111-1번, 121번을 타거나 반대편으로 건너가서 이 노선을 타면 된다. 쉽게 말해, 111번, 121번과는 덕천역 정류소에서 진행 방향이 반대이다. 부민병원 방면 덕천역 정류장에서는 반대로 111번과 121번이 만덕2터널로 가고 이 노선은 의성로로 좌회전해서 낙동고등학교 롯데캐슬 카이저를 지나 금곡역까지 금곡대로를 직통으로 달린다.(금곡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자이아파트 및 금곡주공 방향 오르막길로 우회전하지 않고 직진한다는 뜻.)
  • 59번, 126번, 금정1번, 북구3, 북구7-2번 마을버스들은 금곡동 안동네 노선[B]과 달리 화신중학교( 화명역)에 정차하지 않고 화명역(화신중)[28]정류장에 정차하며 화명역 6번출구 바로 앞에 있어 편리하다! 금곡동 안동네 노선[B]을 타려면 도시철도역과 조금 떨어져있는 화신중학교( 화명역) 정류장으로 가서 타야 한다.
  • 남포동/충무동~괴정/당리/하단 방면으로 가기 위해 이 노선을 이용했을때, 대신동 구간에서 구덕로~망양로 순으로 돌아가서 소요시간을 꽤 잡아먹는다. 해당 구간을 가기 위해 이 노선을 이용할 바에는 113번을 이용하는게 더 낫다.
  • 22:00 이후에 기점에서 출발하는 차들은 13분 간격으로 운행하니 주의해야 한다.[30]
  • 동원역~금곡역 사이 위치한 유림아파트 정류장, 농협하나로마트 정류장(금곡동 방면)[31]을 무정차 통과한다. 화명동 방면은 양산 시내버스 정류장인 농협하나로마트 정류장 바로 옆에 위치한 금곡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에 정차한다.
  • 또한 보수동 책방골목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니 보수동 책방골목이나 부평깡통시장 방면으로 가려면 보수사거리 정류장에 하차하여 조금 걸어가야 한다. 이는 15번도 마찬가지다. 정차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정차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남포동에서 승차하는 경우 부평시장 정류장에 하차하여 보수사거리 방면으로 걸어가면 도착한다.
  • 경남아파트로 가려면 이 버스를 타지 않고 111번이나 121번 등의 버스를 타고 북구보건소·인도네시아센터 정류장에 내리는게 시간이 더 빠르다. 특히 정문쪽 동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9년 21728.57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14161.14 ▽ 7567.43
2022년 17969 △ 3807.86

4.3.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6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구덕로
서구청(충무동) ▼ ▲ 남포동
보수대로 중앙대로
부평시장 ▼ ▲ 부산데파트
흑교로 대청로
서부교회 ▼ ▲ 영락교회
구덕로
구덕운동장 ▼ ▲ 동대신역
망양로
서대신교차로(서대신역) ▼ ▲ 서대신역.서대신교차로
낙동대로
덕천역 ▼ ▲ 구포시장
만덕대로
숙등역.부민병원 ▼ ▲ 덕천역
의성로
수정역 ▼ ▲ 롯데캐슬카이저 남문
금곡대로
북구보건소 ▼ ▲ 화신중학교(화명역)
산성로
대천리중학교 ▼ ▲ 화명푸르지오 헤리센트
양달로
벽산아파트 ▼ ▲ 코오롱아파트
금곡대로
금곡역 ▼ ▲ 율리역
효열로
}}}}}}}}} ||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엄궁동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일반 16[a] 67[a] 68 108[a]
123 126 128-1 138
138-1 148-1[a] 338
음영표기 : 엄궁동 시,종착 노선.
[a] 엄궁아파트단지 경유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구포시장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4[단]
1009-1[단]
일반
15[단]
59[단]
127[단]
강서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0%
[[부산 버스 강서6|강서6]],,[단],,
북구
김해시
8-1[단]
911[단]
912[단]
913[단]
[단] 단방향 경유 노선
}}}}}}}}} ||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승학캠퍼스
<colcolor=#000,#fff> 교내진입 사하10
동아대입구 1001
2 16 68 123
126 128-1 138 338
구덕캠퍼스(동아대학교병원)
교내진입 서구5
동아대병원 167[A] 190[A] 중구1
동아대병원입구/구덕운동장 8 15 16[A] 40[A]
67 81[A] 161 168
서구1[A] 서구3[A] 서구3-1[A]
부민캠퍼스
정문앞 15 16 40 70
81 126[A] 161 190
부용사거리 96 103 113
[A] 단방향 경유
}}}}}}}}} ||


[주말] 토요일 24대 / 공휴일 23대 운행. [2] 구.126번 종점 [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4] 2002년에 부도 [A] 현 구덕운동장 [A] [7] 노선이 중간에 하단동을 거쳐 지나간다. [8] 59번, 126번만 미정차했다. [9] 현재는 문현안동네는 커녕 문현동을 종점으로 삼는 노선 자체가 없다. [10] 덤으로 15번보다 운행거리가 약 10km 가량 더 길지만 인가대수는 이 노선이 7대 더 적다. [11] 때문에 부산 도시철도 5호선 계획이 나왔고, 2017년에 착공에 들어가 건설 중이다. [12] 이 구간에는 123번과 마찬가지로 타고 내리는 사람이 거의 없다. 덕천역, 구포시장 등지에서 앉지 못했다면 엄궁이나 동아대 승학캠퍼스에 도착할 때까지 그대로 서서 가야 한다. [13] 특히 금곡역으로 연장되면서 양달로를 경유하게 되어 배차간격이 벌어지고 있다. [14] 준공영제 이전에는 애매한 구룡사 차고지의 위치와 신호 문제 때문에 의성로를 왕복으로 경유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화명동까지 노선을 연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노선을 바꿔주지 않아 민원이 대량 발생했고 결국 왕복운행을 하게 된 것이다. [15] 최근에 화명신도시로를 따라 구포시장으로 노선이 연장된 300번을 의성로를 따라 덕천역을 양방향 경유하여 구포시장으로 보내달라는 의견이 많았으나 결국 금곡대로를 따라서 구포시장 종점까지 연장됐다. [16] 이 노선이 같은 식구 노선들을 먹여살리기에는 노선들의 적자폭이 상당히 심했다. 이 노선이 거의 58번 시리즈, 59번, 159번, 520번 등을 멱살잡고 태영버스를 이끌어낼 정도였다. [17] 가축수송이 가장 심각한 구간은 덕천역 - 동아대학교인데 여기까지는 123번이 공동으로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반면에 동아대학교 - 남포동은 버스편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편이다. [18] 반면 15번은 막차시간이 22:05로 126번에 비해 25분이나 빠르다. 심야버스가 있지만 주간 막차와 심야 간의 공백이 25분 정도 된다. [19] 금곡은 01:00 도착 [20] 덕천동으로 가는 15번도 일반막차와 심야첫차 사이에 21분 간격이 있다. 그래서 23:00 이후에 126번을 타려는 사람들이 서구청에 바글바글한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특히 동아대 승학캠퍼스에서는 막차가 익일 0시 이후까지 다니기 때문에 심야 통학생들의 수요가 많다. [21] 구덕로 연선에서는 구포역 이북으로 가는 15번이 있기에 노선 분배 차원에서 이 노선의 화명동 방향 노선이 보수동을 경유하도록 한 것이다. [22] 103번과 113번의 경우, 상당히 먼쪽(흑교사거리에서 서부교회로 가는 길목)에 정류소가 있고, 여기서는 좀 걸어야 하기 때문에 그다지 추천하지는 않는다. 참고로 126번도 이곳을 지나가긴 하지만 남포동행은 부민캠퍼스 앞을 직접적으로 경유하는 특성상 혼동을 방지하기 위함인지 [23] 국제시장에서는 15번도 있으나 126번과 마찬가지로 편도 회차 구간이라 남포동과 서구청을 거쳐 빙 둘러가느라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24] 도시철도 이용 시 하단역에서 끊기는데다 남포동 일대에서 승학캠퍼스 가는 노선이 이거 하나 뿐이다. 다른 노선으로 16번도 있으나 구덕운동장에서 노선이 끊기고 엄궁 방면도 송도윗길, 고신의료원, 감천을 경유하여 빙빙 돌아가기 때문에 사실상 이 노선이 유일하다. [25] 금곡역-동아대-충무동으로 표기한다고 111-1번처럼 금곡주공단지를 모두 경유한 다음 금곡역과 동원역 사이에서 회차한다고 생각하면 절대 안 된다. [26] 물론 금곡주공으로 가지 않고 금곡대로를 직통하므로 금곡주공1단지 연선이 아니라면 이 노선을 이용할 일이 없다. [B] 15번, 111번, 111-1번, 121번, 1012번(안동네로 들어가지 않고 금곡대로로 간다.) [28] 마을버스는 화신중학교라고 안내방송한다. [B] [30] 첫차 04:30부터 05:00 사이에 출발하는 차는 15분 간격이다. [31] 두 정류장은 양산 시내버스인 21번, 23번만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