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23:17:37

누암리 고분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라의 고분문화에 대한 내용은 고분문화 문서
4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5~6세기 신라의 고총 고분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라의 중심과 지방 세력
경주 대릉원 고분군 경산 임당 고분군
금척리 고분군 영천 완산동 고분군
대구 구암동 고분군 포항 냉수리 고분군
<colbgcolor=#fff,#000> 달성 고분군 영덕 <colbgcolor=#fff,#000> 괴시리 고분군
불로동 고분군 강릉 초당동 고분군
의성 금성산 고분군 울산 중산리 고분군
성주 성산동 고분군 양산 북정리 고분군
선산 낙산리 고분군 창녕 교동 고분군
구미 황상동 고분군 상주 병풍산 고분군
달성 성산리 고분군 안동 태화동 고분군
현풍 양리 고분군 예천 대심리 고분군
충주 누암리 고분군 영주 읍내리 고분군
청원 미천리 고분군 보은 대야리 고분군 }}}
파일:고총 분포도 사본.jpg
: 신라의 고총 고분군
: 고구려/백제/가야의 고분군
}}}}}}

파일:1626384.jpg
누암리 고분군 전경[1]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463호
충주 누암리 고분군
忠州 樓岩里 古墳群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소재지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누암리 산41 외 일원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면적 56,305㎡
지정연도 2005년 3월 25일
제작시기 6세기 중엽 이후
위치
}}}}}}}}} ||

1. 개요2. 조사 내용3. 외부 링크4. 사적 제463호5. 둘러보기

1. 개요

樓岩里 古墳群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누암리 일대에 위치한 신라의 고분군이다. 2005년에 사적 제463호로 지정되었다.

'누암리 고분군'으로 불리지만 옛날에는 '루암리 고분군'이라고도 표기하였고, 몇몇 표지판에는 여전히 '루암리 고분군'으로 되어 있다.

2. 조사 내용

누암리 고분군은 경상도 밖에서 가장 밀집도가 높게 형성된 신라의 고분군이다. 1992년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지표 및 발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누암리 고분군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고분들이 석실(石室)이라는 점은 이 고분군의 중심연대가 6세기 즈음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6~7세기를 중심으로하는 고분군이라는 점에서 충주 중원경(중원소경)과 관련이 있는 유적으로 추정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석실을 위시한 늦은 시기의 부장품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서 출토 신라토기의 기종은 짧아진 형태의 중 고배인 단각고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장경호류의 경우에도 부가구연장경호[2]라고 불리는 각진 아가리를 갖는 장경호가 같이 부장되는 등 아주 전형적인 6세기 이후의 토기유물군이 확인되고 있다. 더 늦은 시기의 유물로는 인화문토기도 확인되고 있다.

파일:누암리형 대금구, 이한상 사본.jpg

5세기 대의 화려한 금, 금동, 은 재질로 만든 삼엽문(三葉紋) 대금구 패용문화에서 6세기 중엽부터는 위의 도면처럼 비교적 단촐한 장식성을 갖는 소위 누암리형 대금구로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관등제와 복식체계의 정비와 불교적 영향으로 화장 및 박장(薄葬)이 실시되기 때문에 정형화되고 간소화된 장식의 대금구가 일반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위의 도면과 같은 버클형태를 이 누암리 고분군에서 확인된 것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소위 누암리형 대금구라고 부른다.

정형화된 누암리형 대금구가 유행을 지나면서 7세기 이후부터는 점차 황룡사형 대금구로 유행이 변화한다. 이러한 신라의 대금구의 큰 변천을 보면 원삼국시대의 곡봉형 대금구에서 출발하여 진식대금구 - 삼엽문형 대금구 - 누암리형 대금구( 역심엽형 대금구) - 황룡사형 대금구( 당식 대금구) 로 변화한다.

3. 외부 링크

4. 사적 제463호

신라말기에 조성된 이 고분군은 신라 진흥왕이 충주지방까지 그 영역을 확대한 후 중원소경을 설치하고자 귀척(貴戚)들을 이주시켜 한강유적을 경영하고자 하였던 사실을 증명하는 유적으로서, 누암리 일대에만 230여기의 고분이 위치하고 있다.

발굴된 26기의 고분 가운데 주류를 이루는 것은 굴식돌방무덤(橫穴式 石室墳)이고 앞트기식돌덧널무덤(橫口式 石槨墳) 2기, 소형의 구덩식돌덧널무덤(竪穴式 石槨墓) 3기를 제외한 나머지는 외방무덤(單室墳)임이 확인되었다.

출토된 유물로는 짧은굽다리접시, 바리, 합, 항아리 등의 후기신라양식 토기류와 쇠손칼(鐵刀子), 덩이쇠(鐵鋌) 등의 철기루, 청동제띠끝장식(靑銅制帶端金具丘), 금동제귀고리 등의 장신구류, 가락바퀴(紡錘車) 등의 토제품이 있다.

5. 둘러보기

파일:충주시 CI.svg
충주시의 문화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보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충주 고구려비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보물 ||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철조여래좌상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충주 단호사 철조여래좌상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선림보훈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사적 ||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 장미산성 숭선사지
누암리 고분군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명승 ||
탄금대 충주 계립령로 하늘재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국가민속문화재 ||
충주 윤양계 고택 이응해장군 묘 출토복식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국가등록문화재 ||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시도유형문화재 ||
충주 경종 태실 충주 창동리 오층석탑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미륵대원지 석등 충주 미륵대원지 삼층석탑 충주향교
충주 이상급 신도비 충주 청녕헌 충주 제금당
충주 축성사적비 충주 단호사 삼층석탑 충주 창동리 마애여래상
충주 최응성 고가 삼탄집 충주 오갑사지 석조여래좌상
이수일 진무공신교서 심현담요해 지리신법
평산신씨 종가 고문서 충주 이수일 신도비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충주 추평리 삼층석탑 충주 원평리 삼층석탑 충주 청룡사 위전비
불설사십이장경 인천안목 권상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유백증 정사공신교서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귀부 충주 창동리 석조약사여래입상
충주 충렬사비 묘법연화경 임경업 추련도
충주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충주 미륵대원지 사각석등 충주 혜원정사 석불좌상 및 복장유물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 8 묘법연화경 권1 묘법연화경 권1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시도기념물 ||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 충주 박팽년 사당 충주산성
충주 대림산 봉수 충주 문주리 요지 충주 미륵리 요지
대림산성 충주 주정산 봉수 충주 김생사지
충주 조동리 고인돌 충주 조동리 유적 충주 팔봉서원
충주 신청리 고인돌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충주 견학리 토성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문화재자료 ||
충주 영모사 충주 숭선사지 당간지주 충주 연안이씨 쌍효각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보살의좌상 충주 문주리 석조여래좌상 충주 신흥사 석조나한상군
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강천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청룡사지 석종형승탑
충주 창룡사 다층청석탑 충주 이시진 효자각 충주 수회록
충주 고불선원 소조여래좌상 충주 봉불사 석조약사여래입상 충주 한남군 사당
조웅 선무원종공신녹권

}}}}}}}}} ||
[1] 출처: 문화재청 홈페이지 [2] 또는 이중구연장경호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