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9 08:46:07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등장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설정
, 템플릿: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등장인물
,
,
,
,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c1d23><tablebgcolor=#ec1d23> 파일:MCULOGO WHITE.png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c1d23><colcolor=#fff>문서 <colbgcolor=#fff,#191919> 인트로 · 드라마 · 등장인물 · 기타 등장인물 · 사운드트랙 · 설정 · 설정 오류 · 연표 · 장소 · 줄거리 · 카메오 · 쿠키 영상 · 타이인 코믹스 · 평가 · 팀 토르 · 인피니티 사가 ( 페이즈 1 · 페이즈 2 · 페이즈 3) · 멀티버스 사가 ( 페이즈 4 · 페이즈 5 · 페이즈 6)
인물 프로듀서 : 케빈 파이기
디렉터 : 존 패브로 · 루소 형제 · 타이카 와이티티 · 제임스 건
작품 · 빌런 · 작중 행적 · 슈트 · 줄거리 · 페이즈 ( 1 · 2 · 3 · 4 · 5 · 6) · 역대 최종 전투 · 어벤져스 (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 · 인피니티 워 · 엔드게임) · 디펜더스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 인피니티 스톤 · 시빌 워 ( 찬성 진영 · 반대 진영)
분류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드라마 · 영화 · 등장인물 · 명대사 · 장비 · 종족 및 집단 · 지명 · 취소된 작품 }}}}}}}}}

1. 개요2. 등장인물 전용 템플릿3. 소속별 구분4. 등장 작품별 구분
4.1. 영화4.2. 드라마4.3. 기타 작품군
5. 문서가 없는 등장인물들6.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등장인물 150명.jpg
세계관이 큰 만큼 등장인물 수도 어마어마하다.[1][2]

대략 190명이 등장한 것으로 추산된다.

2. 등장인물 전용 템플릿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템플릿: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나무위키 편집지침 규정(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관련 문서)에 따라,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등장인물 문서는 템플릿: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등장인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7.4.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관련 문서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등장인물 문서는 템플릿: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등장인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 인물의 프로필 표는 템플릿에서 지정한 형태 및 색상(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테마 색상)을 변형 없이 그대로 사용해야 합니다.
* 인물의 프로필 표 각 항목과 문서의 각 문단은 인물별 상황에 따라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3. 소속별 구분

3.1. 지구

3.1.1. 어벤져스

3.1.2. 세계안전보장이사회

3.1.2.1. S.H.I.E.L.D.

3.1.3. HYDRA

3.1.4. 미국 정부

3.1.5. S.W.O.R.D.

3.1.6. 썬더볼츠

3.1.7. 디펜더스

3.1.8. 런어웨이즈

3.1.9. 스타크 인더스트리

3.1.10. 와칸다

3.1.11. 그 외의 국가

3.1.12. 마스터 오브 미스틱 아츠

3.1.13. 엔네아드

3.1.14. 뮤턴트

3.1.15. 그 외

3.2. 외계

3.2.1. 우주적 존재

3.2.2. 아스가르드 & 관련 인물

3.2.3.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 관련 인물

3.2.4. 타노스의 세력

3.2.5. 크리

3.2.6. 스크럴

3.2.7. 이터널스

3.2.8. 옴니포턴스 시티

3.2.9. 기타

3.3. 멀티버스

3.3.1. 다크 디멘션

3.3.2. TVA

3.3.3. 공허

3.3.4. 가디언즈 오브 멀티버스

3.3.5. 왓 이프...? 세계별 등장 인물

3.3.6. 스파이더맨 관련 인물

3.3.7. 지구-838

3.3.8. 그 외

4. 등장 작품별 구분

4.1. 영화

4.1.1. 아이언맨 첫 등장

4.1.2. 인크레더블 헐크 첫 등장

4.1.3. 아이언맨 2 첫 등장

4.1.4. 토르: 천둥의 신 첫 등장

4.1.5. 퍼스트 어벤져 첫 등장

4.1.6. 어벤져스 첫 등장

4.1.7. 아이언맨 3 첫 등장

4.1.8. 토르: 다크 월드 첫 등장

4.1.9.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첫 등장

4.1.10.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첫 등장

4.1.11.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첫 등장

4.1.12. 앤트맨 첫 등장

4.1.13.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첫 등장

4.1.14. 닥터 스트레인지 첫 등장

4.1.15.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 첫 등장

4.1.16. 스파이더맨: 홈커밍 첫 등장

4.1.17. 토르: 라그나로크 첫 등장

4.1.18. 블랙 팬서 첫 등장

4.1.19.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첫 등장

4.1.20. 앤트맨과 와스프 첫 등장

4.1.21. 캡틴 마블 첫 등장

4.1.22. 어벤져스: 엔드게임 첫 등장

4.1.23.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첫 등장

4.1.24. 블랙 위도우 첫 등장

4.1.25.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첫 등장

4.1.26. 이터널스 첫 등장

4.1.27.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첫 등장

4.1.28.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첫 등장

4.1.29. 토르: 러브 앤 썬더 첫 등장

4.1.30.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첫 등장

4.1.31.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첫 등장

4.1.32.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3 첫 등장

4.1.33. 더 마블스 첫 등장

4.2. 드라마

4.2.1. 에이전트 오브 쉴드 첫 등장

4.2.2. 에이전트 카터 첫 등장

4.2.3. 인휴먼즈 첫 등장

4.2.4. 데어데블 첫 등장

4.2.5. 제시카 존스 첫 등장

4.2.6. 루크 케이지 첫 등장

4.2.7. 아이언 피스트 첫 등장

4.2.8. 디펜더스 첫 등장

4.2.9. 퍼니셔 첫 등장

4.2.10. 런어웨이즈 첫 등장

4.2.11. 클록 & 대거 첫 등장

4.2.12. 완다비전 첫 등장

4.2.13. 팔콘과 윈터 솔져 첫 등장

4.2.14. 로키 첫 등장

4.2.15. 호크아이 첫 등장

4.2.16. 문나이트 첫 등장

4.2.17. 미즈 마블 첫 등장

4.2.18. 변호사 쉬헐크 첫 등장

4.2.19. 시크릿 인베이전 첫 등장

4.2.20. 원더맨 첫 등장

4.3. 기타 작품군

5. 문서가 없는 등장인물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기타 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관련 문서



[1] 와중에 깨알같이 판권이 소니에 귀속되어 위쪽에서 거꾸로 등장한 스파이더맨과 아래쪽에서 제4의 벽과 다른 멀티버스에서 넘어와 표지를 넘기는 데드풀도 있다. [2] 대표적인 등장인물을 보자면 왼쪽 위부터 에이트리, 스파이더맨, 미스테리오, 헬라, 코르그, 헤임달, 콜버스 글레이브, 프록시마 미드나이트, 행크 핌, 울트론, 에보니 모, 재닛 밴 다인, 율리시스 클로, 타노스, 에고, 네드 리즈, , 워 머신, 샘 윌슨, 헐크버스터, 토르, 아이언맨, 스티브 로저스, 스타로드, 비전, 가모라, 네뷸라, 욘두 우돈타, 에인션트 원, 레드 스컬, 해피 호건, 퀵 실버, 스칼렛 위치, 호크아이, 헐크, 블랙 위도우, 은자다카, 마리아 힐, 음바쿠, 슈리, 앤트맨, 와스프, 닥터 스트레인지, 블랙 팬서, 드랙스, 오코예, 루소 형제, 닉 퓨리, 캡틴 마블, 썬더볼츠 로스, 그루트, 로키, 로켓, 하워드 스타크, 데드풀, 케빈 파이기, 맨티스 [3] 쉴드의 대테러부대. 캡틴 아메리카와 함께 활동했다. [4] 핸드와 대척점을 이루는 또다른 닌자 조직이지만 디펜더스 시점에선 궤멸된 상태. 스틱 외에 스톤, 스타 등 조직원이 더 있지만 얼굴을 비춘 적은 없다. [5] 거대 생체 실험 조직. 제시카 존스와 루크 케이지가 능력을 얻은 계기와 관련 있다. 매드 사이언티스트 같은 면모를 보여줬으나 넷플릭스 마블 시리즈의 미래가 불투명해진 터라 제대로 된 빌런 조직이 될 지는 미지수. [6] 홈커밍 이후 설정 변경으로 인크레더블 헐크에서 처음 나왔던 것으로 바뀜. [7] 시빌 워 이후 설정 변경으로 아이언맨 2에서 처음 등장했던 것으로 바뀜. [8] 비영상물 등장은 코믹스 Iron Man: I Am Iron Man!이 최초. [9] 비영상물 등장은 코믹스 Iron Man: Public Identity의 과거 회상 장면이 최초. [10] 원래는 블랙 위도우가 먼저 개봉될 예정이었고 그 쪽에서 먼저 등장예정이었으나, 블랙 위도우의 개봉이 늦춰지면서 이 쪽에서 먼저 등장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