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전동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에 관한 내용을 다루므로\에 대한 내용은
부전역(동해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부전역 (부산시민공원·송상현광장)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호선 ]]
(120) |
[[노포역| 노포 방면 ]]
양 정1.4 ㎞ → |
|
경부선·동해선으로 갈아타기 | ||
역명 표기 | ||
1호선 |
부전 Bujeon 釜田 / 釜田 / [ruby(釜田, ruby=プジョン)] |
|
주소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지하786 ( 부전동) | ||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
부전관리역 / 제1운영사업소 | ||
운영 기관 | ||
1호선 | 부산교통공사 | |
개업일 | ||
1호선 | 1985년 7월 19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심도: 10.37m)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20번.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지하786 ( 부전동) 소재.2. 역 정보
대합실 |
게다가 원래는 이름마저 다른 부전동역이라서 부전역과 연결되지 않았음을 간접적으로 어필하고 있었으나 2010년 2월 25일에 부산 도시철도 역명에서 일괄적으로 동으로 끝나는 역들의 동을 삭제해 부전역으로 개명하였다.
동해선 광역전철이 개통하면서 수도권의 철도역들처럼 동해선 부전역에서도 전철이 운행하게 되었는데 동해선 부전역과 1호선 부전역과의 환승은 환승통로를 이용해 직접 이어지진 않는다. 노선도에서도 별개의 역으로 표시되고 있다. 서울 도시철도의 용산역과 신용산역의 관계와 비슷하다.
다만 역 밖으로 걸어가서 카드를 찍으면 무료환승처리는 가능하며 안내방송에서도 동해선 부전역을 안내하고 있다.[2] 1호선 연선 주민 중 서면 이남지역에서 동해선으로 환승하는경우, 교대역의 환승시간도 만만찮기 때문에, 시점역인 부전역에서 환승해 착석보장을 노리고 환승하는 시민도 종종있다. 다만 이렇게 환승하는 경우라도 동해선에서 1호선으로 환승하는 경우 그냥 교대역에서 환승을 한다.
다만 교통카드 충전기와 자동개찰시스템에는 정보를 수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영수증에는 그대로 예전 이름인 부전동역이라고 찍혀 나온다.
한때 개찰구가 사라져서 계단이 폐쇄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3] 6번 출입구가 건물을 통해서 나 있는[4] 특이한 풍경을 볼 수 있다. 부산시민공원이 개장해 폐쇄된 계단에 다시 개찰구를 설치해 이용 중이다.
서면 방향 개찰구 일부가 삼발이에서 플립형으로 바뀌었다.
동해선이나 중앙선 연선에서 부산으로 온 사람들의 경우 귀가를 위해 부전역으로 향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5]
도시철도 부전역, 동해선 광역전철 부전역의 통합 환승센터가 지어질 예정인데 2012년까지만 해도 개발 계획이 없었으나 기사1, 2013년 8월 국토교통부가 복합환승센터와 KTX 환승역 공사에 예산을 투자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사2
부산시민공원과 송상현광장이 개장하면서 부전역의 부역명으로 추가되었으며 이들 공원 및 광장의 개장을 기념하여 역사를 리모델링하였다.
부산도시철도 모든 역들중 가장 먼저 준공된 역이다.
7번, 8번 출구 사이 대합실에 부산광역시 차량등록사업소가 입주해있다. 운영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다.
2023년 1월, 전기시설 개량공사를 위해 대합실 일부를 가벽으로 막아두었다.
3. 역 주변 정보
이 역 근처에 동해선 부전역과 부전시장, 서면지하상가 부전몰 등이 있어서 유동인구가 꽤 많은 편이다. 다만 승하차 수요가 그리 많지는 않은 듯.[6] 1980년대까지는 서면역 지역 못지않게, 부전역 지역도 번화가였다. 서면이라고 하면 부전시장과 같은 지역으로 생각할 정도였다 지금의 서면역 지역은 부전시장 상권의 연장선상이었다.[7] 하지만 기존의 태화백화점[8]외에도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이 생기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환승되면서 현재의 서면역 일대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서면의 중심가라는 타이틀도 완전히 내주게 된다. 물론 그래도 아직 옆에 동해선 부전역이 건재하고 옛날 상권이 많이 남아 있어서 서면 지역의 확고한 2위 정도는 된다.[9]서면역과 지하도로 이어져 있는데, 부전역 방면의 서면지하상가[10]는 노년층, 서면역 쪽에서 범내골역 방향으로 향하는 대현지하상가는 젊은 층이 주로 이용한다. 그리고 부산시민공원과 송상현광장이 인근에 있다.
인근에 부전지구대가 위치해 있어 이동 중 길을 잘 모를 경우 여기서 물어보면 된다. 그리고 부전시장이 있어서 그런지 입구에도 각종 과일들을 파는 상인들이 앉아 있다.
부전 도서관이라는 이름을 보고 부전역 근처에 있을 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서면역의 서면지하상가를 거쳐서 가는 게 더 빠르다.
4. 일평균 이용객
부전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06a00><bgcolor=#f06a00> 연도 ||
||<bgcolor=#f06a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29,887명 | 비고 | ||
2003년 | 27,945명 | ||||
2004년 | 25,940명 | ||||
2005년 | 24,809명 | ||||
2006년 | 26,005명 | ||||
2007년 | 26,432명 | ||||
2008년 | 28,638명 | ||||
2009년 | 28,777명 | }}}}}}}}} | |||
2010년 | 30,470명 | ||||
2011년 | 32,096명 | ||||
2012년 | 32,939명 | ||||
2013년 | 33,784명 | ||||
2014년 | 35,745명 | ||||
2015년 | 35,612명 | ||||
2016년 | 35,517명 | ||||
2017년 | 36,642명 | ||||
2018년 | 35,617명 | ||||
2019년 | 36,978명 | ||||
2020년 | 28,226명 | ||||
2021년 | 28,422명 | ||||
2022년 | 30,685명 | ||||
2023년 | 32,340명 | ||||
출처 | |||||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부산 1호선에서 드물게 지속적으로 이용객이 증가하는 곳이다. 2019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은 36,978명인데, 이는 15년 전인 2002년 당시보다 7천 명이나 높은 것이다. 이곳은 서울의 청량리와 마찬가지로 노년층이 많은 전통시장 위주의 오래된 상권이 자리잡고 있는데, 그래서 크게 이용객이 줄어들만한 요소를 가지고 있으나[11] 반대로 승하차 인원이 올라가는 모습을 보인다.
그 이유는 부산 최고의 번화가인 서면과 매우 가깝기 때문이다.[12] 서면이 1990년대 이후 부산 최고의 번화가로 성장하면서 상업 구역이 확장됐는데, 서면교차로와 부전사거리는 불과 550m 거리에 있어서 사실상 같은 동네나 다름없다. 그래서 서면 상권의 팽창이 이 역 인근까지 간접적으로 미친 덕분에 수요 상승에 영향을 줬다. 또한, 역 주변의 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된 것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대표적으로 서면롯데캐슬아파트가 있다. 2004년에 준공되어 이제는 연식이 지난 아파트지만, 도심 공동화가 진행중인 부전동의 인구 감소를 막았다는 점에서 역의 수요를 최소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된 것이다.
다만 위의 두 요인은 보조적일 뿐이고, 가장 결정적인 요인은 2010년대에 조성된 부산시민공원, 송상현광장이었다. 그동안 이렇다할 공원이 없었던 부산에 큰 규모의 상징적인 쉼터가 조성되자, 가장 가까운 역인 부전역으로 부산 각지에서 수많은 사람이 몰려와 2010년대의 승객 증가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이점들에 힘입어 비교적 높은 수요를 유지하고 있으며, 심지어 지속적으로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다.
2020년대 이후로는 서면 상권이 서면역 동쪽으로 확장하고 있는데 새로 떠오르는 핫플레이스 전리단길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이 부전역이기 때문에 서면역 동북쪽의 부전역 이용객 증가에 한 손을 보태고 있다.
5. 승강장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
역 안내도 |
서면 ↑ | |||
하 | ㅣ | ㅣ | 상 |
↓ 양정 |
상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서면· 부산역· 하단·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하 | 시청· 연산· 동래· 노포 방면 |
역 구내에 5퍼밀의 구배가 있다.
6. 연계 교통
중앙대로 BRT가 2019년 12월 30일에 개통되어 중앙버스전용차로에 위치한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거제리&양정 방면 부전역 정류장은 별도로 없는 관계 상 부전시장 정류장까지 걸어가서 승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13] 다만 동래 방면으로 가는 노선들은 동천로에 위치한 전포초등학교 버스 정류장에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큰 문제는 없다.6.1. 중앙대로 BRT 정류장
- 부전역(정류장 번호: 05-707)
- 부산 버스 5-1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10 - 감만현대아파트행
- 부산 버스 20 - 서면행
- 부산 버스 29 - 안창마을행
- 부산 버스 31 - 모라주공행
- 부산 버스 33 - 만덕동행
- 부산 버스 43 - 중앙공원·민주공원행
- 부산 버스 52 - 수정4동행
- 부산 버스 57 - 부산진시장행
- 부산 버스 62 - 신라대학교행
- 부산 버스 77 - 학장동행
- 부산 버스 80 - 부산진시장행
- 부산 버스 86 - 남포동행
- 부산 버스 87 - 아미동(까치고개)행
- 부산 버스 99 - 부산진시장행
- 부산 버스 106[심야] - 서면행
- 부산 버스 110-1 - 가야벽산아파트행
- 부산 버스 111 - 부산진시장행
- 부산 버스 129-1 - 신라대학교행
- 부산 버스 141[심야] - 당감동행
- 부산 버스 1009-1 - 서면행
- 부산 버스 심야1002 - 서면행
6.2. 중앙대로783번길 가변 정류장
- 부전역(정류장 번호: 05-010)
- 부산 버스 83 - 민락동행
6.3. 마을버스
7. 둘러보기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다대포해수욕장 -
다대포항 -
낫개 -
신장림 -
장림 -
동매 -
신평 -
하단 -
당리 -
사하 -
괴정 -
대티 -
서대신 -
동대신 -
토성 -
자갈치 -
남포 -
중앙 -
부산역 -
초량 -
부산진 -
좌천 -
범일 -
범내골 -
서면 -
부전 -
양정 -
시청 -
연산 -
교대 -
동래 -
명륜 -
온천장 -
부산대 -
장전 -
구서 -
두실 -
남산 -
범어사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서 가장 짧은 구간으로
부산시설공단 서면지하도상가 부전몰을 통해 도보로 이동할 수 있다.
[2]
동해선 개통 이전에도 동해남부선을 이용해 울산이나 경주로 가려는 승객이 많았기에 부착되어 있었다.
[3]
양정역 방면에 위치해 있다.
[4]
가야역의 1, 3번 출입구와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가야역은 도로의 축대를 파서 출구가 난 것이고 이 역은 건물을 통해 출구가 난 것. 굳이 예를 찾는다면
경복궁역 6번 출구를 생각하면 비슷하다.
[5]
대부분
대구광역시와
경주시,
울산광역시 방향으로 가는 사람들이다. 경전선은 현재
밀양시의
삼랑진역까지 돌아가느라
시외버스에 비해 소요시간에서 경쟁력이 너무 떨어지기 때문에 적은 편.
[6]
버스 환승 수요가 많이 미약하기 때문이다.
서면 이남에서
동래 방면으로 가는 버스들은 서면교차로가 아닌 대중교통전용지구인
동천로를 경유하여 가기때문에 부전역과 직접 연계되지는 않기 때문.
[7]
부전시장과는 다른 서면시장이 있기는 있다. 롯데백화점과 서면 중앙의 대로 사이에 복개로가 있는데 그 길을 중심으로 서면시장이 분포되어 있다. 거기가 서면시장이다.
[8]
현재는 쥬디스태화백화점이다.
[9]
다른 서면 상권의 연장선인
전포역,
부암역은 승하차량이 부전역의 절반 밖에 안 된다.
[10]
예전에는 부전시장 일대가 서면 상권이었으므로 부전역 쪽이 서면지하상가.
[11]
비교 대상이 된
1호선
청량리역의 경우 2000년에서 2018년까지 승하차 인원이 약 40% 감소했다.
[12]
매우 가까운 수준이 아니라 아예 같은
동이다. 서면 일대는 전부
부전동.
[13]
BRT 개통 이전에도 동래 방면 부전역 정류장은 별도로 없었다. 부전시장 다음 정류장이
송상현광장 정류장인 셈.
[심야]
[심야]
심야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