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秋溪 秋氏 추계 추씨 |
|
관향 | <colbgcolor=#fff,#191919>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추계리 |
시조 | 추엽(秋饁) |
중시조 | 추적(秋適) |
집성촌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
인구 | 60,483명(2015년) | 국내 66위 |
링크 | 추계추씨종친회 |
[clearfix]
1. 개요
추계[1] 추씨와 전주 추씨가 있는데 뿌리는 같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등의 문헌에 함흥, 제주, 청주, 개성, 강화, 파평 등 47본까지 기록돼 있는데 이 또한 모두 혈족관계로서 같은 뿌리다.2. 역사
본디 중국에 기원을 둔 성씨로서 한국보다 중국에 기록이 훨씬 많이 남아있는데, 중국 춘추5패 제환공의 대부(大夫) 중손추(仲孫湫)가 그 아들의 성명(姓名)을 추호(湫胡)로 짓고 추(湫)를 추(秋)로 사용하면서부터 생겨난 성씨이다.시조 추엽은 중국 남송 고종 소흥 11년(서기 1141년) 문과에 급제하여 적부라직을 역임하였다. 적부라는 오늘날의 국립도서관장. 그는 고려 인종 때 가솔을 이끌고 함흥 연화도에 정착하여 한국 추씨의 시조가 되었다. 시조 추엽의 묘소는 함경남도 함흥시 연화도에 있으며, 1868년(고종 5년) 통훈대부 연천현감 남정하가 묘갈명을 썼다.
추엽의 아들 추황(추영수)이 1209년(희종 5년) 진사시에 장원급제하고,[2] 1213년(강종 3년) 문과에 급제한 후 몽골의 침략으로 1232년(고종 19년) 도읍을 강화도로 옮겨 항전하던 비상 시대에 임금을 잘 모신 공으로 예문관 대제학을 거쳐 문하시중을 역임하였으며, 명유 우대정책에 힘입어 훌륭한 제자를 많이 배출하였기 때문에 이학종사(理學宗師)로 추앙받았다.
추황의 아들 추적은 1260년(원종 1년) 문과에 급제한 뒤 안동서기·직사관을 거쳐 좌사간에 오르고, 충렬왕 때 민부상서와 예문관 대제학을 역임하였다. 추적은 시랑 겸 국학교수로 재임할 때 《 명심보감》을 편찬하여 중국에 전파하였다.
추적의 장남 추진은 교서랑으로 관직을 시작하여, 원주 판관을 지낸 다음, 천장시에 급제함으로써 일약 보문각 직제학으로 승진하였다. 공민왕이 등극한 후에 광록대부 병부상서가 되었으며, 친원파에 대한 숙청이 시작되자 과업을 수행하였다. 공민왕 12년에 벼슬에서 물러나 궤장을 하사받았다. 시호는 충효.[3]
추진의 장남 추유는 1362년( 공민왕 11년) 18세에 성균시에 급제하였으나, 권세와 간신배들로 인하여 기울어져 가는 고려를 떠나 중국으로 귀환하였다.[4] 한국 양쯔강 하류 강변에 있는 고찰 금산사에 도착하여 주원장을 만나 혈맹을 맺고, 호주 출신의 지장 서달과 탕화와도 동지로서 뜻을 같이하기로 맹세하였다. 1363년 화주에서 반원군의 지도자 진우량의 대군을 격파하였다. 추유는 이 결전에 행군총관으로서 치밀한 작전을 세워 성의백과 함께 첫 출전하여 승전을 올린 것이다. 추유는 명나라 개국공신으로 병부시랑 좌간의대부가 되어 북벌군에 합류하여 원나라의 수도 연경을 점령하고 몽골 세력을 멀리 카라코룸으로 몰아냈다. 벼슬은 호부상서에 이르렀다. 1393년(홍무 26년) 명나라의 안위사로서 조선을 방문하였다.[5]
추유의 아들 추귤은 1392년( 명나라 홍무 25년) 문과에 급제한 뒤 산동첨사가 되자 영락제를 황제의 보위에 올린 공신이 되어 상서좌복야에 이르렀고, 추귤의 아들 추섭은 1438년(정통 3년) 명나라 문과에 급제하여 중서사인 등을 역임한 뒤 안찰사가 되었다.
추섭의 아들 추서는 명나라 성화 원년(1465년) 문과에 급제한 뒤 도지휘사가 되었을 때 왜구가 명나라 해안의 도처에 침범하자 봉수제를 시행함으로써 왜구를 소탕하였으며, 벼슬은 병부상서에 이르렀고, 추서의 아들 추천일은 명나라 정덕 원년(1506년) 진사시에 급제하고, 정덕 5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부좌시랑을 지냈다.
한편, 조선에 남아있던 8세손 추익한은 홍문관 부수찬, 호조좌랑을 거쳐 호조정랑으로 승진한 뒤, 한성부윤을 끝으로 관직을 떠나 고향인 강원도로 낙향하였다. 영월 유배 중인 단종을 극진히 모신 충신으로 단종의 영정을 모신 영모전과 충절사에 엄흥도·정사종과 함께 배향되었다
10세손 추수경은 명나라 문과에 급제하여 안찰사 등 요직을 역임한 후, 벼슬은 무강자사에 이르렀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여송의 부장으로서 명나라 총병아장으로 아들 5형제와 함께 조선에 파병되었다. 곽산, 동래 등지에서 많은 전공을 세웠으며, 명나라로 돌아가지 않고 함께 참전한 아들들과 전주의 추동에서 살았다. 정유재란 때 전주싸움에서 전사하여 사후에 완산 부원군에 추봉되었는데, 선조가 공을 기려 본관을 부여하였다. 전주 추씨의 시조.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를 많이 배출하였는데, 한말 칠의사[6] 중 한 사람인 추치경은 충주 장현 전투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순국하였고, 추용만과 추용소 형제[7]는 합천에서 결사대를 조직하여 일본 수비대를 공격하다가 장렬히 전사하였다. 또한 추기엽은 해남· 영암 등지에서 150여 명의 부하 의병을 이끌고 육지와 해상에서 일본군과 대소 40여 회의 전투를 수행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이다가 순국하였고,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으며, 추삼만, 추진구, 추칠성 등에 대하여도 활발한 의병활동으로 독립운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건국훈장 독립장과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그 외에 독립운동가 추교철은 1919년 7월 군자금 모집을 통해 임시정부를 지원할 목적으로 비밀결사 독립애국단을 조직하는 한편, 임시정부로부터 군자금 모금지령서를 교부받아 자산가들에게 독립군 명의의 사형선고서를 우송하며 군자금 수합활동을 펴다가 1920년 일경에 체포되어 3년간 옥고를 치렀고, 정부에서는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으며, 추경춘, 추공집, 추규영, 추득천, 추병갑, 추병륜, 추병원, 추성렬, 추성배, 추은명, 추홍순 등도 3.1운동에 적극 가담한 공로로 정부에서 각각 건국훈장 애족장과 건국훈장 애국장, 그리고 대통령표창 등을 추서하였다.
3. 항렬표
- 【 펼치기 · 접기 】
- ||<table align=center><tablewidth=800><tablebordercolor=#3d428b><bgcolor=#3d428b><rowcolor=#ece5b6><width=17%> 세수 ||<bgcolor=#3d428b><width=83%> 항렬자 ||
19世 혁(赫)○|현(顯)○|종(鍾)○ 20世 ○규(圭)|○주(周)|○순(淳) 21世 용(鏞)○|종(鍾)○|상(相)○ 22世 ○구(求)|○영(永)|○환(煥) 23世 병(秉)○|동(東)○|규(圭)○ 24世 ○엽(燁)|○환(煥)|○현(鉉) 25世 교(敎)○|성(聲)○|영(永)○ 26世 ○호(鎬)|○수(銖)|○병(柄) 27世 연(淵)○|한(漢)○|렬(烈)○ 28世 ○식(植)|○근(根)|○재(在) 29世 현(顯)○|연(然)○|석(錫)○ 30世 ○윤(潤) 31世 근(根)○ 32世 희(熙)○ 33世 ○기(基) 34世 용(鎔)○ 35世 ○철(澈) 36世 동(東)○ 37世 ○훈(勳) 38世 효(孝)○ 39世 ○영(榮)|○형(炯)|○진(鎭) 40世 문(汶)○ 41世 ○식(植) 42世 헌(憲)○ 43世 ○배(培) 44世 연(練)○ 45世 ○수(洙) 46世 병(秉)○ 47世 ○휴(烋) 48世 증(增)○
4. 실존 인물
- 추경석 - 공무원, 제8·9대 국세청장, 제2대 건설교통부장관, 추규영의 장남, 구인회ㆍ 이재준의 사돈
- 추경호 - 정치인, 제6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제20·21대 국민의힘 국회의원 및 원내수석부대표, 제2대 국무조정실장, 제4대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 추광영 - 언론인, 교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명예교수, 전 KBS 이사
- 추광호 - 교수,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전 Caltech 방문교수
- 추광호 - 뮤지컬 배우, 위의 추광호와 동명이인
- 추교성 - 여자 탁구 국가대표 감독, 전 국가대표 탁구 선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추귀정 - 배우, 다홍엔터테인먼트 소속
- 추규영 - 독립운동가, 공무원, 제4대 전라남도지사, 제3대 조폐공사 사장, 추경석의 부친
- 추규호 - 외교관, 주 교황청 대한민국 대사관 특명전권대사, 전 주영 대한민국 대사관 특명전권대사, 전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 전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
- 추기능 - 교육인, 해군사관학교 교수, 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팀장
- 추기엽 - 기업인, 삼원약품 설립자
- 추다혜 - 음악인, 소리꾼, 추다혜차지스 소속
- 추단비 - 연예인, YOURS의 멤버 단비, 샌드박스 네트워크 소속, 전 달빛소녀의 멤버
- 추대엽 - 연예인, 개그맨, 카피추
- 추명호 - 공무원, 전 국가정보원 국장, 우병우 사단, 알자회 소속
- 추무빈 - 야구선수, 추신수의 장남
- 추무진 - 의사, 교수, 이재명 캠프 공중보건의료특보단 단장, 제5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이사장, 제38·39대 대한의사협회 회장, 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추미애 - 정치인, 제67대 법무부장관, 제15·16·18·19·20·22대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제2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전 판사
- 추미정 - 레이싱걸, 배우, 전 키스파이브의 멤버 나은
- 추민기 - 배우, 추신수의 동생, 박정태의 조카
- 추민수 - 의사,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보라매병원 결석내시경센터장
- 추민식 - 프로게이머, Team BM 소속
- 추민열 - 축구선수, 고양시민축구단 소속
- 추민종 - 남자수구 국가대표 선수
- 추민주 - 극작가, 연출가, 빨래, 나쁜자석, 영심이
- 추민희 - 여자카누 국가대표 선수
- 추병직 - 공무원, 제13대 국토교통부 장관, 제8대 건설교통부 차관, 제11대 주택산업연구원 이사장
- 추부길 - 공무원, 이승만건국대통령기념위원회 자문위원, 전 청와대 정무수석실 홍보기획비서관, 전 북관대첩비기념사업회 사무총장
- 추사랑 - 연예인, 추성훈ㆍ 야노 시호의 장녀
- 추상록 - 배우, 영화감독, 추송웅의 장남, 추상미의 오빠
- 추상미 - 배우, 영화감독, 추송웅의 장녀, 추상록의 동생, 이석준의 배우자
- 추상훈 - 축구선수, 제주 유나이티드 소속
- 추서준 - 래퍼, 마인필드 소속
- 추성건 - 자양중학교 야구감독, 전 국가대표 야구선수, 전 두산 베어스 야구선수
- 추성일 - 의사, 우리동네산부인과, 우리동산 공동 운영자
- 추성춘 - 언론인, 전 제주MBC 대표이사 사장, 전 외무부 외교정책자문위원
- 추성호 - 축구코치, FC 목포 소속, 전 부산 아이파크 축구선수
- 추성훈 - 연예인, 종합격투기 선수, ONE Championship 소속, 전 UFC 소속,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야노 시호의 배우자
- 추소연 - 치어리더, 대전 하나 시티즌 소속
- 추소영 - 모델, 배우, 전 더 빨강의 멤버
- 추소정 - 연예인, 우주소녀의 멤버 엑시(EXY)
- 추송웅 - 배우, 추상미ㆍ 추상록의 부친
- 추수빈 - 모델, 배우
- 추수현 - 모델, 배우, 높은엔터테인먼트 소속
- 추승균 - SPOTV 해설위원, 전 국가대표 농구선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전 전주 KCC 이지스 감독, 전 전주 KCC 이지스 농구선수
- 추승민 - 前 삼성 라이온즈 투수
- 추승우 - 한화 이글스 2군 작전·주루코치
- 추승일 - 모델, 배우
- 추신수 - SSG 랜더스 외야수, 박정태의 조카. 추민기의 형, 추무빈의 부친
- 추연곤 - 교수, 외교관, 전 과테말라 대사, 전 엘살바도르 대사, 한남대학교 교수
- 추연길 - 공공기관장, 제11대 부산시설공단 이사장, 전 부산항만공사 본부장
- 추연성 - 뮤지컬 배우
- 추연지 - 치어리더
- 추영수 - 시인
- 추영우 - 모델, 배우, 제이와이드컴퍼니 소속
- 추예진 - 모델, 배우, 판타지오 소속
- 추우준 - 축구선수, 슬로바키아 졸릭 말라키 소속
- 추욱호 - 공무원, 교수, 기업인, 전 조달청 차장, 전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
- 추원희 - 배우, 아이돌학교 참가자
- 추월영 - 교육인, 전 부산여고, 경남고, 부산고 교장, 추지석ㆍ 추준석ㆍ 추호석의 부친
- 추윤성 - 떡진밥 유튜버
- 추윤정 - 모델, 래퍼, 애쉬비 (Ash-B)
- 추은빈 - 아프리카TV BJ, 추랑이
- 추은열 - 예명 추가열, 싱어송라이터, 한국음악저작권협회 회장, 전 SM엔터테인먼트 소속
- 추인엽 - 화가, 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강사, 전 예술의전당 강사. 전 국립현대미술관 강사
- 추일승 - 남자 농구 국가대표 감독, 전 SPOTV 해설위원, 전 고양 오리온스 감독, 전 부산 KTF 매직윙스 감독, 전 부산코리아텐더 맥스텐 감독, 전 상무 불사조 감독, 전 기아자동차 농구선수
- 추자현 - 본명 추은주, 배우, BH엔터테인먼트 소속
- 추장민 - 공무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원장,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미래정책연구단장, 국무총리 소속 미세먼지특별대책위원회 위원
- 추재엽 - 법조인, 전 대구지법 안동지원장, 전 부산지법 진주지원장, 전 전주지법 군산지원장, 전 판사
- 추재엽 - 공무원, 전 양천구 구청장, 위의 추재엽과 동명이인
- 추재현 - 롯데 자이언츠 외야수
- 추정호 - 축구선수, 부천FC 1995 소속, 전 전남 드래곤즈 소속
- 추정화 - 뮤지컬 배우, 극작가, EMK뮤지컬컴퍼니 소속
- 추종민 - 前 두산 베어스 투수
- 추종연 - 외교관, 주 콜롬비아 대사, 전 주 아르헨티나 대사, 전 국무총리실 외교보좌관
- 추준석 - 공무원, 제3대 중소기업청장, 부산항만공사 초대사장, 전 대통령비서실 경제비서관, 추월영의 아들, 추지석의 동생, 추호석의 형
- 시우(JUST B) - 가수, JUST B의 멤버 시우, I-LAND 참가자
- 추지석 - 기업인, 전 효성그룹 부회장, 추월영의 아들, 추준석ㆍ 추호석의 형
- 추지웅 - 유튜버, 티키틱의 멤버 추추
- 추지윤 - 아나운서, SPOTV 소속
- 추지현 - 교육인,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추진수 - 법조인, 전 광주고등법원 부장판사, 제21대 광주지방변호사회 회장, 전 판사
- 추창민 - 영화감독. 마파도, 광해, 왕이 된 남자, 그대를 사랑합니다, 7년의 밤
- 추철민 - 농구코치, 전 농구선수, 전 대구 오리온스, 부산 KTF 매직윙스, 전주 KCC 이지스 소속
- 추태귀 - 교육인,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전 경북대학교 부총장, 전 상주대학교 총장
- 추태화 - 교육인, 안양대학교 부총장, 이레문화연구소 소장
- 추평강 - 축구선수,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 소속, 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
- 추평호 - KBO 리그 심판, 前 해태타이거즈 야구선수
- 추한찬 - 전 국가대표 농구선수
- 추헌곤 - 가수, 클래지콰이의 멤버 알렉스. 배우 강신성일의 6촌 조카, 국회의원 강석호의 조카, 추헌엽의 사촌
- 추헌성 - 아프리카TV BJ
- 추헌엽 - 배우, 제이에스픽쳐스 소속, 클래지콰이의 멤버 알렉스의 사촌
- 추혁진 - 가수, 에이션의 멤버 혁진, 다섯장의 멤버
- 추현만 - 공무원, 제17대 인천서부소방서 서장, 제14대 공단소방서 서장, 인천국민안전체험관장
- 추현종 - 뮤지컬 배우, 연극 배우, 창작집단 깍두기 대표
- 추현탁 - 국악인, 다올소리 소속
- 추형욱 - 기업인, SK E&S 대표이사 사장, SK 수소사업추진단 단장, 제7대 민간발전협회 회장, 제10대 한국집단에너지협회 회장
- 추혜선 - 정치인,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상임이사, 제20대 정의당 국회의원, 전 정의당 수석대변인
- 추혜용 - 기업인, 삼성 디스플레이 부사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위원, 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장
- 추혜인 - 의사, 살림의원 원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외래교수
- 추혜정 - 프리랜서 아나운서, 전 채널A 기상캐스터, 전 아시아나항공 승무원
- 추호경 - 법조인, 법무법인 대륙아주 고문변호사, 전 대전지검 천안지청장, 전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초대원장, 전 검사
- 추호석 - 기업인, 교육인, 대우학원 이사장, 전 대우중공업 종합기계부문 대표이사(현 두산인프라코어) 사장, 추월영의 아들, 추지석ㆍ 추준석의 동생
- 추호정 - 교수,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제27대 한국유통학회 회장
- 추화우 - 프로게이머, hyFresh BLADE 소속
- 추화일 - 전 국가대표 사격 선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추화정 - 가수, IOK컴퍼니 소속, 전 D.Holic의 멤버 화정
- 추효주 - 국가대표 축구선수, 수원도시공사 여자 축구단 소속
- 추희명 - 성악가, 교수, 줄리아드 스쿨 출신, 안양대학교 성악과 교수
- 코스챠 추 - 복싱선수, 러시아 국적의 고려인 복서, WBA, WBC, IBF 통합챔피언
- Choo - 래퍼, 본명 추현승
4.1. 가상 인물
- 추 - 모바일 레전드
- 추 - 유유백서
- 추가을 - 꽃보다 남자
- 추경모 - 커플브레이커
- 추경숙 - 어머님은 내 며느리
- 추교요 - 삼국지톡
- 추국 - 가담항설
- 추기배 - 마의
- 추남호 - 김과장
- 추돈식 - 하이에나
- 추동우 - 언더커버
- 추두나 - 나를 바꿔줘
- 추룡 -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
- 추매옥 - 경이로운 소문 & 경이로운 소문(드라마)
- 추민수 - 도도솔솔라라솔
- 추민하 - 슬기로운 의사생활
- 추범구 - 오디션
- 추상우 - 시맨틱 에러
- 추상은 - 마당이 있는 집
- 추성웅 - 스터디그룹
- 추숙자 - 질풍기획!
- 추씨 - 클로버 4/3
- 추씨 - 삼국지
- 추아름 - 언니는 살아있다!
- 추연우 - 온에어
- 추연희 - 플레이어
- 추영달 - 부자의 탄생
- 추영우 - 조선변호사
- 추운석 - 부자의 탄생
- 추운행 - 겁난유세
- 추원기 - 플레이어
- 추원애 - 아직 최선을 다하지 않았을 뿐
- 추을 - 문아
- 추인회 - 결백
- 추일령 - 겁난유세
- 추자풍 - 정열맨, 낚시신공
- 추재범 - 경비실에서 안내방송 드립니다
- 추재황 - 스터디그룹
- 추천석 - 한국 설화
- 추태수 - 언니는 살아있다!
- 추호태 - 섬마을 선생님
- 추희선 - 여고추리반
[1]
지금의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추계리
[2]
고려사 권74, 지제28, 선거(選擧)2
#
[3]
추적의 차남 추뢰 또한
국학에서 배운 뒤에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은 사간원 사간에 이르렀다.[8]
[4]
여기서 한국의 추씨들이 분화된다. 중국으로 귀환했던 추유의 후손들은 10세손 추수경에 이르러
임진왜란 때
명나라 총병
이여송의 부장으로 다시 한국으로 돌아오게 되고, 한국에 남아있던 추진의 후손들은 8세손 추익한에 이르러 다시 역사에 이름을 드러내게 된다.
[5]
추진의 차남 추협 또한 1363년 형 추유를 따라
중국으로 떠나
절강성에서 농민군을 모아 한때 8,000명의 군세를 거느리고
명나라 창업에 큰 훈공을 세워 추유와 함께 건국 공신의 반열에 올랐다. 벼슬은 태복에 이르렀다.
[6]
추치경(추성손), 김용이, 김재관, 오문룡, 우재봉, 박원용, 우규하
[7]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