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21:39:18

장암역

장암역
파일:Seoulmetro7_icon.svg
시종착
[연장]
역명 표기
7호선 장암
Jangam
長岩 / 长岩 / [ruby(長岩, ruby=チャンアム)]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동일로 121 ( 장암동 160-8)
소속 영업사업소
7호선 태릉영업사업소 장암역
운영 기관
7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7호선 1996년 10월 11일
역사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구조
단선 승강장
노선거리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개통 노선거리표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도봉산옥정선
장 암

(미개통)
}}}}}}}}}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버스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7호선 709번, 경기도 의정부시 동일로 121 ( 장암동 160-8) 소재.

2. 역 정보

파일:1.장암.jpg
역 안내도
파일:장암역 7호선.jpg
대합실
파일:external/art21.photozou.jp/213441620_624.v1485742465.jpg
개통 초기의 모습[2]
7호선의 역 중에서 유일하게 단선 승강장이다. 역사는 도봉차량사업소 내에 위치해 있다.

역 번호가 709번이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역은 7호선 초기 계획에는 없던 역이었으며, 도봉산역을 종착역으로 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도봉차량사업소가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소재였다는 것이 문제였다. 의정부시에서는 "의정부시에 차량기지만 있고 7호선의 역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노선 연장을 주장했으나, 정부의 타당성 조사에서 지적받고 연장이 무산되자 도봉차량사업소 옆에다 선로를 빼서 건설한 역이다.

장암역과 도봉산역 사이의 구간은 1.4km의 구간으로 멀지 않지만 30km/h 내외의 상당히 느린 속도로 가기 때문에 4~5분이 소요된다. 시각표 상 4분 30초가 소요되나, 보통 3분 30초에서 4분이면 주파한다. 이는 7호선에서 역간 소요시간이 가장 긴 구간이다.[3]

장암행 열차는 대부분의 단선 역들이 그렇듯이 도봉산행 열차보다 2~3배 긴 간격으로 운행한다. 출퇴근, 평시 모두 배차 간격은 12~15분이다. 도봉산역에서 장암역으로 진입하는 열차는 장암역에서 회차해 나오는 하행 열차를 보내야 진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행 열차가 출발하기 전까지 도봉차량사업소의 분기기 근처에서 정차했다가 하행 열차를 보내고 장암역으로 진입한다. 열차의 역사 진입 시에는 행선안내게시기에 당역 종착 열차로 표기되지 않고 하행 열차의 행선지가 표기가 되며 안내방송도 당역 종착 안내방송이 아닌 일반 역사의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서울교통공사 관할 노선상의 역 중 최북단에 위치한 역이다.[4]

도봉산포천선 개통 후에는 반대편 승강장 횡단이 불가능한 상대식 승강장으로 증축될 계획이었으나, 2023년 11월 이후로 도봉차량기지 유치선 증설 등의 사유로 인해 철거 후 신축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서울교통공사가 의정부시에서 역 신축에 필요한 추가 부지 매입을 하고, 의정부시에서 신축된 장암역을 운영하라고 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2024년 8월 현재 임시역사가 공사중이다. 때문에 버스정류장이 주차장쪽으로 옮겨지게 되었다.[5]

2024년 9월 현재 도봉산옥정선 1공구 홈페이지에 신축 장암역의 설계도가 올라왔다. # 신축 장암역은 기존 장암역보다 약간 남쪽으로 이동하며, 복선 섬식 승강장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도봉산포천선 사업타당성 보고서 상에 첨두 운행시격 10분, 비첨두 운행시격 20분으로 되어 있으며, 2024년 현재 장암역의 운행시격이 첨두, 비첨두 모두 10분 내외이기 때문에 도봉산포천선 개통후에도 비첨두 시간 한정으로 장암역 종착 열차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출구와 역을 이어 주는 계단이 꽤 녹슬었다.

3. 역 주변 정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의정부IC가 장암역 바로 남쪽으로 붙어 있다.

계획에 없었다가 차량기지 선로 중 하나를 빼서 만든 역이라 시설이 매우 빈약하다. 다른 역에 설치되어 있는 GS25도 이 역만큼은 역 내부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동일로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한 다음에 출구를 찾기도 힘들었다. 예전에는 주변에 있는 시설이 고철 처리장이나 수락산, 석림사와 쌍암사 등의 절밖에 찾아볼 수가 없는 곳이었다. 2010년 전까지도 고철 처리장 안에 역이 있었다. 참고로 수락산 정상은 수락산역보다 이 역이 더 가깝다. 그러므로 수락산 정상을 빨리 찍고 싶다면 이 역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인근의 버스 정류장도 제대로 된 곳이 없었고, 역사와도 어느 정도 거리가 있기 때문에 걷는 것을 귀찮아하는 이용객들은 그대로 버스를 타고 동일로를 지나 노원구 상계1동에 있는 수락산역에서 내려 환승했다.

2009년 12월 말에 의정부시청이 역 앞에다가 환승센터(서울 방향 한정)를 설치하면서 이러한 상황은 어느 정도 벗어나게 되었다. 종전의 고철 처리장을 밀어버리고 그 자리에다 버스전용 우회로와 정류장을 깔면서 환승이 편리해졌다. 거기에 역 바로 옆에는 환승 주차장도 깔았다. 장암역 이용객에게는 희소식이지만 환승센터에서 동일로로 다시 합류할 때 차량의 행렬을 뚫고 들어가기 힘들기 때문에 수락산역이나 노원역으로 가는 승객들은 어느 정도 시간을 뺏기는 불편함을 감수하게 되었다. 물론 의정부 방면 버스를 이용할 때는 상관없다. 서울에서 의정부로 가는 버스를 탄 승객이 갑자기 방향을 틀어서 장암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를 타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6]

장암역에서 북쪽 방향으로 차를 몰고 조금만 더 가면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신곡동이 나온다. 신곡동에 사는 주민들은 가끔 차량이나 자전거 등을 이용해서 이 역에 오기도 한다. 다만, 장암동 및 신곡동을 갈 목적이라면 제일 가까운 역은 각각 의정부경전철 발곡역 동오역이다. 역사 구내에 편의점이 없는 대신 1번 출입구로 나와 동일로를 건너거나 전기차충전소에서 왼쪽으로 꺾어 200m 정도만 걸으면 GS25가 각각 있고, 등산객들을 상대하기 위한 이디야커피와 기타 음식점들이 수락산 등산로 출입구 부근에 위치한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 중 이 역 앞에 정차하는 노선은 1154번 111번이다.

아일랜드 캐슬이 도보 10분 거리에 있으나 2023년 기준 무기한 휴업 중이다.

이용객 수에 비하면 의외로 역 주변에 맛집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수락산 등산객들을 상대로 영업하는 식당들이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7_icon.svg 장암역 출구 정보
1 장암동
수락산
의정부 방면
포천 방면
장암역환승공영주차장

장암역의 출구 수는 1개 뿐이며 7호선 역들 중 가장 적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47f00><bgcolor=#747f00> 연도 || 파일:Seoulmetro7_icon.svg ||<bgcolor=#747f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0년 1,057명
2001년 1,362명
2002년 1,739명 비고
2003년 1,862명
2004년 2,155명
2005년 2,304명
2006년 2,464명
2007년 2,251명
2008년 2,249명
2009년 2,230명 }}}}}}}}}
2010년 2,962명
2011년 3,242명
2012년 3,396명
2013년 3,881명
2014년 3,860명
2015년 3,785명
2016년 3,772명
2017년 3,555명
2018년 3,521명
2019년 3,536명
2020년 2,906명
2021년 2,910명
2022년 3,110명
2023년 3,641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7호선에서 제일 한산한 역으로, 부천종합운동장역과 함께 7호선 전체에서 하루 이용객이 1만 명을 넘지 못하는 둘뿐인 역이다. 또한 7호선 전체에서 하루 이용객이 5천 명을 넘지 못하는 유일한 역이다. 과거 서울도시철도공사 소속이었던 5~8호선에서 가장 적다. 그러나 2023년 통계를 보듯 천천히 늘고 있긴 하다. 조만간 2013년의 기록을 깰 가능성도 무시할 수는 없다.
  • 이용자 중 상당수가 노인 무임승차 혜택을 받는 고령층 수락산 등산객이라 수입 구조에서 더 불리한 면이 있다.
  • 대다수 의정부 시민들이 1호선을 타고 내려오면 도봉산역, 버스를 타고 내려오면 도봉산역이나 수락산역에서 7호선으로 갈아타기 때문에 이 역의 이용률은 더욱 줄어든다. 같은 동일로상에는 2km만 더 가면 수락산역이 있어 배차 간격이 긴 장암역을 이용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1호선 회룡역의 출퇴근 시간 배차 간격은 4~6분인 데 비해, 장암역의 출퇴근 시간 배차 간격은 8분을 넘긴다.
  • 1992년 이전에는 부근에는 소나무 숲이 있었고, 이곳은 노원마을 이라고 불리던 한적한 시골 마을 같은 분위기였고, 구 20번 버스 종점에서 출발하는 노원 마을버스가 있었고, 종점에는 육군 제2997부대(제223연대)가 있었다.

5. 승강장

파일:709_장암_20240513_청동새.jpg
7호선 역명판
파일:장암역 승강장.png
7호선 승강장
종착역
도봉산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도봉산· 상봉· 강남구청· 석남 방면
1면 1선의 단선을 가진 지상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맨 끝에는 차단문이 있고 도봉차량사업소 직원들이 출퇴근할 때 사용된다.

도봉산포천선 개통 후에는 현재보다 약간 남쪽(도봉산 방면)으로 이동한 위치에 복선 섬식 승강장으로 신축될 예정이다.

6. 연계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장암역.석림사입구(08324/61053) ||
간선
지선
직행좌석
일반시내
마을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장암역.석림사입구(08325/61052) ||
간선
지선
직행좌석
일반시내

7.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연장] 2027년 12월 707정거장 방향으로 탑석역을 건설 중이다. [2] 영어명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 표기되어 있다. [3] 참고로 역간 거리가 가장 먼 구간은 반대쪽 종점인 석남역~ 산곡역 구간(2.6km)이나, 이 구간은 고속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약 2분 30초 안팎이면 주파한다. [4] 반대로, 서울교통공사 관할 노선상의 역 중 최남단에 위치한 역은 모란역이다. [5] 1번출구 바로옆 공사장이 임시역사 공사장이다. [6] 어느 시간에나 수락산역에서도 높은 확률로 앉아서 갈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장암역까지 올라와서 착석을 노릴 필요가 없다. 출근 시간에는 복불복이지만 그 외에는 100%라고 봐도 될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