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경주 포석정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서울 삼전도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01
서울 태릉과 강릉
1.#254
서울 구 벨기에영사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부여 정림사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3
포천 반월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2
경주 불국사
1.#539
부산 연산동 고분군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344c3c> 서울특별시 | 배봉산 보루 · 북한산성[A] · 불암산성[A] · 아차산 일대 보루군[A] · 아차산성 · 탕춘대성 · 호암산성 | ||||
경기도 | 남한산성 · 당항성 · 도기동 목책성 · 독산성 · 문수산성 · 반월성 · 북한산성[B] · 불암산성[B] · 아차산 일대 보루군[B] · 이성산성 · 파사성 · 죽주산성 · 행주산성 · 호로고루 | |||||
인천광역시 | 강화산성 (강화석수문)ㆍ 강화중성 · 강화외성ㆍ 정족산성 · 계양산성 | |||||
충청북도 | 단양 적성 · 덕주산성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온달산성 · 장미산성 · 충주산성 | |||||
충청남도 | 공산성 · 부여 가림성 · 부여 나성 · 부소산성 · 영인산성 | |||||
전북특별자치도 | 동고산성 · 미륵산성 · 위봉산성 · 우금산성 | |||||
전라남도 | 자미산성 · 마로산성 · 봉대산성 | |||||
광주광역시 | 무진고성 | |||||
경상북도 | 가산산성 · 가야산 산성 · 금돌성 · 금오산성 · 명활성 · 주산성 | |||||
대구광역시 | 달성 · 용암산성 · 초곡산성 · 팔거산성 | |||||
경상남도 | 고성 만림산 토성 · 분산성 · 우불산성 · 화왕산성 | |||||
부산광역시 | 금정산성 | |||||
울산광역시 | 관문성 | |||||
강원특별자치도 | 영원산성 | |||||
[A]: 경기도와 겹침. [B]: 서울특별시와 겹침. | ||||||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읍성 틀 바로가기 |
}}}}}}}}} |
대한민국의 사적 제471호 | ||
완주 위봉산성 完州 威鳳山城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산7-4번지 외 1-32 외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 |
면적 | 1\,736\,835㎡ | |
지정연도 | 2003년 4월 6일 | |
제작시기 | 조선[1] | |
위치 |
|
<colbgcolor=#344c3c> 위봉산성 서문 터 |
[clearfix]
1. 개요
조선 1675년 숙종 때 축조된 산성.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 위치하고 있다.2006년 사적 제471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
위봉산성은 근방의 산을 쭉 둘러싼 형태로, 둘레는 약 16km 정도이다.건립 목적이 다소 특이한데, 산성이니만큼 변고가 발생했을 때 주민을 보호하고 방어를 위한 목적이 있는 것은 당연하지만, 위봉산성은 이에 더해서 특수한 목적이 한 가지가 더 있었다. 이는 바로 전주에 있는 경기전에 위험이 발생했을 때, 경기전에 모시고 있는 이성계의 영정과 위패를 본 산성으로 옮겨와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실제로 동학 농민군에게 전주부성이 함락되었을때 태조의 영정, 위패 등을 이 산성으로 옮기기도 했었다.
3. 현황
오늘날 성문의 옆으로는 도로가 뚫려 있으며, 장대나 비석 등은 파괴되거나 훼손된 상태이다. 전체적인 관리 상태는 별로 좋지 못한 편이다.비석에는 ' 전라도 관찰사 ㅇㅇㅇ' 등의 문구가 새겨져 있다. 성벽 위에 올라가 볼 수 있지만, 일부 지역만 올라가 볼 수 있고 나머지는 수풀이 우거져서 갈 수 없다.
전주 시내 및 소양면에서 이곳을 넘어가 동상면 쪽으로 가면 가든, 맛집들이 있는데, 옻닭으로 유명하다. 근처에 위봉사, 위봉폭포 등 관광지가 있다.
4. 외부 링크
- 한국어 위키백과 : 완주 위봉산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완주 위봉산성
- 향토문화전자대전 : 완주 위봉산성
- 답사여행의 길잡이 13 - 가야산과 덕유산 : 위봉산성
- 두산백과 : 완주 위봉산성
5. 사적 제471호
조선 후기 변란을 대비하여 주민들을 대피 시켜 보호할 목적으로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숙종 원년(1675)~숙종 8년(1682)에 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성벽 둘레는 약 8,539m, 성벽 높이는 1.8~2.6m 이고 관련 시설물로는 성문 4개소, 암문지 6개소, 장대 2개소, 포루지 13개소, 추정 건물지 15개소, 수구지 1개소가 확인되었다.
일부 성벽을 제외하고는 성벽 및 성문, 포루, 여장, 총안, 암문 등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다른 산성과는 달리 군사적 목적뿐만이 아니라 유사시 태조 이성계의 영정을 모시기 위한 행궁을 성 내부에 두는 등 조선 후기 성곽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성벽 둘레는 약 8,539m, 성벽 높이는 1.8~2.6m 이고 관련 시설물로는 성문 4개소, 암문지 6개소, 장대 2개소, 포루지 13개소, 추정 건물지 15개소, 수구지 1개소가 확인되었다.
일부 성벽을 제외하고는 성벽 및 성문, 포루, 여장, 총안, 암문 등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다른 산성과는 달리 군사적 목적뿐만이 아니라 유사시 태조 이성계의 영정을 모시기 위한 행궁을 성 내부에 두는 등 조선 후기 성곽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 문서는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분류:로그 누락 문서]]
를 달아 주세요.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는 완주 위봉산성의 제작시기를 밝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