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21:36:09

도동서원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1e1f,#fff>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
}}}}}}}}}
도동서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달성 12경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2px"
논공읍 달성 100년 타워
구지면 도동서원
가창면 가창댐
화원읍 달성습지 남평문씨본리세거지 마비정 벽화마을 사문진 주막촌과 낙조
다사읍 디아크문화관 강정고령보
유가읍 비슬산참꽃군락지 국립대구과학관 대견사 비슬산암괴류
옥포읍 옥포벚꽃길
}}}}}}}}} ||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寶物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3px solid transparent"
{{{#!wiki style="margin: 0px; margin-top: -12px; margin-bottom: -7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488호
<colbgcolor=#315288> 달성 도동서원
達城 道東書院
Dodongseowon Confucian Academy, Dalseong
위치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로 1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수량 / 면적 26,766㎡
지정연도 2007년 10월 10일
건축시기 1605년 ( 선조 38년)
관리자
(관리단체)
달성군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제350호
달성 도동서원 중정당·사당·담장
達城 道東書院 中正堂·祠堂·담장
Dodongseowon Confucian Academy, Dalseong
위치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로 1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수량 / 면적 2동1식
지정연도 1963년 1월 21일
건축시기 1604년 ( 선조 37년)
소유자
(소유단체)
서흥김씨종중(유림)
관리자
(관리단체)
}}}}}}
파일:달성_도동서원_-_사당.jpg
<colbgcolor=#7a3a2c> 도동서원[1]
도동서원 영상

1. 개요2. 역사3. 구조4. 제향 인물5. 교통6. 기타

[clearfix]

1. 개요

도동서원(道東書院)은 조선 초기인 1568년 창건, 1604년에 중건된 서원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로 1(도동리 35)에 소재하고 있다.[2] 현풍읍에서 구지면사무소를 지나 낙동강을 오른편에 끼고 약 4㎞쯤 가면 닿는 곳이다.

2007년 사적 제488호로 지정되었으며 2019년 7월 6일에는 한국의 서원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도 등재되었다.

2. 역사

조선 초기 김굉필[3]을 배향한 서원으로 1568년 지방 유림에서 비슬산 동쪽 기슭에 세워 쌍계서원(雙溪書院)이라고 하였고 1573년에 사액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4년에 사당을 먼저 지어 위패를 봉안하고 이듬해 강당 등 서원 일곽을 완공했는데 건립을 주도했던 인물이 김굉필의 외증손자이자 뛰어난 예학자 한강 정구와 퇴계 이황이었다. 1605년에 사림들이 지금의 자리에 사우를 중건하여 '보로동서원(甫勞洞書院)'이라고 하였고 1607년에는 선조로부터 친필로 쓴 '도동서원(道東書院)'이라는 편액을 하사받아 지금의 도동서원으로 사액했다. '도동(道東)'의 의미는 '성리학의 도가 동쪽으로 왔다'는 의미라고 한다.

1865년 흥선대원군 서원 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47개 서원 가운데 하나로, 병산서원 · 도산서원 · 옥산서원 · 소수서원과 더불어 5대 서원으로 꼽힌다. 서원 건축이 가져야 할 모든 건축적 규범을 완벽히 갖추고 있는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서원으로 평가받는다.

3. 구조

파일:external/culture.dalseong.daegu.kr/%B5%B5%B5%BF%BC%AD%BF%F8_%C0%FC%B0%E6-01-.jpg
<colbgcolor=#7a3a2c> 도동서원 전경
서원 내부에는 보물 제350호 도동서원 강당 사당 부 장원(道東書院講堂祠堂附墻垣)이 있는데 강당(중정당), 사당, 담장을 이른다.
파일:external/culture.dalseong.daegu.kr/%B5%B5%B5%BF%BC%AD%BF%F8_%C0%BA%C7%E0%B3%AA%B9%AB.jpg
<colbgcolor=#7a3a2c> 도동서원 영상
현풍읍에서 도동리로 넘어가는 고개 다람재에서는 서원 건립을 기념하여 정구가 심었다는 은행나무가 늙은 가지를 잔뜩 드리운 서원의 앞마당에 이르고 도동서원을 한눈에 볼 수 있다.

4. 제향 인물

사당에 모신 인물을 말한다. 사당에 들어가면 정면에 김굉필의 위패가 있고 오른쪽에 정구의 위패가 있다.

5. 교통

구.달성4번이 2017년 3월에 폐지된 후 대중교통편이 현풍 장날 외에는 별로 없어서, 웬만하면 자가용을 이용해야 한다.

자가용을 이용하면 현풍이나 구지 쪽에서 들어가야 한다. 현풍읍에서 갈 경우 다람재 고갯길을 넘어야 해서 길이 좋지 않았으나, 2019년 9월 도동서원터널이 개통해서 가는 시간이 10분대에서 2분대로 줄어들었다. 도동서원터널을 통해 도동서원으로 가려면, 현풍 신길에 있는 달성우체국 교차로(현풍백년도깨비시장 입구)에서 현풍서로로 진입해야 한다. 도동서원터널을 공사하면서 도로가 정비되었지만, 달성우체국 - 현풍서로 - 도동서원터널 경로로 다니는 시내버스 노선은 없다.

테크노폴리스로를 통해 자차로 온다면, 산성지하차도와 테크노순환로를 거쳐서 옥녀봉/용금공단/차천네거리/국가산단북로로 직진만 하면 된다. 즉, 도동서원터널 - 도동서원 - 국가산단북로 구간이 순환도로같이 직결되어 있다.

고속도로를 이용해서 온다면, 진출한 나들목에 따라서 가는 길이 갈린다. 나들목 겸용 분기점인 현풍JC에서 진출했다면 국가산단북로를 통해서 가면 되며, 하이패스전용 나들목인 북현풍IC에서 진출했다면 나들목 바로 남쪽의 달성군민체육관네거리에서 현풍 신길로 진입해 전술한 달성우체국 교차로를 거쳐서 도동서원터널로 가면 된다.

대중교통으로는 구.달성4번이 있었으나, 2017년 3월 31일을 기해서 폐선되었고 대신 현풍 5일 장날(매월 5일, 10일, 15일, 20일, 25일)에 한하여 달성3번이 1일 2회 도동서원으로 들어온다. 아니면 낙동강 달성보와 합천창녕보 사이에 있는 자전거도로를 타고 와도 되지만 이 쪽이 끝내주는 업힐 구간이라[4] 보통 달성보에서 합천 창녕보로 갈 때는 대구 국가 산업단지 쪽으로 우회하는 편이다. 바로 옆에 나 있는 도동서원터널로 우회해서 가면 된다. 이미 낙동강 종주길에서 다람재 우회 도동터널이 정식 길로 되어 있고 터널안 자전거 차선도 잘 나 있음. 달성보에서 현풍 쪽으로 오지 않고 고령군 개진면 쪽으로 가면 되지만, 개진면과 구지면 사이에는 다리가 없다.

예전에는 창리 구지면사무소에서 왕복 1,400원에 달성행복택시를 타고 갈 수 있었으나, 해당 노선은 소리소문없이 사라졌다.

6. 기타

  • 담장의 모습이 독특하고 아름다워 국내 최초로 담장이 보물에 포함되었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유일하다.
  • 유홍준의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권(인생도처유상수)》에서 다뤘다.
  • 인근에는 대암 박성(朴惺)을 기리는 송담서원도 함께 있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본래는 구지서로 726 이었으나 도동터널 및 도동서원로 개통으로 도로명주소가 바뀌었다. [3] 조광조의 스승으로 유명하다. [4] 업힐/대구 문서의 다람재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