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00:49:26

예멘 내전

제2차 예멘 내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94년에 발생하여 예멘의 재통일로 이어진 내전에 대한 내용은 예멘 내전(199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f0921 15%, #FFF 15%, #FFF 85%, #000 8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0><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사바 왕국 · 힘야르 왕국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예멘 왕국 · 북예멘 / 남예멘 · 예멘 내전(1994년) / 예멘 통일 · 예멘 민주화 운동 · 예멘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경제 경제 전반 · 예멘 리알
국방 예멘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예멘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예멘 방언) · 잠비야
인물 아르와 앗 술라이히 · 알리 압둘라 살레
지리 하드라마우트 · 홍해 · 소코트라 섬 · 마리브
민족 예멘인 · 하드라미인 · 아크담족 · 소코트라인 · 예멘 흑인
}}}}}}}}} ||
예멘 내전
الحرب الأهلية اليمنية‎
Yemeni Civil War
전황 지도
파일:2024년 1월 전황.png

연초록: 최고정치위원회( 후티)
빨간색: 대통령지도위원회(기존 예멘 정부)
노란색: 남부과도위원회
하얀색: 알카에다
회색: 이슬람국가 예멘 주
주황색: 하드라미 정예군
파란색: 예멘 국민저항
기간
2014년 9월 16일 ~ 진행 중
(개전으로부터 [dday(2014-09-16)]일)
장소
예멘 전역 및 사우디아라비아 남부[1]
원인
예멘 민주화 운동 이후 후티 반란
교전 국가 및 세력
[[틀:깃발|]][[틀:깃발|]][[최고정치위원회|]]
[[예멘|]][[틀:국기|]][[틀:국기|]] 대통령지도위원회
(하디 정부)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사우디아라비아 주도 연합국]
[include(틀:국기, 국명=카타르, 크기=27)][2]

[[바레인|]][[틀:국기|]][[틀:국기|]]

[[쿠웨이트|]][[틀:국기|]][[틀:국기|]]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

[[요르단|]][[틀:국기|]][[틀:국기|]]

[[이집트|]][[틀:국기|]][[틀:국기|]]

[[수단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속령
수단
]][3]

[[모로코|]][[틀:국기|]][[틀:국기|]][4]

[[세네갈|]][[틀:국기|]][[틀:국기|]]

파일:하드라마우트 부족 동맹 깃발.svg
하드라마우트 부족 동맹
파일:남부과도위원회 엠블럼.svg 남부과도위원회
파일:티하마흐 저항군기.svg
티하마흐 저항군
[번영 수호자 작전]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크기=27)]

[[영국|]][[틀:국기|]][[틀:국기|]]

[[캐나다|]][[틀:국기|]][[틀:국기|]]

[[호주|]][[틀:국기|]][[틀:국기|]]

[[바레인|]][[틀:국기|]][[틀:국기|]]

[[그리스|]][[틀:국기|]][[틀:국기|]]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세이셸|]][[틀:국기|]][[틀:국기|]]
[[알카에다|
파일:지하드 깃발.svg
]] 알카에다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이슬람국가 예멘 주
]][[틀:국기|
행정구
이슬람국가 예멘 주
]][[틀:국기|
속령
이슬람국가 예멘 주
]]
지원국 및 지원 세력

[[이란|]][[틀:국기|]][[틀:국기|]]

[[시리아 아랍 공화국|]][[틀:국기|]][[틀:국기|]](~2024)
[[헤즈볼라|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헤즈볼라]]

[[북한|]][[틀:국기|]][[틀:국기|]]

[[니카라과|]][[틀:국기|]][[틀:국기|]]

[[쿠바|]][[틀:국기|]][[틀:국기|]]

[[베네수엘라|]][[틀:국기|]][[틀:국기|]]

[[미국|]][[틀:국기|]][[틀:국기|]]

[[영국|]][[틀:국기|]][[틀:국기|]]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이스라엘|]][[틀:국기|]][[틀:국기|]]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소말리아|]][[틀:국기|]][[틀:국기|]]

[[튀르키예|]][[틀:국기|]][[틀:국기|]]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5]

[[에리트레아|]][[틀:국기|]][[틀:국기|]]

[[모리타니|]][[틀:국기|]][[틀:국기|]]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지부티|]][[틀:국기|]][[틀:국기|]]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인도|]][[틀:국기|]][[틀:국기|]]

[[이스라엘|]][[틀:국기|]][[틀:국기|]]

[[이집트|]][[틀:국기|]][[틀:국기|]]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지휘관

[[예멘|]][[틀:국기|]][[틀:국기|]] 모하메드 알 아티피

[[예멘|]][[틀:국기|]][[틀:국기|]] 무함마드 알리 알후티

[[예멘|]][[틀:국기|]][[틀:국기|]] 마흐디 알 마샤트
파일:후티 상징.svg 압둘 말리크 알후티

[[예멘|]][[틀:국기|]][[틀:국기|]]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예멘|]][[틀:국기|]][[틀:국기|]] 아메드 살레

[[예멘|]][[틀:국기|]][[틀:국기|]] 알리 모센 알 아흐마르

[[예멘|]][[틀:국기|]][[틀:국기|]] 타레크 살레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 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얀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세네갈|]][[틀:국기|]][[틀:국기|]] 마키 살

[[요르단|]][[틀:국기|]][[틀:국기|]] 압둘라 2세

[[이집트|]][[틀:국기|]][[틀:국기|]] 압델 파타 엘 시시

[[바레인|]][[틀:국기|]][[틀:국기|]]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수단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압델 파타 알부르한

[[모로코|]][[틀:국기|]][[틀:국기|]] 무함마드 6세

[[카타르|]][[틀:국기|]][[틀:국기|]]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남예멘|]][[틀:국기|]][[틀:국기|]] 아이다루스 알주바이디
병력
파일:후티 상징.svg 20만명
[[예멘|]][[틀:국기|]][[틀:국기|]] 예멘군 11만 3천명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사우디군 15만명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 아랍에미리트군 1만명

[[바레인|]][[틀:국기|]][[틀:국기|]] 바레인군 300명

[[카타르|]][[틀:국기|]][[틀:국기|]] 카타르군 1,000명

[[세네갈|]][[틀:국기|]][[틀:국기|]] 세네갈군 2,100명

[[모로코|]][[틀:국기|]][[틀:국기|]] 모로코군 1,500명

[[수단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수단군 8,000 ~ 3만명
피해 규모
파일:후티 상징.svg 후티 반군
1,000 ~ 1만 1천명 전사

[[예멘|]][[틀:국기|]][[틀:국기|]] 예멘군 불명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사우디군
1,000 ~ 3,000명 전사, 10명 포로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 아랍에미리트군
108명 전사

[[수단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수단군
1,000 ~ 4,000명 전사

[[바레인|]][[틀:국기|]][[틀:국기|]] 바레인군 9명 전사

[[카타르|]][[틀:국기|]][[틀:국기|]] 카타르군 4명 전사

[[모로코|]][[틀:국기|]][[틀:국기|]] 모로코군 10명 전사
결과
진행 중[6]
실시간 전황 보러가기
실시간 전황

1. 개요2. 배경3. 진행
3.1. 2014년3.2. 2015년
3.2.1. 1월3.2.2. 3월3.2.3. 4월 ~ 6월3.2.4. 7월 ~ 9월3.2.5. 10월 ~ 12월
3.3. 2016년
3.3.1. 1월 ~ 4월3.3.2. 5월3.3.3. 10월
3.4. 2017년
3.4.1. 1월 ~ 6월3.4.2. 7월 ~ 10월3.4.3. 11월3.4.4. 12월
3.5. 2018년
3.5.1. 1월3.5.2. 2월 ~ 4월3.5.3. 5월3.5.4. 6월3.5.5. 7월3.5.6. 8월3.5.7. 9월3.5.8. 10월3.5.9. 11월3.5.10. 12월
3.6. 2019년
3.6.1. 1월3.6.2. 2월 ~ 4월3.6.3. 5월3.6.4. 6월3.6.5. 7월3.6.6. 8월3.6.7. 9월 ~ 12월
3.7. 2020년
3.7.1. 1월3.7.2. 2월3.7.3. 3월3.7.4. 4월3.7.5. 5월3.7.6. 6월3.7.7. 7월3.7.8. 8월3.7.9. 9월 ~ 12월
3.8. 2021년
3.8.1. 1월3.8.2. 2월3.8.3. 3월3.8.4. 4월3.8.5. 5월3.8.6. 6월3.8.7. 7월 ~ 9월3.8.8. 10월3.8.9. 11월 ~ 12월
3.9. 2022년
3.9.1. 1월 ~ 3월3.9.2. 4월 ~ 12월
3.10. 2023년
3.10.1. 1월3.10.2. 3월3.10.3. 4월3.10.4. 8월3.10.5. 10월3.10.6. 11월3.10.7. 12월
3.11. 2024년
3.11.1. 1월3.11.2. 2월
4. 피해와 참상5. 다른 나라와의 관계
5.1. 한국과의 관계
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예멘의 자이드 시아파[7]인 반군 후티와 아덴으로 피난한 원래의 하디 정부, 하디 정부를 지원하는 사우디 주도 연합군, 하디 정부와 갈등하는 남예멘 분리주의자들, 알카에다 등 테러집단과 정부 세력 사이의 내전이다.

수년에 걸친 내전 결과 완전히 중동판 삼국지, 후삼국 시대가 열렸다. 제1정부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만수르 하디 정부[8], 제2정부는 사나 등 북부 예멘 지역을 점거하고 있는 후티 반군, 제3정부는 아덴 남부과도위원회 삼파전이 되었다.

2. 배경

엠빅뉴스 - 3분 요약! 예멘에 난민이 발생하는 이유

원래의 예멘 정부군인 수니파 하디 정부는 북예멘에 기반을 둔 세력으로 남예멘과 1972년 1974년 두차례 전쟁을 벌이고 합의로 1990년 한번 통일국가를 이뤘었다. 이후 다시 남예멘이 내전을 일으켰으나 북예멘이 승리해 1994년 예멘 전역을 통일했다. 여기에는 사실상 사우디아라비아의 후원이 있었다.

그런데 2009-2014년 구 북예멘 북부에서 일어난 반미, 반서방 성향이자 시아파 후티 반군 세력이 2015년 하디 정부를 몰아내고 북예멘 전역을 장악하고 하디 정부는 아덴으로 쫓겨났다. 현재 북예멘을 장악한 후티 반군은 이란의 후원을 받는 시아파이고 아덴으로 피난한 수니파 하디 정부를 후원하는 것은 사우디아라비아로 사실상 시아파 이란과 수니파 사우디 아라비아간의 대리전쟁이라고 볼수 있다.

이란은 후티반군을 지원하고 있다는 것을 부정하고 있으나 이란산 무기의 공급과 외교적 인정 등 후티 반군을 적극적으로 돕고있다. 사우디는 예멘의 북부 국경선에서 후티 반군을 군사적으로 압박하고 있으나 첨단무기로 무장했지만 의욕이 없는 사우디 군이 무장은 게릴라 수준이지만 전쟁경험이 풍부한 후티 반군에 밀려 형편없는 전투력을 보이며 패배를 거듭해 겨우 사우디 국경을 지키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대규모 반정부 시위 이후 종파분쟁 성격이 강한 내전이 발발했다는 점에서는 동시기에 발발한 시리아 내전과 상당히 유사점을 보인다. 시리아의 반정부 무장단체 자유 시리아군 알 누스라 전선 등은 이란에 적대하고 사우디에 친화적이지만 예멘의 반정부 무장단체 후티는 사우디에 적대하고 이란에 친화적인 등 각 세력의 이해관계와 적대,우호는 다르다. 여기에 양국의 내전에 시리아 무슬림 형제단과 예멘의 무슬림 형제단 계열 단체 알 이슬라당 등도 뛰어들고 알 카에다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등도 득세하면서 대혼란이 발생하고 수많은 국민의 탈출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은 대동소이하다.

시리아 내전, 이라크 내전, 제2차 리비아 내전 등과 함께 아랍의 봄 이후에 아랍 국가들이 앓고 있는 부작용인 사회/정치적 불안을 통틀어 말하는 아랍의 겨울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다.

3. 진행


예멘 내전 현황 및 각 세력 준동영역
예멘 내전
(2014~)
예멘 정부
후티 반군
남부과도위원회
알 카에다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2022년 8월 기준

2009년 알리 압둘라 살레 정부 때부터 군사활동을 시작한 후티 2011년 민주화 운동 이후 살레에 충성하던 공화국 수비대와 예멘군 병력들을 흡수하며 세력을 키웠다. 2014년 8월 18일, 후티 반군은 사나에서 유가인상을 이유로 반정부 시위를 벌였다. 이후, 총리인 무하메드 바신다와가 사임했고, 9월 21일에는 후티 반군이 사나를 장악했다. 이후, 후티 반군과 정부군, 후티 반군과 알 카에다 사이의 충돌이 잇따르고 있다. 2015년 1월 후티 반군은 대통령궁을 장악하여 반란에 성공했지만 대통령은 도피하고 옛 남예멘의 지방 정부들이 후티를 따르길 거부했다. 2015년 2월 6일, 후티는 임시 헌법을 발표하며 의회를 해산하고 551명으로 된 새 의회를 구성하며, 151명의 대통령 위원회를 설치해 2년간 정부 역할을 맡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예멘의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대통령은 남예멘의 옛 수도 아덴으로 이동해 후티의 통치는 불법이며 헌법상의 임기를 계속하겠다고 밝혔으며, 한국을 포함한 대다수의 국가들 역시 후티의 통치를 불법이라고 간주하고 하디 정부를 따라서 외교공관을 아덴으로 옮겼다. 이로써 양측이 예멘의 통치권을 확보하기 위한 내전으로 발전했다.

3.1. 2014년

예멘 수니파와 종파 갈등을 벌이고 있는 시아파 후티 반군은 2014년 9월 수도 사나를 점령한 뒤 정치적 실권을 쥐었다. 초기엔 대통령에게 협조적이었으나 이후 자신의 몫을 주장하면서 갈등을 빚어왔다. 특히 예멘을 6개 자치 지역으로 나누는 연방제로 새 헌법 초안이 작성되면서 후티의 공세는 거세졌다. 자원이 풍부한 남부까지로 세력을 확장하려는 계획이 연방제로 막히자 쿠데타를 시도한 것.

3.2. 2015년

후티의 탄도미사일 공격으로 사우디 주도 연합군 150여명 사망
(혐오) 사우디군 전사자 시신들
역으로 사우디 지잔 주를 공격해 사우디군 AMX-30 주력전차를 노획하는 후티 반군
후티의 공격에 궤멸된 사우디 기갑부대
후티의 게릴라전에 파괴된 사우디군,UAE군 차량들

3.2.1. 1월

2015년 1월 20일부터 21일까지 대통령궁을 장악한 뒤 대통령 관저를 공격하고 예멘 최대 미사일 기지와 군사학교를 장악했다. 로이터 통신은 후티가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 현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대통령 관저의 경호원을 자체 병력으로 바꿨다고 보도했다. 대통령 반군에 의해 관저에 '포로'로 잡혀 있어 사실상 가택연금 상태가 된 것이다.

만일 후티가 쿠데타에 성공한다면 전면적 내전이 발생할 공산이 크다. 후티는 예멘의 수니파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인 알 카에다 아라비아 반도 지부(AQAP)와도 교전을 벌이고 있는데, 후티가 정권을 쥐면 알 카에다와 수니파 무장 조직들이 반 시아파 연합전선을 형성해 전쟁에 나설 가망이 매우 크다. 더욱이 후티 반군은 사우디아라비아, 서방과도 대립각을 세우고 있어 국제적 고립 속에서 참혹한 내전이 치러질 수 있다. 거기다 남예멘 사회주의 세력의 분리독립 운동도 있으니(...) 때문에 미국은 후티를 도울 수도 없고 알 카에다나 남예멘 분리주의 세력을 지원할 수도 없는 딜레마에 빠질 우려가 많은 상황이다.

결국 후티가 쿠데타를 일으키는 데 성공했다. #. 후티 반군이 예멘의 의회, 정부를 해체하고 새로운 의회를 세울 것이라고 발표했다. 혼란상이 극심해지고 치안이 갈수록 악화되자 독일, 이탈리아 등 서구 국가와 사우디 아라비아까지도 대사관을 폐쇄하고 철수하였으며, 하디 대통령은 사직서를 내고 연금에서 풀려나자마자 자신의 지지 기반인 남부로 달아난 듯 했으나 이내 사퇴를 번복하고 남부 6개 주의 지지를 받은 뒤, 아덴을 임시수도로 선포하고 합법 정부로서의 저항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반 후티 시위도 일어나는 중이며,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은 '예멘이 눈 앞에서 붕괴되고 있다'라며 경고하였다. #

3.2.2. 3월

2015년 3월 20일에는 가뜩이나 상황이 안 좋은 가운데, IS의 소행으로 보이는 폭탄 테러까지 발생해 최소 137명이 사망하기까지 했다. 기사 1, 기사 2. 같은 날, 예멘에 주둔하던 미군(규모 100여명)이 완전 철수했다. 22일에는 후티 반군이 제3의 도시 타이즈를 점령했다.

26일부터 사우디군이 예멘에 전격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하였다. 15만명 규모의 병력과 100여 기의 항공기를 동원하였으며, 아랍 국가들과 미국의 지원을 받고 있다. 공습 전날 백악관에서는 사우디에 정보와 군수 지원 명령을 내렸다. 물론 미국도 군수지원이라고는 하지만, 정보자산(드론) 등을 동원해 지원하는 것인 만큼 개입이라고 봐도 타당할 듯하다. #

카타르 수니파 아랍 국가들은 성명을 통해 "이번 군사작전은 하디 대통령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면서 "전투는 예멘 수니파 정부가 회복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사우디 지상군 병력의 80%가 예멘에 투입된 가운데, 이미 이라크 시리아에서 생지옥의 참극을 벌이고 있는 수니파- 시아파 종파갈등 성격의 중동 국제 대리전( 이란-이라크 전쟁 시즌 2?)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게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3.2.3. 4월 ~ 6월

  • 4월
후티 반군은 4월 1일에는 하디 행정부의 임시수도인 아덴까지 점령했다. 하디 행정부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리야드로 망명.
  • 5월
5월말, 오만의 중재로 미국과 후티 반군이 협상을 했으며, 6월 14일 제네바에서 정부 측과 후티 반군 사이에 휴전협상이 개시될 예정이다. 일부 언론에선 남북 재분할 얘기도 나온다. 완전 재분할은 아니고 상징적 대통령을 두는 느슨한 연방제라는 전망. #
  • 6월
6월초에 예멘 반군이 사우디 아라비아 국경 지역에 로켓과 박격포를 이용한 공격을 가했고, 이후 사우디가 AH-64로 반격을 가했다. 기사.

사우디군이 병력을 계속 예멘에 투입하고 있으나, 게릴라전을 하는 반군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다.

3.2.4. 7월 ~ 9월

  • 7월
7월 17일 예멘 망명 정부가 후티 반군으로부터 남부 아덴 지역의 해방을 공개 선언했다. 기사

7월 21일 사우디군이 예멘 공습을 재개했다. 기사
  • 8월
8월 9일 예멘의 한 군사기지에서 반군의 폭탄테러로 인해 친정부군 군인 15명이 사망했다. 기사

8월 17일 예멘 정부군이 후티 반군으로부터 남부 거점 샤브와 주를 탈환했다고 밝혔다. 기사
  • 9월
9월 16일 예멘 망명 정부가 6개월 만에 사우디에서 아덴으로 복귀했다. 기사

3.2.5. 10월 ~ 12월

  • 10월
후티의 게릴라 전술에 크게 데인 사우디군은 공격 헬기까지 투입하여 반군의 기갑부대를 격파하고 마리브 주를 탈환했다.
  • 11월
11월 18일 예멘의 대통령인 하디 대통령이 사우디로 피신한지 8개월 만에 귀국했다. 기사
  • 12월
12월 6일 예멘 아덴 주지사가 IS의 폭탄 테러로 인해 사망했다. 기사

12월 14일부터 정부군과 반군이 일주일간 휴전을 하기로 합의했다. 기사

12월 17일 평화협상을 맺은지 나흘 만에 무기한 중단했다. 기사

3.3. 2016년

후티의 대전차 미사일에 ‘저격’당하는 사우디군 M1A2 전차들
교전 중 아군 장갑차를 들이받아 대파되는 사우디군 LAV 장갑차
지잔 주의 방어선을 돌파해 사우디 내륙으로 진격하는 후티

3.3.1. 1월 ~ 4월

  • 1월
1월 10일 국경없는의사회는 예멘 북부에서 운영하던 의료시설이 폭격을 당해 3명이 숨지고 약 10여명이 부상을 당했다고 밝혔다. 기사
  • 2월
2016년 2월 후티가 사우디 지잔 주 방어선을 돌파해 사우디 내륙으로 진격을 시작했다. 하지만 국경을 넘어 멀리 가지 못해 큰 피해는 나지 않았다.

후티가 사우디군 구축함을 격침시켰다는 소리도 나오는데, 구글링이나 각종 외신들 기사를 뒤져봐도 알리야드급이 격침됐다는 말은 찾아볼 수 없다. 자세한 내용은 사우디군 문서에 나와있다.
  • 3월
3월 28일 사우디군 9명과 예멘 반군 109명의 포로를 맞교환했다. 기사
  • 4월
4월 11일 정부군과 반군이 유엔의 중재하에 휴전에 돌입했다. 기사

3.3.2. 5월

2016년 5월에는 시리아-이라크에서 세력이 움츠러들고 있는 ISIL이 시리아와 예멘에 대규모 테러를 감행해 아덴에서 사망자가 최소 45명이 발생했고, 수백 명이 다쳤다고 한다. 예멘에서는 신병훈련소를 겨냥해서 테러를 감행했다고 한다. 기사

2016년 5월 29일, 샤브와 주에 주둔한 정부군을 반군이 기습해 정부군 20명과 반군 28명이 전사하는 등 여전히 혼란스러운 상황.

3.3.3. 10월

그리고 2016년 10월 초에는 후티가 UAE소속 HSV-2 Swift 수송선(미군이 쓰다가 UAE에 리스한 상태)을 C-802 대함미사일로 대파시키는 일이 벌어졌다.[9]

사우디는 이것을 무시하고 계속 하디 정부를 돕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아랍 에미리트와 사우디 양국간 의견충돌로 인해 UAE 지상군 일부가 예멘에서 철군했다. 대신 공중 지원은 계속하고 있으며 자신들이 보유한 차량들을 예멘 하디 정부에 넘겼다.

2016년 10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예멘 시아파 반군 후티의 고위급 인사의 부친상이 열리던 사나의 알쿠브라홀을 두 차례 공습하였는데, 장례식 폭격으로 인한 논란이 국제사회에서 비난이 크게 일어나자 자체적으로 진상조사를 벌어서 사우디가 이를 예멘 장례식장 폭격을 오폭으로 인정한 사건도 있었다. #

미국 알 카에다 ISIS, 탈레반 등을 상대하기에도 벅찬 마당에 후티까지 직접적인 적으로 만들 이유가 없기 때문인지 후티 반군을 직접 공격하진 않고 있었다. 그러나 후티가 미 해군 함정에 2차례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10] 그러자 빡친 미군은 후티의 레이다 기지 3곳에 토마호크를 날려서 반격했다.[11] 후티의 레이다 기지 3곳은 초토화되었다.

3.4. 2017년

3.4.1. 1월 ~ 6월

  • 1월
사우디군, 황금창 작전 실패로 3여단장 포함 70여명 전사
  • 2월
후티의 무인 자폭 보트에 공격을 당하는 사우디 프리깃[12]
  • 3월
후티가 사우디아라비아 수도인 리야드 근처 공군기지로 탄도탄을 날려 사우디와의 갈등이 격화되었다.
  • 5월
수단군 기계화 부대 괴멸

3.4.2. 7월 ~ 10월

  • 7월
2017년 7월 27일에 예멘 반군이 쏜 미사일이 메카(!)인근에 떨어졌다. #본격 신성모독
  • 9월
9월 20일 예멘 타이즈에서 반군의 포격으로 어린이 4명이 숨졌다. #
  • 10월
10월 31일 예멘군이 알카에다의 거점도시 마파드를 점령했다. #

3.4.3. 11월

후티는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탄도미사일 공격을 계속하고 있으며, 2017년 11월 5일에는 리야드의 킹 칼리드 공항을 향해 탄도탄을 발사했다. #

2017년 11월 6일 사우디 주도의 아랍 동맹군이 예멘의 육해공을 봉쇄하였다. # 이 봉쇄조치로 가뜩이나 열악한 예멘의 상황이 더욱 나빠지게 되었다. # 후티 반군은 봉쇄에 반발하며 사우디와 UAE에게 보복하겠다고 주장했다. # 다만 이와 별개로 유엔의 예멘 민간인 구제는 허용하여 유엔이 사우디군의 통제하에 있는 예멘의 사나 공항을 이용하도록 허가해주었다. 물론 그외에는 전부 봉쇄했다. #

3.4.4. 12월

한때 동맹을 맺었던 알리 압둘라 살레 전 예멘 대통령을 후티가 2017년 12월 4일 살해했다고 중동 지역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전 예멘 대통령 살레는 대통령직 퇴임 이후에도 남아있던 정치적 야망으로 반군인 후티와 동맹을 맺었는데, 2017년 11월 1일 후티와 대립하는 사우디아라비아에 동맹을 제안하는 위험한 줄타기를 하다가 결국 후티와 내분이 났다. 살레를 추종하는 무장단체와 지지자들은 후티 세력과의 교전 중 모두 사망했고, 살레 본인도 사나 지역에서 빠져나가다 머리에 총격을 맞고 사망했다. #

12월 19일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 왕궁을 향해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나 사우디의 패트리어트 미사일에 요격되었다.[13]

3.5. 2018년

후티, 미국제 무인잠수정 나포
후티, 사우디군 F-15 전투기를 격추했다고 발표[14]
사우디군,후티 탄도미사일 요격

3.5.1. 1월

2018년 1월 28일에는 예멘 정부를 돕던 분리주의 세력이 임시정부청사를 점거하는 사태가 발생되었고, 예멘 정부군과 교전하는 과정에서 수십명의 사상자가 발생되었다. # 그리고 아덴전역에서는 분리주의진영의 시위가 일어났다. # 거기에다 남예멘 분리주의세력은 남부과도위원회를 결성하고 1월 28일에 아덴의 정부청사를 정부군과의 전투끝에 점령했고, 1월 29일에는 병력을 증파하는 등 남예멘 분리주의세력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지만, # 아덴에서 정부지지자들과 남부분리주의자들이 충돌하면서 12명이 사망하고 130여 명이 부상당했다. # 그리고 예멘 정부군과 남부 분리주의세력간에 교전이 일어나자 아흐메드 빈다게르 총리는 사우디로 도피하려고 하고 있고,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대통령은 사우디로 피신했다. #

2018년 1월 30일에는 예멘 반군 후티가 리야드의 공항을 향해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주장했지만, 2월 1일에 사우디군은 부인했다. #

3.5.2. 2월 ~ 4월

  • 2월
2월 2일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는 중재를 위해 대표단을 아덴으로 파견했다. #

2018년 2월 3일에 사우디주도의 아랍동맹군이 예멘 반군을 폭격하면서 군사시설, 학교, 민가 등을 표적으로 삼아 어린이까지 대거 희생되었다. #
  • 4월
2018년 4월 11일에 후티 반군은 전투용 드론으로 사우디 남부 국경지대의 공항과 석유시설을 공격했다. # 그리고 사우디군은 2018년 5월 7일에 예멘의 사나에 위치한 옛 대통령궁을 폭격했다. #

4월 24일 사우디 공군의 폭격으로 후티의 최고사령관이 사망했다고 후티 측에서 밝혔다. #

3.5.3. 5월

2018년 5월 3일 아랍에미리트가 뜬금없이 자국 군대를 파견하여 소코트라 섬을 점령했다. # 시아파 반군 후티에 맞서 원 정부인 하디 정부 편을 들며 예멘 내전에 개입해 온 아랍에미리트는 2017년 말부터 하디 정부에서 남예멘 분리주의 조직 남부과도위원회로 편을 갈아탔고 이 분리주의 조직은 2018년 초 하디 정부를 몰아내고 임시 수도였던 아덴을 장악했다. 아랍에미리트가 군대를 파견하면서 공항, 항구, 정부 관공서 등 주요 시설에 게양되고 있던 예멘 국기를 내리고 아랍에미리트 국기를 내걸었으며 아랍에미리트가 예멘 정부에게 소코트라 섬의 99년 기한의 조차를 주장했다는 소식이 나오는 것을 보면 # # 남예멘 분리주의 조직을 지원하여 예멘 정부가 자국군의 행동에 신경쓰지 못하도록 만든 후 소코트라 섬을 아랍에미리트의 일부로 영구히 합병할 속셈인 듯하다. 하디 정부는 아랍에미리트의 소코트라 섬 점령이 예멘의 주권 침해라며 강력히 비난했으나 본토에서 벌어지는 내전에 신경쓰느라 바쁜 하디 정부는 아랍에미리트의 이런 행각에 대해 속수무책이다. 99년 조차드립까지 나왔지만 점령 2주만에 사우디의 중재에 의해 이미 UAE군은 철수한 상황이다. #

3.5.4. 6월

2018년 6월 13일 사우디 주도의 아랍 연합군과 예멘 정부군은 후티의 물류 요충지인 호데이다 항구를 탈환하기 위한 대공세에 들어갔다. # 그래서 하루만인 6월 14일에 아랍 연합군은 호데이다 남부의 나킬라 마을을 탈환하였고 #, 6월 16일에 호데이다의 공항을 완전히 포위하고 공항의 후티 반군과 교전을 벌이고 있다. # 6월 19일에 후티 반군은 사우디군과 호데이다에서 격전을 벌였지만, # 결국 예멘 정부군과 아랍 연합군은 호데이다항구를 탈환했다. # 하지만 호데이다 전투가 확장되면서 시민들중에는 피난을 떠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

3.5.5. 7월

7월 12일에 후티 반군은 사우디 공군 소속의 F-15전투기 1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

7월 18일에 후티 반군이 신형 공격용 드론으로 리야드의 정유시설을 공격했다고 반군이 운영하는 알마시라 방송이 보도했다. #

7월 26일에 후티 반군이 아랍에미리트의 아부다비 공항을 드론 1대로 공격했다고 주장했다. #

3.5.6. 8월

2018년 8월 2일에 그리피스 유엔특사는 9월 6일에 예멘 평화회담이 제네바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 그리고 그리피스 특사는 다음달에 열리는 평화회담에서 과도정부구성과 무장해제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8월 10일에는 사우디군이 예멘 북부에 가한 폭격이 어린이들이 타고 있는 버스에 떨어져, 다수의 어린이를 포함한 무고한 희생자가 발생하였다. 국제사회는 이런 참사에 우려를 표하고 있는 중이지만 제대로된 액션이 나올지는 미지수. # 국제사회, 특히 미국의 압박에 밀렸는지 책임을 인정하고 책임자 처벌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한다. #

3.5.7. 9월

9월 4일에 스페인 정부는 예멘 어린이들이 사우디연합군의 오폭으로 사망한 사건을 두고 사우디군에 무기수출을 중단하는 조치를 취했다. #

2018년 9월 5일에 마틴 그리피스 유엔 예멘 특사는 2년 만에 재개되는 예멘 평화회담을 앞두고 "양쪽의 신뢰구축이 첫 단계"라며 이번 회담이 정례적 절차로 자리 잡도록 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하지만 후티반군이 불참하면서 평화협상이 잠시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되었다. # 결국 예멘 반군이 불참하면서 평화회의는 시작도 못하고 무산되었다. # 그리고 결렬되자마자 내전이 다시 발생되었다. # 그리고 WFP는 호데이다 항구에서 인도주의 구호활동을 겨냥한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

9월 20일에 CNN이 '독일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요르단에 무기를 판매했다'고 보도하자 독일측은 부인했다. #

9월 28일에 유엔인권이사회는 예멘 내전에서 저질러진 전쟁범죄혐의를 조사하는 유엔 조사단의 활동을 1년 연장했다. #

9월 30일에 예멘 반군은 두바이 국제 공항을 드론으로 공격했다고 밝혔다. #

3.5.8. 10월

10월 2일에 유엔아동권리위원회는 사우디의 오폭을 비판하며 책임자의 처벌을 촉구했다. #

10월 11일에 유엔아동권리위원회는 사우디에 예멘에서 일어나는 공습을 중단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

3.5.9. 11월

11월 2일에 사우디 연합군은 예멘을 공습했다. #

11월 8일에 예멘 내전이 장기화되면서 미국측은 후티 반군을 테러 단체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

2018년 11월 8일에 마틴 그리피스 유엔 특사는 예멘 평화협상을 12월에 재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 그러다가 2018년 11월 16일에 예멘 정부와 반군은 내전을 종식시키기 위한 협상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

11월 29일에 후티 반군은 평화협상이 진행되는 동안에 사우디 국경쪽으로 미사일을 발사했다. #

3.5.10. 12월

약 4년간 이어졌던 예멘 내전을 종식시키기 위해 이번에는 2018년 12월 6일에 스웨덴에서 평화회담이 개최되었다. #

12월 7일 예멘 정부와 반군 간 평화협상 도중에도 사우디군과 후티반군은 무력 충돌을 일으켰다. #

12월 11일에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은 스웨덴에서 열린 회담에서 수감자 교환 규모를 1만5천명으로 합의하고 명단을 서로 공개했다. #

12월 12일 예멘 정부와 반군이 수감자 1만5천명 교환하는데 합의했다. #

그리고 12월 13일, 예멘 반군측은 유엔 특사가 제시한 합의문중의 일부를 수용하기로 밝혔다. # 그리고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은 호데이다에 대한 휴전협정을 체결했다. #

하지만 휴전된지 이틀만인 14일에 호데이다에서 다시 교전이 벌어졌다. # 그리고 다시 일어난 교전으로 29명이 사망했다. #

12월 18일 0시를 계기로 우여곡절 끝에 호데이다에서 후티 반군과 예멘 정부군간 휴전이 시작됐다. # 그리고 후티 반군은 호데이다 항구에서 철군했다고 밝혔다. # 하지만 유엔측은 호데이다 항구에서 철군했다고 주장하는 후티 반군과 정부군의 실행 여부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 그리고 굶주린 주민들에게 돌아가야할 식량들이 후티반군들에 의해 빼돌리면서 판매되는 일이 발생되자 세계식량기구는 이를 중단하라고 강력 경고했다. #

12월 24일에 드디어 유엔은 예멘 내전을 휴전하기로 요청했고 결국 예멘 내전은 일단 일단락되었다. 이로써 2015년부터 시작된 예멘 내전은 4년 만에 일시적으로 막을 내렸다.

3.6. 2019년

3.6.1. 1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019년 1월 16일에 호데이다 항구에 6개월간 75명의 감시단을 파견하기로 만장일치로 합의했다. #

2019년 1월 28일에 예멘 북부의 난민 캠프에 포 공격이 행해져 8명이 사망하고 30명이 부상당했다. #

1월 29일에 예멘 정부군과 반군은 내전 4년 만에 상대편 수감자를 교환했다. #

3.6.2. 2월 ~ 4월

  • 2월
2월 13일. 미국 하원에서 예멘에서 미군 철수 결의안을 통과하였다. #

2월 19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호데이다 내에서 병력철수의 개시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3월
3월 26일, 예멘의 한 병원에서 공습이 시작되면서 어린이 5[15]명을 포함한 7명이 사망하고 8명이 부상당했다. #
  • 4월
4월 5일, 미국 하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정책을 거부하고 행정부에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끄는 예멘 내전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예멘 내전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끝낼 것을 요구했다. #

3.6.3. 5월

5월 1일, 예멘 정부군은 후티반군이 스톡홀름 정전협정을 3,719회나 위반하고 그로 인해 민간인 140명이 죽었다고 비난했다. #

5월 5일, 유엔구호기구는 호데이다 항구에서 몇개월동안 방치된 밀창고에 어렵게 접근했다. #

5월 17일, 미국과 이란간의 갈등이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 연합군은 사나에 있는 후티반군점령지를 19차례에 걸쳐 공습했다. #

5월 20일, 후티 반군은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의 군사, 산업시설 등 핵심표적 300곳에 대한 자료를 축적했다고 밝혔다. #

5월 25일, 사우디 주도의 아랍동맹군은 후티 반군 소속의 군용차량 여러대를 격추했다고 밝혔다. #

3.6.4. 6월

6월 19일, 2만명 이하로 추정되던 예멘 내전 사망자가 9만100명에 달한다고 국제민간단체가 주장했다. #

6월 28일, 안토니오 구테레스 유엔 사무총장이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2013년 4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예멘에서 목숨을 잃거나 장애를 입은 어린이는 7,508명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

3.6.5. 7월

예멘 내전에 참전 중인 아랍에미리트(UAE)가 현지에서 군대를 철수시키고 있다고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와 중동전문매체 미들이스트아이(MEE)가 4일 보도했다. #

7월 14일 ~ 15일, 예멘 정부와 반군은 선상에서 회담을 가졌다. #

7월 31일, 이탈리아 정부는 예멘 내전에 관여하고 있는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에 무기판매를 중지한다고 밝혔다. #

3.6.6. 8월

8월 1일, 예멘 반군은 아덴의 정부군을 향해 탄도미사일공격을 감행하면서 수십명이 사상당했다. # 그리고 후티반군의 폭탄테러로 51명이 사망했다고 예멘 당국이 밝혔다. #

8월 10일, 아덴에서 친정부세력사이에서 내분이 일어나 교전이 발생되면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되었다. #

8월 11일, 사우디주도의 연합군은 아덴을 집중 폭격했다. #

8월 13일, 후티 반군은 사우디 공항을 드론으로 공격했다고 밝혔지만, 사우디측은 피해가 없다고 밝혔다. #

그동안 잠잠해지던 상황이 점점 안 좋아지면서 남부 분리주의 세력과 정부군간의 전투가 지속되고, 사우디군과 아랍에미리트 군의 폭격에 이어 심지어 다에쉬(!)까지 개입했다. #

3.6.7. 9월 ~ 12월

  • 9월
9월 1일에 사우디군은 예멘 반군이 통제하는 다마르 시 북부를 폭격해 대규모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

9월 27일에 사우디가 후티 반군의 휴전제의를 일부 받아들였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

9월 28일에 후티 반군은 휴전제안뒤에 사우디를 공격했다고 밝혔다. #
  • 11월
11월에 남부 분리주의 세력과 정부 간의 휴전협정을 맺었다. #

후티 반군이 11월 29일에 헬리콥터 1대를 격추하면서 사우디 조종사 2명이 사망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

3.7. 2020년

파일:예멘 1.webp
사우디 공군의 공습으로 파괴된 사나의 전통 가옥

3.7.1. 1월

1월 18일에 후티 반군이 사나 인근 마리브의 군훈련소를 드론과 미사일로 공격해 군인 60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다쳤다고 사우디 국영TV가 보도했다. #

1월 29일에 후티 반군은 사우디 남서부 국경지대의 지잔에 있는 아람코의 시설을 공격했다고 주장했다. #

3.7.2. 2월

2월에 후티 반군이 사우디 전투기 1대 격추하였으며, 최소 30명의 민간인이 숨지거나 다쳤다고 주장했다 #

2월 16일에 예멘 정부군과 후티 반군은 암만에서 만나 포로교환에 합의했다. #

2월 25일에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예멘에 대한 경제 제재와 여행금지 제재을 2021년 2월 26일까지 1년 더 연장하기로 결의했다. #

3.7.3. 3월

3월 후티가 2년 만에 알하즘 지역을 탈환했다. 수많은 탄약과 차량은 물론 주요서류들까지 파기되지 않고 노획되었다. 사우디군이 차량을 버리고 도주하자, 후티가 그 차를 타고 추격하는 충격적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영화도 이쯤되면 말도 안되는 설정이라고 유치하다고 욕 먹는다. 사우디군의 보급창을 접수한 후티 사우디군이 방기한 차량들을 수집하는 후티

3월 28일에 사우디군이 후티 반군의 탄도미사일 공격이 있었으며 이를 요격했다고 밝혔다. #

3.7.4. 4월

4월 8일, 사우디가 휴전을 선언, 러시아와 유가전쟁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개입이 힘들어지면서 휴전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 기간은 2주.

4월 10일 예멘 정부에서 국내에 첫 코로나19 환자가 발견되었다고 발표했다. #

4월 24일, 사우디아라비아는 라마단 기간에 예멘에서의 코로나19 확산의 방지를 위해 휴전을 한 달 연장했다고 밝혔다. #

4월 26일에 남부과도위원회는 성명을 내고 예멘 정부와 분리된 자치 지역 수립을 선언하자 이에 대해서 사우디아라비아 동맹군은 휴전 준수를 촉구하며 반발했다. #

4월 28일, 후티 반군은 자우프 주의 95%를 점령했다고 밝혔다. 이제 후티 반군은 마리브 주를 제외한 거의 모든 북예멘을 통제하고 있다. #

3.7.5. 5월

5월 7일, 다시 예멘 내전이 격화되는 와중에 반군사령관이 전사했다고 시아파 반군본부가 발표했다. #

5월 11일, 하디 정부는 남부과도위원회의 지배하에 있는 아브얀 주의 주도인 진지바르를 습격했다. 남부과도위원회 쪽에선 그들의 공격을 저지하고 다수를 사살했다고 주장했다. #

3.7.6. 6월

6월 13일, 사우디군은 후티 반군이 쏜 탄도미사일 1발을 요격했다고 밝혔다. #

6월 21일, 남부과도위원회가 소코트라섬을 완전히 점령하여 군정으로 통치한다. #

6월 29일, 예멘 부근의 해역에 정박중인 원유 1백만 배럴 이상을 싣고 있는 초대형 유조선 세이퍼에서 관리 부실로 폭발을 막기 위한 불활성 가스가 유출되고 선체 부식으로 바닷물이 침투해 침몰 위험마저 제기되고 있다. #

3.7.7. 7월

7월 2일, 사우디가 이끄는 아랍연합군이 후티 반군이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사나시를 공습했다. #

코로나19와 내전으로 인해 예멘내 어린이들이 아사 위기를 겪고 있다. #

7월 13일, 후티 반군이 사우디아라비아 남부 도시 지잔의 석유시설을 공격했다. 이는 지난해 8월 사우디 국영석유기업 아람코의 석유시설을 공격한 지 1년여 만이다. 이에 사우디군은 미사일을 모두 요격했다고 밝혔다. #

3.7.8. 8월

8월 3일, 후티 반군은 미국제 RQ-20 소형 정찰 드론을 격추했다고 밝혔다. #

예멘에서 남부 분리독립군이 예멘 정부군과 권력 분담 협정 이행을 돌연 중단했다. #

예멘 반군이 10대 소녀 수십명을 징발해 첩보, 의무, 경비, 소년병 모집과 같은 전투 지원 업무는 물론 여군 부대에 보내 전장에도 투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

3.7.9. 9월 ~ 12월

  • 9월
9월. 예멘 정부와 반군 후티가 수감자 1천여명을 교환하기로 했다. #
  • 10월
10월 15일, 처음으로 후티 반군과 예멘 정부군 간에 포로교환이 이뤄졌다. #
  • 11월
11월 24일, 아람코는 제다에 있는 한 석유제품 유통시설이 전날 후티 반군의 공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
  • 12월
12월 10일, 헨리에타 포어 유니세프 총재는 예멘에 있는 120만명의 어린이들의 삶은 눈 뜬채 꾸는 악몽이라고 말했다. #

30일. 아덴에 있는 공항에서 테러로 추정되는 폭발로 최소 26명이 숨졌다. #

3.8. 2021년

3.8.1. 1월

1월 14일 마틴 그리피스 예멘 특사는 미국측이 후티 반군을 테러단체로 규정한 것에 대해 앞으로 예멘의 기근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표시했다. #

3.8.2. 2월

2월 10일 후티 반군이 사우디의 아브하 공항을 드론으로 공격했다. #

2월 14일 사우디군은 후티 반군의 드론을 격추했다고 밝혔다. #

2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는 수도 리야드를 향한 탄도미사일 1발과 사우디 남부 지역으로 발사된 무장 드론 6대를 격추시켰다고 발표했다. 그 배후로 후티 반군을 지목했다. #

3.8.3. 3월

3월 3일 후티 반군이 사우디의 국영기업인 아람코의 석유저장 시설을 미사일로 공격했다. #

3월 4일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의 고위 관리들이 휴전 협상을 촉진하기 위해 예멘 후티 반군들과 접촉했다. #

3월 7일 아랍 연맹군이 후티 반군 장악 지역을 폭격했다. #

3월 12일 후티 반군은 미국의 정전 제안을 사실상 거부했다. #

3월 15일 후티 반군이 사우디 남부 공항과 공군기지를 드론으로 공격했다. #

3월 22일 사우디측은 후티 반군에 휴전을 제안했다. #

3월 31일 사우디아라비아가 예멘에 4억2천만 달러(약 4천700억원)어치의 연료를 지원하기로 했다. #

3.8.4. 4월

4월 8일 후티 반군은 사우디의 공군기지를 드론으로 폭격했다고 밝혔다. #

4월 20일 유엔측은 내전으로 인해 예멘 마리브에 9월까지 난민이 10만 5천명으로 증가한다고 우려했다. #

4월 26일 후티 반군은 사우디 군 기지를 드론으로 공격했다고 주장했다. #

3.8.5. 5월

미국 해군이 아라비아해 북쪽 해역에서 예멘으로 향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선박에서 무기류를 대거 압수했다고 CNN, 폴리티코 등이 5월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국방 관계자에 따르면 이 선박은 이란에서 출발했으며 러시아제 대전차 유도미사일(ATGM)과 중국제 56식 돌격 소총[16] 약 3000정, PKM 기관총 수백정과 저격 소총, 로켓추진 수류탄 발사기 등이 실려 있었다고 한다. 이번에 압수된 무기류는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는 예멘 후티 반군을 지원하기 위한 것들로 추정되고 있다. #

3.8.6. 6월

6월 6일 후티 반군은 도시 마리브에 대한 미사일 공격과 관련해 군사 시설을 목표로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

예멘 정부 관계자는 후티 반군의 마리브 공습으로 사망자가 최소 8명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

6월 30일 휴먼 라이츠 워치는 후티 반군이 인티사르 알-함마디라는 20살의 여자 배우 겸 모델을 퇴폐 행위와 마약 소지 혐의로 기소했고 그녀에 대한 성추행과 학대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

3.8.7. 7월 ~ 9월

  • 7월
    • 7월 24일 마리브 주에서 후티 반군과 친정부 무장민병대의 충돌이 또 일어나 최소 17명이 사망했다. #
  • 9월
    • 사우디아라비아군 당국이 후티 측 탄도미사일과 드론들을 요격했다고 5일 밝혔다. #
  • 예멘 중부 알바이다주에서 정부군과 후티 반군이 충돌해 양쪽에서 최소한 50명이 사망했다. #

3.8.8. 10월

  • 10월 13일 사우디 연합군이 마리브 인근 지역을 폭격해 후티 반군의 근거지를 파괴했다. #
  • 10월 20일 예멘 마리브 지역에서 이어진 폭격으로 일주일간 반군 700명이 사망했다. #
  • 10월 24일 사우디 주도의 연합군이 전략적 요충지 마리브를 둘러싼 공방전에서 300명 가까운 반군을 사살했다. #

3.8.9. 11월 ~ 12월

  • 11월
    • 사우디 연합군이 호데이다 항구에서 철수하였다. #
  • 후티 반군이 사우디내의 몇몇 도시와 아람코를 드론으로 공격했다고 밝혔다. #
  • 12월
  • 15일 후티 반군은 사우디의 카미스 무샤이트 시의 킹 칼리드 공군부대와 자잔시 일대의 목표물을 향해서 탄도 미사일 5기를 발사했다고 발표했다. #

3.9. 2022년

3.9.1. 1월 ~ 3월

  • 1월 11일. 예멘 정부군이 후티에게 빼앗겼던 산유 지역 샤브와주를 탈환했다. #
  • 사우디 UAE 연합군이 예멘 북부의 반군 거점인 사나를 공습했다. #
  • 후티 수용소가 있는 사다주(州)의 사우디군의 공습으로 최소 82명이 사망하고, 265명 부상했다고 밝혔다. #
  • 아이작 헤르조그 이스라엘 대통령이 사상 처음으로 UAE를 방문한 와중에 후티 반군 미사일이 날아다니다가 격추되었다. #
  • 2월 12일, 예멘 남부의 아비얀주에서 유엔 직원 5명이 피습, 납치당했다. #
  • 후티 반군의 드론 공격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 있는 아람코 정유시설에 소규모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
  • 예멘 정부군의 고위급 장성이 차량 폭탄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 #
  • 후티 반군이 드론으로 사우디 내 도시들을 공격하자 즉각 사우디군이 수도 사나 등 폭격을 퍼부었다. #

3.9.2. 4월 ~ 12월

  • 4월 1일, 후티 반군과 아랍 연합군이 2개월간 휴전에 합의했다. #
  • 4월 7일.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예멘 대통령은 오랜 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정치적 해법을 논의할 새로운 지도위원회를 구성, 권한을 이양했다. #
  • 후티가 유엔과 소년병 폐지에 합의했다. #
  • 4월 24일, 예멘의 수도 사나에서 6여년 만에 처음으로 민항기 운항이 재개되었다. #
  • 6월.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이 휴전을 2개월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
  • 전세계적인 이상 기후가 예멘에도 영향을 미쳐 약 한달에 걸친 폭우에 따른 홍수로 인해 예멘의 상황이 더욱 심각해졌다. # #
  • 8월. 4개월 간의 휴전 종료를 앞두고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이 휴전을 2개월 추가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
  • 9월 6일, Abyan주의 Ahwar 지역의 보안 검문소에서 알 카에다의 기습공격으로 고위지휘관을 포함한 최소 20명의 남부과도위원회 소속 전투원들이 사망했다. 이어진 전투에서 습격에 가담했던 알 카에다 전투원 6명을 모두 사살했다. #
  • 10월 2일,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 간의 휴전 6개월 추가 연장을 위한 협의가 실패하여 지난 6개월 간의 휴전이 종료되었다. # #

3.10. 2023년

3.10.1. 1월

  • 1월 23일, 예멘 남부 아비얀주에서 알카에다의 폭탄 테러로 예멘 정부군 차량이 폭발하면서 최소 2명의 군인이 사망하고 5명이 중상을 입었다. #

3.10.2. 3월

  •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이 관계를 회복하기로 함에 따라 예멘 내전에 대한 간섭 및 지원을 중단할 것으로 보인다. #
  • 3월 24~26일. 후티 반군이 산유 지역인 샤브와 주를 재차 공격하기 시작했다. 25일에는 예멘의 국방장관을 비롯한 정부 관료들이 반군의 드론 공격으로부터 가까스로 목숨을 구하기도 했다. #

3.10.3. 4월

  • 4월 9일, 사우디아라비아 대표단이 예멘 수도 사나를 찾아 반군 후티와 본격적인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 #

3.10.4. 8월

  • 8월 1일, 박격포와 RPG 기습공격으로 5명의 남부과도위원회 전투원들이 사망했다. 알 카에다의 공격으로 추정되며 용의자들은 Abyan과 Bayda 사이의 산악지형으로 도주했고 추적중에 있다. #
  • 8월 10일, 폭발물 테러로 인해 남부과도위원회 소속 군 지휘관과 전투원 3명이 사망했고 목격자 전원은 알카에다의 소행일 것이라고 진술했다. #

3.10.5. 10월

  • 예멘 내전이 잠잠해지던 찰나, 10월 31일 후티가 이스라엘에 선전포고했다. #
  • 10월 31일 후티가 예멘에서 이스라엘의 항구도시 에일라트를 향해 지대지 미사일을 발사했지만 미국과 사우디가 애로우 미사일로 요격했다. #
  • 10월 31일 후티가 1년 6개월 만에 사우디를 공격하여 사우디군 4명이 사망했다. #

3.10.6. 11월

  • 11월 9일 이스라엘 항구도시 에일라트의 초등학교가 예멘 반군 후티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드론 및 미사일 테러공격을 받았다. # 다행히 학생들이 대피소로 피신해서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 11월 10일 후티가 이스라엘에 미사일 공격을 감행했고, 이라크에선 미군을 겨냥한 공격이 있었다. #
  • 11월 19일 후티가 홍해 남부에서 화물선 1척을 나포했다. 단 이스라엘 선박이 아닌데다가 이스라엘 선원이 없는 외국화물선이다. #
  • 11월 23일 USS 토머스 허드너(DDG116)가 예멘 후티 반군 통제 지역에서 발사된 단방향 공격 드론 여러 대를 격추했다고 밝혔다. #
  • 11월 26일 후티가 USS 메이슨호를 향해 두 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고, 두 미사일 모두 아덴만에 있는 함선 바로 앞까지 떨어졌다. #

3.10.7. 12월

  • 12월 3일 예멘 후티 반군이 홍해서 미 구축함 1척과 영국 상선 3척에 4건의 미사일 공격을 가해 상선 1척이 피격되었다. #
  • 12월 12일 후티가 이스라엘 항구로 향하던 노르웨이 국적의 유조선 '스트린다호'를 예멘 근해에서 미사일로 공격했다. # 이로인해 유조선에 화재가 발생했지만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다. # 후티는 지난 9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가 필요한 식량과 의약품을 받지 못한다면, 국적과 관계없이 이스라엘 항구로 향하는 홍해 위 모든 선박이 우리 군의 표적이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 12월 18일 예멘 반군 후티가 이스라엘 선박을 공격한다는 명분으로 홍해의 선박을 연쇄공격해서 세계 물류위기가 가중화되고 있다. #
  • 12월 23일 후티반군이 계속 홍해를 오가는 선박을 공격하고 있다. 이란도 인도양의 선박을 공격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11. 2024년

3.11.1. 1월

  • 1월 9일 하마스를 지지하는 예멘의 후티반군이 홍해에서 민간 상선을 공격했다. #
  • 1월 10일 후티가 홍해 상선에 드론공격을 가했으나 미,영 해군에 모두 격추됐다. #

3.11.2. 2월

4. 피해와 참상

파일:/system/photos/2016/2/4/1766512/article.jpg

내전에 휩싸여 비참한 처지에 놓인 예멘을 취재한 미니다큐.

수 년째 내전이 지속되고 있고, 예멘은 완전히 실패국가가 되어버린 상태다. 국민들은 기초적인 사회 인프라도 없이 고통받고 있으며, 지긋지긋한 종파 간 갈등과 내전은 1년 넘게 끝나지 않고 있다. 내전에서의 사망자는 6400명이 넘어가고, 경제가 처절하게 망가진 상태에서, 청년 실업률은 70%에 달한다. 2019~2022년 4년 동안 소말리아까지 제치고 취약국가지수 1위를 기록했을 정도라고 하면 말 다 한 셈이다.[17]

죄없는 어린이들은 37만 명 영양실조·아사 위기라고 말했다. # 5세 이하는 무려 31%가 영양실조 상태라고 발표했다. # 그리고 예멘은 2년간의 내전으로 인해 민간인 사망자가 1만 명, 부상자가 4만 명에 달했다. # 게다가 콜레라까지 번지면서 115명이 죽고 8,500여 명의 감염자가 발생되었고, # 한 달여 만에 콜레라 사망자가 600명에 달하고 감염자도 7만 명에 달했다. # 결국 예멘은 콜레라가 확산되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 그리고 예멘에서 콜레라가 확산되자 다른 주변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 그리고 예멘에서는 한달반만에 콜레라 사망자가 1천 명에 육박했다. # 그리고 2달 만에는 사망자가 1,500명에 달했고 이 중 25%가 어린이들이었다. # 게다가 콜레라 의심 환자가 30만 명을 넘으면서 점점 통제불가능한 상황에 치닫고 있다. # 그리고 2017년 8월 30일에 폭우와 홍수로 15명이 사망하면서 콜레라 확산률이 높아지고 있다. #

2017년에 예멘을 통해 사우디, 아랍에미리트 등 부유한 걸프국가들로 이주하는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 그리고 예멘은 내전 중에 민간인 10,000명 이상이 숨졌고 이 중 1,000명은 어린이였다. #

예멘은 내전 중에 콜레라에 이어 디프테리아(!)까지 확산 중이라서 10명 중에 1명이 디프테리아로 사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지만, 보건시설은 55%가 파괴되면서 의약품 공급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의료기관 등의 붕괴로 콜레라가 확산되었는데 새로운 콜레라(!)가 확산되려는 조짐을 보이자 사나 정부는 살충제를 살포했다. # # 그리고 국제적십자위원회는 예멘내 직원들의 안전문제와 위협때문에 결국 직원들을 철수시키기로 밝혔다. # 그리고 프랑스도 6월 16일에 예멘에 특수부대를 파견했다고 르 피가로가 보도했다. #

내전으로 인해 난민들의 대부분이 다른 중동권 국가나 북아프리카 지역으로 피난을 갔고 일부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유럽권, 호주, 심지어는 멀리 제주도에까지 이주했다. # 그리고 19만명의 예멘 난민들은 예멘의 주변국으로 피난갔고 그마저도 생계가 막막한 상황에 놓여 있다. # 2018년 7월 5일에 미국은 예멘 난민들의 임시특별보호기간을 연장했다. # 그리고 사우디군과 아랍에미리트군의 호데이다 공세로 최소 12만 1,000명에 달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 그리고 7월 27일에 사우디군과 아랍에미리트군이 다시 호데이다를 공습하면서 유엔의 중재는 무산되었다. #

2018년 예멘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이번에도 콜레라가 다시 재발할 우려를 낳고 있다. # 그리고 예멘내에서 1천만명이 굶어죽을 위기에 놓여 있다. # 예멘에서 사우디군을 포함한 연합군의 공격으로 어린아이들이 수십명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자 합동장례식이 8월 13일에 치러졌다. # 스테판 두자릭 UN 대변인은 "예멘은 최근 들어 전염병 위험이 크게 늘었다"며 "지난 4월 이후로 의심되는 사례가 110만 건에 달한다"고 말하면서 예멘 내 콜레라 확산이 심각하다고 말했다. # 2018년 9월 6일에 제네바에서 열릴 예정인 평화 회담에서 예멘 정부와 반군은 직접 대면하지 않는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

유엔난민기구는 예멘에서의 상황은 최악이라고 밝혔다. # 그리고 예멘은 내전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마저 잃어버리고 있다. # 예멘은 4년째 내전에 접어들면서 520만명의 어린이들이 기아위기를 겪고 있다. #

세이브 더 칠드런은 예멘 내 520만명의 아동들이 기아의 위험에 처해 있다며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구했다. # 만수르 하디 대통령은 2018년 10월 15일에 경제정책을 형편없이 집행하면서 통화가치의 폭락을 초래했다는 이유로 총리를 해임했다고 밝혔다. # 그리고 호데이다 항구에서는 일주일간 내전으로 인해 최소 150명이 사망했다. #

최근 예멘의 식량 부족 문제가 사상 최악 수준으로 심각해져 수많은 어린이가 죽음을 맞을 위기에 처했다. #

5. 다른 나라와의 관계

전세계적으로 이란만이 후티를 합법적인 정부로 인정하는 국가다. 그 이외의 나라들은 직접 개입을 하지 않을지라도 대부분 하디 정부를 지지하나 이란과 정치적으로 친밀한 국가들인 북한 # #은 후티에 우호적이다.

사실상 내전을 가장한 수니파 대표국가 사우디 시아파 대표국가 이란 대리전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따라서 베트남 전쟁에 비교하는 시선도 있으나, 시리아 내전과 유사한 양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5.1. 한국과의 관계

UAE 군사훈련 협력단 '아크부대' 물자가 하디 정부 및 아랍연합군 지원을 위해 반출된 것으로 밝혀졌다. 임종석 UAE 특사 파견 논란과 관련해 갑작스래 국내의 주목을 받았다가 이후 좀 사그러든 상황. 북한군의 화성 5호 같은 전략 무기들의 존재도 상당한 수준. 거기다가 예멘 내전이 격해지면서 제주도에 560여 명의 난민들이 몰려들어 이게 또 2018년 제주 난민 사태가 되면서 한국과 관계있는 사건이 되었다.

한편 예멘군과 사우디군이 현궁 대전차 미사일 등의 한국산 장비를 운용하고, 이를 후티 세력이 노획하기도 했다.

2018년 6월 27일에 대한민국 외교부는 후티 반군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규탄했다. #[18]

2019년 11월 17일 저녁에 후티 반군에 의해 한국 선박이 1척 나포(!)된 사건이 발생되었다. # 한국 선박이 나포되면서 예멘 정부는 한국 대사를 만났고 동시에 후티 반군의 선박 나포를 강하게 규탄했다. # 나포된 한국 선박과 선원들은 이후에 풀려났다. #

사우디 연합이 전쟁범죄 국제사회에서 지속적인 비난을 받고 있고 유엔에서 사우디 연합의 전쟁범죄에 대한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혐의를 지적하는 보고서가 나오기도 하여서, 해당 국가들에 대한 가장 큰 무기 수출국인 미국 등이 무기 수출을 중단하는 큰 이유가 되고 있다. 다만 영국,[19] 프랑스 등의 국가가 워낙 큰 규모의 무기 수출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이 이들 국가에 공급하는 작은 무기들은 눈에 그닥 뜨이지 않아 아직은 한국의 무기수출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난이 있거나 하지는 않다.

2021년 말, 천궁 UAE에의 수출이 상당한 규모로 있을 것이 유력하고 사우디아라비아 또한 해당 무기체계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방어무기인 관계로 이것이 전쟁범죄에 연루될 가능성은 별로 없다. 이는 미국이 공격무기인[20] F-35 UAE 판매에 대한 여론이 악화되어 수출을 주저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상고대 고대 힘야르 왕국 6 ~ 7세기
사바 왕국 사바 사바 왕국 사바 왕국 사바 왕국 힘야르 사바 - 함단 왕조 힘야르 히미아르 왕국 힘야르 왕국 히미아르 왕국 유대교 - 야타르 왕조 기독교 왕조 - 악숨 속국 킨다 왕조 사산 왕조
악숨 사바
카타반 왕국 마인 카타반 왕국 악숨
카타반 카타반 카타반 카타반
하드라마우트 하드라마우트

중세
무함마드 시대 라쉬둔 칼리파 시대 우마이야 왕조

유피르 왕조 카르마트 유피르 왕조 술라이히 왕조 술라이히 왕조 함단 왕조 아이유브 왕조 라술
왕조
예멘 타히르 왕조 맘루크 왕조
유피르 왕조 주라이 왕조
지야드 왕조
(아덴)
노예 나자흐 왕조 마흐디 왕조 타히르
이바디 운동 자이디 이맘국
(남해안)

근현대
오스만 제국 오스만 오스만 제국 오스만 자이디 이맘
-
하심 왕조
하심 왕조 오스만 <colbgcolor=#080> 이드리드 무타와킬 왕국 북예멘 예멘 공화국 예멘 공화국 예멘 공화국 후티
예멘 대반란 무타와킬
하심 왕조
라헤즈 술탄 라헤즈 술탄 영국령 아덴 남아라비아 남예멘 예멘 민주 공화국 예멘 내전 남부
이맘 알루아키 술탄국 예멘 공화국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장.svg 사우디아라비아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6C35> 사우디-예멘 전쟁
,1934,
<colbgcolor=#f5f5f5,#191919>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Mutawakkilite_Kingdom_of_Yemen.svg.png 예멘 왕국
제1차 중동전쟁
,1948 ~ 194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북예멘 내전
,1962 ~ 1965,
파일:북예멘 국기.svg 예멘 아랍 공화국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아랍 연합 공화국
알 와디아 전쟁
,1969,
파일:남예멘 국기.svg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테러와의 전쟁
(이라크 내전 및 시리아 내전)

,2015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예멘 내전
,2015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 ||

파일:프랑스 국장.svg 프랑스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ed2939> 백년전쟁
1337 ~ 145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플랜태저넷 왕조)
제1차 이탈리아 전쟁
1494 ~ 1498
파일:나폴리 왕국 국기(1442-1516).svg.png 나폴리 왕국
제2차 이탈리아 전쟁
1499 ~ 1504
파일:나폴리 왕국 국기(1442-1516).svg.png 나폴리 왕국 파일:Flag_of_the_Duchy_of_Milan_(1450).svg.png 밀라노 공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3차 이탈리아 전쟁
1508 ~ 1516
파일:베네치아 공화국 국기.svg 베네치아 공화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4차 이탈리아 전쟁
1521 ~ 1526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5차 이탈리아 전쟁
1526 ~ 1530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6차 이탈리아 전쟁
1536 ~ 153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7차 이탈리아 전쟁
1542 ~ 1546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8차 이탈리아 전쟁
1551 ~ 1559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네덜란드 독립전쟁
1568 ~ 1648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30년 전쟁
1618 ~ 164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png 폴란드-리투아니아
프랑스-스페인 전쟁
1635 ~ 1659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상속 전쟁
1667 ~ 1668
파일:스웨덴 국기(1663-1815).png 스웨덴 제국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2 ~ 167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9년 전쟁
1688 ~ 169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사국 동맹 전쟁
1718 ~ 1720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733 ~ 1735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왕조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7년전쟁
1754 ~ 1763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50-1801).svg.png 프로이센 왕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Hanover_1837-1866.svg.png 하노버 선제후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연맹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2 ~ 1802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793-1844).svg 오스만 제국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제국
제1차 프랑스-멕시코 전쟁
1838 ~ 1839
파일:700px-Flag_of_Mexico_(1823-1864,_1867-1893).svg.png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
벨기에 혁명
1830 ~ 183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연합왕국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 1860
청나라
코친차이나 원정
1858 ~ 1862
파일:external/www.worldstatesmen.org/vn_tonki.gif 대남국
제2차 프랑스-멕시코 전쟁
1861 ~ 1867
파일:Bandera_Histórica_de_la_República_Mexicana_(1824-1918).svg.png 멕시코 제2연방공화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병인양요
1866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1870 ~ 1871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북독일 연방
청불전쟁
1884 ~ 1885
파일:청나라 국기(1862-1889).svg 청나라
프랑스-시암 전쟁
1893
파일:태국 국기(1855).svg.png 시암
파쇼다 사건
1898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터키 독립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대국민의회
프랑스-시리아 전쟁
1920
파일:시리아 아랍 왕국 국기.svg 시리아 아랍 왕국
리프 전쟁
1925 ~ 1926
파일:Flag_of_the_Republic_of_the_Rif.svg 리프 공화국
스페인 내전
1936 ~ 1939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2공화국 파일:스페인국 국기(1936-1938).svg 스페인 국민전선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colbgcolor=#ed2939><colcolor=#fff> 서부전선
1939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1943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1943~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서아프리카 전역
1940 ~ 1942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 ~ 1954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민주 공화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알제리 전쟁
1954 ~ 1962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
바밀레케 전쟁
1955 ~ 1964
파일:300px-Cm-upc1.png 카메룬 인민연합
제2차 중동전쟁
1956
파일:이집트 국기(1953-1958).svg.png 이집트
이프니 전쟁
1957 ~ 1958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가재 전쟁
1961 ~ 1963
파일:브라질 국기(1960-1968).svg 브라질
서사하라 전쟁
1977 ~ 1978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카반 작전
1979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제국
리비아-차드 분쟁
1986 ~ 1987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르완다 내전
1990 ~ 1994
파일:Rwandan_Patriotic_Front_Flag.svg.png RPF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진달래 작전
1995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제1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2002 ~ 2007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FNCI
차드 내전
2005 ~ 2010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진자위드
제2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2010 ~ 2011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COJEP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FPI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사헬 내전
2011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 보코하람 파일:안사루 깃발.svg 안사루
말리 내전
2012 ~ 현재
파일:아자와드 국기.svg MNLA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
2012 ~ 현재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셀레카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반 발라카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홍해 위기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아스피데스 작전
,2024,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이집트 국장.svg 이집트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0> 제2차 세계 대전
,1940 ~ 1945,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제1차 중동전쟁
,1948 ~ 194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제2차 중동전쟁
,1956,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북예멘 내전
,1962 ~ 197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Mutawakkilite_Kingdom_of_Yemen.svg.png 예멘 왕국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제3차 중동전쟁
,1967,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비아프라 전쟁
,1967 ~ 1970,
파일:비아프라 국기.svg 비아프라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제2차 리비아 내전
,2014 ~ 2020,
파일:리비아 국기.svg 국민합의정부
예멘 내전
,2015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3년 수단 내전
,2023 ~ 현재,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신속지원군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 ||

파일:요르단 국장.svg 요르단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7a3d> 제1차 중동전쟁
,1948 ~ 1949,
<colbgcolor=#f5f5f5,#19191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제3차 중동전쟁
,1967,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소모전
,1967 ~ 197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검은 9월
,1970 ~ 1971,
파일:external/www.forbiddensymbols.com/plo_palestinian_liberation_organisation_flag.jpg PLO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이라크 내전
,2014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예멘 내전
,2015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

파일:모로코 국장.svg 모로코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6233> 이프니 전쟁
,1957 ~ 1958,
<colbgcolor=#f5f5f5,#191919>
모래전쟁
,1963,
제4차 중동전쟁
,1973,
녹색행군
,1975,
서사하라 전쟁
,1964 ~ 1975,
걸프 전쟁
,1990 ~ 1991,
예멘 내전
,2015 ~ 현재,
서사하라 충돌
,2020 ~ 현재,
}}}}}}}}}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사우디아라비아-이란 관계 관련 문서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이슬람 제국의 페르시아 정복
사건사고 사우디아라비아-이란 분쟁 · 시리아 내전 · 예멘 내전 (2015년)( 사우디아라비아 드론 테러 사건) · 제2차 리비아 내전
외교 사우디아라비아-이란 관계 ·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관계 · 이슬람 협력기구
기타 페르시아만 · 사우디아라비아군 vs 이란군 · 대통령지도위원회 ( 예멘군) · 최고정치위원회 ( 후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1369a3, #000 40%, #000 60%, #e63a1a)"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냉전 탈냉전
주요 사건
발생시점 순, 세부 진행사항은 각 문서 참조
2008~ 2017 남오세티야 전쟁 · 대침체 · 북한의 2차 핵실험 · 대청해전 · 천안함 피격 사건 ·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 · 연평도 포격전 · 시리아 내전 · 2012년 가자 전쟁 · NSA 기밀자료 폭로사건 · 북한의 3차 핵실험 · 유로마이단 혁명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 2014년 크림 위기 · 돈바스 전쟁 · 2014년 가자 전쟁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예멘 내전 · 북한의 4차 핵실험 · 북한의 5차 핵실험 · 북한의 6차 핵실험
2018 세르게이 스크리팔 암살 미수 사건 · 미국-중국 무역 전쟁( 화웨이 규제명령) · 아르테미스 계획
2019 중국발 펜타닐 미국 유포 · 2019년 베네수엘라 정치 위기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홍콩 보안법 논란 ·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 · 영국 정부의 대응)
2020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 라이언에어 4978편 벨라루스 강제착륙 사건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 알렉세이 나발니 독살 미수 사태 · 2020년 벨라루스 시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2021 미얀마 내전 · 2021년 가자 전쟁 · 2021년 벨라루스-유럽 연합 국경 위기
2022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 · USS 칼 빈슨함 F-35C 추락 사고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세르비아-코소보 분쟁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2022년 이란 시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2년 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 발각( 국내 사례) ·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3 중국 정찰풍선 사건 ·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 · 2023년 북한 천리마-1 발사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 2023년 수단 내전 · 2023년 니제르 위기 · 2023년 북러정상회담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4년 예멘 공습 · 진실의 약속 작전 · 헤즈볼라 전쟁)
2024 서방권의 로비투 회랑 건설 수주 · 한국-쿠바 수교 · 알렉세이 나발니 사망 사건 · 2024년 북한 대남 오물 풍선 살포 사건 · 2024년 북러정상회담 · 정보사령부 군무원 군사기밀 유출 사건 · 2024년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 2024년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다마스쿠스 함락) ·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국제 기구
·
제1세계 EU · Quad · 파이브 아이즈 · AUKUS · CANZUK · CHIP4 · IPEF · MSMT · TIAR · GUAM
제2세계 독립국가연합(СНГ|CIS) · 집단안보조약기구(ОДКБ|CSTO) · 유라시아경제연합(ЕАС|EAEU)
군사 대결 구도
NATO군 vs 러시아군 · Quad vs 중국군 · 한국군 vs 북한군 · 사우디군 vs 이란군 · 예멘군 vs 후티 반군 · 이스라엘군 vs 팔레스타인군 · 세르비아군 vs 코소보군 · 조지아군 vs 압하지야군 & 남오세티야군 · 몰도바군 vs 트란스니스트리아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0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0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예멘 국경 접경 지대 부근. 외교부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예멘 국경지대가 출국권고로 지정된 이유도 이것 때문이다. [2] 2017년 지원 중단. 사우디가 카타르와 단교 선언이 이루어지고 나서, 사우디 측은 카타르에게 어떠한 지원을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3] 신속지원군 포함. [4] 2019년에 모로코 정부가 예멘 내전에 개입했던 모로코 군대를 철수하였지만 여전히 사우디 측을 지지하고 있다. [5] 2015년에 전투기와 조종사 외에 일부 정규군을 지원했다. 애초에 사우디군 대다수가 파키스탄 용병 출신이지만 추가로 전투기와 일부 정규군을 파병하였다. 파키스탄은 의외로 이란과 관계와 나쁘지 않았으며 파키스탄 인구의 10% 가량이 시아파였기 때문에 군사 파병에 반대하였으나, 경제난과 더불어 파키스탄의 전통 우방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국토 회복을 위해 일부 정규군을 파병했으며, 추후 파키스탄 정부는 후티 세력의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시설 공격 및 아부다비 테러에서 사우디를 지지하고 후티를 비난했다. 이는 파키스탄인 다수가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걸프 산유국에서 근로자로 많이 가기 때문이며, 아부다비 테러 당시에도 파키스탄인 근로자 1명이 사망하였다. [6] 다만 ISIS 및 알카에다는 거의 소멸하였다. [7] 자이드 시아파는 시아파의 한 분파로 북부 예멘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8] 2018년 1월에 아덴까지 함락되어 현재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있다는 추측이 많다. [9] 그런데 자주시보라는 종북 매체에서는 이를 '후티 반군이 구형 미사일로 미 해군의 신형 함선을 격침시켰다'고 선전하고 있다(...). [10] USS Mason Fired 3 Missiles to Defend From Yemen Cruise Missiles Attack, Another missile attack on USS Mason [11] US strikes hit 3 radar sites in Yemen, Pentagon says [12] 이 공격으로 2명 사망, 3명 부상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이란이 무인 자폭 보트를 지원한 정황이 매우 많다. [13] 특히 리야드의 공항에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거리가 1000km에 육박했던 탓에 이란의 기술적 지원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사우디에서는 이란을 맹비난했다.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에서도 민간 시설에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후티를 비난했다. [14] 다만 격추 진위여부와 관련해서 논란이 있다. [15] 기사는 4명이나 추가조사로 5명으로 판명됨 [16] 중국제 AK-47이다. [17] 참고로 취약국가지수는 시리아도 3위권 안에 들어간 적이 단 2번, 그갓도 모두 3위였고 아프가니스탄도 3위권 안에 들어간 적이 없는 수치다. 그런 취악국가지수에서 1위를 기록했다는 건 정말 상황이 암울하다는 반증이다. [18] 사실 이건 사우디아라비아의 책임이 더 크다고 봐야 한다. 물론 후티도 잘한 건 없다. [19] 영국 법원에서 사우디에 대한 무기 수출 중단을 결정했지만, 영국 정부는 지속적으로 수출을 하고 있다. [20] 문제가 되고 있는 전쟁범죄의 상당부분이 민간인 폭격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