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대한민국의 차량사업소 목록을 정리한 문서.2. 목록
2.1. 고속 및 일반철도차량
- KTX/ SRT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본단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에 있는 KTX 전용 차량사업소로, 줄여서 수도단으로 부른다. 건설에 상당한 진통을 겪었으며, 이 때문에 보상 차원에서 행신역에 일부 KTX가 운행 중이다.[1] KTX-I, KTX-산천 전동차의 주박 및 청소, 중정비, 경정비를 모두 담당한다. 구내에 KTX 행신역이 있는데, KTX 행신역은 경의·중앙선 행신역과는 떨어진 차량사업소 구내에 있는지라 개통 후 17년간 경의·중앙선 행신역에서 억지로 육교를 통해 이었으나, 현재는 KTX 통합 역사 완공으로 육교를 타지 않고 대합실에서 바로 승강장으로 이어진다. 이 곳으로 들어오는 고양기지선은 한국항공대역에서 분기한다. -
고속철도 광명기지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으며, 일부 광명역 착발 KTX 열차의 주박과 1호선 광명셔틀의 회차에 쓰인다. 차량사업소가 아닌 주박기지라 불리는 이유는 별도의 정비를 담당하는 시설이 없고 그냥 유치를 위한 선로만 깔려 있기 때문이다. 원래는 정비시설도 건축하려 했으나 광명역에서 끊으려던 경부고속철도 계획을 서울역으로 늘리면서 광명시 지역의 님비를 맞을까봐 정비시설을 뺀 것이다. 2023년 기준 광명주박기지를 확장해서 정식 차량사업소로 승격,구로차량사업소를 통합 이전하려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광명 연장 계획을 국토교통부에서 밀어 붙이고 있다. 그러나 직후 구로차량사업소/이전 계획에 나오듯 구로기지 광명 이전은 완전히 무산. -
부산철도차량정비단 고속단
KTX와 SRT의 정비를 담당한다. 일반단과 떨어져 부산차량사업소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
호남철도차량정비단 본단
약칭 호남단. 호남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업무를 개시하였다. 호남선 하남역 옆에 있고, 근처엔 하남CY가 있다. 위의 부산철도차량정비단 산하 센터였다가 분리되며 단으로 승격되었다. SRT의 주박과 경정비만 담당하다가 2018년부터 중정비도 하고 있다. -
강릉차량사업소
강릉선 KTX 개통과 함께 KTX-산천 140000호대의 경정비 업무(유치 포함)를 개시하였다. 수도단 산하다. 현재 KTX-산천 140000호대가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등 고속노선으로 재배치 된 이후에는 KTX-이음의 경정비 및 주박 업무를 맡게 되었다. -
이문차량사업소
전동열차 중정비를 하던 사업소였으나 중정비를 중지하고 간선형 전기동차와 KTX-이음 중정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부발차량사업소
중부내륙선 KTX-이음의 주박 및 경정비 담당. - 평택지제 차량기지
- SRT 전용 차량기지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다.
- 일반철도차량
- 차량사업소 - 철도공사 지역본부 차량처 산하의 사업소. 대체로 경정비를 담당한다.
-
수색차량사업소, 서울차량사업소
수도권의 대표적인 일반열차 차량사업소. 서울에서 출발하는 대부분의 열차가 이곳에 있으며 경의선 수색역, DMC역, 지상가좌역과 연결되어 있다. 경의본선에 문제가 생기면 전국 철도가 마비될 정도로 중요한 곳이다.
수색차량은 기관차, 서울차량은 객화차 및 전기동차 정비를 각각 담당한다. - 부곡차량사업소 - 의왕역 구내 위치
- 대전차량사업소 - 과거 대전역에 있다가 2003년경 대전조차장 구내로 이전하였다.
- 천안주재
- 대구차량사업소 - 동대구역 위치
-
경주주재[2] - 부산차량사업소, 가야차량사업소 - 가야역 구내 위치, 가야차량은 기관차, 부산차량은 객화차 및 전기동차 정비
- 부산신항차량사업소 - 부산신항역 구내 위치, 기관차 및 화차의 경정비 업무 수행
- 익산차량사업소 - 익산역 구내 위치
- 광주차량사업소 - 광주역 구내 위치
- 목포차량사업소 - 목포역 구내 위치
- 여수차량사업소 - 여수엑스포역 구내 위치
- 순천차량사업소 - 순천역 구내 위치
- 마산차량사업소 - 마산역 구내 위치
- 진주주재
- 청량리차량사업소 - 청량리역 구내 위치
- 제천차량사업소 - 제천역 구내 위치, 전기기관차 중정비(GI) 가능
- 제천조차장차량사업소 - 제천조차장역 구내 위치, 화차 중정비 업무 수행
- 영주차량사업소 - 영주역 구내 위치
-
안동주재[3] - 동해차량사업소 - 동해역 구내 위치
- 포항차량사업소 - 포항역 구내 위치
- 강릉차량사업소 - 누리로 및 무궁화호 등의 경정비, 주박 업무 수행
- 울산차량사업소 - KTX-이음 및 동해선 광역전철 차량의 경·중정비 수행
기관차 차량사업소의 경우 지속적인 기관차 보유량 감소로 인한 실적 저하 등의 이유로 차후 규모 축소 및 통폐합이 이뤄질 전망이다. (수색+서울, 가야+부산 등)
2.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2.3. 도시철도, 광역전철
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서울 지하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
군자[중][폐] |
군자[중][폐] 신정[중] |
지축[중][폐] 수서 |
창동 지축[중][타][폐] 시흥[주박] |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
고덕[중] 방화[폐] |
신내 도봉[중][타][폐] |
도봉[중][폐] 천왕 |
모란 고덕[중][타] 방화[타][폐] |
|||
9호선 | 우이신설선 | 신림선 | ||||
김포[중] |
우이[중] | 보라매 | ||||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 ||||||
1호선 | 3호선 | 4호선 | 경의·중앙선 | |||
구로[폐] 병점[폐] 이문 시흥[중][타][폐] 성북[주박] 인천[주박] |
구로[배속] 지축[실무][폐] |
시흥[중][폐] 안산[주박] 창동[주박] |
용문 문산[중] |
|||
수인·분당선 | 경춘선 | 경강선 | 서해선 | |||
분당 시흥[중][폐] 평내[중][타][폐] |
평내[중] | 부발 |
시흥[중][타] 송산 |
|||
인천 도시철도 |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귤현[중] |
운연[중] 오류[주박]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
GTX-A | ||||||
|
||||||
기타 일반철도 노선 | ||||||
신분당선 | 공항철도 | |||||
광교[중] 판교[주박] |
용유[중] | |||||
기타 도시철도 노선 | ||||||
용인 경전철 | 의정부 경전철 | 김포 도시철도 | ||||
용인[중] | 의정부[중] | 김포한강[중] | ||||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기울임체: 폐업하였거나 폐업이 확정된 기지 |
}}}}}}}}} |
동남권 광역전철 차량사업소 | |||
{{{#!wiki style="margin:0px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호선 | 노포[e] | 신평[a] |
2호선 | 호포 | 장산[b] | |
3호선 | 대저[a] | ||
4호선 | 안평 | ||
|
엄궁[d] | 신호[c] | |
부산김해경전철 | 신명 | ||
동해선 | 울산 | ||
|
차량기지[c] | ||
|
차량기지[c] | ||
|
동면 | ||
[a] 경정비 전용 기지 [b] 주박 전용 기지 [c] 기지 공식 명칭 미정 [d] 신호차량사업소 완공 시 중정비 기능을 신호차량사업소로 이전 [e]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 }}}}}}}}} |
대전권 광역철도 차량사업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호선 | 판암[A] | 외삼 | ||
|
연축[B] | ||||
|
대전 | 판암[A][C] | |||
|
대전 | ||||
[A] 중정비가 가능한 기지 / [B] 미개장 기지 / [C] 다른 노선의 중정비 기지 | }}}}}}}}} |
광주 도시철도 차량사업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호선 | 용산[A] | 옥동 | ||
|
차량기지(명칭 미정)[A][B] | 주박기지(명칭 미정)[B] | |||
[A] 중정비가 가능한 기지 / [B] 미개장 기지 / [C] 다른 노선의 중정비 기지 | }}}}}}}}} |
2.3.1. 한국철도공사
- 구로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1호선)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일로2길 2 소재. 주변에 아파트 단지가 꽤 있다.
- 입출고선이 경부선 구로역에서 하행 방향으로 분기한다. 이 때문에 기지입고를 이유로 구로행, 구로급행[4] 열차가 존재한다.
- 1호선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열차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일산선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의 명목상(서류상) 소속을 구로로 해두고 있다.
- 광명시로 옮긴다는 이야기가 계속 흘러나왔지만 무산되었다.
- 구로차량 주재소가 3곳 존재한다.(성북주재, 인천주재, 천안주재) 각 주재소에 6~8개 편성의 유치가 가능하다.[5]
- 1977년 8월 군자기지 완공 이전까지는 1호선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도 이곳에 배속됐었다.
- 병점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1호선)
- 경기도 화성시 태안로 68-45 소재
- 기지인입선이 병점역에서 분기하며, 이 때문에 기지입고를 이유로 병점행 열차가 소수 존재한다. 구내에 서동탄역이 있다.
- 1호선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일부와 간선형 전기동차(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전동차( 누리로급 열차)[6]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이문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1호선)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소재
- 기지인입선이 광운대역에서 석계역으로 향하는 방향과 상봉역에서 망우선 방향, 양쪽으로 나 있다. 이는 이문기지가 삼각선인 망우선에 있기 때문이다.
- 1호선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전동차와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의 중정비를 이곳에서 담당한다.
- 한때는 광운대역 구내에도 성북차량기지라 하여 1호선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경정비와 유치를 담당하였으나, 이문차량사업소에 통합되어 이문차량사업소의 주박 보조 역할만을 맡고 있다.
-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전부가 여기에 배속되었으나 전 차량이 용문차량사업소로 이관되었다. 단, 이들 차량의 중정비는 여기서 받았지만 경의·중앙선 직결 이후에는 문산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를 담당한다.
- 한때 수인선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일부가 중앙선에서 운용되었을 때 여기에 배속된 바가 있다.
- 문산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통일로 1365 소재
- 기지인입선이 문산역에서 파주역 방향으로 분기한다.
- 중정비동이 2017년경 개소하였다.
- 경의선에서 운행하는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일부,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전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직결 이후 321000호대의 중정비도 담당한다.(용문차량사업소는 중정비 시설이 없다.)
- 용문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화전로105번길 76
- 기지인입선이 용문역에서 지평역 방향으로 분기한다.
- 2011년경 완공 예정이었지만 지연되어 2012년 4월 3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이문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던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전부가 이곳으로 배치되었고 이들 차량의 유치 및 경정비를 담당한다. 단, 중정비는 종전대로 이문차량사업소에서 했지만 경의·중앙선 직결 이후에는 문산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를 담당한다.
- 시흥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
- 기지인입선은 오이도역와 월곶역에서 양쪽으로 분기 하는데 오이도역은 선로가 1,2번 승강장에 연결 되어 본선과 평면교차하고 월곶역은 입체교차이나 사용하지 않는다.
- 과천선 VVVF 전기동차가 여기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1호선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가 이곳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 서해선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전부가 여기에 배속되어 있으며, 송산차량사업소 공사가 완료될 때까지만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하는데 송산차량사업소 완공 후에도 중정비를 맡게 된다.
- 한때 수인선에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도입분이 안산선에서 시운전하던 시절 여기에 배치되었던 적이 있었고 현재 수인선 차량 전부가 여기에 배속되어 있다.
- 초지주재: 과거 안산역 구내 정비고에 사무실이 위치하여 경정비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서해선 통합사무실로 이전하여 정비업무는 수행하지 않는다. 과천·안산선 및 서해선 전기동차 차량고장시 초동조치 업무를 수행한다.
- 선바위주재: 과천·안산선 전기동차 차량고장시 초동조치 업무를 수행한다.
- 분당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기지인입선이 죽전역에서 보정역 방향으로 분기하며, 옆에 과거 (구)보정역이 있었다.[7]
- 분당선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의 전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고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전동차도 시흥차량사업소 완공 전 까지는 이곳에서 중정비를 담당했었다.[a]
- 2015년까지는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전부가 광교차량사업소를 만들 때 까지 임시로 배속되어 유치,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했었다. 지금은 모두 광교차량사업소로 이전되어 신분당선 열차의 정비는 담당하지 않는다. 또 시흥차량사업소 완공 이전 과천안산선 전기동차의 중정비도 담당했다.[a]
- 2018년경 조직개편으로 더 이상 중정비를 수행하지 않는다. 중정비는 전부 시흥차량사업소에서 진행한다.
- 평내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경춘선)
- 기지인입선이 평내호평역에서 금곡역 방향으로 분기한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와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 전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 부발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경강선)
- 기지인입선이 부발역에서 입체교차로 분기하는 중부내륙선에서 다시 입체교차로 분기한다. 쉽게 말해 ㅊ자형태로 분기한다.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가 배속되어있으며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중정비는 본래 분당차량사업소에서 수행할 예정이었으나 조직개편으로 중정비 업무가 폐지되면서 시흥기, 이문기, 문산차에서 각각 수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 울산차량사업소( 동해선 광역전철)
- 기지인입선이 망양역에서 분기하며 울산신항선과 공유한다. 동해선 광역전철 2단계 개통 후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가 배속되어 있고, 전기동차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2.3.2. 서울교통공사
- 군자차량사업소(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 기지인입선이 신답역에서 용답역 방향(복선), 성수역에서 용답역 방향(단선)에 양쪽으로 나 있으며, 구내에 용답역이 있다. 이 때문에 기지 입고를 이유로 동묘앞행(1호선), (2호선 본선 중에서) 성수행 열차가 존재하며, 동묘앞행 열차가 신답까지 영업운전하지 않는 이유는 수요가 매우 저조(…)한 것과, 1호선은 10량 1편성인데 신답역까지 거쳐가는 용두역, 신답역의 승강장이 4량 승강장으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 1호선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기지 입고를 위해 1호선 동묘앞역에서 2호선 성수지선 신설동역 승강장 밑을 통해 성수지선으로 합류하는 연결선이 존재한다. 여기에도 통행 방향의 차이로 인해 꽈배기굴이 있다.
- 1호선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전부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주로 GEC Chopper차량과 VVVF 차량, 성수지선용 4량 1편성 차량)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 신정차량사업소( 서울 지하철 2호선)
- 기지인입선이 도림천역에서 양천구청역 진입 직전에 분기하며, 이 때문에 기지 입고를 이유로 신도림행 열차(마찬가지로 본선에서)가 존재한다. 도림천역까지 영업운전하지 않는 이유는 역시나 수요가 매우 저조(…)함과, 도림천역이 8량 승강장[10]으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 신정차량기지의 구내의 일부가 복개되어 그 위에 양천아파트가 지어진, 상당히 보기 드문 차량사업소이기도 하다.
- 2호선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주로 본선용 (과거)저항제어 차량과 MELCO Chopper차량, VVVF 차량, 신정지선용 6량 1편성 차량)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 지축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3호선, 한국철도공사 차량 위탁검수)
- 기지인입선이 삼송역에서 지축역으로 진입하기 전과 구파발역에서 지축역 진입하기 전, 이렇게 양쪽으로 나 있다. 이 때문에 기지 입고를 이유로 삼송행, 구파발행 열차[11]가 존재한다. 옆에 지축역이 있다.[12]
- 3호선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일부와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열차의 전부가 이 곳에 배속[13]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3호선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와 4호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모두의 중정비를 이 곳에서 담당한다.
- 4호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의 중정비를 위한 기지 입고를 위해 4호선 충무로역 당고개방향에서 3호선 충무로역 대화방향으로 이어지는 단선 연결선이 존재한다.
- 수서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3호선)
- 기지인입선이 수서역 하행 방향(복선), 가락시장역에서 상행 방향(단선)으로 분기한다. 기지 입고를 이유로 수서행이 존재한다.
- 3호선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의 일부가 여기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창동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4호선)
- 기지인입선이 창동역에서 상행 방향(단선)과 노원역에서 하행 방향(복선)에 양쪽으로 나 있으며, 이 때문에 일종의 삼각선 형태로 되어 있다.
- 4호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의 전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바로 옆에 있는 도봉 운전면허 시험장과 함께, 노원구에서 부지이전을 시시탐탐 노리고 있었고, 마침 전철 유치를 원하는 남양주시 진접읍에서 기지 이전을 조건으로 받아들이면서 4호선의 남양주 연장이 성사되었다.
- 위와 같은 사유로 남양주시 진접 일대로 이전 예정이다.
- 수리산주재: 4호선 전기동차 차량고장시 초동조치를 수행한다.
-
진접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4호선) - 창동차량사업소가 진접선의 연장과 함께 이전하면서 만들어지는 차량사업소.
- 고덕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5호선)
- 상일동역에서 하남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다.
- 5호선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의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와 8호선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 8호선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의 중정비를 위한 기지 입고를 위해 8호선 가락시장역 송파 방향에서 5호선 방이역 방화 방향으로 이어지는 단선 연결선이 존재한다. 이후 강동역 근처에서 상일동방향 본선과 마천방향 지선을 잇는 강동삼각선을 지나 고덕기지로 입고.
- 방화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5호선)
- 방화역에서 김포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다.
- 5호선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의 일부가 여기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신내차량사업소( 서울 지하철 6호선)
- 봉화산역에서 구리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으며, 구내에 신내역이 있다.
- 6호선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도봉차량사업소( 서울 지하철 7호선)
- 기지인입선이 도봉산역에서 장암역 방향으로 분기하며, 구내에 장암역이 있다.
- 7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 일부 열차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6호선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와 7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의 모든 열차가 이곳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 6호선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의 중정비를 위한 기지 입고를 위해 6호선 화랑대역 응암 방향에서 7호선 먹골역 장암 방향으로 이어지는 단선 연결선이 존재한다.
- 천왕차량사업소( 서울 지하철 7호선)
- 기지인입선이 천왕역에서 상행 방향(복선)과 광명사거리역에서 하행 방향(단선)에 양쪽으로 나 있으며, 이 때문에 일종의 삼각선 형태로 되어 있다. 온수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천왕역까지 공차회송하여 기지로 입고한다.
- 7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모란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8호선)
- 모란역에서 판교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다.
- 8호선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2.3.3. 서울시메트로9호선
- 김포차량사업소( 서울 지하철 9호선)
- 기지인입선이 김포공항역에서 분기하며, 구내에 개화역이 있다.
- 9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2.3.4. 공항철도
2.3.5. 인천교통공사
- 귤현차량사업소(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기지인입선이 박촌역에서 분기하며, 이 때문에 기지 입고를 이유로 박촌행 열차가 존재한다. 옆에 귤현역이 있다.
- 1호선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 운연차량사업소(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기지내에 종착역인 운연역이 존재한다.
- 2호선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 오류차량사업소(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검단오류역에서 약 700m 거리에 있다.
- 2호선 전동차의 주박 및 단순 검수를 담당하며 기지 규모가 작다.
2.3.6. 신분당선, 경기철도, 새서울철도
2.3.7. 우진메트로
- 의정부경전철차량사업소( 의정부 경전철)
- 탑석역에서 의정부경전철 차량기지 임시승강장 중간에 분기선이 있으며, 차량기지 내에 의정부경전철 차량기지임시승강장이 있다. 탑석역에서 임시 승강장까지는 기관사가 수동으로 운행한다.
- 의정부 경전철 U1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2.3.8. 용인에버라인운영
- 용인경전철차량사업소( 용인 에버라인)
- 삼가역에서 초당역방향으로 조금만 가면 인입선이 있으며 초당역 방면으로도 인입선이 있다.
- 용인 경전철에서 운행하는 INNOVIA Metro Mark II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2.3.9. 우이신설경전철운영
- 우이차량사업소(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북한산우이역을 바로 지나 지하에 위치해 있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UL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2.3.10. 로템SRS
- 보라매차량사업소( 서울 경전철 신림선)
- 보라매공원역과 보라매병원역 사이 보라매공원 지하에 위치하며, 기지 입출고는 관악산 방면 하행 선로로만 단방향으로 가능하다.
- 신림선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14]
2.3.11. 김포골드라인SRS
- 김포한강차량기지( 김포 골드라인)
- 기지인입선이 구래역에서 분기하며 입고선상에 양촌역이 위치해 있다.
- 김포 도시철도의 김포 도시철도 1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2.3.12. 부산교통공사
- 노포차량사업소(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기지인입선이 범어사역과 노포역 양쪽에서 분기하며, 보통 노포역에 종착하는 열차는 선로중단지점까지 간 후 후진하여 입고한다. 옆에 노포역이 있다.
- 1호선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5개 편성(200량)이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1호선의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51편성 모두가 이곳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 신평차량사업소(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기지인입선이 신평역에서 더 나아가 다대포로 가는 터널 앞에서 분기한다. 옆에 신평역이 있다.
- 1호선 열차 26개 편성(208량)이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호포차량사업소(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기지인입선이 호포역에서 분기하며, 정비창 옆에 호포역이 있다.
- 2호선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56개 편성(336량)이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와 중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2호선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와 3호선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20개 편성(80량) 모든 차량의 중정비도 이곳에서 받는다. 이 때 3호선 차량의 공차거리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매우 길다. 덕천역에서 2호선으로 넘기는 것도 아니고 대저역에서 수영역까지 간 다음 연결선로를 통해 광안역으로 가서 그대로 호포역까지 공차회송. 이쯤되면 충격과 공포다.[15]
- 앞에서 서술했듯이 이곳의 부지를 양산시에서 제공한 덕분에 양산시는 김해보다 적은 인구임에도 비교적 도시철도를 2호선 연장으로 쉽게 유치할 수 있었다.
- 대저차량사업소(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대저역에서 김해국제공항 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다.
- 3호선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20개 편성(80량)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중정비는 위에서 말한 것 처럼 호포기지에서 한다.
- 안평차량사업소(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안평역에서 기장읍 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다. 옆에 안평기지간이역이 있으며, 이 역은 노선도에는 없지만 실질적인 종착역 역할을 한다.
- 4호선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17개 편성(102량)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예정)를 담당한다.
2.3.13. 부산김해경전철운영
2.3.14. 대구교통공사
- 월배차량기지사업소(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기지 인입선이 진천역에서 분기한다. 개통 당시에는 1호선 종착역이 설화명곡역도, 대곡역도 아닌 진천역이었기 때문. 게다가 이 두 역 주변에는 열차를 정비할 만큼의 넓은 부지를 확보할 만한 공간이 없는 것도 있다. 이 때문에 설화명곡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진천역까지 회송한 뒤 차량기지로 입고한다.
- 1호선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1호선 대구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 2호선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또한 이곳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이를 위해 청라언덕역과 명덕역 사이에 두 노선간 연결선이 존재한다.
- 안심차량기지사업소(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안심역에서 하양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다.
- 1호선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주변에 공원을 만들어서 주민들에게 무료 개방을 해놓았다.
- 문양차량기지사업소(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기지인입선이 다사역(복선)과 문양역(단선) 양쪽에서 분기한다.
- 2호선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칠곡차량기지사업소(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서리못 바로 남서쪽에 자리잡고 있다.
- 칠곡경대병원역에서 복선 선로로 이어져 있다. 이 곳에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 곳에 배속되어 있고, 경정비와 중정비 모두 담당한다.
- 범물주박기지사업소(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범물변전소 동쪽에 기지가 있다. 입출고 선로는 용지역 칠곡경대병원 방향 승강장에 단선으로 설치되어 있다.
- 경전철차량기지사업소와 다르게 이곳에서는 주박만 가능하다.
2.3.15. 광주교통공사
- 용산차량사업소(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기지인입선이 소태역에서 분기하며, 구내에 녹동역이 있다.
- 1호선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 옥동차량사업소(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평동역에서 노안 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소규모 주박기지가 있다. 원래는 정식 사업소를 지으려고 했으나, 예산 절감을 목적으로 단순 주박 목적 기지로 격하되었다.
2.3.16. 대전교통공사
- 판암차량사업소(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판암역에서 옥천군 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다. 경부선 및 판암IC에서 보인다.
- 1호선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모두의 중정비는 이 곳에서 담당한다.
- 외삼차량사업소(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반석역에서 세종특별자치시 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다. 추후 외삼역이 생길 예정이다.
- 이 곳에 배속되어 있는 차량은 없으며,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1]
이 덕분에 파주,고양에서 행신역 까지만 가면 KTX를 탈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때
서울역을 필수로 정차하며, 호남 방향일 경우 행신역에서 출발해서 서울역을 통과하고 바로
용산역에 정차하는 편성도 있다.
[2]
2021년 말
구 경주역의 폐지로 포항차량사업소와 울산차량사업소로 기능을 이전하였다.
[3]
구
안동역 폐지로 사라졌다.
[4]
일반적으로 동인천발 한정. 가끔 용산발 구로행 중 전 구간 3선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구로급행을 띄우고 다니는 경우가 있긴 하다.
[5]
때문에
천안역이나
신창역 출발 계통의 경우 첫차는 대부분
구로차량사업소 소속의 전동차가 운행한다.
[6]
병점기지는 광역본부의 기지이고 누리로는 본래 여객본부에서 운용하는 일반여객열차인데 왜 병점기지에 있는지는 항목으로.
[7]
분당선이 기흥까지 뚫리고나서 보정역은 지하로 신갈방향으로 이전. 지하로 이전하기 전에는 (구)보정역에 도착한 열차가 기지로 회송하기 위해서는 죽전역으로 되돌아가야 했었다. (구)보정역뿐만 아니라 차량기지 내의 역이 모두 이런 식이다.
[a]
충무로연결선을 통해 3호선으로 넘어오고, 현재는 철거된 수서차량사업소 연결선로를 통해 분당선으로 넘어오는 긴 과정을 거쳐야 했다.
[a]
충무로연결선을 통해 3호선으로 넘어오고, 현재는 철거된 수서차량사업소 연결선로를 통해 분당선으로 넘어오는 긴 과정을 거쳐야 했다.
[10]
신정지선은 6량 1편성으로 운행되나, 도림천역은 8량 승강장이다.
[11]
사실 구파발행은 많은 경우가 일산선 구간과 서울시내 3호선 구간의 수요 차이 때문에 다시 회차하여 하행으로 내려가는 것이긴 하나...
[12]
지축역 정차 후 기지 입고는 불가능하다. 입고될 때는 무조건 지축역의 외선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기 때문에 3호선 열차들은 입고될 때 무조건 상술한 두 역에서 운행을 중단하며 지축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13]
한국철도공사 차량이기 때문에 서류상으로는
구로차량사업소 배속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거기까지 가서 검수를 받는게 불가능하니..
[14]
중정비 시설이 따로 없다. 대신 전동차 1량을 실을 수 있는 초대형 엘리베이터를 마련하고, 엘리베이터를 통해 전동차를 반출하여 외부 업체에 중정비를 맡길 예정이다.
[15]
이건 어쩔 수 없는 게 만약 덕천역에서 이어지게되면 구배와 곡선반경이 매우 심해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