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2 12:54:11

운주사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세계유산 잠정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문화유산

강진 도요지

울산 반구천 일대 암각화

중부내륙 산성군

염전

외암마을

낙안읍성

조선 수도성곽과 방어산성

화순 운주사 석불석탑군

양주 회암사지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981b42> 자연유산 ||

설악산 천연 보호구역

남해안 일대 공룡 화석지

우포늪

한국의 갯벌 2단계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312호
화순 운주사지
和順 雲住寺址
Unjusa Temple Site\, Hwasun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소재지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산3번지 외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면적 490,831㎡
지정연도 1985년 4월 15일
제작시기 [1]
위치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Korea-Unjusa_4507-07_Cilcheung_Seoktap_facing_Unjusa_Seokjo_Bulgam.jpg
운주사 전경. 출처
홈페이지

1. 개요2. 상세
2.1. 천불천탑2.2. 와불
2.2.1. 창작물에서 와불
3. 문화재4. 교통편5. 기타6. 외부 링크7. 사적 제312호

1. 개요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천불산(千佛山)에 위치한 사찰이며, 현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 송광사의 말사이다.

雲住寺 또는 運舟寺라고도 한다.

도선대사가 창건하였다는 설과 운주(雲住)가 세웠다는 설, 마고(麻姑)할미가 세웠다는 설이 전하지만 도선창건설이 가장 유명하다. 현대에야 조계종 소속 사찰이 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 운주사 같은 절은 달리 전례가 없으므로 특이하기로 유명하다.

1984년부터 1991년까지 전남대학교 박물관 발굴조사 4번, 학술조사 2번을 실시했지만, 정확한 창건연대와 배경, 창건 주체 등 구체적인 확증을 찾지 못하여 오늘날에도 여전히 제대로 밝혀진 사실이 없는 신비로운 절이다.[2]

2017년 3월 13일 ‘화순 운주사 석불석탑군’이란 이름으로 천불천탑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최종 등재됐다. #

2. 상세

2.1. 천불천탑


운주사에서 유명한 것은 천불천탑. 즉 불상 1천 좌와 탑 1천 기이다. 천불천탑이 생긴 유래를 설명하는, 도선대사가 등장하는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전설에 따르면 도선은 한반도를 배 한 척의 형상으로 보고, 호남에는 영남보다 산이 적어 배가 한쪽으로 기울 것이라 염려했다. 그리하여 배의 균형을 맞추고자 법력을 이용해 하룻밤새에 천불천탑을 쌓았다고 한다. 약간 다른 전설도 하나 있다. 천계의 석공들을 하룻동안 일한다는 조건으로 일을 시켰는데, 도선대사가 법력으로 일봉암에 해가 뜨지 않게 묶어서 하루가 아니라 며칠을 부려먹었다. 그런데 도선대사의 어린 제자가 석공들과 도선 사이를 오가며 심부름을 하기가 귀찮아서 닭 우는 소리를 내자 석공들이 와불을 세우기 전에 하늘나라로 돌아갔다는 설화도 있다.

운주사(運舟寺)란 이름은 풍수상 움직이는 배 모양을 한 땅이라는 데서 비롯되었다. 출토 유물과 기록을 보면 고려 초에 세워졌고 조선 초까지도 절이 계속 이어졌다. 불행히도 16세기 말 임진왜란 정유재란을 거치면서 법당을 비롯하여 천불천탑도 크게 훼손되어 폐사가 되었으나, 18세기에 자우(自優) 스님이 절을 재건하였다. 이후 1918년에 신도들에게 시주받아 중건되어 현재에 이른다. 단, 천불천탑만은 복구되지 못했다. 1942년까지는 석불 213좌와 석탑 30기가 있었다고 하나 현재에는 석불 90여좌, 석탑 21기만이 쓸쓸히 남았을 뿐이고 이마저도 모두가 온전한 형태는 아니다. 1980년 6월에 절 주변 일원이 사적 제312호로, 9층석탑( 보물 제796호), 석조불감(보물 제797호), 원형 다층석탑(보물 제798호)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외에 여러 형태의 불상과 석탑 등 10여 개가 시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존하는 이 절의 석탑과 석불은 기존의 다른 불교미술과 조각수법이 완전히 다르며 이러한 천불천탑의 양식과 배치를 두고 여러 가지 해석들이 나왔지만 마땅히 이렇다할 정설은 없다. 이름 없는 민중들과 석공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하나둘씩 축조한 경우라서 애초에 양식과 배치구조를 판단함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주장도 있다. 석탑 및 불상의 배치도 또한 마찬가지로 특별한 의도로 계획한 결과가 아니라[3] 오랜 세월 적당히 만들었을 뿐인 듯하다.

행정구역상 화순군으로 되어있지만, 노령산맥의 영향을 받는 외진 동네에 있어서 주변 도시에서 출발하기엔 꽤 먼곳에 있다.
경내는 주차장에서 약 700m 거리에 절이 있고 거기까지는 평평한 운주골이지만, 주변 산자락에 석탑과 석불이 흩어져있어서 이를 다 둘러보려면 생각보다는 많이 걸어야 하는 편. 거의 100미터 가까이, 그것도 두번 올라갔다 내려와야 해서 은근 체력을 필요로 한다.

2.2. 와불

파일:화순운주사와형석조여래불.jpg

운주사 골짜기 서쪽 언덕 위에는 땅에 누워있는 거대한 불상, 와불(臥佛)이 있다. 한 쌍이라 부부와불이라고도 부르며 너비 10m, 길이 12m의 대형 불상이다.

천불천탑과 함께 운주사의 대표적인 유물이며 지표의 암반에 조각되어있다. 왜 이런 식으로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전설에 따르면 도선대사가 하늘에서 석공을 불러 하룻밤새에 불상과 불탑을 각 천 개씩 만들도록 했는데, 석공이 와불을 만들던 중 도선국사 밑에서 수발하던 동자승이 일하기 싫어 닭 우는 소리를 내자 하늘로 돌아가가 미완성으로 끝났다고 한다.

실제로는 불상을 조성하려다 난관이 생겨서 포기한 것으로 추측된다. 와불의 형태를 보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와불처럼 가로 누운 형태가 아니라 가부좌를 틀고, 서 있는 형태이다. 그리고 와불과 지면 사이에는 결이 나 있는데 이 결을 따라 암반을 쪼갠 흔적이 발 쪽을 보면 밑에서 보인다. 즉, 원래 계획대로라면 암반의 결을 따라 와불을 쪼개서 일으켜 세우려했던 것이다. 그러나 어깨부분부터 결이 사라지는데 이 부분의 암반이 생각 이상으로 커서 이대로 세우면 불상이 부러지기 때문에 그대로 둔 것으로 보인다. 만약 계획대로 되었다면 운주사 와불은 국내에서 손꼽히는 높이의 돌부처가 되었을 것이다.

운주사 일대의 암석은 단단한 화강암이 아니라 경도가 약한 응회암 종류인데 잘 깨지고 부스러지는 성질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돌로 크기가 큰 일반적인 형태의 불상을 조각하면 언젠가는 훼손됐을 것이다. 실제로 운주사에는 여기저기 벽에 기대어 간신히 서있는 불상이나 탑이 있는데, 대부분 풍화작용을 이기지 못하고 원래의 형상을 잃어버렸다. 따라서 이 돌의 성질을 파악해 이런 형태로 조각했을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민간설화에 이 와불이 일어나면 미륵이 도래하고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는 이야기가 있다. 물론 암반에 새겼기 때문에 일어날 수 없겠지만, 만약 대규모 지진 등으로 강력한 지각변동이 일어난다면 이 와불은 일어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 정도 재해라면 세상이 뒤집혔을테니 그런 의미에서라면 새로운 세상이라 할 수 있다.

2.2.1. 창작물에서 와불

우리나라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한 유물이기 때문에 다양한 창작물의 배경으로 종종 나온다.

드라마 추노에서 송태하와 그의 동료들이 만나기로 약속한 곳이다.

퇴마록에서는 천불천탑이 만드는 지세의 중심에 있으며, 진세를 완성하고 이 와불을 일으켜 세우면 일본침몰이 벌어진다고 한다. 그야말로 궁극의 절대병기인 셈. 작중에서 정선생, 임악거사, 현정 세 사람이 와불을 일으켜서 일본을 망하게 하려고 했으나 퇴마사 일행이 방해하여 실패한다. 나중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세월이 지나는 동안 강산이 변했는데 이대로 작동했다가는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상황이였다. 오히려 한반도에 재앙이 생길수도 있었다고.

1991년 이용배 감독이 이 와불을 소재로 제작한 동명의 단편 애니메이션이 있다. 지옥같은 세상에서 억압받고 핍박받던 민초들이 하나둘씩 자신들의 염원을 담아 만들어진 게 이 와불이라는 내용.

3. 문화재

  • 사적 제503호 화순 운주사지(和順 雲住寺址)
  • 보물 제796호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九層石塔)
    보물 제797호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石造佛龕)
    보물 제798호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圓形 多層石塔)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3호 화순 운주사 와형석조여래불(臥形石造如來佛)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4호 화순 운주사 광배석불좌상(光背石佛坐像)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5호 화순 운주사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6호 화순 운주사 칠층석탑(七層石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화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석탑(雙交叉紋 七層石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8호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石造佛龕 앞 七層石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9호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교차문 칠층석탑(거북바위交叉紋 七層石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0호 화순 운주사 대웅전 앞 다층석탑(大雄殿 앞 多層石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1호 화순 운주사 칠성바위 앞 칠층석탑(七星바위 앞 七層石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2호 화순 운주사 발형 다층석탑(鉢形 多層石塔)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256호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 오층석탑(五層石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257호 화순 운주사 수직문 칠층석탑(垂直紋 七層石塔)

4. 교통편

화순교통 218번이나 318번중장터[4], 행산혹은 우치리 까지 운행하는 노선 계통이 주차장 앞을 경유한다. 218번은 배차가 자주있는 편이지만 화순 읍내와 능주까지 돌아온다는게 단점이고, 318번은 도곡온천으로 빠르게 오지만 배차가 적은게 흠이다. 218번 대초리 등광리행도 운주사 앞은 지나가나 주차장 정류장은 안 지나간다.

그리고 금호고속에서 운영하는 남도한바퀴라는 관광 코스 중 한 곳에 포함된다. 시즌마다 코스가 바뀌니 홈페이지를 참고하는 게 좋다.

2019년 들어서는 화순군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적벽 투어 중 서부 코스에도 포함된다. 역시 자세한 건 홈페이지 참조.

5. 기타

영화 외계+인 1부의 초반 배경으로 등장한다. 무륵이 도사 두 명과 도술로 한 판 붙었던 곳이 운주사.

6. 외부 링크

7. 사적 제312호

도선국사가 하룻밤 사이에 천불천탑을 세웠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운주사는 나지막한 야산 분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터이다.

절을 처음 지은 연대는 정확히 알지 못하나, 고려 중기에서 말기까지 매우 번창했던 사찰로 보이며, 15세기 후반에 다시 크게 지어졌다가 정유재란으로 폐찰되었다. 운주사(雲住寺)는 ‘구름이 머무는 곳’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배를 움직인다’는 뜻의 운주사(運舟寺)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돌부처 70구와 석탑 18기만이 남아 있으나, 조선 초기까지는 천 여 구의 불상과 탑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산과 들에 흩어져 있는 70여 구의 돌부처들은, 수 십 ㎝에서 10m 이상의 거대한 돌부처까지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평면적이면서 토속적인 생김새에 어색하고 균형이 잡히지 않은 신체 구조는 고려시대 지방적인 특색을 잘 보여주고 있다.

석탑 또한 그 모양이나 무늬의 표현방식이 매우 독특하여, 3층·5층·7층 등 층수도 다양하다. 둥근 공모양의 원형탑이나 호떡 모양의 돌을 올려놓은 듯한 원판형탑 등 특이한 모양의 탑도 있다. 또한 탑의 표면에 ‘X’, ‘◇’, ‘川’과 같은 기하학 무늬들이 새겨 있어 특이하다.

운주사에는 누운 부처(와불)가 있어 유명하다. 도선이 천불천탑을 하룻밤에 세울 때 맨 마지막으로 와불을 일으켜 세우려고 했는데, 공사에 싫증난 동자승이 닭이 울었다고 거짓말을 하여 불상을 세우지 못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운주사는 특이한 돌부처와 석탑이 모두 한 절 안에 있다는 점에서 천불천탑에 대한 독특한 신앙을 보여주는 좋은 예로서 우리나라 미술사와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곳이다.

※(화순운주사지일원 → 화순 운주사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1] 문화재청은 화순 운주사지의 축조시기를 밝히지 않았다. [2] 다만 금당지를 발굴해서 나온 기와편이 고려시대의 암막새라 고려시대에 세워졌을거란 추측이 우세하다. [3] KBS 역사스페셜에서는 석탑 및 석불 배치가 하늘의 별자리를 따라했다고 주장하였다. [4] 운주사의 중들이 내려와서 장보던 곳의 터라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