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서울 지하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
군자[중][폐] |
군자[중][폐] 신정[중] |
지축[중][폐] 수서 |
창동 지축[중][타][폐] |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
고덕[중] 방화[폐] |
신내 도봉[중][타][폐] |
도봉[중][폐] 천왕 |
모란 고덕[중][타] 방화[타][폐] |
|||
9호선 | 우이신설선 | 신림선 | ||||
김포[중] |
우이[중] | 보라매 | ||||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 ||||||
1호선 | 3호선 | 4호선 | 경의·중앙선 | |||
구로[폐] 병점[폐] 이문 시흥[중][타][폐] 성북[주박] 인천[주박] |
구로[배속] 지축[실무][폐] |
시흥[중][폐] 안산[주박] |
문산[중] 용문 |
|||
경춘선 | 수인·분당선 | 경강선 | 서해선 | |||
평내[중] |
분당 시흥[중][폐] 평내[중][타][폐] |
부발 |
시흥[중][타] 송산 |
|||
인천 도시철도 |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귤현[중] |
운연[중] 오류[주박]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
GTX-A | ||||||
|
||||||
기타 일반철도 노선 | ||||||
신분당선 | 공항철도 | |||||
광교[중] 판교[주박] |
용유[중] | |||||
기타 도시철도 노선 | ||||||
용인 경전철 | 의정부 경전철 | 김포 도시철도 | ||||
용인[중] | 의정부[중] | 김포한강[중] | ||||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기울임체: 폐업하였거나 폐업이 확정된 기지 |
}}}}}}}}} |
진접차량사업소 (공사중)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Jinjeop Train Depot | |
한자 | 榛接車輛事業所 | |
주소 |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 산 40-4 | ||
시설 관리 |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2026년 3월 예정 | ||
노선거리표 | ||
← -.- ㎞ |
상선인입선 |
종점
|
← -.- ㎞ |
하선인입선 |
[clearfix]
1. 개요
조감도 |
- 진접선차량기지: 진입도로(1.140km), 차량기지(197,400㎡), 건축물(14개동)
- 건축물(14개동): 검수고, 교직변전소, 중량물창고, 재활용집하장, 청소원대기동, 경비동, 종합관리동, 유류고, 오폐수처리장, 특수차정비고, 테니스장, 궤도폐기물처리장, 수전변전소
2. 상세
기존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자리하고 있던 창동차량사업소가 이전하여 만들어지는 차량사업소. 타 차량사업소들과는 다르게 산 중턱을 깎아서 만들어질 예정이다.서울시와 노원구는 오래 전부터 노원구 중심에 있는 창동차량사업소를 타 지역으로 이전하고자 했다. 이에 2006년 8월에 창동차량사업소를 택지개발계획이 있던 남양주시 별내동(당시 별내면)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남양주시와 서울시, 노원구가 협의하면서 차량기지를 별내동 대신 택지지구로 개발되던 진접읍에 두기로 했으며, 진접까지 4호선을 연장하기로 합의했다.[1]
2013년에 남양주시는 차량기지 부지를 금곡리 산 111-2번지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 부지는 금곡리 마을 바로 앞이다 보니 금곡리 주민들이 차량기지 소음 등을 이유로 강하게 반발했다. 진접읍 금곡리 주민들이 요구하는 차량기지 부지는 가마솥골 인근이었는데, 차량기지 부지가 고지대인데다가 산을 절개해야 하기 때문에 남양주시와 국토교통부가 난색을 표했다.[2] 차량기지 부지 문제는 한동안 해결되지 않다가[3] 국민권익위원회가 개입하여 2년여간의 조사를 통해 결국 주민들의 요구를 수용했고, 가마솥골 인근 금곡리 산 40-4번지 일대로 부지를 옮겼다.[4] 이 때문에 진접선 본선보다 4년 늦은 2018년에야 착공할 수 있었다.
면적은 창동차량사업소의 18만㎡보다 약간 늘어난 19만7400㎡이지만 경검수 시설만 설치되고 중검수는 기존처럼 지축차량사업소에서 받는다. 단, 추후 중검수 시설을 도입할 수 있도록 부지는 마련해 두기로 하였다. 2022년 1월에는 진접차량사업소의 면적이 38만7천59㎡로 확대된다고 밝혔다.[5]
본래 계획은 진접선 개통과 진접차량사업소 개소가 동시에 이뤄질 예정이었으나, 부지 선정에 난항을 겪은 이유로 진접차량사업소는 2026년 3월에 개소할 예정이다. 차량기지 완공 전까지는 창동차량기지를 유지한 채로 진접까지 운행한 뒤 회차하여 창동차량기지로 입고한다. 이런 이유에서 당고개발 진접행이 평일 기준 아침에 6번, 낮에 1번 있으며 진접발 당고개행이 1번 있다. 주말/공휴일에는 당고개발 진접행의 횟수(8회)와 진접발 당고개행의 횟수가(2회)더 많다.
진접선은 광역철도로 지정된 일반철도이지만, 진접차량사업소 및 그 인입선 건설은 도시철도법에 따른 사업으로 분류되어 도시철도로서 추진되며, 원인 제공자인 서울특별시가 건설비를 전액 부담한다.
3. 배속 차량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상세): 55개 편성 예정 (401~426, 450~470, 481~485, 순수 증차분 3개 편성)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상세)(심야 주박): 2개 편성 예정
[1]
「남양주시, 노원구 빅딜제안 수용」, 서울신문, 2006-11-28
[2]
「금곡리 주민 반발 부른 진접선 차량기지 어디로…」, 경기일보, 2013-11-24
[3]
「주민“진접선 연장 차량기지 예정지 이전해 달라”」, 기호일보, 2014-01-13
[4]
「진접선 차량기지 연내 착공?… 내년 건설공사 발주」, 남양주뉴스, 2017-10-26
[5]
「‘진접차량사업소’ 38만945→38만7천59㎡」, 남양주뉴스, 2022-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