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11 21:48:47

미추왕릉

신라 왕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혁거세왕릉(오릉)

파사왕릉(오릉)

지마왕릉

일성왕릉

아달라왕릉(배동 삼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미추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내물왕릉
황남대총(소수설)

황남대총(소수설)

황남대총(다수설)

황남대총(소수설)

현재 소재 파악 불가

천마총(통설)

법흥왕릉

진흥왕릉

진지왕릉

진평왕릉

선덕여왕릉

진덕여왕릉

무열왕릉

문무대왕릉(대왕암)

신문왕릉

효소왕릉

성덕왕릉

효성왕릉

경덕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원성왕릉(괘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헌덕왕릉

흥덕왕릉

희강왕릉

민애왕릉

신무왕릉

문성왕릉

헌안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헌강왕릉

정강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효공왕릉

신덕왕릉(배동 삼릉)

경명왕릉(배동 삼릉)

경애왕릉

경순왕릉
수장급 능묘

대릉원( 금관총 · 금령총 · 봉황대 · 서봉총 · 식리총 · 천마총 · 호우총 · 황남대총)
금척리 고분군 · 서악동 고분군
구정동 방형분 · 김유신장군묘 · 김인문묘 · 김양묘 · 설총
}}}}}}}}}}}}

미추왕릉 관련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
파일:hEgtBOyW_400x400_nobg.png 경주시의 관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F5765> 경주 시내 경주읍성 동궁과 월지 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첨성대& 동부 사적지대, ‧ 대릉원( 천마총, 황남대총) ‧ 노서 ‧ 노동동 고분군( 봉황대, 금관총, 서봉총, 호우총), ‧ 경주 월성 분황사 월정교 일정교 황룡사지 황리단길 ‧ 경리단길 ‧ 경주 계림 ‧ 교촌마을 ‧ 최씨고택 ‧ 금장대
북부 유교문화권 양동마을 옥산서원 ‧ 운곡서원
송화산 김유신장군묘 태종무열왕릉 ‧ 서악동 고분군
소금강산 백률사 소금강산 탈해왕릉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남산 남산 나정 망덕사지 배동 삼릉 오릉 포석정 서출지 경주 삼릉 용장사곡 삼층석탑 남산불곡마애여래좌상 ‧ 지암곡삼층석탑 ‧ 탑곡마애조상군 ‧ 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 ‧ 미륵곡석불좌상
낭산 사천왕사지 선덕여왕릉 ‧ 능지탑지 ‧ 최지원 독서당 ‧ 황복사지 3층석탑
토함산 토함산 불국사( 다보탑, 석가탑) 석굴암 원성왕릉(괘릉) ‧ 토함산자연휴양림
동해안 감은사지‧ 봉길대왕암해변‧ 문무대왕릉 이견대 경주 양남 주상절리 ‧ 나정고운모래해변 ‧ 오류고아라해변
보문관광단지 보문관광단지 경주월드( 캘리포니아 비치) ‧ 신라밀레니엄파크 경주세계문화엑스포( 경주타워, 중도타워, 솔거미술관) ‧ 블루원리조트 블루원 워터파크 경주화백컨벤션센터 (HICO)‧ 명활성 보문호반길 ‧ 경주동궁원 ‧ 경주버드파크 ‧ 힐튼호텔 경주
교통 경주역 경주고속버스터미널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기타 골굴사 기림사 ‧ 화랑의 언덕 ‧ 흥덕왕릉 진평왕릉 ‧ 장항리 사지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밑줄 표시.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1e1f,#fff>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1e1f,#fff>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남산 | 경애왕릉 | 나정 | 배동 삼릉 | 포석정
경주 월성 | 계림 | 내물왕릉 | 동궁과 월지 | 첨성대
대릉원 | 황남대총 | 천마총 | 전 미추왕릉 | 봉황대 | 서봉총 | 호우총 | 금관총 | 금령총
황룡사지 | 분황사지/모전석탑
명활성
※ 관련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175호
경주 미추왕릉
慶州 味鄒王陵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89-2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고대
면적 5,515㎡
지정연도 1969년 8월 27일
제작시기 신라
위치
}}}}}}}}} ||
파일:경주_미추왕릉_봉분_(촬영년도___2015년) 문화재청.jpg
<colbgcolor=#4a2d5b> 미추왕릉

1. 개요2. 상세3. 외부 링크4. 사적 제175호

[clearfix]

1. 개요

味鄒王陵

신라 제13대 국왕 미추 이사금의 능이라고 전해지는 무덤으로,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대릉원에 위치한다. 1969년 사적 제175호로 지정되었다.

2. 상세

높이 12.4m, 지름 56.7m의 타원형의 흙과 돌을 쌓아 만든 무덤으로, 대릉원 내부 무덤 중에서 유일하게 담장이 둘러쳐져 있는 무덤이다.

문헌 상에 기록된 김씨 첫 번째 왕으로서 경주 김씨 문중에서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284년 10월에 승하해 '대릉(大陵)에 장사지냈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대릉원이라는 이름도 바로 여기서 따 온 것이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14대 유리왕조의 '미추왕 죽엽군' 편을 보면 유리왕 14년(297년) 이서국[1]이 공격해왔을 때 미추왕릉에서 대나무를 귀에 꽂은 병사들이 나타나 적을 물리치고 사라졌다는 전설에 따라 죽현릉(竹現陵), 죽장릉(竹長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래서 그런지 현재 미추왕릉 주위에는 작은 대나무 숲이 있다.

하지만 이 고분이 진짜 미추 이사금의 능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지금 경주에 전해지는 왕릉들은 18세기에 경주 김씨와 박씨, 그리고 석씨 문중에서 임의로 비정한 것들이 태반이라...[2] 그래서 경주의 신라왕릉들은 무열왕릉, 원성왕릉, 흥덕왕릉, 선덕여왕릉 등처럼 기록에 딱 맞아떨어지거나 무열왕릉비처럼 비석이 일부라도 남은 몇몇 예외를 빼고 피장자가 확실하지 않은 능들은 이름 앞에 (전할 전)을 붙여서 "그렇다 카더라"라고 하는 게 맞겠지만, 이미 문중에서 어느 왕의 능이라고 믿고 제사를 지낸 역사도 수백 년이 지났기 때문인지, 일반적으로는 그냥 전 자를 빼고 미추왕릉 이라고만 부르는 쪽으로 굳어졌다.[3]

아무튼 현대 학계는 이 미추왕릉을 진짜 미추왕의 무덤으로 추정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시대와 사람은 비록 달라도 어느 수장격 인물이 묻힌 왕릉급 무덤으로 여긴다. 인교동 119호와 황남대총의 사이에 있으며 인교동 119호분의 주인이 내물왕으로 추정된다고 볼 때 황남대총이 실성왕 혹은 눌지왕으로 추정되므로, 능원의 형성 과정을 참고하면 이곳도 왕릉은 맞는다고 추측한다. 물론 규모상으로도 기본적으로 봉황대, 서봉황대, 황남대총 다음으로 큰 고분이므로 왕릉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추가로 미추왕릉 정면에는 숭혜전이 있는데 미추 이사금, 문무왕, 경순왕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현재 위치에는 1794년에 세워졌다.

3. 외부 링크

4. 사적 제175호

신라 최초의 김씨 왕으로 백제의 여러차례 공격을 막아내고 농업을 장려한 신라 13대 왕인 미추이사금(재위 262∼284)의 무덤이다.

『삼국사기』에는 미추왕릉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신라 유례왕 14년(297) 이서고국(伊西古國) 사람이 수도인 금성을 공격하여 위급한 상황에 처하자 대나무잎을 귀에 꽂은 군사가 나타나 적을 물리치고 사라졌다. 누군가 미추왕릉에 댓잎을 수북이 쌓인 것을 보고 미추왕이 죽어서도 신라를 도와주었다하여 미추왕릉을 죽장릉(竹長陵), 죽현릉(竹現陵)이라 부른다고 한다.

경주 황남동 무덤들 중 가장 잘 정비된 대릉원 내에 높이 12.4m, 지름 56.7m의 둥글게 흙을 쌓아올린 원형 봉토무덤이다. 무덤 앞에는 혼이 머무는 자리인 혼유석이 있고, 담장을 돌려 무덤 전체를 보호하고 있다. 무덤 앞쪽에는 숭혜전이 있는데,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1794년 다시 세운 것으로 제사를 지내기 위한 곳이다. 내부는 돌무지덧널무덤으로 추정된다.

※(신라미추왕릉 → 경주 미추왕릉)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이서고국이라고도 한다.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과 화양읍 일대에 위치한 진한의 소국이었다. [2] 조선 후기 정부에서 예우 차원으로 옛 신라 왕실 가문들에게 제향을 올릴 왕들의 능묘가 있으면 조상님들 모시는데 보태 쓰라고 토지를 하사하기로 했다. 그래서 이 시기를 기점으로 갑자기 경주 지역에 "~왕릉"이라고 불리는 고분들이 늘어났다. 문중들도 삼국사기 등에 남은 옛 기록을 참고하기는 했지만 무열왕릉 등 일부 정보가 확실한 것을 제외하면 어느 산 동쪽이다 이 정도의 정보만 가지고 그쪽에 가서 보이는 왕릉 같은 큰 무덤이 있으면 때려맞히는 정도였다. 그나마 법흥왕 이후 왕들은 문헌자료에 왕릉의 위치가 어느 산의 동쪽이라느니 북쪽이라느니 하는 정도라도 쓰였지만, 그 이전 초기 임금들은 그 정도 힌트도 없다. [3] 고대 일본의 전방후원분들 역시 현재 무덤의 주인이 특정되었는데, 이 역시 신라왕릉들과 비슷하게 문헌자료를 토대로 후대에 지정한 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