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10:37:47

명활성

명활산성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1e1f,#fff>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1e1f,#fff>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남산 일원 |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 불곡 마애여래좌상 |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 칠불암 마애불상군 |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 배동 삼릉 | 일성왕릉 | 정강왕릉 | 지마왕릉 | 경애왕릉 | 포석정지 | 서출지 | 나정
계림 | 월성 | 내물왕릉 | 동궁과 월지 | 첨성대
대릉원 | 오릉
황룡사지 | 분황사 모전석탑
명활성
※ 관련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colbgcolor=#315288> 경주 명활성
慶州 明活城
Myeonghwalseong Fortress\, Gyeongju
소재지 <colbgcolor=#fff,#1f2023> 경북 경주시 보문동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895\,706㎡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시대 신라시대
소유단체 경주시
관리단체 경주시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 경주역사유적지구
Gyeongju Historic Areas
Zones historiques de Gyeongju
<colcolor=#fff>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경상북도 경주시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976
등재연도 2000년
등재기준 (ii)[1], (iii)[2] }}}
파일:MHSS.jpg
<colbgcolor=#4a2d5b> 명활성

1. 개요2. 역사3. 명활산성비4. 여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명활산 꼭대기에 위치한 자연석을 이용하여 쌓은 둘레 약 6km의 신라시대 산성으로 당대의 왕경 방어 시설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시설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3] 또한 2000년 11월 29일 호주 케언즈에서 개최된 제24차 세계유산위원회(World Heritage Committee)[4]에서 경주시에 분포한 여러 유적들과 함께 경주역사유적지구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명활성은 경주역사유적지구에 포함된 5개의 지구 중 산성지구(Sansong (Fortress) Belt)를 이루고 있는 유일한 문화유산이기도 하다.

명활성 관련 사진에서 쉽게 볼 수 있듯이 현재 복원이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아 일반 관광객 접근성은 그리 좋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로 경주시가 유적 복원 및 관광 산업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에 명활성도 복원될 예정이다.

2. 역사

정확한 축성 시기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으나 『 삼국사기』에 따르면 실성 마립간 4년(405)에 왜구 동해 쪽으로 쳐들어와 명활성을 공격했다는 기록이 있어 적어도 그보다 이른 시기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을 쌓는 방식에서도 돌을 다듬지 않고 사용하는 등 신라 초기의 건축 방식을 보이고 있어 일반적으로 신라 초기에 세워진 성으로 파악하는 편이다. 다만 진흥왕 때 제작된 명활산성작성비에는 551년 11월 15일에 성을 쌓기 시작해 12월 20일에 완성했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기존에 없던 성을 완전히 새로 만든 것이 아니고 기존의 성을 기초로 해서 보강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 역사를 통틀어서 왜구가 이 성을 공격했다는 기록이 종종 확인할 수 있다. 앞서 말한 실성 마립간 때 외에도 눌지 마립간 15년(431)에도 왜구가 명활성을 포위하고 공격하였다고 전하고 있는 기록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명활성이 왕경을 보호하는 주요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도 그럴것이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 왜구가 주로 침공하는 경로인 동해와 매우 가깝기 때문에 수도가 일본에서 멀어서 대비할 시간을 벌 수 있었던 고려 조선보다도 일본의 공격에 대한 방어가 훨씬 큰 과제였다. 즉 동해와 경주 시가지 사이 요충지에 있는 이 성이 매우 중요했던 것.

자비 마립간 때인 473년에는 성을 고쳐 475년에는 아예 임시수도 격으로, 경주 월성에서 이곳으로 옮겨 와 살았다고 한다. 이 시기는 고구려 장수왕이 한창 강력한 남진정책을 펼쳐 백제 개로왕이 전사할 정도로 고구려의 기세가 강했기 때문에 신라 측도 고구려의 침공에 대비를 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12년이 지나 다음 왕인 소지 마립간 때에 다시 월성으로 왕의 거처를 옮긴다. 왕의 거처로 그리 오래 사용되지는 않았고 현재 경주시 영역 안쪽에 있는 곳인지라 신라의 수도 변천사에서 보통 언급을 생략하는 편이다.[5]

이후 선덕여왕 말년에 일어난 비담의 난 당시 비담 염종 등이 난을 일으킨 근거지가 명활성이었다.

3. 명활산성비

흔히 안압지출토명활산성비(雁鴨池出土明活山城碑)와 명활산성작성비(明活山城作城碑), 총 2기의 비석을 이르는 명칭이다.

특히 명활산성작성비의 경우 551년 명활성을 축조할 당시에 참여한 지방관과 인부를 동원한 지역, 실무자의 이름, 공사 구간, 공사 기간, 성의 높이와 길이 등 성 축조에 관한 정보에 대해 굉장히 상세히 다루고 있으며 파손된 부분도 거의 없어 신라 중고기의 역역(力役) 동원 체제를 이해하는데 큰 역할을 한 비석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명활산성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hEgtBOyW_400x400_nobg.png 경주시의 관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F5765> 경주 시내 경주읍성 동궁과 월지 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첨성대& 동부 사적지대, ‧ 대릉원( 천마총, 황남대총) ‧ 노서 ‧ 노동동 고분군( 봉황대, 금관총, 서봉총, 호우총), ‧ 경주 월성 분황사 월정교 일정교 황룡사지 황리단길 ‧ 경리단길 ‧ 계림 ‧ 교촌마을 ‧ 최씨고택 ‧ 금장대
북부 유교문화권 양동마을 옥산서원 ‧ 운곡서원
송화산 김유신장군묘 태종무열왕릉 ‧ 서악동 고분군
소금강산 백률사 소금강산 탈해왕릉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남산 남산 나정 망덕사지 배동 삼릉 오릉 포석정 서출지 배동 삼릉 용장사곡 삼층석탑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 지암곡삼층석탑 ‧ 탑곡마애조상군 ‧ 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 ‧ 미륵곡석불좌상
낭산 사천왕사지 선덕여왕릉 ‧ 능지탑지 ‧ 최지원 독서당 ‧ 황복사지 3층석탑
토함산 토함산 불국사( 다보탑, 석가탑) 석굴암 원성왕릉(괘릉) ‧ 토함산자연휴양림
배반동 효공왕릉 수오재
동해안 감은사지‧ 봉길대왕암해변‧ 문무대왕릉 이견대 경주 양남 주상절리 ‧ 나정고운모래해변 ‧ 오류고아라해변
보문관광단지 보문관광단지 경주월드( 캘리포니아 비치) ‧ 신라밀레니엄파크 경주세계문화엑스포( 경주타워, 중도타워, 솔거미술관) ‧ 강동리조트 강동워터파크 경주화백컨벤션센터 (HICO)‧ 명활성 보문호반길 ‧ 경주동궁원 ‧ 경주버드파크 ‧ 힐튼호텔 경주
교통 경주역 경주고속버스터미널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기타 골굴사 기림사 ‧ 화랑의 언덕 ‧ 흥덕왕릉 진덕여왕릉 진평왕릉 ‧ 장항리 사지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밑줄 표시. }}}}}}}}}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의 궁궐
월성 동궁(임해전) 금성
북궁 남궁 명활성
신월성 만월성 대궁
양궁 사량궁 본피궁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실성 마립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 대마도 공격시도
관련 문서 황남대총 · 포항 냉수리 신라비 · 명활성
가계 가족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44c3c> 서울특별시 배봉산 보루 · 북한산성[A] · 불암산성[A] · 아차산 일대 보루군[A] · 아차산성 · 탕춘대성 · 호암산성
경기도 남한산성 · 당항성 · 도기동 목책성 · 독산성 · 문수산성 · 반월성 · 북한산성[B] · 불암산성[B] · 아차산 일대 보루군[B] · 이성산성 · 파사성 · 죽주산성 · 행주산성 · 호로고루
인천광역시 강화산성 (강화석수문) 강화중성 · 강화외성 정족산성 · 계양산성
충청북도 단양 적성 · 덕주산성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온달산성 · 장미산성 · 충주산성
충청남도 공산성 · 부여 가림성 · 부여 나성 · 부소산성 · 영인산성
전북특별자치도 동고산성 · 미륵산성 · 위봉산성 · 우금산성
전라남도 자미산성 · 마로산성 · 봉대산성
광주광역시 무진고성
경상북도 가산산성 · 가야산 산성 · 금돌성 · 금오산성 · 명활성 · 주산성
대구광역시 달성 · 용암산성 · 초곡산성 · 팔거산성
경상남도 고성 만림산 토성 · 분산성 · 우불산성 · 화왕산성
부산광역시 금정산성
울산광역시 관문성
강원특별자치도 영원산성
[A]: 경기도와 겹침. [B]: 서울특별시와 겹침.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읍성 틀 바로가기
}}}}}}}}}

[1]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2]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3] 처음 지정될 당시 사적 제47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문화유산에 번호를 매기는 것이 유산의 중요도로 오인될 수 있음을 고려해 따로 번호를 매기지 않고 있다. [4] 2000년 11월 27일~12월 2일 [5] 고구려의 환도산성도 비슷한 이유로 언급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