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12:10:36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관계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관계 관련 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유럽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아프리카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이란·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이란·이라크·시리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튀르키예·이란·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스라엘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2.2. 21세기
2.2.1. 2010년대2.2.2. 2020년대
3. 관련 기사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스라엘의 3국 관계이다. 이 3국은 각각 이슬람( 수니파{ 와하브파}, 시아파), 유대교의 중심지이며 서아시아의 군사 강국이기도 하지만 갈등이 존재하며, 3국 모두 서아시아의 크고 작은 분쟁의 원인이기도 하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미국, 이스라엘, 사우디를 외부 정보기관으로 규정하고 있다. #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이란이 팔레비 왕조이던 시절에는 이란은 친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는 반이스라엘 스탠스를 취했다. 4차 중동전쟁 당시 "보이콧 이스라엘"을 주도한 국가 역시 사우디아라비아였다. 그러나 이란 혁명 이후 들어선 이란 이슬람 공화국 정부가 강경 반이스라엘 스탠스를 취했다.

2.2. 21세기

2010년대 이후, 예멘 내전 등을 계기로 사우디아라비아 등 걸프 아랍 왕정 국가들이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서 이스라엘과 손을 잡으면서 이러한 외교 관계 지형이 변화하고 있다. # 특히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집권 이후 사우디아라비아는 친이스라엘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2.2.1. 2010년대

2011년 12월 6일, 사우디가 이스라엘과 이란에 대항해 핵무기 개발 추진 가능성이 있다고 걸프뉴스가 보도했다. #

2013년 5월 6일, 이스라엘이 시리아를 공습하자 사우디, 이집트 등 아랍연맹 회원국, 이란이 일제히 비판했다. # 11월 20일, 이란 핵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이 높아지자 이스라엘과 사우디가 이란 제재를 요구했다. #

2015년, 이란 핵협상 타결에 대해 사우디와 이스라엘이 반대했다. #1 #2

2017년, 사우디가 이란과 대립하면서 이스라엘과의 비밀 연계설이 나오자 사우디 측이 부인했다. # 11월 4일, 이란 외무부는 하리리 레바논 총리의 사임은 미국, 사우디, 이스라엘의 공모라고 밝혔다. #

2018년 4월 3일, 미국-사우디-이스라엘의 이란 견제 삼각동맹이 윤곽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 8월 6일, 이란군 대변인은 적들(미국, 이스라엘, 사우디)이 이란의 국력에 맞서기를 두려워한다고 밝혔고 호르무즈 해협에 대해서 언급했다. # 11월 2일, 사우디가 미국, 이스라엘의 기업인과 모의해 이란의 카셈 솔레이마니 군사령관 암살을 모의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

2019년 2월 11일, 이란 이슬람혁명 40주년을 맞아 반미구호, 반이스라엘 구호, 반사우디 구호가 나왔다. # 4월 9일, 미국 정부가 이란 혁명수비대를 테러조직으로 지정하자 이스라엘과 사우디가 환영의 뜻을 밝혔다. # 7월 3일,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핵합의를 지키지 않겠다고 밝히자 미국도 강경대응에 나섰고 이스라엘과 사우디는 전쟁에 대비했다. # 12월 30일, 미국이 이라크의 시아파 민병대를 폭격하자 이스라엘과 사우디가 환영했다. #

2.2.2. 2020년대

2020년 1월 6일, 카셈 솔레이마니 이란군 사령관이 사망한 것에 대해 사우디와 이스라엘은 내심 반기면서도 침묵을 지켰다. # 게다가 이란과 이스라엘은 솔레이마니 암살에 대해 부인했다. #

8월 13일, 아랍에미리트가 이스라엘과 수교를 하면서 사우디와 이스라엘, 이란의 대결이 시작됐다. #

11월 12일, 이란 정보당국은 열병식 총기테러의 주범이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지원을 받는 분리주의 단체 소속이라고 밝혔다. #

2021년 3월 1일, 이스라엘, 사우디, 아랍에미리트, 바레인이 대이란 방위동맹을 맺을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

5월 11일,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공습하자 아랍 연맹, 이란은 이스라엘을 비판했다. #

6월 20일, 라이시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돼 미국, 이스라엘, 사우디와 충돌할 가능성이 커졌다. #

2022년 2월 16일, 이스라엘이 이끄는 중동판 나토가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

6월 9일, 미국의 주도하에 이스라엘, 아랍 9개국의 방공망을 통합해 이란을 견제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

7월 14일, 미국의 지원하에 이스라엘과 아랍권 국가들이 방공연합체계를 강화해 이란의 공격드론을 막기로 했다. #

7월 16일, 미국이 이스라엘에 이어 사우디와도 이란 핵무기 저지를 선언했다. #1 #2

9월 5일, 미국이 B-52 폭격기를 띄워 이스라엘과 아랍권 국가들과 연합훈련을 하면서 이란을 견제했다. #

9월 16일 이후, 이란 시위가 계속 이어지면서 이란 측은 사우디와 이스라엘, 서방 국가들이 시위를 조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

11월 2일,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이란이 사우디를 공격한다는 미국 언론 보도에 대해 전혀 근거가 없고 서방 언론들의 보도는 이스라엘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

네타냐후의 복귀에 대해 아랍권내 순니파 국가들은 이란 세력에 대한 지역적 균형으로 보고 있다. #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이 국교를 다시 재개하면서 이스라엘의 이란 고립정책이 실패하여 네타냐후가 타격을 입었다. #

3. 관련 기사

4. 관련 문서



[1] 이스라엘은 가입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