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22:27:22

범어사역

범어사역
파일:Busan1.svg
역명 표기
1호선 범어사
Beomeosa
梵魚寺 / 梵鱼寺 / [ruby(梵魚寺, ruby=ポモサ)]
주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지하2107 ( 청룡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노포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1호선 부산교통공사
개업일
1호선 1985년 7월 19일
역사 구조
지하 2층(심도: 14.27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노선거리표
시종점
① 노포차량기지
인입선
노포차량사업소
1.0 ㎞ →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사건 사고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33번.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지하2107 ( 청룡동) 소재.

2. 역 정보

파일:범어사역 1호선.jpg
대합실
파일:attachment/Beomeosa1.jpg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및 구 역명판
소재지인 청룡동이 아닌 인근에 있는 사찰 범어사에서 따서 역명을 붙였다. 다만 실제 범어사까지 가려면 금정산 자락을 따라 무려 2.7km 정도를 올라가야 한다. 범어사 입구까지 올라가는 90번 시내버스가 있긴 하지만 타고 싶으면 5번·7번 출입구에서 서쪽으로 200m 정도 오르막길을 걸어서 청룡노포동주민센터 근처에 있는 범어사 입구 정류장까지 가야 한다. 바로 다음역인 노포역에선 환승센터를 이용하면 된다.

1985년 7월 19일에 개통하여 1986년 12월 15일까지 시종착역이였으며 노포역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을 연결하는 공사로 영업을 잠시 중단한 2000년 11월 20일부터 2001년 2월 20일까지 임시 종착역 역할을 맡기도 하였다. 이 역에서 노포역 방향으로 노포차량사업소로 연결되는 인입선이 존재하지만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는 없다. 이 인입선은 주로 노포차량사업소에서 출고한 전동차가 노포역 회차선을 경유하여 노포역까지,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스위치백 형식으로 입, 출고하기 위해 입선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야간 선로작업을 위해 모터카가 노포차량사업소에서 노포역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이 역을 통과하기도 한다.

또한 동대신역과 다대 방면 서대신역 승강장 만큼은 아니긴 하지만 종착역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 역 중에서는 열차가 좀 천천히 들어온다.

역명답게 건축상으로도 불교를 상징하는 인테리어로 구성되어 있다.[1] 2011년 11월 21일 범어사역 7, 8번 출구쪽에 불교문화재 테마전시관이 문을 열었다. #

2014년경부터 안전문이 설치되어 있다.

2021년 10월부터 역내에 내과의원과 약국이 영업을 시작했다. #

3. 역 주변 정보

이 역 근처에 금정중학교, 금샘초등학교, 금정도서관, 부산시립공원묘지/부산시립 승화원( 부산영락공원), 청룡초등학교, 삼육초등학교 등이 있다. 금샘초등학교는 이 역에서 꽤 거리가 있으니 참고하자.

그리고 양산시의 마을버스도 범어사역으로 들어온다. 하지만 포털의 지도에서는 해당 마을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 청룡초등학교를 건너면 바로 남산동이다.

양산시 웅상 쪽에서 1002번이나 50번, 58번, 59번, 61번 버스를 타고 와서 부산 안쪽으로 들어가기 위해 1호선으로 환승해야 하는 경우 노포역보다는 이 역에서 내리는 것이 좋다. 종점이 노포역이 아니고 통과하는 버스를 탔다가 노포역에서 내릴 경우 7번 국도 횡단보도로 건너는 것을 비롯해 승강장까지 이동거리가 굉장히 긴데 범어사역 버스정류장에서 내리면 바로 앞에 범어사역 7번 출구가 있으며 역 규모도 노포역보다 작아서 훨씬 덜 걷고도 환승이 가능하다. 이건 다음 역 남산역이나 그 다음 두실역에서 내려서 환승해도 비슷하지만 범어사역이 입구와 버스정류장 사이 거리가 가장 가깝고, 출발역 노포역에서 멀어질수록 앉아서 가지 못할 가능성이 늘어나므로 범어사역이 가장 낫다. 반대로 부산에서 돌아가는 경우에도 노포역은 사람이 많이 몰려서 자리 경쟁이 심하기 때문에 노포역에서 내리기보다는 범어사, 남산, 두실에서 미리 내려 버스를 타면 앉아갈 가능성이 조금은 늘어난다. 그럼에도 자리를 놓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부산대역(...)에서 내려 양산 버스들의 종점인 금정세무서까지 가는 방법도 있긴 하다.


범어사 5,7번 출구 사이의 골목은 범어사로 직행하는 90번 버스 정류장이 있는 관계로 평일에는 외국인 관광객, 주말에는 등산객으로 붐비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범어사역이 위치한 곳 주변에는 횡단보도가 아예 없는데, 이 때문에 횡단보도를 이용하려면 남산역과 노포역 방면으로 각각 170m 정도를 걸어가야만 한다. 이는 두실역과 남산역을 포함한 부산 1호선 전반이 비슷한 상황이었는데, 중앙대로 연선의 남부 역들은 BRT 개통으로 횡단보도가 확충되었지만 이 구간의 횡단보도 설치는 요원하다. 그나마 3번/4번 출구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서 교통약자의 보행환경이 개선되었다. 교통량이 많은 중앙대로 무단횡단을 하지마라고 중앙분리대까지 설치되어 있으므로 무단횡단을 시도하지 말자.

5~8번 출구가 유독 다른 출구에 비해 차도쪽으로 튀어나와있어 중앙대로 병목현상을 유발하고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범어사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06a00><bgcolor=#f06a00> 연도 || 파일:Busan1.svg ||<bgcolor=#f06a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2년 20,649명 비고
2003년 19,902명
2004년 19,022명
2005년 17,770명
2006년 17,453명
2007년 17,872명
2008년 18,252명
2009년 16,564명 }}}}}}}}}
2010년 16,631명
2011년 16,818명
2012년 17,028명
2013년 17,265명
2014년 18,919명
2015년 18,669명
2016년 18,115명
2017년 17,684명
2018년 17,077명
2019년 17,104명
2020년 12,312명
2021년 12,777명
2022년 14,040명
2023년 14,670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부산시내의 북쪽 끄트머리에 있는 역으로, 하루 평균 이용객은 2만 명에 살짝 못 미치는 17,104명(2019년 기준)이다. 이용객의 다수가 지역 주민들이지만 역세권의 범위가 그리 넓은 편이 아니라 수요를 많이 끌어오지 못한다. 이 역의 이용객들은 다수의 지역 주민과 소수의 버스 환승객(양산, 울산방면), 범어사 관광객, 영락공원 추모객으로 구성되어 있다. 범어사는 역과 멀리 떨어진 곳에 있어서 지하철을 타지 않고 택시나 버스를 타는 수요가 더 많아, 이름의 유래가 되었지만 실질적으로 크게 비중을 차지하진 않는다. 특이사항이 있다면 역 동쪽의 4,6,8번 출구 앞에 청룡 협성 엠파이어라는 주상복합 아파트단지가 있는데, 이곳의 재개발이 끝난 2014년에 일시적으로 이용객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평상시에는 상당히 한산한 편이지만 부처님오신날에는 범어사 가는 사람들로, 명절에는 영락공원에 성묘 가는 사람들로 사람이 거의 출퇴근 시간대 신도림역 수준으로 미어터진다.

5. 승강장

파일:133범어사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파일:133범어사 역명판.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파일:1331.gif
역 안내도
남산
노포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연산· 서면· 부산역·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노포 방면

6. 연계 교통

7. 사건 사고

  • 2023년 8월 8일 오후 4시 15분경 화재가 발생했다. 원인은 전동 킥보드 발화로 밝혀졌으며 사상자는 없다.

8. 둘러보기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비슷한 사례로 서울의 동대입구역이 있다. 이는 해당 대학인 동국대학교가 불교계 대학이기 때문이다. [심야] 심야포함 [심야] 심야포함 [심야] [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