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by(東, ruby=とう)][ruby(京, ruby=きょう)]駅
Tōkyō Station[지하철]
JR 동일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black; color: white;" 도쿄역 |
|||||
시종착 |
도호쿠 신칸센
|
신아오모리 방면 우에노 3.6 km → |
|||
우에노 방면 우에노 ← 3.6 km |
[[우에노도쿄라인|
우에노 도쿄라인 (JU 01)
|
[[도카이도 본선/JR 동일본|
도카이도선 (JT 01)
|
아타미 방면 신바시 1.9 km → |
||
[[우에노역| ◀ 우츠노미야선 직통 ◀ 타카사키선-료모선 직통 ◀ 조반 쾌속선-나리타선 직통 |
이토선 직통 ▶
JR도카이 직통 ▶ |
||||
오미야 방면 칸 다 ← 1.3 km |
케이힌토호쿠선 (JK 26)
|
요코하마 방면 유라쿠초 0.8 km → |
|||
네기시선 직통 ▶
|
|||||
내선순환 칸 다 ← 1.3 km |
야마노테선 (JY 01)
|
외선순환 유라쿠초 0.8 km → |
|||
시종착 |
츄오 쾌속선 (JC 01)
|
타카오 방면 칸 다 1.3 km → |
|||
치바 방면 신니혼바시 ← 1.3 km |
[[소부 쾌속선|
소부 쾌속선 (JO 19)
|
[[요코스카선|
요코스카선 (JO 19)
|
쿠리하마 방면 신바시 1.9 km → |
||
시종착 |
케이요선 (JE 01)
|
소가 방면 핫쵸보리 1.2 km → |
|||
우치보선 직통 ▶
소토보·토가네선 직통 ▶ 무사시노선 직통 ▶
|
|||||
※ 우에노도쿄라인은 직통임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방향을 돌려놓음. | |||||
JR 도카이 도쿄역 |
|||||
시종착 |
도카이도 신칸센
|
신오사카 방면 시나가와 6.8 km → |
|||
산요 신칸센 직통 ▶
|
|||||
도쿄메트로 도쿄역 |
|||||
오기쿠보 방면 긴 자 ← 1.1 km |
마루노우치선 (M-17)
|
이케부쿠로 방면 오테마치 0.6 km → |
|||
◀ 호난초 지선 직통
|
|||||
케이요선 도쿄역 ↔
JR 유라쿠초역 환승 특례 JR 도쿄역 ↔ 도자이선 오테마치역 환승 특례 |
|||||
주소 | |||||
공통: 도쿄도 치요다구 (東京都千代田区) | |||||
JR 동일본 |
마루노우치1초메 9-1 丸の内一丁目9-1 |
||||
JR 도카이 | |||||
도쿄메트로 |
마루노우치1초메 6-5 丸の内一丁目6-5 |
||||
역 운영기관 | |||||
나머지 노선 | JR 동일본 | ||||
도카이도 신칸센 | JR 도카이 | ||||
마루노우치선 | 도쿄메트로 | ||||
개업일 | |||||
JR 동일본 | 1914년 12월 20일 | ||||
JR 도카이 | 1964년 10월 1일 | ||||
도쿄메트로 | 1956년 7월 20일 | ||||
특례구간(JR) | |||||
대도시근교구간 수도권 근교 구간[2] 특정도구시내 도쿄 야마노테선내 구간(山) 특정도구시내 도쿄도구내 구간(区) |
|||||
노선거리표 | |||||
기점 |
<colbgcolor=#f5f5f5,#373a3c>
도호쿠 신칸센 도 쿄 |
신아오모리 방면 우에노 3.6 km → |
|||
<colbgcolor=#f5f5f5,#373a3c>
도카이도 신칸센 도 쿄 |
신오사카 방면 시나가와 6.8 km → |
||||
도카이도 본선 도 쿄 |
고베 방면 유라쿠초 0.8 km → |
||||
도호쿠 본선 도 쿄 |
모리오카 방면 칸 다 1.3 km → |
||||
츄오 본선 도 쿄 |
나고야 방면 칸 다 1.3 km → |
||||
소부 본선 도 쿄 |
쵸시 방면 신니혼바시 1.3 km → |
||||
케이요선 도 쿄 |
소가 방면 핫쵸보리 1.2 km → |
서쪽 출구 (마루노우치구치; 丸の内口) |
동쪽 출구 (야에스구치; 八重洲口) |
1. 개요
1914년[3]에 개장한 일본 도쿄의 철도역. 위치는 도쿄도 치요다구 마루노우치1초메(1가). 일본 수도권의 주요 재래선들이 이 역에서 시종착하며, 특히 신칸센중 도카이도 신칸센과 도호쿠 신칸센이 이곳을 기점으로 운행한다. 재래선도 일본 양대 간선인 도카이도 본선, 도호쿠 본선의 각각 출발역이며 나고야로 가는 츄오 본선, 치바의 보소 반도로 가는 소부 본선의 출발역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일본 현지의 미디어나 뉴스에서는 도쿄의 현관이라고 불린다.재래선은 5면 10선, 지하 4면 8선, 신칸센은 5면 10선에 메트로 1면 2선을 포함해 총계 15면 30선을 운영하고 있는,[4] 과연 도쿄의 현관이자 중앙역으로 군림하기에 흠잡을 데가 없는 규모다. 하루 출도착 열차의 수가 대략 3,000편에 달하는데 이것은 일본 내 4위이다.[5]
이용객은 신주쿠역, 이케부쿠로역에 비해서는 적지만 거의 3~4위 정도에 있을 정도로 매우 많다. 신주쿠역과 이케부쿠로역이 없는 노선에선 당연히 도쿄역이 이용객 순위에 1위를 차지한다.
야에스 북쪽 출구[6]는 도쿄역을 기점으로 전국으로 운행하는 각종 고속버스들의 시종점이기도 하다.[7] 또한 나리타 국제공항과 하네다공항[8]을 잇는 공항 리무진 버스들이 도쿄역 야에스 남쪽이나 마루노우치 일대에 정차하며, 도쿄역 주변은 마루노우치, 오테마치 즉 도쿄 안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언론, 경제, 산업의 중심지이다.
이 역에서 츠쿠바센터까지 운행하는 버스도 있다.[9]
2014년 12월 20일, 도쿄역이 개업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일본 수도권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으니 한국으로 치면 서울역과 역할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출도착 열차는 신주쿠역에 밀리지만, 역에 정차하는 노선은 일본 철도 전체를 통틀어 최대 규모이다.[10]
참고로 여기서 나리타 공항을 갈때 3가지 방법이 있는데, 공항리무진버스를 타는 것도 있고, 지하 소부선 승강장에서 나리타 익스프레스 또는 나리타선 직통 쾌속 나리타 공항 행을 타는 것도 있다.
2. 역 정보
도쿄역을 중심으로 한 철도요람상 노선(좌) 및 운행계통상 노선도(우)
2.1. 이용객
하루 평균 이용객 수는 JR 동일본이 대략 396,000명, JR 도카이가 91,000명, 도쿄메트로가 140,000명으로,[11] 적게 잡아도 하루 이용객 수는 100만여 명으로 추정. 그러나 이는 JR 동일본의 역들 중에서 5위에 불과한 것으로, 도쿄의 현관 내지는 일본을 대표하는 역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초라하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이용객 규모 상위 3위의 신주쿠역(JR 단독 170만), 이케부쿠로역(150만), 시부야역(140만)에 비해- 마루노우치선을 제외하면 지하철, 사철과의 연계가 전무하며,
- 주변의 상업 시설이 주로 오피스라 퇴근 시간 이후로 유동 인구가 적고,
- 주변에 주택지가 전무하다는 것이다.
또한 규모 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작다고 할 수 있다. 도내에서는 신주쿠역이나 이케부쿠로역을 따라가기에는 많이 부족해 보이고, 또한 오사카 스테이션 시티가 개업한 이후로는 다른 JR 대표역[12] 중에 가장 규모가 작아 보이기까지 한다.
그도 그럴 게, 도내의 주요 역들이 도쿄역의 그 기능[13]을 분담하는 형태로 지어진 탓이다. 서쪽의 부도심 지역 및 고속버스 터미널은 신주쿠역, 사이타마, 군마와의 연결은 이케부쿠로역, 가나가와와의 연결은 시부야역, 도쿄 제1의 현관인 나리타 및 치바, 이바라키, 도치기와의 연결과 도호쿠 신칸센의 환승은 우에노역, 도쿄 제2의 현관인 하네다와의 연결과 도카이도 신칸센의 환승은 시나가와역. 다른 역들은 저 기능들을 한군데 모아놨으니 비교가 될 리가.[14] 게다가 도쿄역과 가까운 하마마츠초역, 신바시역, 아키하바라역, 유라쿠초역 등이 모두 이용객 60만이 넘는 대형 역들로서 도심으로 진입하는 인원을 분산하는 기능을 하며, 접근하는 사철 노선이 없어 신주쿠나 이케부쿠로같은 대형 터미널로 발달하지는 못했다.
물론 주변에 지어진 도쿄 스테이션 시티 시설들도 엄연히 도쿄역의 일부로 크고 아름다운 건물들이긴 한데, 본체인 도쿄역사는 문화재라서 증축할 수가 없으니 다 부속 건물로 지어져서 도쿄역 자체의 규모를 늘리지는 못하고 있다.[15] 동쪽 출구에 해당하는 야에스구치 쪽 역사가 약간이나마 체면치레하는 정도. 도쿄의 현관 지못미.
하지만 꾸준히 상승하여 2013년 결국 시부야역을 JR 승차 인원 순위 5위로 끌어내리고[16] 3위까지 올라섰다! 2014년도 3위 유지. 출처(일본어) 우에노도쿄라인의 개통으로 조반선과 우츠노미야선, 타카사키선의 승객까지 도쿄역으로 바로 끌어올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이 적다는 이야기는 이제 옛말이 될지도 모른다.[17]
2.2. 건축
|
일본 제국 시기. |
|
도쿄 대공습으로 인해 3층이 완파된 종전 후 모습. |
|
1947년~2007년까지의 적당히 복구된 모습. |
|
2012년 이후 최초 건축 당시 모습으로 복원된 모습. |
도쿄역 재개장 기념 3D 프로젝트 영상 |
도쿄역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중앙역을 모방하여 지어졌다고 알려져 있다. 이것도 모자라서 일본에도 셀프 카피를 한 역이 있다.[18] 건축가는 다쓰노 긴고(辰野金吾, 1854.10.13 - 1919.3.25)로 대한민국 한국은행과 옛 부산역을 설계했다.
도쿄역은 도쿄 스테이션 시티라고 하여 대규모의 공사를 2012년 10월 1일에 마쳤다. 고층 빌딩 여러 채를 세워 부동산 사업도 하고 주변 정비도 하는 대사업으로 동시에 도쿄역을 원형으로 복원하는 사업까지 진행했다. 우리나라 구 서울역 비슷한 건물은 마루노우치 입구라고 하고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도쿄 스테이션 시티라고 하는 대규모 공사를 2012년 10월 1일에 마쳤다. 고층 빌딩 여러 채를 세우고 주변을 정비한 대사업으로 동시에 도쿄역을 원형으로 복원하는 사업까지 진행했다. 그런데 지붕이 날아간 후 복구 공사를 제대로 한 것을 봐서는 마치 우리나라 숭례문 비슷하다는 말이 있다. 고쿄 쪽으로 난 길 일직선상에 있는 출입구는 황실 전용으로, 이쪽에는 황실 전용 귀빈실이 있다고 한다. 이쪽에는 호텔도 있는데, 역시 있어 보이는 곳이다 보니 비싸다. 공사 중이던 시기엔 문 닫고 고층 빌딩 어딘가에 호텔을 만들어서 영업했다. 또한 뒷편에 있던 철도 회관을 야에스 입구(야에스구치)라고 하였는데, 2007년 10월 말에 문을 닫았고 광장을 지으며 공기 순환을 위해 모두 철거하였다. 대신 고층 건물이 몇 개 지어지면서 야에스 쪽은 출구가 남/북으로 생기고 니혼바시 쪽에 출구가 생겼다.
2.3. 접속노선 일람
2.3.1. JR 동일본 도쿄역
도쿄야마노테선내, 도쿄도구내 특례의 중심 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역에서 100km 이상 떨어진 역으로 갈 때는 특정도구시내 특례에 의해 실제 출발 역에 관계없이 도쿄역 기준으로 운임이 산정된다. 200km 이상이면 도쿄도 구내 전역의 JR 발착 승차권이 전부 도쿄역 기준으로 산정된다.JR 동일본의 도쿄역 역장은 상무 집행임원으로 보임되며[19], 이사회나 주주총회, 간부 회의등에 참여 할 수 있다. 또한 핫쵸보리역과 엣츄지마역도 관리한다. 또한 국철 시절부터 매일 9시 정각에 출발하는 도카이도 방면 열차를 배웅하는 관행이 있는데 2023년 기준 오도리코 3호 이즈큐시모다·슈젠지행을 배웅한다. 국철 민영화 전에는 도카이도 신칸센이었다.
노선별 역명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츄오 쾌속선 | 야마노테선 | 케이힌토호쿠선 | |||||||||||||
|
|
|
|||||||||||||
도카이도선 | 우에노도쿄라인 | 케이요선 | |||||||||||||
|
|
|
|||||||||||||
요코스카선 · 소부 쾌속선 | 도호쿠 신칸센 | }}}}}}}}} |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
|
|
||||||||
승강장 전경 |
|||||||||
|
|
||||||||
케이요선 7번 출구 | M2 출구 | ||||||||
|
|
||||||||
케이요선 1 · 2번 승강장 | 소부 쾌속선 3 · 4번 승강장 | ||||||||
|
|||||||||
케이요선 선로 끝 부분 |
2.3.1.1. 승강장
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은 방향별 복복선 배치가 되어있어 시나가와역 - 타바타역 사이에서 이용한다면 둘 중 빨리 오는 걸 타고 가면 된다. 단, 케이힌토호쿠선은 10시 - 15시 사이에 쾌속 열차만 운행하므로 통과역 이용 시 주의. 특히 닛포리역에 정차하지 않으므로 나리타 공항 방면으로 갈 때는 꼭 야마노테선을 타야한다.츄오 쾌속선 열차는 3층 고가 승강장에서 출도착한다. 이 역에서 신주쿠역까지 간다면 츄오 쾌속선을 타는 것이 좋다.
우에노도쿄라인의 개업으로 도카이도선 대부분의 열차가 우츠노미야선, 타카사키선에 직통 운행한다. 도카이도선 특급 오도리코, 선라이즈 이즈모/세토 등의 열차는 원칙적으로 도쿄역이 시종착역이다. 조반선, 조반 쾌속선, 조반선 특급 열차인 히타치, 토키와도 정차한다. 단, 조반선 차량과 특급 히타치, 토키와는 시나가와역 까지만 운행한다.
요코스카선과 소부선 쾌속 열차는 지하 승강장에서 승차한다. 특급 나리타 익스프레스 역시 소부 쾌속선 지하 승강장에서 승차한다. 환승 거리 자체는 그렇게 긴 편은 아니지만 깊이가 워낙 깊은 탓에 환승 시 최소 10분 정도의 여유를 두고 움직이는 것이 좋다. 요코스카선과 소부선 쾌속 열차는 대부분이 직통 운행을 하며, 도쿄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는 매우 적다. 단, 소부선 특급 열차인 시오사이는 전부 도쿄역 출도착이며 요코스카선 내로는 들어가지 않는다.[20]
케이요선 도쿄역은 아래 문단에서도 언급할 것이지만, 제3 도쿄역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는 수준으로 멀리 떨어져 있고 깊이도 끔찍하게 깊다. 환승하는 데 최소 15분의 여유를 두고 움직이는 것을 권장한다. 무사시노선과 보소 특급 열차인 와카시오, 사자나미도 일부 신주쿠행을 빼면 여기서 발착한다. 신주쿠 착발 와카시오와 사자나미를 타려면 소부선 쾌속을 타고 3정거장 올라가 킨시쵸역으로 가야 한다.
도호쿠 신칸센 역시 이 역에서 승차가 가능하다. 신칸센을 타기 위해서는 신칸센 환승 개집표기를 한번 지나가야 하며, 도호쿠 신칸센과 도카이도 신칸센 사이에도 환승 개집표기가 있다. 운임 구역 내에도 매표소가 있지만 당일 승차권 위주로만 판매하므로 다음 날 이후에 타는 열차는 개집표기 밖의 미도리노마도구치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도호쿠 신칸센 승강장은 재래선 승강장보다 살짝 높게 만들었는데, 아래쪽에 비는 공간에 청소원들이 사용하는 휴게실과 걸레를 빨기 위한 세척 공간 등을 마련하였다. 도쿄역에서 출도착하는 도호쿠 신칸센(조에츠, 호쿠리쿠, 야마가타, 아키타 포함)은 12분의 회차 시간이 있는데, 하차 2분, 승차 3분을 제외한 7분이 청소 시간이다. 이때 매우 빠르게 청소하는 것이 숨겨진 스킬.
운임 구역 내에도 편의점, 기념품점, 도시락 판매 매장이 매우 많으므로 열차 출발까지 시간이 남았다면 개집표기를 들어온 후에도 간단히 쇼핑을 하고 갈 수 있다.
도카이도선 홈과 우에노도쿄라인 홈에는 접근 멜로디가 추가 되었다. #
야마노테선과 케이힌도호쿠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야마노테선(상): 역 구내에 0.6퍼밀과 0퍼밀(평지)의 구배가 있다.
야마노테선(하): 역 구내에 0.4퍼밀과 0퍼밀(평지)의 구배가 있다.
2024년 10월 31일 전승강장의 발차 멜로디가 변경되었다.
JR 동일본 승강장의 발차 멜로디 |
2.3.1.1.1. 3층
↑ 칸다 | 2층 승강장 | |||
ㅣ | 1 | 2 | ㅣ | |
종착역 |
1·2 | 츄오 쾌속선 |
신주쿠 ·
미타카 ·
타치카와 ·
타카오 방면 (직통 오츠키 · 카와구치코 · 오메 · 마츠모토 · 미나미오타리 방면) |
2.3.1.1.2. 2층
야마노테선 승강장과 케이힌토호쿠선 승강장엔 스크린도어가 있다.
3층 승강장 |
↑ 칸다 | ↑ 우에노 |
JR 도카이 승강장 |
||||||||||||||||||||||
ㅣ | 3 | 4 | ㅣ | ㅣ | 5 | 6 | ㅣ | ㅣ | 7 | 8 | ㅣ | ㅣ | 9 | 10 | ㅣ | ㅣ | 20 | 21 | ㅣ | ㅣ | 22 | 23 | ㅣ | ||
유라쿠초 ↓ | 신바시 ↓ | 종착역 |
<colbgcolor=#00a7e3> 3 | 케이힌토호쿠선 | 아키하바라 · 우에노 · 오미야 방면 |
4 | 야마노테선 | 아키하바라 · 우에노 · 이케부쿠로 방면 (내선순환) |
5 | 시나가와 · 메구로 · 시부야 방면 (외선순환) | |
6 | 케이힌토호쿠선 | 시나가와 · 카마타 · 요코하마 방면 |
7·8 |
●
우에노도쿄라인 ( 우츠노미야선· 타카사키선· 조반 쾌속선·● 조반선) |
우에노 ·
오미야 ·
오야마 ·
우츠노미야 방면 (직통 타카사키 · 마츠도 · 츠치우라 · 미토 방면) |
● 조반선 특급 히타치, 토키와 | 츠치우라 · 미토 · 이와키 방면 | |
도카이도선 | 시나가와 · 요코하마 · 오후나 · 오다와라 · 아타미 방면 (당역출발) | |
9·10 | 도카이도선 |
시나가와 ·
요코하마 ·
오후나 ·
오다와라 ·
아타미 방면 (직통 이즈큐시모다 · 슈젠지 · 타카마츠[선라이즈세토]] · 이즈모시[선라이즈이즈모]] 방면) |
20~23 | 도호쿠· 야마가타· 아키타· 홋카이도 신칸센 |
오미야 ·
센다이 ·
모리오카 ·
신아오모리 방면 (직통 야마가타 · 신조 · 아키타 · 신하코다테호쿠토 방면) |
조에츠· 호쿠리쿠 신칸센 |
타카사키 ·
에치고유자와 ·
나가오카 ·
니가타 방면 (직통 나가노 · 도야마 · 후쿠이 · 츠루가 방면) |
2.3.1.1.3. 지하 소부 쾌속선, 요코스카선 승강장
철도 요람상으로 도카이도 본선 지하선과 소부 본선이 직결되는 지점이다.특급 시오사이는 2번 승강장에서 발착한다.
↑ 신니혼바시 | |||||||
ㅣ | 4 | 3 | ㅣ | ㅣ | 2 | 1 | ㅣ |
신바시 ↓ |
<colbgcolor=#0074be> 소부 지하 1·2 |
요코스카선 |
요코하마 ·
오후나 ·
카마쿠라 ·
즈시 ·
쿠리하마 방면 (직통 신주쿠 · 미타카 · 타치카와 · 하치오지 방면) |
● 소부 본선 특급 시오사이 | 치바 · 나루토 · 쵸시 방면 | |
소부 쾌속선 |
킨시쵸 ·
이치카와 ·
후나바시 ·
치바 방면 (당역출발) (직통 나리타 공항 · 카즈사이치노미야 · 쵸시 · 카시마진구 방면) |
|
소부 지하 3·4 |
킨시쵸 ·
이치카와 ·
후나바시 ·
치바 방면 (직통 나리타 공항 · 카즈사이치노미야 · 쵸시 · 카시마진구 방면) |
|
✈ 특급 나리타 익스프레스 | 나리타 공항 방면 | |
요코스카선 | 요코하마 · 오후나 · 카마쿠라 · 즈시 · 쿠리하마 방면 (당역출발) |
2.3.1.1.4. 지하 케이요선 승강장
특급 와카시오·사자나미는 1번 승강장에서 발착하고 무사시노선 열차는 주로 2번 승강장에서 발착한다.종착역 | |||||||
ㅣ | 4 | 3 | ㅣ | ㅣ | 2 | 1 | ㅣ |
핫쵸보리 ↓ |
케이요 지하 1~4 |
● 소토보선 특급 와카시오 | 소가 · 카즈사이치노미야 · 아와카모가와 방면 |
● 우치보선 특급 사자나미 | 소가 · 키미츠 방면 | |
케이요선 |
신키바 ·
마이하마 ·
카이힌마쿠하리 ·
소가 방면 (직통 키미츠 · 카즈사미나토 · 카즈사이치노미야 · 카츠우라 방면) |
|
무사시노선 | 신키바 · 마이하마 · 니시후나바시 방면 |
2.3.1.2. 인접 정차역
- 대부분의 노선은 도쿄역 전후의 역에 모두 정차하지만 유일하게 케이힌토호쿠선의 쾌속 열차만 인접 역을 통과한다. 주간에는 쾌속 열차만 운행하므로 유라쿠초역으로 가려면 야마노테선을 이용해야하고 신바시역으로 가려면 야마노테선이나 도카이도선(우에노도쿄라인)을 이용해야한다.
- 나리타 공항행 쾌속 열차는 이 역부터 쾌속으로 종별이 바뀐다. 반대로 나리타 공항발 쾌속 열차는 이 역에서 보통으로 종별이 바뀐다.(소부 쾌속선 직통)
2.3.1.2.1. 츄오 본선의 승강장의 고가 이설
1995년까지, 츄오선의 승강장은 지금의 3, 4번 승강장(야마노테선/케이힌도호쿠선 북행 열차가 쓰는 승강장)이었고, 나머지 승강장 역시 하나씩 동쪽에 있었다.70년대까지 도카이도 신칸센은 지금의 16~19번선, 즉 2면 4선만을 쓰고 있었으며, 향후 들어올 예정이었던 도호쿠 신칸센은 도카이도 신칸센과 직결 운행을 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도카이도 신칸센과 도호쿠 신칸센은 각각의 종착 승강장 1면 2선씩과 직결 운행용 승강장 2면 4선을 합해 총 4면 8선을 쓸 예정이었다. 이런 계획이 있던 상태에서 1970년대 후반, 도카이도 신칸센의 승강장은 넘쳐나는 수요를 대응하기 위해 1면 2선을 추가(지금의 14, 15번선)하여 3면 6선이 되었다. 당시만 해도 직결 계획이 아직 살아있던 상태라 큰 문제가 없어 보였다. 그러나 민영화가 되면서 운영사가 달라져 흐지부지되었다.
하지만, 도호쿠 신칸센이 쓸 수 있던 승강장은 1면 2선(12, 13번선, 지금의 22, 23번선)뿐이었고, 이 승강장만으로 당시 모든 도호쿠 신칸센 계열( 도호쿠 신칸센, 조에츠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의 종착을 처리해야 했다.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의 개최가 확정되며 나가노 신칸센(현 호쿠리쿠 신칸센)의 건설이 확정되자, 1면 2선 승강장으로는 나가노 신칸센의 종착까지 처리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도호쿠 신칸센 계열 도쿄역의 승강장을 2면 4선으로 늘리려 했지만, 이미 도쿄역 지상에 더 남은 공간은 없었다.
결국 JR 동일본은 고심 끝에[23] 기존 재래선용 승강장으로 존재하던 5면 10선(츄오 본선용 1면 2선+야마노테선/케이힌도호쿠선용 2면 4선+도카이도 본선 2면 4선) 중 1면 2선을 도호쿠 신칸센이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대신 츄오선 승강장을 서쪽 끝 조금 남아있던 공간에 고가로 신설하기로 했다.
그렇게 1995년 츄오선 고가 승강장이 완공되고, 야마노테선/케이힌도호쿠선과 도카이도 본선은 승강장을 서쪽으로 하나씩 땡겨서 1997년까지 새로운 도호쿠 신칸센 승강장(20, 21번선)을 만드는 데 성공할 수 있었고, 이 승강장 구조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 1995년 이전의 승강장 #======
↑ 칸다 | 종착역 | ↑ 우에노 |
JR 도카이 승강장 |
|||||||||||||||||||||
ㅣ | 1[24] | 2[25] | ㅣ | ㅣ | 3[26] | 4[27] | ㅣ | ㅣ | 5[28] | 6[29] | ㅣ | ㅣ | 7[30] | 8[31] | ㅣ | ㅣ | 9[32] | 10[33] | ㅣ | ㅣ | 12[34] | 13[35] | ㅣ |
2.3.1.3. 도쿄역의 막장환승
아래의 그림은 일본어 위키백과 혹은 위키미디어 공용에서 가져온 것이니 참고.2.3.1.3.1. 소부 쾌속선· 요코스카선 승강장
위의 플랫폼들 중, 아래의 제3 도쿄역보다 먼저 생긴위치가 어디길래 그러냐면...
위 그림에서는, 큰 박스(도쿄역) 왼쪽에 있는 기울어진 박스가 제2 도쿄역(소부 쾌속선)이다. 실제 더 정확한 위치로는, JR 도쿄역( 도카이도 본선 승강장)과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도쿄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소부 쾌속선과 요코스카선을 경유하는 나리타 익스프레스도 이 승강장에 정차한다.
이 역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조건 북쪽 방향으로 환승해야 한다는 것. 남쪽으로는 환승 통로가 없다. 즉, 개찰구를 나가지 않고 아래 서술될 케이요선으로 환승하기 위해서는 지상 도쿄역사로 올라갔다가 다시 케이요 스트리트를 거쳐 케이요선으로 내려가야 한다. 아무리 빨리 걸어도 15분은 걸리는 최강의 막장환승이다. 정기권이 있다면 차라리 개찰구를 나가서 간접 환승을 하는 게 압도적으로 빠르다. 더군다나 케이요선과 소부 쾌속선의 환승역은 도쿄역과 소가역 사이에 단 한 역도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나 관광객 입장에서는 도쿄 디즈니랜드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 케이요선인데 정기권은 있을 턱이 없다 보니 굉장히 난감해진다. 따라서 요코스카선과 케이요선을 갈아탈 일이 있다면 환승 횟수가 늘어가는 걸 감수하고서라도 시나가와역이나 신바시역에서 내려서 야마노테선이나 케이힌토호쿠선, 도카이도선을 타고 도쿄역으로 가는 게 낫다. 다만 이 방법도 Suica나 PASMO 같은 교통카드 혹은 패스가 있어야 쓸 수 있다. 편도 승차권을 끊고 소부 쾌속선에서 유라쿠초 이남을 경유하여 도쿄역으로 돌아가서 케이요선을 탄다면 도쿄역을 2번 지나가므로 도쿄역과 회차한 역간의 왕복 승차권이 필요하다.[36]
도쿄역에서 짐을 맡기려고 하는데 코인 락커가 전부 꽉 차있다면 일단 이 승강장 환승 안내를 따라 지하로 내려가 보자. 소부선 방향으로 내려가는 계단 아래 쪽에 코인 락커가 많이 설치되어 있다.
2.3.1.3.2. 케이요선 승강장
위의 플랫폼들 중에서 악명높은 것이 바로 케이요선과 무사시노선이 공용하는 지하 플랫폼 1~4번이다. 환승 거리가 환상적이다. 츄오 쾌속선에서 케이요선으로 환승하면 8~9분가량이 소요된다. 이 시간은, 이동 시간만 고려한 시간이다. 그냥 통로가 연결되어 있어 환승이라고 하는 거지, 사실상 다른 역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의 거리. 대한민국 환승역 중 최악의 막장환승이란 타이틀을 가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공철 ~ 경의·중앙선 간)과 비교해도 체감상 이쪽이 더 심하게 느껴질 수준이고 상단의 소부 쾌속선, 요코스카선과는 환승 통로가 없던 시절의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서울 지하철 1, 4호선 서울역 환승도 한 수 접어줘야 할 정도다.노선상 도쿄역의 바로 옆인 유라쿠초역과의 중간에 있으며, 도쿄역에서 도쿄메트로의 오테마치역 혹은 니혼바시역에 가는 것과 거리가 비슷하다. 그나마 무빙워크가 있긴 한데, 그래도 유라쿠초역과의 거리보다 멀어서 도쿄역 대신 유라쿠초역에서 환승하는 것도 환승 특례가 적용된다. 다만 우에노역이나 칸다역 쪽에서 왔다면 환승 특례는 적용되지 않는다.
케이요선 도쿄역에서 유라쿠초역으로 환승하고 싶다면, IC카드를 이용하든, 일반 승차권을 이용하든, 절대로 자동개찰구로 나가서는 안 된다. 자동개찰구로 나가면 여행 종료로 간주되어 유라쿠초역에서 요금을 다시 내야 한다. 먼저 유인개찰구로 가서, 역무원에게 유라쿠초역으로 가고 싶다고 말하면, 역무원이 케이요선 도쿄역에서 왔음을 증명하는 증명서를 주고, 그 증명서를 들고 가서 유라쿠초역에서 역무원에게 보여주면 개찰구를 통과시켜주는 시스템이다. 이는 유라쿠초역에서 케이요선 도쿄역으로 환승하고자 할 때도 마찬가지. 참고로 증명서는 유라쿠초역에서는 쿄바시구치(京橋口)에서만 받을 수 있고, 도쿄역에서는 케이요 지하 야에스구치(京葉地下八重洲口)나 케이요 지하 마루노우치구치(京葉地下丸の内口) 개찰구에서만 받을 수 있다. 증명서 제출 역시 저곳에서만 할 수 있다.
다만, 유라쿠초역에서 환승한다고 해서 거리가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것은 아니므로, 짐이 많거나 날씨가 나쁘다면 그냥 도쿄역에서 환승하는 게 낫다. 유라쿠초역과 케이요선 도쿄역 간에는 별도의 환승 통로가 없고, 도쿄 국제포럼 지하통로를 이용하거나 아예 지상으로 올라와야 한다.
아래 그림을 보자면,
큰 박스(도쿄역 본역) 또는 기울어진 박스(제2 도쿄역, 소부 쾌속선 승강장)의 한참 아래에 있는 가로로 뉘어진 도쿄역이 케이요선/ 무사시노선 승강장, 제3 도쿄역이다.
사실 제3 도쿄역은, 나리타 신칸센의 유물을 재활용한 것이다. 케이요선이 늦게 지어지다 보니 땅값이 너무 비싸 저 멀리 떨어진 나리타 신칸센 도쿄역으로 지어졌던 지하 구조물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는데, 문제는 신주쿠역까지의 연장과 조에츠 신칸센과의 직결을 염두에 두고 승강장을 건설했으나 정작 계획이 무산되고 그 자리에 케이요선이 그대로 들어가다 보니 이 꼴이 난 것이다.
그리고 수십년 전부터 츄오 쾌속선의 지하 신선을 파고 여기서 케이요선과 직결시키려는 계획이 존재했지만, 오히려 츄오 쾌속선이 더 아득한 고가로 올라가면서 사실상 무산되었다.
2015년에 세이칸 터널의 요시오카 해저역이 폐지되면서, 가장 낮은 JR선 역이라는 호칭을 얻었다. 해발고도 -29.19m. 사철까지 합치면 도쿄메트로 한조몬선의 스미요시역이 −33 m이다.
덤으로, 일부 고속버스가 출발하는 '도쿄역 카지바시(鍛冶橋) 주차장' 정류장은 이 케이요선 도쿄역보다 더 남쪽에 있다. 사실상 유라쿠초역이라 봐도 될 정도. 실제로 가장 가까운 철도 시설이 긴자잇초메역 1번 출구이다. 카지바시 주차장은 이름 그대로 버스 전용 공영주차장에서 여객취급을 하는 형태로 버스 터미널이 아니므로 버스 대기시설이 있기는 하지만 작고, 주차장 밖에서 대기도 불가하다. 결국 카지바시 주차장의 터미널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버스터미널 '버스터미널 도쿄 야에스'가 야에스 미나미구치 JR 고속버스 터미널 맞은편에 오픈했지만 아직도 카지바시 주차장을 이용하는 노선도 있으니 주의.
2.3.2. JR 도카이 도쿄역
북동쪽 출구 '마루노우치 중앙 빌딩' (니혼바시구치; 日本橋口)
역명판
이 역에는 북쪽으로 이어지는 선로가 없다. 역 내에서 선로가 끝난다는 점에서 두단식 승강장으로 볼 수도 있으나, 다른 터미널형 승강장과 다르게 통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14번선과 15번선이 비슷한 위치에 있기는 하다. 옛날엔 14-15번선과 도호쿠 신칸센의 12-13번선이 차막이 단 1개뿐으로 구분지어져 있었다. 이는 과거 도카이도 신칸센과 도호쿠 신칸센의 직결구상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도호쿠 신칸센의 승강장이 단순 섬식으로 지어진 것도 이 때문이다.[37] 하지만 말 그대로 구상에 그쳤던 데다가 분할 민영화가 진행되면서 그냥 구상으로만 남게 되었다.
또한 이 역의 화이트보드 안내판이 유명하다.
역장에 임원급을 임명하는 JR 동일본과 달리, JR도카이는 역장에 그냥 직원을 임명하고 있다. 애초 도카이의 주 관할 구역도 아니고 동일본에 사실상 셋방살이를 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실제 도카이가 관리할 곳은 신칸센 승강장, 매표소, 환승통로 정도 말고는 없다.
JR 도쿄 와이드 패스와 같이 JR 동일본에서 발매하는 패스로는 JR 도카이 승강장으로 입장이 불가능하니 주의. 그러나 대합실 대부분이 동일본 관할이라서 별로 상관없긴 하다.
2.3.2.1. 승강장
2층 |
JR 동일본 승강장 |
종착역 | |||||||||||
ㅣ | 14 | 15 | ㅣ | ㅣ | 16 | 17 | ㅣ | ㅣ | 18 | 19 | ㅣ | |
시나가와 ↓ |
14~19 | 도카이도· 산요 신칸센 | 당역종착·출발( 나고야 · 교토 · 신오사카 · 하카타 방면) |
2.3.2.2. 인접 정차역
도카이도 신칸센 | |||
시종착 |
노조미 のぞみ |
하카타 방면 시나가와 6.8 km → |
|
히카리 ひかり |
오카야마 방면 시나가와 6.8 km → |
||
코다마 こだま |
신오사카 방면 시나가와 6.8 km → |
2.3.3. 도쿄메트로 도쿄역
승강장
오테마치역에서 환승할 사람이나 오테마치역까지 갈 사람은 도쿄역에서 도자이선 표지판을 쭉 따라가면 오테마치역까지 갈 수 있다.[38] 걷기 귀찮으면 속편하게 마루노우치선을 타고 오테마치역에 내리거나, 환승이 편한 타 역으로 넘어가는 게 더 이득이다. 굳이 도자이선을 이용해야 한다면, 목적지가 타카다노바바역 주변일 경우에만 츄오선을 타고 신주쿠역에서 야마노테선을 타거나,[39] 이다바시역 근방 3정거장이면 츄오선을 타고 오차노미즈역으로 가서 마루노우치선, 츄오소부선 각역정차로 갈아타는 게 가장 편하다. 오차노미즈역 환승은 평면환승이다.
도쿄메트로 도쿄역은 그리 중요한 역은 아니라 코라쿠엔역장이 도쿄역장을 겸임한다. 도쿄메트로에는 한 역을 관할하는 역장이 없고, 역관리구장이 존재하는데 도쿄역은 코라쿠엔역 산하이기 때문.
2.3.3.1. 승강장
↑ 긴자 | |||
ㅣ | 1 | 2 | ㅣ |
오테마치 ↓ |
1 | 마루노우치선 | 상행 | 카스미가세키 · 아카사카미츠케 · 요츠야 · 신주쿠 · 오기쿠보 · 나카노후지미초 방면 |
2 | 하행 | 오테마치 · 오차노미즈 · 코라쿠엔 · 이케부쿠로 방면 |
3. 역 주변 정보
도쿄역과 마루노우치의 모습
고층건물이 밀집해있는 오테마치의 모습
도쿄역 정문, 즉 서쪽에 있는 것이 바로 일본 최대의 비즈니스 지역 중의 하나인 마루노우치이며, 북쪽에는 오테마치, 동쪽으로는 니혼바시, 서쪽으로는 니주바시마에가 있다. 역사 근처의 고층 빌딩들은 주로 마루노우치 지역에 운집. 마루노우치 출구에서 일직선상에 고쿄도 있다. 오테마치 방향으로 가다보면 마루노우치호텔이 있다. 니혼바시 방향으로 가다보면 도쿄중앙우편국이 있다.
3.1. 쇼핑몰
도쿄역과 연결된 쇼핑몰 및 상점가만 서술.-
도쿄역 1번가(東京駅一番街 / First Avenue Tokyo Station)
홈페이지
야에스 출구 방향 지하 1층에는 '도쿄역 1번가'라는 쇼핑몰이 위치해 있다. 이곳에는 도쿄역 캐릭터 스트리트가 있어서 여러 캐릭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40] 라멘집 8점포가 모여있는 '라멘 스트리트'도 유명하다. 도쿄역 구조가 복잡하고 이 거리들을 따로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쉽게 찾아가기는 힘들지만, 야에스 방면 출구를 열심히 찾아가면 된다. 도쿄역 1번가에 소속되어 있는 시설이니 도쿄역 1번가를 찾거나 물어보는 것도 방법이다.
-
야에스 지하 상가(八重洲地下街 / Yaesu Shopping Mall)
한국어 홈페이지
도쿄역 동쪽으로 위치해 있는 지하 상가로, 여러 맛집이 몰려있다.
-
KITTE
한국어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도쿄역과 연결된 JP타워에 위치한 쇼핑몰. 옥상정원에서 도쿄역 야경을 볼 수 있다. 또한 도쿄중앙우체국(東京中央郵便局)[41]이 여기에 위치하는데 ゆうゆう窓口(유유창구)가 있어서 일반 우체국이 영업하지 않는 시간대(평일 저녁 21시까지, 주말 및 공휴일은 18시까지))에도 영업한다.
3.2. 도쿄 미드타운 야에스
자세한 내용은 도쿄 미드타운 야에스 문서 참고하십시오.3.2.1. 도쿄역 버스터미널
2022년 9월 17일에 도쿄역과 직결된 버스터미널이 개업했다. 도쿄역과 인접한 상업시설 ’도쿄 미드타운 야에스‘에 지하 1-2층 구역에 위치해 있으며 일본 최대 규모의 고속버스 터미널로서 최초의 지하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도쿄역 야에스츄오구치로 직결된다.3.2.2. BULGARI 호텔
도쿄역 인근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된 5성급 호텔. LVMH 계열 럭셔리 브랜드 불가리가 운영한다. 마찬가지로 도쿄역과 지하로 연결되어 있다.3.3. 도쿄 스테이션 호텔
한국어 홈페이지도쿄역 마루노우치 역사 남쪽에는 JR그룹과 힐튼에서 운영하는 도쿄 스테이션 호텔(The Tokyo Station Hotel)이라는 호텔이 있는데 도쿄 안에서도 수준급(Small Luxury Hotels of the World 회원)의 호텔이다. 실제 묵어본 사람들의 리뷰에 따르면 역대급 서비스와 호텔이라고 한다(특히 호텔 조식이 일본에서 알아줄 만큼 최고). 재개관 당시에는 숙박료가 수백만 원에 달했지만 지금은 최고 9만 엔대에서 최저 4만 엔대[42] 사이다. 비싼 가격만큼 최고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호텔이라고 한다.
3.4. 교통
- 도쿄역 ↔ 나리타 국제공항 - 나리타 국제공항/버스, 나리타 국제공항/철도
4. 사건 사고
4.1. 암살 사건
도쿄역에서 발생한 역사적 사건으로 총리의 목숨을 노린 사건이, 그것도 2번씩이나 발생하였다. 날짜는 1921년 11월 4일 및 1930년 11월 14일. 전자는 칼에 찔려 사망한 하라 다카시, 후자는 총에 맞은 하마구치 오사치가 그 주인공. 하라는 현장에서 즉사. 하마구치는 총상을 치료받던 중 이듬해 사망[43]. 사건 현장이 같은 장소였거니와 당사자의 정책에 불만을 품은 자국민의 소행이었음이 또 하나의 아이러니한 공통점이라 하겠다. 게다가 도쿄역에서도 대한 독립을 위한 의거 활동이 있었다. 1921년 3월 25일[44], 양근환 의사가 현재의 도쿄 스테이션 호텔 위치인 도쿄역 호텔 214호실에서 의거하였다. #[45]4.2. 100주년 스이카 대란
2014년 12월 20일, 도쿄역이 100주년을 맞이했다. JR 동일본은 이를 기념하여 한정판 스이카 카드 1만 5천 장을 선착순으로 판매하기로 했다. 문제는...이 카드 하나 때문에, | 이렇게나 많이 모였다.[46] |
결국 이 사태를 치르고 난 뒤 2시간 30분이 지나서야 완판됐다.
하지만 이걸 구입하려고 일본 전역에서 상경한 사람들도 많았던 상황에서 줄을 세워도 통제조차 안 되고, 그렇게 기다렸는데도 다 팔려버렸다는 이야기에 수많은 사람들이 항의했고, 결국 이 난리는 JR과 도쿄역 측에서 교통비를 찔러주는 조건까지 걸고 나서야 겨우 끝낼 수 있었다. 이 카드는 2015년 1월 초까지 야후 옥션에서 7만 엔 전후의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는 가격이 많이 떨어져서 싸면 1,000엔부터 구매 가능하다. 미사용 카드는 최소 4,000엔 이상 한다고 보면 된다. 한국에서 이 카드를 사려면 바다 건너 배달되는 특성상 최소 5~6만원은 내야 한다.
이후 1월 말 발행 매수를 대폭 늘려서 통신 판매를 시작했고, 당초 계획을 안드로메다급으로 뛰어넘어 대략 500만 장이 신청되었다. 그러나 보통 제작되는 Suica 매수가 300~400만 장이기 때문에, 생산 설비를 풀가동해도 100주년 안에 저걸 다 집으로 발송하는 건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래서 먼저 받을 사람을 추첨으로 뽑기까지 했다.
4.3. 도쿄역 보관함 사체 유기 사건
자세한 내용은 도쿄역 보관함 사체 유기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5. 대중매체
- 오성전대 다이레인저의 비밀기지가 도쿄역 지하에 있다는 설정이다.
- 러브 라이브! Snow halation의 라이브 장소로 도쿄역 앞의 도로가 나왔다.
- 러브 라이브! 선샤인!!의 쿠로사와 다이아가 어린시절 마루노우치선의 도쿄역에서 미아가 된 사건이 있어 도쿄역의 안 좋은 기억이 있다.
- 신 고지라에선 마지막 격전지로 등장한다.
- 미래의 미라이에서 중요한 작중 장치 역할로 수행한다.
- 불릿 트레인에서 초반부에서 레이디 버그가 신칸센을 타는 곳으로 나온다.
6. 기타
1988년 9월 7일 파리 리옹역을 출발하여 도쿄역까지 운행하는 NIOE 오리엔트 급행열차가 운행하기도 했다. 오리엔트 급행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당시 후지 테레비와 히타치의 협조로 NIOE사의 오리엔트 급행열차를 대절, 파리 리옹역을 출발하여 당시 서독, 동독, 소련과 중국을 거쳐 홍콩까지 운행한 뒤, 홍콩항에서 일본 도쿠야마항까지 배로 운반하였고, 1988년 10월 18일 오전 10시 30분에 도쿄역 9번 플랫폼에 도착하였다. 당시 파리 리옹역의 출발 전광판에는 '오리엔트 익스프레스 도쿄행'이 표시되었다.도쿄역 앞에 있는 마루노우치가 마루노우치선의 노선명 유래가 되었다.
도쿄 해안지대의 지하시설이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이지만 지하수 수위 상승으로 인해[47] 소부 쾌속선/요코스카선 플랫폼이 둥둥 떠오르고 있다고 한다. 1999년에는 구조물이 떠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플랫폼에 철제 구조물을 올려서 가라앉히는 공사와 앵커를 130개 박아넣는 공사가 있었으며, 2002년에는 12km 길이의 도수관을 통해 용출 지하수를 하천으로 흘려보내고 있다. 2015년 12월에는 배수 펌프에 문제가 생겨 요코스카선이 12시간 동안 불통되기도 하였다. 해당 문제는 우에노역의 신칸센 승강장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7. 일평균 승차량
JR 동일본 재래선 | |||||||||
1953년 | 1954년 | 1955년 | 1956년 | 1957년 | 1958년 | 1959년 | 1960년 | 1961년 | 1962년 |
207,922명 | 224,318명 | 258,159명 | 275,133명 | 289,150명 | 296,571명 | 307,724명 | 333,563명 | 356,030명 | 377,652명 |
1963년 | 1964년 | 1965년 | 1966년 | 1967년 | 1968년 | 1969년 | 1970년 | 1971년 | 1972년 |
387,634명 | 393,219명 | 396,330명 | 402,597명 | 410,881명 | 401,261명 | 337,051명 | 342,619명 | 352,109명 | 369,134명 |
1973년 | 1974년 | 1975년 | 1976년 | 1977년 | 1978년 | 1979년 | 1980년 | 1981년 | 1982년 |
388,567명 | 395,863명 | 379,623명 | 379,540명 | 365,830명 | 358,871명 | 350,866명 | 341,655명 | 332,575명 | 328,789명 |
1983년 | 1984년 | 1985년 | 1986년 | 1987년 | 1988년 | 1989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329,910명 | 338,282명 | 329,677명 | 337,219명 | 328,423명 | 352,416명 | 367,611명 | 394,055명 | 418,858명 | 423,052명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420,852명 | 406,841명 | 399,609명 | 394,115명 | 386,534명 | 382,129명 | 376,960명 | 372,611명 | 368,967명 | 374,922명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369,025명 | 371,113명 | 379,350명 | 382,242명 | 396,152명 | 394,135명 | 384,024명 | 381,704명 | 380,997명 | 402,277명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415,908명 | 417,822명 | 434,633명 | 439,554명 | 452,549명 | 467,165명 | 462,589명 |
JR 동일본 신칸센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70,675명 | 73,652명 | 72,774명 | 77,677명 | 77,699명 | 78,618명 | 79,991명 | 75,004명 |
JR 도카이 신칸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83,000명 | 84,000명 | 89,000명 | 93,354명 | 93,000명 | 97,000명 | 98,000명 | 101,138명 |
마루노우치선 | |||||||||
1956년 | 1957년 | 1958년 | 1959년 | 1960년 | 1961년 | 1962년 | 1963년 | 1964년 | 1965년 |
22,393명 | 26,979명 | 29,656명 | 39,799명 | 42,160명 | 54,301명 | 64,689명 | 69,753명 | 73,563명 | 74,104명 |
1966년 | 1967년 | 1968년 | 1969년 | 1970년 | 1971년 | 1972년 | 1973년 | 1974년 | 1975년 |
72,997명 | 72,813명 | 70,570명 | 69,635명 | 69,132명 | 67,932명 | 65,770명 | 67,523명 | 66,430명 | 63,699명 |
1976년 | 1977년 | 1978년 | 1979년 | 1980년 | 1981년 | 1982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61,792명 | 62,923명 | 60,088명 | 59,956명 | 60,586명 | 61,863명 | 62,104명 | 63,224명 | 65,027명 | 64,244명 |
1986년 | 1987년 | 1988년 | 1989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65,408명 | 66,872명 | 68,742명 | 68,912명 | 73,288명 | 76,041명 | 76,356명 | 76,332명 | 75,227명 | 74,336명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73,630명 | 72,107명 | 71,989명 | 69,055명 | 67,351명 | 66,940명 | 67,526명 | 67,557명 | 67,397명 | 68,019명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68,677명 | 74,279명 | 75,627명 | 75,307명 | 75,992명 | 76,175명 | 82,233명 | 87,871명 | 90,608명 | 95,970명 |
2016년 | 2017년 | ||||||||
99,707명 | 103,156명 |
8. 둘러보기
츄오 쾌속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도쿄 -
칸다 -
오차노미즈 -
요츠야 -
신주쿠 -
나카노 -
코엔지 -
아사가야 -
오기쿠보 -
니시오기쿠보 -
키치죠지 -
미타카 -
무사시사카이 -
히가시코가네이 -
무사시코가네이 -
코쿠분지 -
니시코쿠분지 -
쿠니타치 -
히노 -
토요다 -
하치오지 -
니시하치오지 - (→
오츠키 방면)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야마노테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도쿄 -
칸다 -
아키하바라 -
오카치마치 -
우에노 -
우구이스다니 -
닛포리 -
니시닛포리 -
타바타 -
코마고메 -
스가모 -
오츠카 -
이케부쿠로 -
메지로 -
타카다노바바 -
신오쿠보 -
신주쿠 -
요요기 -
하라주쿠 -
시부야 -
에비스 -
메구로 -
고탄다 -
오사키 -
시나가와 -
타마치 -
하마마츠쵸 -
신바시 -
유라쿠초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케이힌토호쿠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미야 -
사이타마신토신 -
요노 -
키타우라와 -
우라와 -
미나미우라와 -
와라비 -
니시카와구치 -
카와구치 -
아카바네 -
히가시주조 -
오지 -
카미나카자토 -
타바타 -
니시닛포리 -
닛포리 -
우구이스다니 -
우에노 -
오카치마치 -
아키하바라 -
칸다 -
도쿄 -
유라쿠초 -
신바시 -
하마마츠쵸 -
타마치 -
시나가와 -
오이마치 -
오모리 -
카마타 -
카와사키 -
츠루미 -
신코야스 -
히가시카나가와 - (→
오후나 방면)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도카이도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바시 -
시나가와 -
카와사키 -
요코하마 -
토츠카 -
오후나 -
후지사와 -
츠지도 -
치가사키 -
히라즈카 -
오이소 -
니노미야 -
코우즈 -
카모노미야 -
오다와라 -
하야카와 -
네부카와 -
마나즈루 -
유가와라 - (→
이토 방면)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조반 쾌속선·■ 조반선(시나가와~이와키)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나가와 -
신바시 -
도쿄 -
우에노 -
닛포리 -
미카와시마 -
미나미센쥬 -
키타센쥬 -
마츠도 -
카시와 -
텐노다이 -
토리데 -
후지시로 -
류가사키시 -
우시쿠 -
히타치노우시쿠 -
아라카와오키 -
츠치우라 -
칸다츠 -
타카하마 -
이시오카 -
하토리 -
이와마 -
우치하라 -
아카츠카 - (임)
카이라쿠엔 -
미토 -
카츠타 -
사와 -
도카이 -
오미카 -
히타치타가 -
히타치 -
오기츠 -
주오 -
타카하기 -
미나미나카고 -
이소하라 -
오츠코 -
나코소 -
우에다 -
이즈미 -
유모토 -
우치고 - (→
센다이 방면)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요코스카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바시 -
시나가와 -
니시오이 -
니시오이 -
신카와사키 -
요코하마 -
호도가야 -
히가시토츠카 -
토츠카 -
오후나 -
키타카마쿠라 -
카마쿠라 -
즈시 -
히가시즈시 -
타우라 -
요코스카 -
키누가사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소부 쾌속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니혼바시 -
바쿠로쵸 -
킨시쵸 -
신코이와 -
이치카와 -
후나바시 -
츠다누마 -
이나게 - (→
나리타공항·
나루토·
카즈사이치노미야·
키미츠 방면)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케이요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도쿄 -
핫쵸보리 -
엣츄지마 -
시오미 -
신키바 -
카사이린카이코엔 -
마이하마 -
신우라야스 -
이치카와시오하마 - (→
후츄혼마치 방면)
후타마타신마치 -
신나라시노 -
마쿠하리토요스나 -
카이힌마쿠하리 -
케미가와하마 -
이나게카이간 -
치바미나토 - (→
카즈사이치노미야·
키미츠 방면)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62e36> 본선 |
오기쿠보 -
미나미아사가야 -
신코엔지 -
히가시코엔지 -
신나카노 -
나카노사카우에 -
니시신주쿠 -
신주쿠 -
신주쿠산초메 -
신주쿠교엔마에 -
요츠야산초메 -
요츠야 -
아카사카미츠케 -
콧카이기지도마에 -
카스미가세키 -
긴자 -
도쿄 -
오테마치 -
아와지초 -
오차노미즈 -
혼고산초메 -
코라쿠엔 -
묘가다니 -
신오츠카 -
|
분기선 |
호난초 -
나카노후지미초 -
나카노신바시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지하철]
도쿄메트로의 경우 장음기호 ō를 생략한다.
[2]
JR 동일본 한정
[3]
일본보다 철도 자체의 도입이 상당히 늦은 조선에서조차 나라의 대표 역인 서울역이 1900년에 개통된 것을 감안하면 나라의 대표 역 치고는 개통이 늦은 편이다.
[4]
신주쿠역은 JR 단독으로 8면 16선을 보유하고 있고 오다큐가 7면 5선, 케이오가 4면 5선, 교통국과 도쿄메트로가 각각 1면 2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하면 21면 30선을 보유하고있다.
[5]
2011년 기준으로 일본 내 출도착 횟수 상위 10위권 중 1위는
신주쿠역 4,935편, 2위는
오사카·
우메다역 4,065편, 3위는
우에노역 3,369편, 4위는 도쿄역 3,152편, 5위는
요코하마역 3,071편, 6위는
이케부쿠로역 3,062편, 7위는
신바시역 3,005편, 8위는
나고야역 2,992편, 9위는
유라쿠초·히비야역 2,926편, 10위는
나가타쵸역·
아카사카미츠케역 2,761편이다. 우에노도쿄라인이 개통된 현재는 바뀌었을 수 있으니 주의.
[6]
정작 이쪽은 치요다구가 아닌
주오구 소관이다.
[7]
단 일부 버스는 카지바시 주차장을 사용하는데, 이는
케이요선 도쿄역 문단을 참조.
[8]
현재 운행하지 않는다.
[9]
2005년
츠쿠바 익스프레스 개통 이후부터는 츠쿠바 익스프레스를 타는 승객들이 많아져서 이 버스를 타는 승객들이 많이 감소했다.
[10]
반면 한국에서 가장 많은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서울역이 아닌
동대구역이다. 이는
동대구역에서 출발한 서울행 고속열차가 도심 서울역행의
KTX와 강남
수서역행의
SRT로 분산되기 때문이다.
[11]
JR은 승차, 도쿄메트로는 승하차 기준. 동일본은 관할 신칸센 승차 수를 포함한다.
[12]
서일본은
오사카역,
도카이는
나고야역,
큐슈는
하카타역,
홋카이도는
삿포로역이며 다들 규모가 몹시 큰 편이다. 물론 예외로
시코쿠의
타카마츠역이 있긴 하지만.
[13]
이해를 위해 비유하자면, 모든 기능을
서울역에 집중시키지 않고,
용산역이나
청량리역,
영등포역,
수서역,
광명역 등으로 분산한 서울의 여객 철도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사실 이런 역할은 일본이나 한국만 그런 게 아니고 현대의 많은 대도시들의 철도망이 이렇다. 과거에 비해서 유동인구가 많아지고 경제 수준이 성장하면서 철도를 통해 이동하는 인파 역시 끊임없이 늘어나기 때문에 과거만큼 각 역들이 혼자서 이용객을 다 감당하는데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14]
그래도 덕분에 이 모든 역을 잇는
야마노테선은 JR 동일본의 밥줄들 중 하나가 되었다.
[15]
게다가 JR 동일본이 주도했다고는 하지만 다이마루가 있는 GranTokyo North Tower 같은 경우 미쓰이 부동산 산하로 되어 있는 일종의
민자역사라 아예 다른 회사이기까지 하다. 까놓고 말해서 역사라기보단 역에 붙어있는 고층 빌딩에 더 가까울 정도.
[16]
2008년
도큐 도요코선과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의 직결로 시부야의 JR 환승이 격감하였다. 2007~2017년의 10년간 JR 승차는 일 44.6만 명에서 37.1만 명으로 감소한 반면 도쿄메트로의 승강객 수(직결 통과량을 포함)는 47.2만 명에서 83만 명으로 거의 배에 가깝게 늘었다. 도쿄역의 JR 승차객이 5만 명 이상 늘어난 것과 맞물려 순위가 뒤집혔다. 참고로 4위는
요코하마역.
[17]
신칸센만으로 도쿄 이남에서 도호쿠 방향으로 가려면 반드시 도쿄역에서 환승해야 하는 점도 무시하기 어렵다. 2019년 집계에서도 3위를 유지하였으며,
시부야역은 요코하마, 시나가와에게도 뒤쳐져 6위로 내려앉았다.
[18]
JR 동일본 타카사키선 후카야역. 1996년에 지어졌는데, 도쿄역을 지을 당시에 이 근처 벽돌 공장에서 건축 자재를 제작했다고 한다. 또한 시즈오카에 있는 간이역인 오조레역은 도쿄역을 축소한 모습이다. 이다선 60주년을 기념하여 1997년에 지어진 역사라고 한다. [19] 도쿄역장이나 도쿄지사장은 상무임원이며, 치바지사장 및 요코하마 지사장 등은 일반 임원이다. [20] 2015년 3월 13일까지 운행했었던 나리타선, 카시마선 특급 아야메도 전부 도쿄역 출도착이였었다. [선라이즈세토] 선라이즈 세토호 [선라이즈이즈모] 선라이즈 이즈모호 [23] 사실 여러가지 방안이 있었다. https://cafe.naver.com/korailslr/66075 [24] 지금의 3번 승강장 [25] 지금의 4번 승강장 [26] 지금의 5번 승강장 [27] 지금의 6번 승강장 [28] 지금의 7번 승강장 [29] 지금의 8번 승강장 [30] 지금의 9번 승강장 [31] 지금의 10번 승강장 [32] 지금의 20번 승강장 [33] 지금의 21번 승강장 [34] 지금의 22번 승강장 [35] 지금의 23번 승강장 [36] 유라쿠초역 - 케이요선 환승특례를 쓰는 경우는 예외다. [37] 도카이도 신칸센 승강장까지 포함하면 4면 8선이라 충분하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38] 가장 최단 거리로 질러가도 200m는 가뿐히 찍는다. 가장 먼 한조몬선까지는 780m다. 노원역은 이쪽에 끼지도 못할 정도다. [39] 나카노로 갈때는 당연히 츄오선으로 밀고 가는 게 빠르다. 니시후나바시로 가더라도 케이요선, 소부 쾌속선 승강장과 가깝지 않은 이상 아키하바라나 오차노미즈 환승이 제일 편하다. [40] 일본 방송국의 드라마 및 방영작의 캐릭터들과 더불어 포켓몬, 헬로키티, 크레용 신짱, 프리큐어 시리즈 등등 일본에서 아주 유명한 캐릭터들까지 한 블럭에 다 모여있다. 그중 테레비 도쿄의 공식샵은 사실상 도쿄역 1번가에 입점해있는 공식샵이 메인이라 할 수 있다.(이외에도 하네다 공항에 테레비 도쿄 샵이 더 있긴 하다) 테레비 도쿄 본사는 후지, 아사히는 커녕 TBS보다도 팬서비스 요소가 전혀 없기 때문. 프리큐어 시리즈 제품들을 판매하는 프리티스토어 도쿄점이 위치해 있다. [41] 사실, KITTE가 도쿄중앙우체국 부지를 재개발하면서 나온 쇼핑몰이다. [42] JR패스 전국판을 소지한 경우에는 4만 엔대 초반에도 묵을 수 있다. JR 동일본 계열 패스 소지자도 종류 불문 1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43] 하마구치는 총상의 후유증으로 인해 사망했지만 총상을 입고도 약 9개월 반 동안이나 살아있었기에 "암살"이라 할지 "암살 미수"로 할지 애매하다. [44] 음력 1921년 2월 16일. [45] 일설에 의하면 양근환 의사가 민원식을 만난 곳이 이곳이고, 실제로 찌른 곳은 테이코쿠 호텔이라고도 한다. [46] 통계 추산 약 9000여 명. [47] 원래 지하 홈 건설 당시는 공업용으로 지하수를 막 퍼서 쓰던 시절이어서 지하수 수위가 훨씬 낮았는데 도쿄에서 지반침하 방지를 위해 1972년부터 지하수를 퍼내는 게 금지되면서 지하수 상승이 가속화되었다. 도쿄역 일대를 포함한 도쿄 저지대의 지하수에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는데, 이 또한 지반 침하 문제로 도쿄 관내에서는 지하수 채굴이 금지되어 있다는 것이다.
JR 동일본 타카사키선 후카야역. 1996년에 지어졌는데, 도쿄역을 지을 당시에 이 근처 벽돌 공장에서 건축 자재를 제작했다고 한다. 또한 시즈오카에 있는 간이역인 오조레역은 도쿄역을 축소한 모습이다. 이다선 60주년을 기념하여 1997년에 지어진 역사라고 한다. [19] 도쿄역장이나 도쿄지사장은 상무임원이며, 치바지사장 및 요코하마 지사장 등은 일반 임원이다. [20] 2015년 3월 13일까지 운행했었던 나리타선, 카시마선 특급 아야메도 전부 도쿄역 출도착이였었다. [선라이즈세토] 선라이즈 세토호 [선라이즈이즈모] 선라이즈 이즈모호 [23] 사실 여러가지 방안이 있었다. https://cafe.naver.com/korailslr/66075 [24] 지금의 3번 승강장 [25] 지금의 4번 승강장 [26] 지금의 5번 승강장 [27] 지금의 6번 승강장 [28] 지금의 7번 승강장 [29] 지금의 8번 승강장 [30] 지금의 9번 승강장 [31] 지금의 10번 승강장 [32] 지금의 20번 승강장 [33] 지금의 21번 승강장 [34] 지금의 22번 승강장 [35] 지금의 23번 승강장 [36] 유라쿠초역 - 케이요선 환승특례를 쓰는 경우는 예외다. [37] 도카이도 신칸센 승강장까지 포함하면 4면 8선이라 충분하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38] 가장 최단 거리로 질러가도 200m는 가뿐히 찍는다. 가장 먼 한조몬선까지는 780m다. 노원역은 이쪽에 끼지도 못할 정도다. [39] 나카노로 갈때는 당연히 츄오선으로 밀고 가는 게 빠르다. 니시후나바시로 가더라도 케이요선, 소부 쾌속선 승강장과 가깝지 않은 이상 아키하바라나 오차노미즈 환승이 제일 편하다. [40] 일본 방송국의 드라마 및 방영작의 캐릭터들과 더불어 포켓몬, 헬로키티, 크레용 신짱, 프리큐어 시리즈 등등 일본에서 아주 유명한 캐릭터들까지 한 블럭에 다 모여있다. 그중 테레비 도쿄의 공식샵은 사실상 도쿄역 1번가에 입점해있는 공식샵이 메인이라 할 수 있다.(이외에도 하네다 공항에 테레비 도쿄 샵이 더 있긴 하다) 테레비 도쿄 본사는 후지, 아사히는 커녕 TBS보다도 팬서비스 요소가 전혀 없기 때문. 프리큐어 시리즈 제품들을 판매하는 프리티스토어 도쿄점이 위치해 있다. [41] 사실, KITTE가 도쿄중앙우체국 부지를 재개발하면서 나온 쇼핑몰이다. [42] JR패스 전국판을 소지한 경우에는 4만 엔대 초반에도 묵을 수 있다. JR 동일본 계열 패스 소지자도 종류 불문 1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43] 하마구치는 총상의 후유증으로 인해 사망했지만 총상을 입고도 약 9개월 반 동안이나 살아있었기에 "암살"이라 할지 "암살 미수"로 할지 애매하다. [44] 음력 1921년 2월 16일. [45] 일설에 의하면 양근환 의사가 민원식을 만난 곳이 이곳이고, 실제로 찌른 곳은 테이코쿠 호텔이라고도 한다. [46] 통계 추산 약 9000여 명. [47] 원래 지하 홈 건설 당시는 공업용으로 지하수를 막 퍼서 쓰던 시절이어서 지하수 수위가 훨씬 낮았는데 도쿄에서 지반침하 방지를 위해 1972년부터 지하수를 퍼내는 게 금지되면서 지하수 상승이 가속화되었다. 도쿄역 일대를 포함한 도쿄 저지대의 지하수에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는데, 이 또한 지반 침하 문제로 도쿄 관내에서는 지하수 채굴이 금지되어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