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17:34:39

맥(상상의 동물)

맥(환상종)에서 넘어옴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파일:external/sainanin.com/hondobaku.jpg
맥을 조각한 일본 건축의 공포.( @)

1. 개요2. 요괴 맥이 등장하는 매체3. 기타

[clearfix]

1. 개요



동아시아 전승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이다. 맥기 혹은 맥이라고도 하며 일본에서는 바쿠라고 읽는다.[1] 코끼리의 코, 의 몸, 의 꼬리, 코뿔소의 눈, 호랑이의 발톱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 은근 실존동물 과 비슷하다.

쇠와 구리, , 대나무, 괴로운 악몽이 주식이다. 그리고 가죽은 요사스러운 것을 물리치는 유용한 생물이다. 중국에는 고대부터 쇠를 먹는 요괴들의 전승이 많이 있었는데, 맥은 개미핥기 아시아쪽으로 전해지던 중 와전되면서 창조된 동물이란 설이 있었는데, 사실 맥이라는 한자 자체는 고대 중국에서 자이언트판다를 가리키는 한자였다. 판다 판[2] # #

맥을 묘사한 조각들이 수출되면서 인기를 끌었다. 한국에서는 맥을 민화로 그리거나 궁궐의 굴뚝 등에 조각하기도 했고, 일본으로 건너가서는 악몽을 막아준다는 효험이 사악한 악몽을 먹는 요괴라는 형식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상술했던 여러 동물이 뒤섞인 키메라 같은 이미지는 당나라 때 만들어졌다. 19세기 프랑스의 중국학자 장 피에르 아벨 레뮈사는 이 한자가 가리키는 동물을 언어학적 맥락을 무시한 채 외모만으로 판단하면서 (고대 중국에는 서식하지 않았던) 말레이맥(tapir)으로 착각하고 제멋대로 이름을 붙인 것. 어떻게 보면 상상의 동물 기린의 이름이 아프리카 동물 기린(giraffe)에게 붙은 경위하고 비슷한 셈이다.[3]

이런 이야기도 있는데, 중국의 한 여행가가 동남아에 머물렀는데 어느 날 밤에 노숙하는 중 자다가 악몽을 꾸고 있었다. 그때 말레이맥 1마리가 부스럭거리며 나타나서 과일을 씹어먹는 소리를 들었고 그렇게 악몽에서 깨어난 그는 말레이테이퍼가 꿈을 먹는 동물이라고 생각하여 고향에서 친구들에게 그걸 이야기했다고 한다.

음양사 시리즈로 유명한 소설가 유메마쿠라 바쿠의 필명이 여기에서 따왔다.

2. 요괴 맥이 등장하는 매체

옛 고전 설화가 많이 알려지지 않은 현대의 많은 창작물에서는 실제 동물의 의 모습이 반영되어있다.

3. 기타



[1] 표기할 때는 실존 동물 맥은 카타카나 'バク(바쿠)'를, 이 상상의 동물 맥은 한자 '獏(발음은 바쿠)'를 쓴다. 참고로 獏는 본디 '개 이름 모'라는 훈음을 지닌 별개의 한자다. [2] 여담으로 판다를 한자로 쓸 때 현재는 곰고양이로 쓰며, 중국식 발음은 '숑마오(xióngmāo)'이다. [3] 다만 Tapirus augustu가 기원전 2000년까지 중국 남부와 베트남, 대만에 살았다는 추측도 있어 아주 확실치는 않다. [4] 다만 맥의 특성상 카즈키요가 꾸는 꿈의 뒷내용이 악몽이라 맥이 미리 먹어버렸다는 의견도 많다. [5] 맥의 정체는 다름아닌 신노스케 였으며, 악몽의 근원인 꿈 속 사키 엄마의 형체를 먹어대며 점차 힘을 빼앗아 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