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4:02:12

주한일본공사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재 대한민국 내 일본의 외교공관에 대한 내용은 주한일본대사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내의 주요 외교공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미국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파일:청나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 덴마크에서는 외교공관을 두지 않았다.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일관계 관련 문서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역사 칠지도 · 신라-왜 전쟁 ·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가야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백강 전투 · 원나라의 일본원정 · 왜구 · 대마도 정벌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을묘왜변 · 사량진 왜변 · 임진왜란 · 조선통신사 · 기유약조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조규 · 조일통상장정 · 주한일본공사관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동학농민운동 · 갑오사변 · 을미사변 · 톈진 조약 · 제물포 조약 · 한성조약 · 제1차 한일협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니시-로젠 협정 · 영일동맹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러일전쟁 · 포츠머스 조약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대한제국 군대해산 · 남한 대토벌 작전 · 을사조약 · 한일의정서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정미 7조약 · 간도협약 · 한일병합조약 · 일제강점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선총독부 · 3.1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독립군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군 · 국가총동원법 · 일본군 위안부 · 8.15 광복
사건사고
미군정 우키시마호 사건
이승만 정부 6.25 전쟁 · 다이호마루 사건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독도대첩 · 재일교포 북송 ·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 평화선
박정희 정부 6.3 항쟁
문민정부 시노하라 사건 · 조선총독부 철거
국민의 정부 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참여정부 갑신왜란
이명박 정부 2010년 삼일절 사이버 전쟁 ·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박근혜 정부 한국의 강제징용공 사진 날조 사건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도미타 나오야 카메라 절도 사건 · 일본 축구부 단체 절도 사건
문재인 정부 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 저공 위협비행 사건 ·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 김포공항 일본 공무원 난동 사건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 홍대거리 일본 여행객 폭행 사건 · 대한민국 해경 일본 측량선 저지 사건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 · 2020 도쿄 올림픽 한국 선수단 현수막 논란
윤석열 정부 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 일본안보전략 독도영유권주장 ·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 논란
외교 한일관계 ( 2020년대) · 한일안보협력 · 한일수교 ·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한국-대만-일본 관계 · 한일동맹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일본대사관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전두환 대통령 일본국 공식 방문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6자회담 · 고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 고이즈미 담화 · 간 담화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위한 행동계획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 · 2023년 한일정상회담 ( 3월· 5월)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교통 한일 해저터널 · 한일 사전입국심사(검토중) · 항공편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항공편 · 선박편
기타 한국군 vs 자위대 · 한일전 · 혐한/일본 · 반일/대한민국 · 일본/과거사 청산 문제 ·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 독도 · 평화의 소녀상 · 동해/명칭 문제 · 토착왜구 · 친일파 · 친일반민족행위자 · 친일몰이 · 반일씹덕 · 일본의 한류 · 일본을 공격한다 · 일본 극우사관 · 예스 재팬 세대 · 자코타 삼각지대 · 오키나와 리그 }}}}}}}}}

파일:대한제국 국장.svg 대한제국 내의 외교공관
파일:일본 황실.svg
주한일본공사관
[ruby(駐韓, ruby=ちゅうかん)][ruby(日本公使館, ruby=にっぽんこうしかん)]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일본 황실.svg
국기 국장
<colbgcolor=#fff,#1F2023><colcolor=#b0313f,#ce4e5c>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26가길 6
상급기관 일본 제국 외무성
공사관 설치 1880년
공사관 폐쇄 1906년

1. 개요2. 역사
2.1. 일제강점기 이후 건물 및 터의 역사
2.1.1. 청수관2.1.2. 구 통감관저
3. 주한일본공사관 기록물4. 역대 공사 (1880 ~ 1906)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천연동 중구 예장동에 있었던 일본 제국의 옛 공사관이다.

2. 역사

1876년(고종 13년) 조선 강화도 조약을 체결한 일제는 4년 뒤인 1879년(고종 16년)에 조선에 공사관을 설치할 계획을 세우고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를 대리공사로 임명한 뒤 조선에 파견했다. 당시 일본인은 한성 사대문안에서 거주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하나부사는 돈의문 천연동에 있는 경기중군영을 공사관으로 삼고 그곳에 입주했다. 경기중군영은 조선 후기 경기도 순영의 지휘관인 중군이 있었던 곳으로, 이 일대에서 맑고(淸) 차가운 물(水)이 솟아난다 하여 '청수관(淸水館)'이란 별칭으로도 불렸다.[1]
반접관 홍우창이 일본 대리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가 청수관에 들어왔다고 보고하다
반접관(伴接官) 홍우창(洪祐昌)이 일본 대리공사(代理公使)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와 수행원 15인, 호위병 15명, 종자(從者) 4명이 오늘 신시(申時)에 관소(館所) 【청수관(淸水館)】 로 들어왔다고 보고하였다.
고종실록》 16권, 고종 16년( 1879년 4월 24일(정묘) 1번째 기사 #
1년 뒤인 1880년(고종 17년) 11월에 하나부사가 정식 공사로 임명받으면서 청수관은 정식으로 공사관이 되었다. 이는 조선이 외국과 근대식 외교관계를 맺은 이래 처음 생긴 외교공관이었다.
일본 판리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와 수원들이 청수관에 들어오다
반접관(伴接官) 김홍집(金弘集)이, ‘일본 판리공사(辦理公使)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와 수원(隨員) 4인(人), 함장(艦長) 1인, 전어관(傳語官) 2인, 호위병(護衛兵) 22명, 순사(巡査) 10명, 종자(從者) 2명이 오늘 술시(戌時) 경에 청수관(淸水館)에 들어왔습니다.’라고 아뢰었다.
고종실록》 17권, 고종 17년( 1880년 11월 16일(경진) 1번째 기사 #
파일:일본 공사관 습격.jpg
파일:임오군란 직후 청수관.png
<colbgcolor=#fff,#1F2023> 임오군란 때 습격받는 일본공사관 <colbgcolor=#fff,#1F2023> 불탄 일본공사관
1882년(고종 19년) 6월에 임오군란이 일어난 후 구식 군인들이 일본공사관을 습격했다. 공사관 직원 3명이 살해당했고, 하나부사 공사는 기밀 문서를 소각하고 다른 직원들과 함께 인천으로 도주했다. 이때 공사관 건물도 불탔다.
파일:교동 일본공사관.png
<colbgcolor=#fff,#1F2023> 교동 일본공사관
청수관이 불탄 후 일본공사관 측은 교동[2]에 새 공사관을 짓기로 하고, 1882년(고종 19년) 8월부터 남산 밑, 지금의 예장동에 있는 이종승(李鐘承)의 집을 임시로 빌려 입주했다. 1년 8개월 뒤인 1884년(고종 21년)에는 교동에 있는 박영효의 집으로 옮겨 새로 짓는 공사관의 완성된 건물과 함께 사용했다. 새 공사관은 그해 11월 천장절에 맞춰 낙성식을 거행했는데, 1달 뒤에 갑신정변으로 다시 불타 사라졌다.[3] 다시 갈 곳이 없어진 일본 공사관은 1885년(고종 22년) 1월 3일부터 전 경기감사 김보현의 집과 경기감영 선화당에 잠시 머물렀다.

일제 갑신정변의 사후 처리 및 피해 보상을 위해 조선과 《 한성조약》을 체결했고, 그 중 4조에 의거해 공사관 부지 및 건축비를 조선 측에 요구했다. 그렇게 해서 1885년(고종 22년) 1월 12일에 예장동으로 옮겼고 서양식 공관 공사를 시작했다. 그해부터 일본인들의 한성 거주가 허용되자 일본공사관을 중심으로 일본인들이 모여살았다. 일본인들은 자신들이 정착한 곳이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주둔하면서 을 쌓았던 곳이라 하여 '왜성대(倭城臺)' 혹은 '왜장대(倭將臺)'라 불렀다. 그리고 이 왜성대 일본공사관은 일제의 조선 침략 핵심 기지가 되었다. 1893년(고종 30년)에는 서양식 공관을 완공했다.
파일:external/www.tongilnews.com/109921_40138_1822.jpg
<colbgcolor=#fff,#1F2023> 남산에 있었던 일본공사관 건물. 한국통감부 설치 이후 통감 관저로 바뀌었다.
1905년(광무 9년) 11월에 일제 을사늑약을 강제 체결시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했다. 일본공사관은 한동안 유지되었다가 이듬해인 1906년(광무 10년) 2월에 한국통감부의 신설로 폐쇄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통감부 문서 참조. 구 일본공사관 건물은 통감관저로 바뀌었다.

1910년(융희 4년) 8월 22일에 이른바 《한일병합조약》을 이곳에서 체결했다. 일주일 뒤인 8월 29일에 공식 발표를 하면서 조선왕조는 518년 역사를 끝으로 멸망했고, 조선은 1945년 8월 15일까지 34년 11개월 16일 동안 일제의 식민통치를 받았다. 한국통감부는 조선총독부로 개편되었으며 조선총독부는 일제강점기 내내 조선을 수탈하고 조선인을 탄압하는 식민통치기관으로 기능했다. 이후 자세한 내용은 조선총독부 문서 참조.

8.15 광복 후 20년 뒤인 1965년에 대한민국 일본 외교관계를 재개했으며, 일본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학동에 대사관을 설치했다. 이후 자세한 내용은 주한일본대사관 문서 참조.

2.1. 일제강점기 이후 건물 및 터의 역사

2.1.1. 청수관

파일:향상회관.png
<colbgcolor=#fff,#1F2023> 일제강점기 청수관 자리에 들어선 향상회관[4]
첫 일본공사관이었던 청수관은 임오군란 때 불탄 후 한동안 폐허로 남아있다가 일제강점기에 '향상회관(向上會館)'이란 건물이 들어섰다. 향상회관은 일본 불교 종파 중 하나인 정토진종 대곡파가 세운 것으로, 일제의 내선일체 정책을 미화하고 추진하는 장소로 쓰였다.
파일:청수관 터.png
<colbgcolor=#fff,#1F2023> 현재 청수관 터[5]
8.15 광복 이후에는 동명재단에서 인수했고, 그 자리에는 동명여자중학교가 들어섰다. #

2.1.2. 구 통감관저

경술국치 이후 통감관저는 조선총독관저로 쓰였다. 1939년 새 총독관저를 경복궁 옛 후원 자리(현재 청와대 자리)에 세운 뒤부터는 역대 통감과 총독들의 ‘업적’을 기리고 유물을 전시하는 시정기념관으로 쓰였다. 당시 《매일신보》에서는 시정기념관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2층에는 17점의 사군자폭(四君子幅)이 걸려 있다. 이것을 보아가던 기자는 우뚝 걸음을 멈추지 않을 수 없는 방 안에 나섰다. 이 방은 합병조인실(合倂調印室). 이 방이 바로 30년 전 일한합병의 도장을 찍던 그 한순간을 가졌던 방인 것이다. 오늘의 조선을 낳아놓던 역사적 산실(産室)이요, 이 강산 백의인에게 새길을 밝혀준 봉화대(烽火臺)도 되었던 것이다. 여섯 칸 남짓한 방 안에 거울을 좌우로 이토공(伊藤公)으로부터 미나미 총독에 이르기까지 8대 통감 총독들의 흉상이 놓여 있고 중앙의 테블- 그 위에는 벼룻집과 ‘잉크 스탠드’가 있고 좌우로 네 개의 의자와 한 개의 소파가 놓여 있다. ‘자, 이것으로서 완전히 우리는 한 형제요 한 임군을 섬기며 나아갈 길을 연 것이요’ 하며 ‘허허허…’ 하고 소리를 높여 웃는 옛 어른들의 환영이 눈앞에 움직이는 것 같다.
1940년 11월 22일 《 매일신보》 기사.
통감관저 건물은 광복 이후에도 한동안 남아있었다. 1946년 4월에는 국립민족박물관이 들어섰고, 1950년에 국립민족박물관이 국립박물관으로 흡수되면서 남산 분관으로 쓰였다. 1954년 6월에는 신설된 연합참모본부가 입주했고 국립박물관은 덕수궁 석조전으로 옮겨갔다.
정부는 시내 중구 예장동에 있는 '연합참모본부 건물'을 개수 내지 증축해서 국무총리 관저로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동 건물은 신관과 구관으로 되어 있는바 한일합병조약 체결 당시 합병조인을 하였던 구관은 건물이 낡았기 때문에 허물어 버리고 신관만을 개수 또는 증축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1960년 9월 22일 《동아일보》 기사.
1960년에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통감관저를 국무총리 관저로 쓰려고 했다. 그러나 1961년 5.16 군사정변이 터져 중앙정보부가 생긴 이후 이 일대는 완전히 비밀스러운 공간이 되었고, 구 통감관저 건물은 사람들의 기억에서 거의 잊혔다.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110820017301782_thumb_400.jpg
<colbgcolor=#fff,#1F2023> 통감관저 알림 표석
건물은 현재 헐려 사라진 상태이며 언제 헐렸는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 한동안 이 자리는 그냥 빈 터로 남았으며 통감관저 터임을 알리는 그 어떤 구조물도 없었다. 그러다 2003년 경부터 근현대문화재 전문가 이순우가 각종 자료를 뒤지며 3년간 추적하고 고증한 끝에 2005년에야 거의 망각에 빠진 통감관저 터를 찾아냈다. 그후 이순우는 민족문제연구소와 함께 경술국치가 시작된 '통감관저 터'임을 알리는 표지석을 세우고자 노력했지만, 서울특별시 중구청의 비협조로 세우지 못했다가 2010년 8월 29일에야 경술국치 100년을 맞아 표석을 세울 수 있었다.

2016년 8월 29일에 서울특별시에서 통감관저 터에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록, 피해기록, 일제 만행 기록을 중심으로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를 조성하여 개장했다. 대지의 눈[6], 세상의 배꼽[7] 등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아픈 역사를 기릴 수 있는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미술품을 만든 임옥상 작가가 2023년 6월 1심서 성추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자 9월에 철거했고, '세상의 배꼽'은 윤석남의 그림 및 서명이 새겨져 있다는 이유로 서울시여성가족재단에 보관되었다. # 이 조치가 논란이 되자 2024년 1월 서울시는 재조성 추진 계획을 마련하여 4월 15일부터 6월 17일까지 공모를 진행했다. #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0081701690001300_P2.jpg
파일:external/img.hani.co.kr/125073549412_20090821.jpg
<colbgcolor=#fff,#1F2023> 통감관저 앞에 있던 하야시 곤스케 동상 <colbgcolor=#fff,#1F2023> 잔디밭에 파묻힌 하야시 곤스케 동상 좌대의 판석
일제가 사용하던 시절 이곳에 전 일본 공사 하야시 곤스케의 동상도 있었는데, 8.15 광복 이후 시점을 알 수 없는 어느 시기에 철거되었다. 이순우 우리문화재자료연구소장이 2005년 8월 구 통감관저 터를 찾다가 하야시 곤스케의 동상을 받치던 좌대에 쓰인 판석 몇 점을 발견했는데, 여기에는 '남작하야시곤스케군상(男爵林權助君像)'이라는 명문이 있었다. 2010년에는 판석에 새긴 명문을 누군가가 훼손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2015년 8월 서울특별시에서는 을사늑약의 치욕을 잊지 않겠다는 뜻으로 판석을 모아 야외에 거꾸로 세워서 시민들이 볼 수 있도록 전시했다. KBS 보도 좌대 위에 있던 동상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3. 주한일본공사관 기록물

주한일본공사관기록·통감부문서는 국사편찬위원회가 유일 소장하고 있는 1894년부터 1910년까지의 주한일본공사관·통감부의 문서를 디지털화한 것으로 근대 한일관계사를 비롯한 국제 관계사, 정치사, 경제사 등 한국 근대사 연구의 기본적인 자료이다. 주한일본공사관·영사관과 일본 외무성, 각국 주재 일본 공사관·영사관과 일본 외무성 등이 주고받은 비밀 전보·공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본 경시청·헌병대의 비밀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 명성황후 시해사건, 러일전쟁, 한일의정서·을사조약·한일신협약 체결, 고종의 강제 퇴위 관계, 안중근 의거, 국권 침탈 등에 관한 일본의 정책이 적나라하게 나타나 있다. 내용이 매우 자세할 뿐 아니라 밀담이나 수정되기 이전의 초안들이 많아 정책의 집행 과정은 물론 수립 과정까지도 상세히 살펴 볼 수 있다. 이 기록에는 주한 일본 외교관들이 한국의 정치세력이나 열강의 동정에 대한 세밀한 정보를 첩보원을 통해 입수해 본국에 보고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모습도 생생하게 나타나 있다.
- 한국사데이터베이스의 소개글
주한일본공사관에서 본국 외무부에 송신한 기록물들은 대부분 국역되어 있다. 통감부에서 남긴 기록물들과 한데 묶여 있으며,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그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구한말 당시의 일본의 행동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꼽힌다.

4. 역대 공사 (1880 ~ 1906)

이름 임기 시작일 임기 종료일 지위 비고
하나부사 요시모토 1880년 4월 17일 1882년 11월 6일 변리공사 1877년 ~ 1880년
조선차견 · 외무대서기관 겸 대리공사
다케조에 신이치로 1882년 11월 6일 1887년 8월 6일 변리공사
곤도 마스키 1887년 8월 6일 1890년 12월 17일 대리공사
가와키타 도시스케 1890년 12월 17일 1891년 3월 10일 대리공사 재임 중 사망
가지야마 데이스케 1891년 3월 24일 1892년 12월 16일 변리공사
오오이시 마사미 1892년 12월 16일 1893년 7월 26일 변리공사
오토리 게이스케 1893년 7월 26일 1894년 10월 15일 특명전권공사
이노우에 가오루 1894년 10월 15일 1895년 8월 17일 특명전권공사
미우라 고로 1895년 8월 17일 1895년 10월 17일 특명전권공사 을미사변 원흉
고무라 주타로 1895년 10월 17일 1896년 4월 8일 변리공사
1896년 4월 8일 1896년 6월 11일 특명전권공사
하라 다카시 1896년 6월 11일 1897년 2월 23일 특명전권공사
가토 마스오 1897년 2월 23일 1898년 11월 29일 변리공사 마지막 주조선일본공사
첫 주한일본공사
1898년 11월 29일 1899년 6월 1일 특명전권공사
하야시 곤스케 1899년 6월 1일 1906년 1월 31일 특명전권공사 최장 재임
마지막 주한일본공사

[1] 이괄의 난 당시 이괄군이 주둔하던 곳이기도 했다. [2]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운동·관훈동 일대. [3] 한때 민중들의 방화로 알려졌으나, 지금은 일본공사관에서 문서를 소각하다 불이 옮겨붙었다는 학설이 타당성을 얻고 있다. [4] 사진 출처 - 서울역사아카이브. [5] 사진 출처 - 네이버 지도. [6] 위안부 피해 할머니 247명의 이름이 적혀있는 구조물. "우리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우리의 이 아픈 역사가 잊혀지는 것입니다."란 문구가 상단에 있고, 그 옆에는 김순덕 할머니가 그린 그림 〈끌려감〉이 조각되어 있다. [7] 인위적으로 다듬은 큰 돌(배꼽을 형상화) 사방에 다듬지 않은 여러 돌들이 놓여있는 공간. 큰 돌에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 된다'는 구절이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총 4개 국어로 새겨져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 ( 이전 역사)
문서의 r286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