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31 21:30:29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파일:바레인 국장.svg
바레인 국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2241b, #e2241b 20%, #e2241b 80%, #e2241b);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바레인 하킴
<rowcolor=#fff> 할리파 왕조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아흐메드 이븐 무함마드 이븐 할리파 살만 빈 아흐마드 알할리파 할리파 빈 술만 알할리파 무함마드 빈 할리파 알할리파
압둘라 빈 아흐마드 알할리파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이사 이븐 알리 알할리파 하마드 이븐 이사 알할리파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
<rowcolor=#fff> 바레인 에미르
<rowcolor=#fff> 할리파 왕조
<rowcolor=#fff> 초대 제2대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rowcolor=#fff> 바레인 국왕
<rowcolor=#fff> 할리파 왕조
<rowcolor=#fff> 초대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

<colbgcolor=#e2241b><colcolor=#fff> 바레인 왕국 초대 국왕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Hamad bin Isa Al Khalifa
حمد بن عيسى آل خليفة
파일:바레인 국왕.jpg
출생 1950년 1월 18일 ([age(1950-01-18)]세)
바레인 리파
재위기간 바레인 에미르
1999년 3월 6일 ~ 2002년 2월 14일
바레인 국왕
2002년 2월 14일 ~ 현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2241b><colcolor=#fff> 가문 할리파 가문
아버지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
어머니 헤사 빈 살만 알할리파
형제자매 모하메드 빈 이사 알할리파, 압둘라 빈 이사 알할리파
배우자 세이카 세이아 빈 하산 카라예스 엘 에미(1976년 결혼)
자녀 살만, 바하라인 왕자, 나세르 왕자
종교 이슬람 (수니파) }}}}}}}}}

1. 개요2. 생애
2.1. 폭정
3. 가족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바레인의 현 국왕.

2. 생애

1950년 1월 28일 출생. 현재 ([age(1950-01-28)]세)로 바레인 리파에서 태어났다. 학생 시절에는 영국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의 아버지인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1] 1971년 독립한 바레인의 첫 에미르였다. 그의 장남이었던 하마드는 1999년 3월에 부왕이 사망하면서 에미르위를 계승했고, 2002년에 에미르라는 지위를 왕으로 승격시키면서 대관식을 올렸다.

2020년 말 오랫동안 총리를 맡고있던 삼촌이 죽자 자신의 아들인 살만 왕세자를 차기 총리로 지명했다.

2.1. 폭정

하지만 그는 단순히 바레인의 절대군주일뿐 아니라 억압적인 독재를 펼치고 있다. 1990년에는 바레인에서 개혁을 원하는 시위가 일어났는데 이것이 1994년에 대규모 시위/항쟁으로 변하면서 엄청난 혼란이 일어났고, 이런 일은 1999년까지 일어났다.[2]

그 이후 하마드가 즉위하면서 대사면령을 내리고, 2000년대에는 의회를 재소집하려고 국민투표를 하면서 차츰 민심을 얻기 시작했다. 물론 이것은 일종의 명분이었고, 군 장성과 관료, 의원을 임명하는데 권한은 모두 오직 국왕에게만 있을 뿐이었다. 게다가 2002년에는 칭호를 종래의 에미르에서 말리크(왕)으로 높였고 권위주의 체제가 더 강화되면서 독재가 나타난다.

하지만 2011년 중동에서 대규모 불꽃의 항쟁이 번지면서 바레인에도 나타났다. 처음에는 평화적인 시위로 시작했으나 경찰과 군인, 시민들의 투쟁으로 4명의 시민들이 사망하면서 대규모 항쟁이 일어났다.(자세한 사항은 아랍의 봄에서 바레인 항목부분을 참고.)

결국 2011년 2월 14일에 일어난 시위는 3월에도 이어졌다. 그러자 하마드 국왕은 경찰/군인들을 총동원하여 무자비하게 진압했다. 이때 바레인 군경은 실탄을 발포하여 수도 마나마에 있 진주광장[3]의 시민들은 학살을 당했고, 진주광장은 처참한 폐허로 변한다. # 뿐만 아니라 하마드 국왕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등 걸프만에 있는 수니파 국가들의 도움을 요청했고, 특히 사우디군이 제일 먼저 파병하자 아랍에미리트와 쿠웨이트도 군대와 경찰을 파견하였고 이들과 손을 잡으면서 더욱 강압적인 유혈진압을 펼쳤다. 그리고 그 흔적을 없애거나 시위를 못하게 하려고 싶었는지 아예 광장과 중앙의 진주탑을 없애고, 그곳에 레이스 경주대회를 하는 경기장으로 만들어버렸다. # 물론 광장이 없어져도 계속 그 장소에서 시민들은 2012년 3월까지 항쟁을 하였고, 그 이후에도 크고 작은 시위가 일어나지만 강경하게 진압시키고 있어 시민들의 항쟁은 실패로 돌아간다. 2014년 시위가 완전히 진압된 이후 진주광장은 말 그대로 말살되어 2017년 '알 파루크[4] 교차로'로 개조되어 지금은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다.

시위자들에게 감금한 후 가혹한 고문을 했다는 게 밝혀졌다.[5] 2014년부터 국왕모독죄에 대한 처벌을 최대 징역 7년과 벌금 1만 디나르(한화로 3천만원)로 강화했다. #

게다가 이 국왕을 포함한 바레인 왕실가문은 친미독재라 미국과 유럽 여러 나라들에게 외면을 당해서인지라 잘 알려지지 않았던 적이 많았고 결국 이 때문에 미국과 유럽의 선진국들은 이 사태로 인해 독재자를 방조했다며 비난을 듣는다. 하지만 아랍 독재자들이 다 그렇듯 하마드는 억압적인 독재를 저지르면서도 세속적인 종교 정책을 펼치면서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요르단처럼 은근히 개방적인 모습도 있다. 특히 하마드 국왕은 철저하게 정교분리를 추구한다. 게다가 저 '민주화 시위자'들도 문제가 있던것이 순수한 민주화가 아니라 친서방 수니파 세속주의 왕실을 타도하고 이란식 반서방 시아파 신정 독재를 꿈꾼다는 게 함정. 그리고 저 '미국과 유럽 여러 나라들이 외면하지 않은'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는 리비아를 보면 알 것이다.[6][7]

3. 가족

사촌인 2살 연상의 왕비 사비카(Sabika)와 슬하에 3남 1녀가 있다. 조혼했기에 1969년생인 장남 살만 왕세자[8]와는 나이 차이가 19살밖에 안 난다. 일부다처제가 허용되는 이슬람권 아니랄까봐 3명의 부인이 더 있으며, 이들로부터 얻은 자녀는 모두 7남 5녀다.

자손들도 조혼하는 편이라 70대인데도 증손자를 이미 4명이나 봤다.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5deg, transparent 35%, #CE1126 35%), linear-gradient(25deg, transparent 35%, #CE1126 35%), linear-gradient(147deg, transparent 14%, #fff 14%), linear-gradient(33deg, transparent 14%, #fff 14%), linear-gradient(to right, #fff 2%, transparent 2%, transparent 4%, #fff 4%), linear-gradient(to bottom, #fff 40%, #fff 40%, #fff 60%, #fff 6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e1126>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딜문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바레인 반정부 시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할리파 왕조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경제 경제 전반 · 바레인 디나르
국방 바레인군
교통 바레인 국제공항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 바레인 그랑프리 · 아랍어(걸프 방언)
인물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지리 걸프만 · 마나마 · 사키르 · 무하라크( 무하라크섬) · 리파(바레인)
민족 걸프 아랍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네덜란드 국왕|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노르웨이 국왕|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덴마크 국왕|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레소토 국왕|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세이소 왕조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프레데리크 10세 레치에 3세
[[룩셈부르크 대공|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공|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양 디페르투안 아공|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모나코 공|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테멩공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알베르 2세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바티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벨기에인의 왕|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부탄 국왕|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브루나이 술탄|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국왕|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국왕|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안도라|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에스와티니 국왕|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들라미니 왕조
펠리페 6세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음스와티 3세
[[영국 국왕|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영연방 왕국|
파일:영연방 기.svg
영연방]]
[[오만 술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요르단 국왕|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압둘라 2세
[[천황|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카타르 아미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캄보디아 국왕|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아미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노로돔 왕조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국왕|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통가 국왕|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1] 1933년 6월 3일 ~ 1999년 3월 6일 [2] 이 때 바레인 왕실 가문들이 시민들을 억압했을 것이라는 의혹도 있다. 다만 1990년대 바레인의 경우는 개혁을 원한 시민들만 있었을 뿐 아니라 다수의 시아파들과 좌파, 자유주의자들도 나타나는데 이들 중 헤즈볼라나 과격한 이슬람 무장단체들이 나타나면서 테러까지 나타났던 현상이었다.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도 나왔을 수는 있지만 또 다른 문제점이라면, 죄 없는 시민들까지 탄압당했다는 게 문제. [3] 꼭대기에 진주 조형물이 있는 첨탑이 있어 진주광장으로 불림. # 3월 18일 이 첨탑은 정부군에게 박살났고, 이후 이 첨탑이 그려진 1/2디나르 동전도 회수되어 유통정지되었다. [4] 시아파에서 숭앙하는 파티마(무함마드의 딸)를 괴롭혀 죽음에 이르게 했다고 전해지기에 시아파가 혐오하는 제2대 정통 칼리프 우마르를 뜻한다. 이름을 이렇게 붙인 것은 민주화 세력인 척하는 시아파 세력에 대한 고의적인 능욕이라 보아야 한다. 참고로 바레인 왕실은 수니파이다. [5] 2011년 대규모 시위 이전 2010년에도 국왕을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가혹한 고문을 가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6] 다만 리비아는 몰아낸 대상인 카다피 세력도 반서방이었다. [7] 사실상 바레인의 상황은 수니파-시아파 간 공수가 바뀐 시리아와 똑같았다. 다만 바레인은 국토가 워낙 좁고 수니파 국가들이 바로 진압하러 달려왔으며 국내에서 시위를 외면한 사람들도 많았기에 내전을 면한 것이다. [8] 이 사람은 알려진 바로는 일부일처를 했다. 하지만 이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