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1:57:53

부산 버스 1005

{{{#!wiki style="margin: -10px 0" <tablebordercolor=#e5007f>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도시
고속
3001 3002 3003 3004
3005 3006 3007 3008
급행
(공항)
2029[A][C][E]
급행
(직행좌석)
2000[C][D]
급행
(일반좌석)
1000 1001 1002 1003
1004[A] 1005[B][C] 1006[A][C] 1008[A]
1009[B] 1009-1[A] 1011[A][C] 1012[B]
좌석 58-1[A] 20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E] 임시노선
}}}}}}}}} ||
파일:부산1005신도색유니버스.png
파일:부산1005뉴비.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
3.1. 구.1005번
4. 특징
4.1. 과거 노선4.2. 문제점4.3. 시간표4.4. 연간 일평균 승차량4.5.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106.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왕복 운행하는 거리가 100km가 넘어가는 유일한 노선(2000번 제외)이다. 참고로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거제시 직행좌석버스( 부산, 거제 버스 2000)는 115.2km이다.

2.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005 노선도.svg
기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종점
첫차 05:20 기점
첫차 06:40
막차 20:10 막차 22:10
평일배차 40~60분 주말배차 50~70분
운수사명 태영버스 인가대수 7대[토요일·공휴일]
노선 강서공영차고지 - 르노자동차 - 두산위브 - 부산차량등록사업소 - 명지환승센터 - 국회부산도서관 - 강서경찰서 - 생곡마을 - 세산교차로 - 지사산단입구 - (→ 녹산초등학교 →/← 동화엔텍 ←) - 지사휴먼시아아파트 - 삼영MT - 테크노파크입구[단독] - (주)신영[단독] - 테크노파크입구[단독] - 삼영MT - 지사휴먼시아아파트 - (→ 녹산초등학교 →/← 동화엔텍 ←) - 지사산단입구 - 조선해양기자재회관[단독] - 한국해양대학교서부산융합캠퍼스[단독] -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단독] - 렛츠런파크[단독] - 둔치도입구 - 가락IC[단독]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단독] - 사상IC[단독] - 감전동수문앞 - 서부시외버스터미널. 사상역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3. 역사

  • 2014년 12월 27일 신설되었고, 6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용원~사상~지사동 본노선외에 출근용 노선으로 사상역~지사산단, 사상역~가덕도선창이 운행되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 2015년 4월 18일 서부터미널 - 가덕도(선창) 구간 출근 시 노선이 폐지되는 대신 서부터미널 - 지사과학단지 구간 출근 시 노선이 1일 3회에서 6회로 증회되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관련 기사
  • 2015년 11월 28일 사상역~용원 구간이 폐지되고 동서고가로, 서면, 황령터널을 거쳐 용호동 LG메트로시티까지 운행하도록 변경되었다. 사상역→지사산단 출근노선은 3회 정도로 축소되었다. 또한 1대 증차되어 7대로 운행한다. 이때 부산시는 1005번을 신설노선이라고 공지했었다.
  • 2017년 4월 22일 사상역~용호동 구간이 폐지되고 새벽시장, 학장공단, 하단역을 거쳐 명지국제도시와 서부지원·서부지청까지 운행하도록 변경되었다.
  • 2017년 11월 25일 지사행 사상역 막차출발시간이 22:10으로 늦추어졌다.
  • 2020년 2월 29일 미음R&D허브단지·한국해양대 미음캠퍼스를 경유한다.
  • 2022년 3월 31일 국회부산도서관까지 소폭 연장되었다.
  • 2023년 7월 29일 태영버스 강서공영차고지에 입주함에 따라 '서부터미널 - 하단역 - 국회부산도서관' 구간이 폐지되며, 동시에 '지사산단 - 생곡산단 - 강서경찰서 - 국회부산도서관 - 명지환승센터 - 명지오션시티 - 르노자동차 - 강서공영차고지' 구간이 연장되었다. 이번 조정에 따라 지사 구간은 양방향 경유하게 되며 운행거리가 4.8km 늘어남에 따라 운행횟수 역시 1회 감소했다. #
  • 2025년 부산 시내버스 전면개편으로 도시고속형버스 3005번으로 변경되며, 대신 양방향 모두 지사삼정그린코아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3.1. 구.1005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 버스 1005(폐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특징

  • 환승대기시간이 90분으로 적용된다.[12]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최초이자 현재 유일하게 고속도로를 경유하는 노선이다.[13] 자동차전용도로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으로 다니므로 법률대로 입석금지로 운행하고 있으며 안전벨트 착용 및 운행 중 좌석 이동 금지를 부탁하는 차내 방송 또한 한다.[14] 하지만 애초부터 수요가 저조할 걸 예상해서인지 입석금지 스티커는 붙이지 않고 다니다가 재개통한지 약 2년여가 지난 2016년 11월부터 1011번에 붙인 스티커와 똑같은 입석금지노선이라는 스티커를 붙이고 다닌다.[15] 다만 신도색 차량 출고때부턴 다시 붙이지 않고 있다.[16]
  • 지사산단을 깊숙하게 경유하므로 명지 - 사상을 오가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시내 정체를 피하려면 1009-1번이 있다면 차라리 그걸 타고 서부산유통지구역에서 부산김해경전철로 갈아타는 게 가장 빠르지만 얘도 배차간격이 나쁜지라 보통은 128-1번을 타고 하단SK뷰아파트 정류장에서 138-1번이나 338번으로 환승해서 가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
  • 161번과 기종점이 동일하다. 다만 운행구간이 전혀 다르다.[18] 물론 이동 소요시간은 둘 다 2시간 남짓으로 엇비슷하다.
  • 지사 구간에서는 양 방향이 모두 동일한 정류장을 경유하므로 기사님께 방향을 물어보거나 운전석 앞의 방향 표시판을 잘 보고 타야 한다.
    강서공영차고지 방향 사상역 방향

    강서차고지 지사 → 사상

4.1. 과거 노선

====# 2014년 12월 27일 ~ 2015년 11월 27일 #====
정규노선: 용원 - 부울지방중소기업청 - 르노코리아 - 하단역 - 서부터미널 - 가락IC - 렛츠런파크 - 미음산업단지 - 지사과학단지
출근노선: 사상역 - 서부터미널 - 렛츠런파크 - 미음산업단지 - 지사과학단지(편도3회) / 사상역 - 서부터미널 - 하단역 - 르노코리아 - 부울지방중소기업청 - 부산신항 - 가덕도(선창)(편도3회)[19]
  • 없어졌던 1005번은 2014년 12월 27일에 부활했다. 그런데 운수회사와 노선은 기존 1005번과는 180도 달라진 데다가, 출근시 노선과 정규노선이 다른 등 여러모로 신기한 노선으로 재탄생한 것. 노선은 상술한대로였다.
  • 06:00에서 08:00 사이에 출발하는 출근시 노선 때문에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들 중 첫차 시간이 가장 늦다. 또한 운행이 끝나면 용원영업소가 아닌 김해 본사로 공차회송을 하다보니 중간 지점인 사상역에선 막차시간이 용원 방면은 19:15, 지사 방면은 21:00로 상당히 빠르며 그 이후로 도착하는 버스들은 전부 운행종료 차량들이다.
  • 수요는 거의 없다시피 했다. 지사과학단지 방면으로는 근로자 수요가 그래봐야 대당 10명 정도 뿐이지만 어느 정도 존재하기는 하나[27], 용원행으로는 수요도 많고 운행구간이 중복되는 노선들[28]이 상당수 버티고 있다. 게다가 마땅한 수요가 없는 강서구 구간이 노선의 2/3 이상을 넘기고, 배차간격 또한 40분으로 길다 보니 막상 타려고 하는 사람이 있어도 기다리다 지쳐 탈 수가 없다. 적자노선이라도 이 노선에 비해 수요가 훨씬 넘치는 221번 1004번의 인가대수만 괜히 건드렸다가 김해 및 장유지역 주민들에게는 불편을 부산시에는 더 많은 적자를 선사하는 중이다.[29]
  • 2015년 기준 일 평균 이용객 수는 235명으로 대당 39명 밖에 이용하지 않았다.

====# 2015년 11월 28일 ~ 2017년 4월 21일 #====
정규노선: 지사과학단지 - 미음산업단지 - 렛츠런파크 - 가락IC - 서부터미널 - 동서고가로 - 서면(롯데백화점) - 상공회의소/지오플레이스 - LG메트로시티 - 남부면허시험장
출근노선: 사상역 - 서부터미널 - 렛츠런파크 - 미음산업단지 - 지사과학단지(편도5회) / 남부면허시험장 - 지오플레이스 - 서면(롯데백화점) - 사상역 - 서부터미널 - 렛츠런파크 - 미음산업단지 - 지사과학단지(편도1회)
  • 변경 계획 당시에는 남구, 수영구 소재 업체들[30]의 공동 배차도 제안되었으나 해당 업체들이 빼올 차량이 없고 이 노선에 대한 반응도 부정적이어서 거절해 결국에는 태영버스 단독 운행이 되었다.
  • 노선 개편 이후에도 1005번에 투입되는 차량들은 두동에서 주박하는 58-1번에서 빼온 3466호만 빼고는 여전히 김해의 태영버스 본사에서 주박하기 때문에 첫차 시간이 상당히 늦을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지사과학단지 근처 아파트단지 주민들은 08:00가 넘어서야 첫차를 탈 수 있었는데 다행히도 시간표 개정으로 첫차시간이 앞당겨졌다. 기점인 지사단지와 종점인 용호동 LG메트로시티에 1005번의 시간표가 붙어 있으니 이용에 참고하면 되지만 아무리 승무원들이 노력하려 해봐도 동서고가로 황령터널의 만성 정체로 인해 시간을 잘 지키기는 힘들었다. 심지어 특정 시간대에 따라서는 이놈 때문에 배차간격이 1시간 이상으로까지 벌어지기도 했었다.
  • 폐지 구간의 대체노선은 충분히 차고도 넘쳐서 별 다른 항의는 없었던 모양. 사상터미널~ 서면이야 굳이 2호선 외에도 31번, 33번 등이 있고 서면 이후로도 24번이나 583번 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표적인 주거지역인 용호동에서도 지사산단까지 출퇴근하는 근로자들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31]
  • 2016년 기준 일 평균 이용객은 412명으로 대당 58명이 이용한 셈 이다.

====# 2017년 4월 22일 ~ 2023년 7월 28일 #====
파일:부산 1005 노선도(개편전).svg
정규노선: 지사과학단지 - 외국인투자지역 - 미음산업단지 - 렛츠런파크 - 가락IC - 서부터미널 - 새벽시장 - 장인로 - 하단역 - 경일중고교 - 부산법원서부지청앞
출근노선: 사상역 - 서부터미널 - 렛츠런파크 - 미음산업단지 - 지사과학단지(편도1회) / 부산법원서부지청앞 - 하단역 - 장인로 - 사상역 - 서부터미널 - 렛츠런파크 - 미음산업단지 - 지사과학단지(편도5회)
  • 사상~서면~용호동 간 노선은 여러가지 문제로 수요가 거의 없었고, 결국 최초 동서고가로 시내버스 운행 정책은 완벽하게 실패하면서 또 다시 노선을 변경하게 되었다. 관련 게시물
  • 환원 전의 2기노선과 비슷한 형태 같지만 다른 점이 있다. 우선 용원, 녹산공단, 명지오션시티로는 더 이상 가지 않는다. 또한 명지새동네가 아닌 경일중고교로 가는 점 그리고 새벽시장을 경유하여 감전동이마트로 가는 점도 2기노선과 다른 점이다.
  • 상술했듯이 대부분의 노선이 경유하는 명지새동네를 경유하지 않고 경일중고교를 경유하여 명지국제신도시 방향으로 좌회전한다. 명지국제신도시 구간도 아파트단지 뒤편의 명지국제4로 3번과 같이 간다. 이후 이 노선은 명지국제7로로 우회전해서 부산법원서부지청 바로 앞까지 간다. 58-2번, 168번이 운행하는 명지국제5로는 아예 가지 않으니 이 점 유의해서 이용해야 한다.
  • 지사산단에서도 추가 구간이 있는데 지사산단 외국인투자지역까지 들어갔다 나온다. 그리고 한일기공과 보배터널 사이에 (주)신영이라는 정류장이 추가되어 기점이 (주)신영으로 바뀌었다.
  • 수요는 조금씩 늘고 있지만 저속운행, 일반노선과의 차별화 실패[32]로 결국 또 실패사례에 들고 말았다. 심지어 상술된 용호동 시절보다 편의성에서도 훨씬 더 못한 노선이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차안에 기사빼고 사람이 있는 걸 못봤다 일각에서는 사상-명지 구간을 빼고 사상-지사-율하로 변경하는것이 낫다고 주장할 때가 있다.[33]
  • 경부선 사상역을 경유하며, 일반버스 노선들의 회차지 역할을 하는 서부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중간휴식을 취한뒤 운행시간표에 맞춰 재출발한다.
  • 58-1번이 다니는 창원시 진해구 부영아파트와 해인로즈빌아파트 쪽으로 1005번 차량이 공차회송하는 걸 종종 볼수 있다. 두동차고지에서 진해대로로 나온 뒤 풍림아파트, 부영아파트, 해인로즈빌아파트로 우회전을 거듭한 뒤 송곡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지사동행 나들목, 보배터널을 지나 지사동까지 공차회송한다. 또는 해인로즈빌 가기 전에 유턴한 뒤 진해구 방면으로 조금 내려가서 지사동행 나들목, 보배터널을 지나 지사동으로 회송할 때도 있다.
  • 사상역을 지나 하단으로 갈 때 새벽시장과 학장공단을 경유하여 148-1번이 단독으로 경유하였던 장인로 구간을 공동으로 경유하도록 노선이 조정되었다. 허나 같은 구간[34]에서 급행 노선이 일반 노선인 338번보다 굴곡구간이 존재해서야 되겠냐는 의견이 있지만 워낙 해당 구간에서 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없어서 나쁜 의미로 급행 노선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 차고지는 가스 충전과 차고지 문제로 본사와 두동차고지를 같이 사용한다. 이 때문에 김해시 구산동이나 창원시 진해구 두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까지 공차회송을 하고 있다. 예전에 용호동까지 가던 시절에는 첫차 운행을 위해 '무려 김해에서 용호동까지 공차회송을 하기도 했다.' 현재도 사상 중간 출발을 위해 사상까지 공차회송을 한다.
  • 승객수는 1일 평균 총 457명[36]으로 1일 대당 70여명 수준 밖에 안 된다. 그나마 1기, 2기 노선 당시보다는 이용객이 늘었으나 여전히 심각하다.[37] 대당 운송수입금도 처참한데 급행버스임에도 불구하고 1일 대당 겨우 10만원을 못넘겼다가 2017년 하반기에 드디어 10만원을 넘겼다. 그런데 문제는 딱 10만원인데, 이 수치는 73번, 184번, 187번보다 낮은 수치다. 2018년 3월 기준 17,370명의 승객 및 23,510,030원의 수입을 거뒀다.[38] 1일 평균으로 따지면 대당 70~80명 수준 승객수와 10만원 수준의 운송수입금을 기록한 셈. 하지만 2018년 6월 기준 대당 수입금이 12만원으로 증가하였다. 9월 기준 일평균 승객 수가 574명, 대당 90명을 기록했다.[39] 노선 변경 직전인 2023년 6월 기준으론 일평균 승객 수가 733명, 대당 104명까지 늘어났다.

4.2.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 버스 1005/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시간표

2023년 08월 22일 기준

4.4.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그래도 조금씩은 승차량이 오르고 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5년 253.43
2016년 412.43 △ 159
2017년 457.00 △ 44.57
2018년 577.42 △ 120.42
2019년 636.57 △ 59.15

4.5.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5번[4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명지국제7로
금강펜테리움1차 ▼ ▲ 중흥1차.부영동문
명지국제4로
경일고등학교입구 ▼ ▲ 경일고등학교후문
낙동남로
하단교차로 ▼ ▲ 하단역
낙동대로
진성철강 ▼ ▲ 감전동이마트
장인로
경북철강 ▼ ▲ 화진철강
새벽로
코레일사상역 ▼ ▲ 감전교회
광장로
감전동수문앞 ▼ ▲ 파라곤호텔
낙동대로
▲ 감전동수문앞
감전천로
가야대로
남해2지선고속도로
둔치도입구 ▼
가락대로
탑동 ▼ ▲ 렛츠런파크입구
미음산단5로42번길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 탑동
미음산단5로41번길
DSK ▼ ▲ 한국해양대학교 서부산융합캠퍼스
미음산단5로
강진산업 ▼ ▲ DSK
미음산단3로
조선해양기자재회관 ▼ ▲ 강진산업
미음산단로295번길
우성전기 ▼ ▲ 조선해양기자재회관
미음산단로
지사산단입구 ▼ ▲ 우성전기
과학산단로
금강 협성아파트 ▼ ▲ 동화엔텍
과학산단로306번길
지사휴먼시아아파트 ▼ ▲ 금강 협성아파트
과학산단2로20번길
에스피엘 ▼ ▲ 지사문화회관
과학산단2로19번길
삼영MT ▼ ▲ 에스피엘
과학산단로
이원솔루텍 ▼ ▲ 자동차부품멀티관
과학산단1로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비수도권 고속도로 경유 시내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부산광역시 1005 1008 2029
울산광역시 1733
충청남도
당진시
9200 9201 9202
전라남도
담양군
311 311-1 311-2
311-3 311-4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고령-대구서부
경상남도
양산시
1100 1200 1300
1500 3000 3100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신반-대구서부 의령,신반-마산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자동차전용도로 경유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005 1006 1008 1011 2000 2029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명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5 <colbgcolor=#dddddd,#212121> 1009 1011[a] 2000[a]
좌석 58-1
일반 3 55-1 55-2 58
58-2 61 122 124
128-1 520 171 161
마을 강서 8 강서 20 강서 21 강서 22
김해 914
음영표기: 국제신도시 경유 노선
[a]르노삼성대로로 운행하는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1004[심야]
1005[사]
일반
8[사]
33-1[사]
138-1[사]
161[사]
186[사]
마을
[심야] 심야 노선만 정차 [사] 경부선 사상역 경유 노선
}}}}}}}}} ||

가락동 경유 버스 노선
<colbgcolor=#E5007F> 급행 1005
일반 55-1 122
마을 강서2 강서7 강서7-2
다람쥐 강서6-1 강서7-1
김해 4 6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아치캠퍼스
급행 1006
일반 8 17 30 88
101 186 190[A]
다운타운캠퍼스
시외 부산역-진주(심야)[B]
급행 1000 1001[B] 1003[B] 1004
일반 2[B] 17 26 27
40 41 43 59
61 67 81
82 85 87 88
88-1[B] 101 103 134
167 171[B] 190[B] 508[B]
서부산융합캠퍼스
급행 1005
일반 55-1
마을 강서구7-2 강서구12[C]
{{{#!wiki style="margin: -2px -8px; letter-spacing: 0.3px; font-size: 0.8em" }}}}}}}}}


[토요일·공휴일] 6대 운행 [단독] [단독] [단독] [단독] [단독] [단독] [단독] [단독] [단독] [단독] [12] 주말에 막차와 막전차 간격이 70분이라 90분으로 적용된다. 강서차고지 개편 초반에는 배차간격이 평일 33분, 주말, 공휴일 35분으로 상당히 짧아졌었으나, 이 당시에는 차고지에서 얼마 쉬지도 못하고 다시 나와야 했고, 그렇게 차량이 다 나가고 나면 90~100분 가량 벌어졌었다. 이 때문에 결국 시간표를 다시 짜면서 원래의 40~60분 간격으로 돌아왔다. [13] 부산광역시도 자동차전용도로인 경부고속도로 구서IC 구간, 서부산낙동강교 등 무료통행 구간은 제외하고 한국도로공사 등이 관리하는 구 고속국도법 내지 도로법 10조 1항에 의한 고속도로. 요금소에 통행료를 내는 기준으로 판별한다. 엄밀히 말하자면 2000번 거가대교 통행료를 내지만 이 구간은 고속도로가 아니라 자동차전용도로다. [14] "1005번 노선은 고속으로 운행하는 구간이 많으므로 안전벨트를 반드시 착용하여 주시고, 운행 중 이동을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15] 하지만 승객이 매우 적어서 입석금지가 무의미하다. [16] 1011번도 2018년부턴 입석금지 스티커를 붙이지 않고 있다. [17] 경상남도의 렛츠런파크 영유권 주장 및 세금수익 공동 분배 협의로 인하여 일부 땅을 김해시에 양도했기 때문에 월경지가 되었다. [18] 161번과 이 노선이 겹치는 구간은 강서경찰서 일대와 사상역 일대밖에 없다. [19] 2015년 4월 17일까지 운행 [20] 1004번, 1005번, 2000번 [21] 1008번은 원리 기장군국민체육센터-정관(신도시)-철마-금정경찰서-부산대-동래역, 참고로 1008번은 자동차 전용 도로는 경유 하지만 자동차 전용 도로 경유를 하는 부산 시내버스노선 중 유일하게 입석금지를 안하고 있다. [22] 초읍 - 서면 - 가야시장 - 동의대학교입구 - 주례역 - 학장입구 - 낙동대교 - 명지새동네 간을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수요 부족으로 폐선되었다. [23] 김해국제공항 - 서부산낙동강교 - 학장입구 - 주례역 - 동의대학교입구 - 가야시장 - 서면간을 운행하던 공항버스 [24] 용원 - 맥도 - 덕천역 시절때 이 구간으로 운행했다. [25] 하단역 - 경일중.고교 - 서부산낙동강교 - 서부터미널을 운행했던 마을버스. 현재의 강서 6번과 관련 없다. [26] 2023년 7월 29일 폐선된 66번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으며 태진여객이 구포3동~공항을 운행하던 노선이였다. 1999년 폐선되었다. [27] 애초에 지사단지 자체가 공업단지와 주거지역이 거의 밀착해서 붙은 형태이다. 즉 통근 자체가 의미가 없을 정도로 거주지와 직장의 거리가 가깝다는 것. [28] 서부터미널 - 하단 구간은 123번, 126번, 138-1번, 338번등 하단역 - 용원 구간은 58-1번, 58-2번, 520번, 1009번, 2000번 [29] 이로인해 1004번이 타격을 많이 입었다. [30] 오성여객, 용화여객, 시민여객, 신성여객, 창성여객 [31] 이 동네는 서부산보다는 동부산권에 가까운 곳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가용이 없는 근로자들은 대부분 공단 인근에 거주하지 장거리인 동부산에는 거주하는 비율이 극히 드물다. 같은 날에 신설된 1011번도 1005번과 같이 동부산과 서부산 연결 목적으로 만들어진 노선이지만 녹산공단 연계는 잘 안하고 정작 서부산권인 명지에서 동명대, 해운대 쪽으로 나르는 역할과 중간 지점에 있는 영도권 주민들을 부산 동서 각지로 나르는 역할, 그리고 1001번이 커버하지 않는 동명대학교 부경대학교, 간접지원까지 포함하면 고신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스쿨버스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1011번의 경우 도시철도 등 대체노선이 없는데다 선형이 교통불편지역만을 훓기 때문이기도 하여 그럭저럭 성공하였다. 1011번이 성공한 것도 애초 신설목적인 공단 연계보다도 1001번의 상위호환 노선으로서 성공한 측면이 더 크다. 이 동네의 경우 회동공단이나 석대산단으로 출퇴근하는 비율이 더욱 많다. 훗날 1011번으로 해운대에서 녹산공단으로 실어나르는 수요가 많아져서 1011번의 신설 목적인 서부산 지역으로의 노동력 공급 면에서는 성공했지만 애초 지사산단과 녹산산단, 부산신항의 스케일이 다르다. [32] 급행버스 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버스인 3번, 58-2번, 168번과 마을버스인 강서21번과 똑같이 명지시장~ 낙동강하굿둑~ 하단역을 버젓히 답습하는데다 명지국제신도시 주민들이 그토록 염원했던 사상으로 연결되는 노선이긴 하나 3번과 같이 경일중.고교를 거쳐 외곽지역인 명지국제4로로 운행되는데다 서부지청에서 끊기는 점 때문에 수요를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거기다 긴 배차간격과 저속운행은 덤으로 평가가 매우 부정적이다. [33] 지사-율하는 58번 국도 ( 웅장로) 타고 산 하나 넘으면 되고 율하에서 지사로 출퇴근하는 통근자들도 있어서 이러한 주장이 나온거긴 하나 지사는 부산관할이고, 율하는 김해관할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어렵다. 123, 127번도 재정손실이라는 이유로 삼계연장을 막은게 김해시인데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는 준공영제이고, 김해시 시내버스는 민영제이기 때문에 이해충돌이 생길 수 있다. 현재는 장유 ~ 명지 노선인 김해 버스 914번 신설로 일단락 된 것으로 보인다. [34] 엄궁삼거리~서부터미널 [35] 하단역환승센터는 주거지와는 멀어서 이 노선을 잘 이용하지는 않는다. 주거지와 가까운 정류소를 경유하는 138-1번, 338번이 있는데 굳이 환승센터까지가서 이 노선을 이용할 이유가 없다. 배차간격도 두 노선보다 훨씬 밀린다. [36] 월, 금요일에는 500여명의 승객이 이용했다. [37]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일단 이 사이트에 들어간 뒤 설정찍고 보면 된다.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7을 나누면 1일 평균 총 승객수가 나오며,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1주일 간의 운행대수(1005번 47대)를 나누면 1일 대당 승객수가 나온다(평일과 주말의 인가대수가 다른 노선이 많으니, 반드시 주말 인가대수까지 확인해야 한다.). [38]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받은 자료에서 나온 수치다. [39] 1006번은 도시철도 해운대역까지 연장한 이후로 최소한 밥값은 하는 노선이 됐고 2020년 12월 31일에 신해운대역 추가 연장으로 장산역을 경유, 2021년 2월 27일에 영도 일대와 해운대구 우동 일대 몇몇 정류장에 추가정차를 하게 되면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가축수송목록에도 들어갔을 정도로 상황이 달라졌다. 문제는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종점 시절에도 이 노선보다 승객수와 운송수입금이 높았다. 1009번도 승객이 별로 없지만 이 노선보단 운송수입금이 꽤 높고 가축수송을 할때도 많으며, 강서구에서 고정승객이 꽤 많고 종종 가축수송을 하지만 이 노선은 그런것도 아니다. 물론 1기 노선 말하는거다. 차라리 사상터미널~지사구간만 운행 하는게 더 낫다. 하단~사상터미널은 338번이, 하단~지사는 강서12번, 55번이 담당하고 있기 때문. 하단~명지는 말할것도 없다. [40] 강서차고지 개편 전 노선이니 참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