猫 고양이 묘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犬,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ビョウ, ミョウ
|
||||||
일본어 훈독
|
ねこ
|
||||||
-
|
|||||||
표준 중국어
|
mā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猫는 '고양이 묘'라는 한자로, ' 고양이 및 살쾡이'를 뜻한다. 중국의 소수민족인 먀오족(猫族)을 가리키는 한자이기도 하다.뜻을 나타내는 犬(개 견)과 소리를 나타내는 苗(모 묘)를 합한 형성자이다. 고양이의 울음소리를 나타낸 의성어로 추정된다.[1]
대만에서는 본자인 貓를 사용하고 있다.
덩샤오핑의 흑묘백묘론의 묘가 바로 이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고양이 |
음 | 묘 | |
중국어 | 표준어 | māo |
광동어 | maau1 | |
감어 | mau4 | |
객가어 | meu | |
진어 | mau1 | |
민북어 | mê, miâu | |
민동어 | mà, mièu | |
민남어 | niau | |
오어 | mau (T3) | |
상어 | miau1 | |
일본어 | 음독 | びょう |
훈독 | ねこ | |
베트남어 | mèo |
본자로는 貓가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나베시마 네코미( 鍋 島 猫 美)
- 네코나리 타마(猫 成 珠)
- 네코 노보루(猫 登)
- 네코마타 오카유(猫 又 おかゆ)
- 네코모토(猫 本, ねこもと)
- 네코미야(猫 宮, ねこみや)
- 네코야시키(猫 屋 敷, ねこやしき)
- 네코이 유즈리하(猫 依 護 刃)
- 네코즈카(猫 塚, ねこづか)
- 네코타(猫 田, ねこた)
- 니다이 네코마루( 弐 大 猫 丸)
- 료타네코( 良 太猫)
- 뵤인자카 쿠로네코( 病 院 坂 黒猫)
- 사와리네코( 障り猫)
- 猫叉Master
3.4. 지명
3.5. 창작물
- 猫叉Master
- シュレーディンガーの猫
- ホメ猫☆センセーション
- 駅猫のワルツ
- 火焔猫 燐
- 猫娘
- 마법사와 검은 고양이 위즈
-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 猫(DISH//)
- 学猫叫
- 猫侍の逆襲
- 노라와 황녀와 도둑고양이 하트
3.6. 기타
3.7. 일본어
3.7.1. 훈독
- 猫(ねこ): 고양이
- 猫にかつおぶし: 고양이에게 가쓰오부시. 곧,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다.
- 猫(ねこ)の首(くび)に鈴(すず)をつける: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𤚐(검은소 리)
- 瞄(겨룰 묘)
- 喵(고양이우는소리 묘)
- 描(그릴 묘)
- 緢(깃술 묘)
- 媌(눈매고울 묘/모)
- 錨(닻 묘)
- 䅦(벼여물지않을 묘)
- 㑤(예쁠 묘)
- 𪃞(이묘 묘)
- 渵(큰물 묘)
- 𣈴
- 𤋙
5. 여담
[1]
고양이 울음소리를 영어로 'meow(미야오)'라고 표현하는데, 이 한자의 소리와 매우 유사하다. 喵(고양이 우는 소리 묘)는 나중에 등장한 글자다. 여담으로 이 한자의 일본어 훈독인 'ねこ(네코)' 중 '네' 역시 고양이 울음소리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