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0 21:27:54

남한산성 행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성부
경모궁 계동궁 남별궁 누동궁 도정궁
명례궁 사동궁 선희궁 수진궁 순화궁
안동별궁 어의궁 연희궁 영수궁 영희전
용동궁 운현궁 이현궁 인경궁 인덕궁
자수궁 죽동궁 창성궁 창의궁 칠궁
태화궁
경기도
강화행궁 개성행궁 경덕궁 남한산성 행궁 낙생행궁
낙천이궁 노량행궁 목청전 수원행궁 수창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안양행궁 양주행궁 용흥궁
월미행궁 이천행궁 이태조 행궁 진위행궁 파주행궁
풍덕행궁 풍양궁 포천이궁 화성행궁
충청도
노은리 행궁 목천행궁 보은행궁 신도안 대궐 온양행궁
전의행궁 직산행궁 초정행궁 천안행궁
전라도
격포행궁 경기전 무풍 명례궁 전주행궁
경상도
집경전
평안도
영변행궁 영숭전 영유행궁 의주행궁 평양행궁
풍경궁
황해도
배천행궁 평산행궁 해주행궁
강원도
고성행궁 분수령 행궁 상원사 행궁 춘천이궁
함경도
영흥본궁 함흥본궁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480호
<colbgcolor=#315288> 남한산성 행궁
南漢山城 行宮
소재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84-29
(남한산성행궁) 외 일원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면적 87,548㎡
지정연도 2007년 6월 8일
제작시기 조선 시대
공식 홈페이지
파일:external/s10.postimg.org/img_5797.jpg
<colbgcolor=#bf1400> 남한산성 행궁 전경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영상
1. 개요2. 역사
2.1. 창건2.2. 활용2.3. 소실2.4. 여담
3. 배치 및 복원

[clearfix]

1. 개요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남한산성 내부에 있는 조선 행궁. 사적 제480호이다.

조선시대 광주유수부 읍치가 산성 내부에 있어 '남한행궁(南漢行宮)', '광주행궁(廣州行宮)'으로도 불렸다. 1624년( 인조 2년) 조선 16대 임금 인조으로 착공하여 2년 후인 1626년(인조 4년)에 완공했다. 이후 1907년까지 전해지다가 한일신협약 직후 일본제국이 대한제국군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무기고와 화약고를 폭발시킬 당시 일부가 불타 소실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남은 건물들 역시 소실되어 2000년대까지 행궁지로 남아있었다. # # 현재는 문화재청에서 2011년 행궁 구역 전체를 복원했다.

다만, 행궁 좌측에 위치했던 관아시설인 작청과 영노청은 행궁 발굴조사 당시 발굴은 하였으나 현재까지 복원하지 못했으며, 행궁 위쪽의 옥천정과 좌전 우측의 완대정 역시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

2. 역사

2.1. 창건

남한산성 행궁이 역사적으로 가장 주목받던 시기는 병자호란 때였다.[1] 병자호란 때 원래 강화도로 피난을 시도하려던 인조가 강화도 피난이 좌절되면서 결국 남한산성으로 옮겨 1636년 12월 14일부터 조선왕조실록 기사, "남한산성으로 향했다." 1637년 1월 30일까지 이곳을 임시 궁궐로 사용했던 것이다. 《인조실록》 기사, "비로소 서울에 도달하여 창경궁으로 나아갔다."

2.2. 활용

병자호란 이후에는 지리적으로 세종대왕 영릉(英陵)과 17대 효종 영릉(寧陵)이 있는 여주시와 근접하여서 19대 숙종, 21대 영조, 22대 정조, 고종 등이 영녕릉 참배를 위해 이곳에 머물렀던 적이 있었다.
남한산성 행궁에 있다가 감회가 일다
천연의 금탄성지가 왕기를 진무하고
봉황 날고 용이 서려 대궐을 옹위하네
군영에 달이 밝아 딱따기 소리 들려오고
행궁에 바람 빨라 피리 소리 드무네
험천[2]에 비가 내려 마음이 아프고
쌍령[3]에 구름 짙어 슬픔이 더해지네
조정 계책 좋지 않아 진실로 한스러우니
충신과 의사가 옷자락에 눈물 적셨네
열성어제[4]
숙종은 이곳에 머물며 병자호란에 관한 시를 썼다.

2.3. 소실

현재 인터넷상 정보로는 정확한 소실 시기가 명확하지 않다. 국가유산채널 유튜브와 KTV국민방송은 1907년 방화로 소실되었다고 소개하는 반면[5], 남한산성 세계유산센터는 1909년까지 잘 전해졌다고 서술한다. # 또한 SBS 뉴스 등에서는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훼철하였다고 밝히고 있어 정확한 시기 파악이 어려운 상태이다. # 따라서 화약고 폭파 당시 일부 건물들이 같이 불타 소실되었으며, 이후 일제강점기에 남은 건물들마저 소실되었을 것이라 추정한다.

한편 이처럼 행궁 터만 남아있다가 문화재청에서 2011년에 우실지(행궁 외 권역)를 제외한 행궁 전체를 복원했으며 2012년에 일반에 개방했다. 우실 역시 배수지를 이전한 후 장기적으로 원형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행궁은 상궐(上闕)과 하궐(下闕)로 나뉘어졌으며 외행전과 임금의 처소인 내행전, 좌전 등이 있으며 후원에는 이위정(以威亭)이라는 정자가 있고 그 외에 경기도 광주 유수의 집무사(集務舍) 등이 있다.

2.4. 여담

여담으로 이 행궁이 지어지면서 성남에 있던 낙생행궁은 퇴락하여 쓰이지 않다가 인조때에 홍수로 유실됐다.

3. 배치 및 복원

파일:external/88b067faf3f97c8bfe18fff0f0fde323de52a775f4e6edec2d05b1f95a673c07.jpg
<colbgcolor=#bf1400> 행궁 구조도
조선 시대에는 전국에 20개소 정도의 행궁을 두었는데 그 가운데 이 광주행궁만이 유일하게 종묘 사직을 두었다.(좌묘우사)[6] 비상시에 예비 수도로서의 기능을 했기에 필요한 시설을 모두 갖추어 놓았다. 원래 건물은 상궐 72.5칸, 하궐 154칸으로 모두 226.5 칸의 규모였지만,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헐어버려 터만 남아 2002년부터 내행전을 비롯하여 일부 부속건물들을 복원하기 시작 2012년 5월 252.5칸의 모습으로 복원했다.

부속건물로는 재덕당[7], 내행전[8], 남행각[9], 북행각[10], 좌전[11], 좌승당[12], 외행전[13], 일장각[14], 한남루[15] 등이 있다.

[1] 남한산성(소설)》과 〈 남한산성(영화)〉의 주무대가 바로 이 남한산성 행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 병자호란 중이었던 1636년 12월 29일에 있었던 전투를 뜻한다. [3] 병자호란 중 조선군이 패배한 전투가 있었던 곳. [4] 김남기 번역본 [5] # [6] 궁궐이 있는 도성을 배치할 때에는 주례 고공기에 기록된 도성배치 기준에 따라 궁궐의 왼쪽(동쪽)에는 종묘를, 오른쪽(서쪽)에는 사직단을 두었으며 이러한 원리를 '좌묘우사'라고 한다. [7] 현재 복원된 건물로, 제사를 지내는 공간으로 추정된다. [8] 현재 복원된 건물로, 왕의 생활공간이었다. [9] 현재 복원된 건물로, 요즘의 경호원 비슷한 곳이다. [10] 현재 복원된 건물로, 요즘의 비서실 비슷한 곳이다. [11] 현재 복원된 건물로, 역대 왕과 왕비의 제사를 지내던 공간이다. [12] 현재 복원된 건물로, 광주부에서 제일 높은 책임자가 업무를 보던 공간이다. [13] 현재 복원된 건물로, 왕과 신하들이 업무를 보던 곳이다. [14] 현재 복원된 건물로, 문서를 보관하던 곳이다. [15] 현재 복원된 건물로, 남한행궁의 외삼문루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