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12:25:15

인 ○○ 노선

인김포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아웃 ○○ 노선
,
,
,
,
,

1. 개요2. 김포시3. 안양시4. 용인시5. 광명시6. 수원시7. 구리시8. 남양주시9. 의정부시10. 고양시11. 동두천시12. 화성시13. 안산시14. 시흥시15. 그 외 지역 업체의 인 ○○ 노선16. 과거에 있었던 사례17. 시외버스 (고속버스 제외)18. 항공19. 철도20. 인 ○○ 노선이 아닌 경우

1. 개요

파일:in-and-out-line.jpg
차적지(면허지)를 1정류장 이상 관통하지만, 양측 기종점이 면허지에 존재하지 않는 노선을 의미한다. 아웃 노선과의 완전한 반의어는 아니다.[1] 버스 동호인 사이의 은어다.

폐선되거나 변경된 노선은 (♨) 표시.

아웃 ○○ 노선도 같이 참고할 것.

2. 김포시

인김포 노선에 대해 좀 더 설명하자면, 원래 검단 김포시 지역이었으나 인천으로 넘어가면서 인 김포 노선이 많이 늘어났으며, 특히 김포시가 선진그룹 독점 지역이고 옆동네 인천광역시의 북부도 선진의 세력이 막강한지라 인 김포 노선이 인천 북부(부평구/계양구/서구/강화군)와 서울특별시 강서구 지역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 60: 인천(검단) - 김포 - 서울. 일반좌석노선 시절부터 입석노선으로 형간전환하기까지 인 김포노선으로 현재까지 이어져온 노선.
  • 88: 인천(강화) - 김포 - 서울. 노선 신설 당시(김포대학~영등포역)에는 그냥 김포노선이었으나, 강화로 연장되면서 자연스럽게 인 김포노선으로 전환.
  • 90: 인천(강화) - 김포 - 인천(검단 - 계양 - 부평). 기종점이 모두 인천이다.
  • 1002: 인천(검단) - 김포 - 서울.

3. 안양시

인 안양 노선은 그 주변 지역이 과천시, 군포시, 의왕시, 광명시, 서울특별시 금천구 등이 안양과 이웃하던 옛 시흥군과 관련이 있다. 이들이 시흥군의 공중 분해에 따라 과거 이 업체 1988년 본사를 안산시로 이전하면서 아웃안양 노선과 비교하면 사뭇 다를 수도 있다. 이들 모두 독과점 지역으로 봐야 한다. 그래서 이 지역은 경기남부의 인김포 버스 노선 격으로 봐야 한다.
  • 1-1: 의왕(월암) - 안양(호계) - 의왕(백운) - 안양(평촌) - 과천 - 서울. 도시 구조 때문에 안양에 두 번 들어갔다 나온다.
  • 1-5: 의왕(월암) - 안양(호계) - 의왕(백운) - 안양(평촌) - 의왕(청계). 이쪽 역시 도시 구조 때문에 안양에 두 번 들어갔다 나오는 구조이다.
  • 5: 의왕 - 군포 - 안양 - 서울.
  • 11-2, 11-5: 군포 - 안양 - 과천 - 서울. 11-2번은 만안구 쪽을, 11-5번은 평촌 쪽을 경유한다.
  • 20: 군포 - 안양 - 서울. 원래는 경인교대 경기캠퍼스까지 가는 일반 안양 노선이었으나, 난곡동을 지나 구로디지털단지역까지 연장되었다.
  • 22: 군포 - 의왕(오전) - 안양 - 의왕(청계). - 군포에서 안양으로 가기 전 오전공단을 경유한다.
  • 33: 의왕(청계) - 안양 - 의왕(백운). 원래 평촌차고지에서 출발하는 그냥 안양노선이었으나 노선이 연장되었다.
  • 917: 군포 - 안양 - 과천 - 서울. 위의 11-5번처럼 평촌 쪽을 경유한다.

4. 용인시

광교영업소의 위치는 수원시지만, 노선들이 모두 용인시 수지구와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삼고 있으며 공공버스 노선으로 전환돼서 인 용인 노선이 상당히 늘어났다.
  • 5006, 5007: 수원 - 용인 - 서울. 위 세 노선과는 달리 수원을 꽤나 통과함에도 용인시 면허로 전환되었는데, 이는 남경필 준공영제 시절의 잔재로 보인다.[2]
  • 6900: 수원 - 용인 - 성남 - 서울. 원래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던 아웃광주 노선이었다가, 대원버스로 이관되어 인 성남 노선이 되었고, 다시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인 용인 노선이 되었다.

5. 광명시

  • 1: 시흥 - 광명 - 서울. 39번과 달리 이쪽은 은계, 시화 쪽으로 간다.
  • 2: 시흥 - 부천 - 광명 - 안양. 신설 당시에는 평범한 광명시 노선이었으나, 차례대로 부천 옥길지구로 연장, 시흥 은계지구로 연장되면서 완벽한 인 광명 노선이 되었다.
  • 39: 시흥 - 광명 - 서울. 서울에서 광명 시내 구간까지는 1번과 거의 동일하지만 시흥시 과림동, 매화동으로 가는 것이 다른 점.

6. 수원시

  • 64: 화성 - 수원 - 의왕 - 안양.
  • 300: 평택 - 오산 - 수원 - 의왕 - 안양.
  • 301: 평택 - 오산 - 수원 - 의왕 - 안양. 300번의 지선화 노선으로, 300번은 수원시청 쪽으로, 이 노선은 수원역 쪽으로 운행한다.
  • 7000: 용인 - 수원 - 서울.
  • M5115: 용인 - 수원 - 서울. 원래 아웃광주 였으나, 2023년 8월 1일부로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으로 전환되면서 인 수원 노선이 되었다.

7. 구리시

경기여객 소속 노선들은 대부분 남양주나 아웃광주 출신 노선들로, 남양주시에서 출발하는 노선들이 대부분 인 구리 노선이 되었으며, 갈매동 기점 노선들을 신설하면서 그냥 구리 노선들도 늘어나긴 했다.
  • 15: 남양주 - 구리 - 서울. 본래는 경기고속의 아웃광주 노선이었으나, 2019년부터 구리시 면허인 경기여객과 공동배차를 하다가 완전히 경기여객으로 이관되면서 인 구리 노선으로 전환.
  • 51 : 남양주 - 구리 - 서울. 본래는 수택동 출발이었으나 2020년부터 다산신도시 지금지구로 연장되었다.
  • 92: 포천 - 남양주 - 구리 - 서울. 15번처럼 원래는 경기고속의 아웃광주 노선이었다가, 2008년 경기여객으로 양도하면서 인 구리 노선으로 전환하였다.
  • 93: 가평 - 남양주 - 구리 - 서울. 신설 초기에는 그냥 남양주 노선이었는데, 대성리로 연장운행하면서 인 남양주 노선이 되었다가, 경기여객으로 양도하면서 인 구리 노선이 되었다.
  • 95: 남양주 - 구리 - 서울. 과거에는 구리 농수산물시장까지 운행되는 아웃광주 노선이었는데, 노선이 분리되고 빙그레 공장까지 연장되면서 같은 회사 대원운수로 양도하여 그냥 남양주 면허가 되었다가, 구리시 면허인 경기여객이 신설되면서 양도되면서 인 구리면허로 전환된 노선이다. 롯데백화점 대신 인창동을 경유하는 형제 노선 96번도 있었으나 수요가 적었던 터에 계속해서 배차가 줄어들며 막판에는 농어촌버스급 배차간격으로 다니다 2024년 4월부로 완전히 폐지되었다.

8. 남양주시

  • 11: 포천 - 남양주 - 구리 - 서울.
  • 23: 포천 - 남양주 - 구리 - 서울. 개통 초기에는 남양주에서 서울 길동을 잇던 평범한 남양주 노선이었으나, 연장에 연장을 거듭하면서 시도 경계를 2번이나 넘고 기초자치단체만 4개를 지나는 근성노선이 되어 버렸다. 2024년 노선 단축, 하남시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 88: 포천 - 남양주 - 구리 - 서울.
  • 8001, 8002: 가평 - 남양주 - 서울. 남양주 직행좌석버스 노선들 중 11번과 함께 남양주시 관내가 기점이 아닌 노선들이다.

9. 의정부시

  • 7: 양주 - 의정부 - 서울.
  • 36: 동두천 - 양주 - 의정부 - 서울.
  • 133: 양주 - 의정부 - 서울.

10. 고양시

  • 66: 파주 - 고양 - 서울.
  • 1500: 파주 - 고양 - 서울.
  • 799: 파주 - 고양 - 서울. 신성 시절에는 그냥 서울 진입 파주 노선이었으나, 2017년 12월 28일에 고양시 면허의 서현운수로 이관되면서 인 고양 노선이 되었다.

11. 동두천시

  • 53: 연천 - 동두천 - 양주.

12. 화성시

  • 116-2, 116-5: 수원 - 용인 - 화성 - 오산. 원래 아웃광주였다가 화성시 면허 업체인 화성여객으로 넘겼다.
  • G6010: 오산 - 화성 - 용인. 경기도 공공버스의 영향을 받는 노선인데도 불구하고 인 화성 노선이다.
  • H19: 오산 - 화성 - 오산. 오산대역에서 출발해 동탄신도시를 한 바퀴 돌고 다시 오산대역으로 돌아오는 노선인데, 기종점이 모두 오산대역으로 인가되어 있다.
  • M4449: 오산 - 화성 - 서울.

13. 안산시

  • 30-2: 시흥(목감) - 안산 - 시흥(시화). 원래 기점은 안산시 수암동이었으나 목감지구까지 연장되어 인 안산 노선이 되었다.
  • 350: 안양 - 시흥(목감) - 안산 - 시흥(시화). 일반좌석시절부터 현재까지 쭉 이러한 노선이었다.
  • 5609: 화성 - 안산 - 시흥 - 안양 - 서울. 원래 기점은 안산시 사동 그랑시티자이였으나 화성시 새솔동으로 연장되었다.

14. 시흥시

  • 40: 안산 -시흥 - 안산. 안산시 능길역에서 시흥시 군자동을 거쳐 다시 능길역으로 돌아오는 순환 노선.
  • M6410: 인천 - 시흥 - 서울. 원래는 아웃 안산 노선이었지만 2023년 2월 시흥시 면허로 이관되면서 인 시흥 노선이 되었다.

15. 그 외 지역 업체의 인 ○○ 노선

  • 세종 B2, B4, 1003: 대전 - 세종 - 청주. 인 세종.
  • 이천 20-9: 여주 - 이천 - 안성. 인 이천.
  • 광양 35-1: 하동(하동) - 광양 - 하동(화개). 인 광양이자 인 전남.
  • 청주 42, 43[3]: 대전 - 청주 - 세종. 인 청주 이자 인 충북 노선이다. 청주시와 청원군이 통합되기 이전에는 아웃청주였다.
  • 함안 버스 113-1: 득소, 두곡, 남지로 가는 지선 한정. 의령군 지정면 또는 창녕군 남지읍을 출발해 함안군 칠원읍을 거쳐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 마산시외버스터미널까지 가는 인 함안 노선.
  • 광주 119: 용인 - 광주 - 성남 - 서울. 인 광주노선.
  • 화순 217, 217-1,218번(광주-주암,광주-다곡): 광주 - 화순 - 순천.담양.(구산삼거리),나주.'(행산경계)인 화순'''.
  • 카츠라기 버스 301, 302: 나라현 카시하라시 야마토야기역에서 와카야마현 신구시 신구역까지 운행하는 인 카츠라기 노선.
  • 경산 399(갈고개), 990(갈고개): 청도 - 경산 - 대구. 인 경산.
  • 함평 500 광주-영광, 광주-상무대 노선: 광주 - 함평 - 장성 - 영광. 인 함평.
  • 아산 530, 531: 평택 - 아산 - 천안. 인 아산.
  • 전주 820: 완주(이서) - 전주 - 완주(소양). 인 전주 노선으로, 이서면이 전주, 김제와 둘러쌓여 있는 월경지인지라 이러한 선형이 되었다.
  • 전주 300 전주순환 노선: 완주(고산) → 전주 → 완주(고산)의 순환 노선. 일 2회 운행하나 운영사인 시민여객의 차량 부족으로 결행하는 경우가 매우 잦다.
  • 양산 2100, 2300: 부산(노포) - 양산(동면) - 부산(기장) - 양산(웅상) - 울산. 양산에 두 번 들어 갔다 나오는 형태의 인 양산 노선.
  • 공항버스 6014: 광명 - 서울 - 인천. 인 서울 공항리무진 노선으로, 특별시 및 광역시는 공항리무진을 시내버스 한정면허로 발부하므로 이 노선은 인가 상으론 시내버스다.
  • 공항버스 6200: 하남 - 서울 - 인천. 6014번과 같은 사례다.
  • 고흥여객 벌교-동강-마륜-대서-장선포-조성: 보성(벌교) - 고흥 - 보성(조성). 인 고흥 노선. 참고로 이 노선이 경유하는 동강면, 대서면의 생활권은 벌교 쪽이다(...).
  • 영양 버스 진보-재산: 청송 - 영양 - 봉화. 인 영양.
  • 함평 버스 500(광주-영광): 광주 - 함평 - 영광. 인 함평 노선. 함평읍내를 지나는 것도 아니고 이 노선이 지나는 함평 땅인 문장이 영광 생활권인 것도 아닌 특이한 케이스에 속한다.

16. 과거에 있었던 사례

  • 구리 버스 1-2: 과거에는 민락동종점에서 출발하는 의정부시 면허 노선이었으나 2020년에 청학리로 단축되고 경기여객으로 이관되어 인 구리 노선이 되었다가 2021년 폐선되었다.
  • 대원운수 남양주 버스 1-4: 개설 초기부터 그냥 남양주 노선이었는데, 가평군 대성리로 연장하면서 인 남양주 노선이 되었다가, 차산리로 단축하여 도로 그냥 남양주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대신 23번처럼 회차구간을 하남시로 연장.
  • 안양 버스 3-1: 원래는 의왕시에 군포시, 안양시를 거쳐 광명역까지 간 인 안양 노선이었지만, 후에 수요부족으로 군포공영차고지로 단축되고, 주 52시간 근무제로 인한 운수사원 부족으로 폐선되었다.
  • 강화운수 김포 버스 8: 과거에 운행되던 시절 강화터미널로 연장운행하여 인 김포노선으로 바뀌었으나, 배차간격이 폭망하여 김포 버스 88과 통폐합후 뒤안길로 사라진 노선.
  • 과거 명진운수 시절의 남양주 버스 8: 신설하기 이전에 남양주시 와부/덕소지역 일대에 인 남양주 노선이 하나도 없었다. 이게 생기면서 인 남양주 노선이 되었는데, 회사사정이 어려워지자, 금강고속에게 양도한 시점부터 그냥 양평 노선으로 전환되었지만,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양평군으로 연장되면서부터 수요급감은 물론 을씨년스러운 배차간격으로 운행되다 쓸쓸하게 폐선.
  • 부천 버스 12: 원래는 인 부천 노선이었지만 2016년 4월 6일 운행사가 시흥교통으로 바뀌면서 아웃시흥에 가장 근접한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몇년후에 120번과 통합해 삼미시장까지 연장되어서 그냥 시흥 노선이 되었다.
  • 양산 버스 13: 2010년 11월 1일 신설당시에는 12번의 KTX울산역 연장판이었으나, 2016년 3월 1일 개편으로 기점이 양산역환승센터로 단축되었다가 2021년 12월 1일 개편으로 다시 통도사신평버스터미널로 단축되었다.
  • 시흥 버스 25: 애매한 인 시흥 노선이지만, 정왕역으로 단축되어서 더이상 안산시를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 안양 면허 시절 경원여객 안양 버스 31-1, 31-8: 과천시 서울대공원에서 안양시, 시흥시등을 거쳐 부천역까지 갔던 노선. 안산 면허로 넘어오면서 아웃안산이 되면서 얼마 못가 폐선.
  • 신성운수 시절의 34, 360: 서울 불광동에서 고양시 효자동 일대와 양주시를 거쳐 의정부시로 가던 인 고양 노선이었지만 신성운수의 재정난으로 2015년 7월 14일부터 KD 운송그룹 소속의 명진여객으로 이관하면서 그냥 의정부 노선이 되었다.
  • 평안운수 의정부 버스 35: 가래비에서 도봉산역을 잇는 인 의정부 노선이었으나 파주시 법원읍으로 연장되고, 서울 구간이 짤려 그냥 의정부 노선이 되었다.
  • 소신여객 부천 버스 50/550, 51, 52, 53: 과거 월미도부터 출발하여 김포공항, 방화동까지 운행했던 아스트랄하면서 인 부천노선이자 장거리노선들이었는데, 51번, 52번, 53번은 90년대 후반에 폐선되었다. 550번은 2000년대 초반부터 부평역(?)부터 단축을 해오다가 경기 성민버스으로 넘어가면서 50번으로 바뀌고 송내역으로 단축.
  • 동두천 버스 51: 동두천 버스 60번과 노선이 분리되기 이전에는 양주시 신산리를 출발하여 동두천시를 지나 양주시 덕정역으로 향하는 노선이었으나[4], 60번과 노선이 분리되면서 동두천으로 단축, 이후 2021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5]
  • 안양 버스 51: 원래 의왕시 대원아파트에서 출발하는 인 안양 노선이었으나 평촌차고지로 연장되면서 그냥 안양 노선이 되었다. 다만 여전히 중간에 의왕시를 경유하는 형태이지만, 등재조건에는 맞지 않다.
  • 수원 버스 53: 이것도 동부차고지에서 상현역을 들려 수원으로 들어갔다 용인으로 들어가는 애매한 인 수원 노선이지만 운휴크리.
  • 구미 버스 55: 칠곡군 석적읍을 출발하여 구미시를 지나 김천시까지 운행하는 인 구미 노선이었으나, 2019년 5월 1일부로 석적읍에서 구미시 오태1동으로 단축되어 더 이상 인 구미 노선이 아니다.
  • 과거 김포운수 김포 버스 60-2: 인천시 강화군 화도터미널에서 김포시를 거쳐 송정역까지 가는 인김포노선이었는데 인천 면허로 넘기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한강신도시-송정역 구간이 단축되어 특이한 아웃인천노선이 되었다.
  • 경기 선진버스 김포 버스 70: 이것도 90번과 마찬가지로 엄연한 인 김포 노선였다가 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냥 인천 면허로 전환되었다.
  • 고양 버스 73: 원래 그냥 파주노선이었으나 신성교통이 고양시 면허인 신성운수에게 넘겨서 인 고양 노선이었으나. 2015년 4월 중 강선마을~신촌구간이 대폭 잘려나가 그냥 고양시 노선이 되었다.
  • 전주 버스 73: 완주군 이서면 이서회차지에서 완주군 삼례읍 삼례역까지 가는 노선으로, 2022년 2월 19일 폐선되었다. 대체 노선인 220-1번과 220-2번, 이서27은 모두 평범한 전주/완주 면허 노선이다.
  • 고양 버스 76: 역시 고양 73번이랑 마찬가지의 이유지만 회사 사정때문에 무기한 운행 중단중이다가 2015년 2월 2일 결국 최종 폐선되었다.
  • 안산 버스 99: 과거엔 아웃안양이었으나 안산 면허로 바뀌고, 2015년 10월 1일일부터 대야미역으로 연장되어 인 안산 노선이 되었다가 2018년 10월에 다시 반월역으로 재단축되어 다시 그냥 안산 노선이 되었다.
  • 청주 버스 105, 105-1: 충북 청원군 남이면 석판리 석판종점에서 청주시내, 청원군 내수읍을 거쳐 증평군 증평읍 미암리 형석중고교(105)/송산리 증평인삼판매장(105-1)까지 운행하는 좌석버스 노선이었지만, 청원군이 청주시로 통합되면서 평범한 청주시 노선이 되었다.
  • 전주 버스 300: 완주군 북부지역 농어촌버스 노선(동상, 화산, 운주, 대둔산 등) 운행 후 고산면을 출발하여 전주시내와 완주군 상관면을 지나 임실군 관촌면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2000년대 들어 전주~관촌 구간이 단축되었다.
  • 청주 버스 405: 청원군 남이면 석판리 석판종점에서 청주시, 청원군 현도면을 거쳐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역까지 운행하던 좌석버스였으나, 2011년 4월 15일부로 비하종점으로 단축되면서 평범한 청주 노선이 되었다. 청원군 폐지 이후 2015년에 청주국제공항-신탄진 간 급행으로 변경되었으나 폭망하고 407번에 통합되면서 2018년에 폐선.
  • 청주 버스 407: 청원군 내수읍 입상리 청주국제공항에서 청주시, 청원군 현도면을 거쳐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 신탄진과선교까지 운행하는 좌석버스로, 노선 변경 없이 청주시-청원군 통합으로 인해 105번처럼 평범한 청주시 노선이 되었다.
  • 경기광주 버스 660: 2009년 3월까지는 광주-죽전 구간이 60번과 비슷했으나 43번 국도 경유로 바뀌어 그냥 광주 노선이 되었다. 광교 단축 이후 오산리~문형리 구간이 60번과 비슷해졌지만 종점이 광주 관내이기에 등재기준에는 부합하지 않는다.
  • 목포 버스 700: 무안군 무안읍에서 목포시 하당지구를 경유하여 영암군 삼호읍 현대삼호중공업사원아파트까지 갔다가 2016년 5월 1일 900번으로 흡수통합되었다.
  • 청주 버스 747: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조치원역에서 청원군 오송읍, 청주시를 거쳐 청원군 내수읍 입상리 청주국제공항까지 운행했던 좌석버스 노선으로, 조치원역에서 석판종점까지 단축되었을 때에도 인 청주 노선이었으나, 2011년 4월 15일부로 405번과 함께 비하종점까지 단축되며 평범한 청주 노선으로 바뀌었다.[6]
  • 고양 버스 830: 2011년 3월 23일 1500번 신설 전까지는 인 고양 버스였으며, 단축 이전의 노선은 교하 - 탄현, 중산 - 마두역 - 영등포 노선으로 운행했었다. 2015년 12월 현재는 덕이지구 - 탄현, 중산 - 마두역 - 영등포로 운행 중이다.
  • 예전 김포 버스 959: 고양시를 거쳐서 김포시를 거쳐 강화도까지 운행하는 버스였으나, 고양시 면허로 전환되었다. 이후 시내일반버스로 형간전환 후 2014년 1월까지 운행한 뒤 96번으로 통합되었다. 현재 운행중인 95번과는 무관.
  • 예전 김포 버스 960: 959번과 동일한 구간을 달렸으나, 현재는 이 노선이 본선이 되어 고양시 면허가 되면서 시내일반버스로 전환되었다.
  • 김포 버스 1004: 원래 기점이 완정사거리라 인 김포였으나, 대광위 준공영제에 편입되면서 연장되면서 평범한 김포 버스 노선이 되었다.
  • 경기광주 버스 1117: 역시 이것도 겉만 봐도 아웃광주로 오해할 수 있겠지만, 경기 광주시내도 걸치면서 양벌리도 경유하는 인 광주 노선이 되시겠다.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평범한 용인 노선이 되었다.
  • 성남 버스 1251: 용인시 기흥구청에서 성남시 궁내동을 거쳐서 강남역까지 가는 노선. 역시 간선급행버스 8251번이었지만 예전 8241보다 한 술 더 떠서 성남시 정류장이 아예 없었다. 형간전환되고 성남시 정류장을 정차하게 되면서 인 성남 노선으로 전환되었으나 폐선되었다.
  • 경기광주 버스 1303: 광주 면허 시절에는 오포읍 문형2리를 경유하는 인 광주노선이었다. 현재는 그냥 용인 노선이며, 외대에서 능원리를 가다가 오포읍 문형리를 경유하긴 하지만, 토론기준상 인 용인 노선에는 부합하지 않는다.
  • 경기광주 버스 1500: 이것도 역시 오포읍 신현리를 거치는 인 광주노선이었으나, 신분당선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할 거라고 판단한 덕에 폐선.
  • 성남 버스 2003: 본래 마북-분당신도시-강남역인 인 성남 노선이었으나, 노선이 단축되어 그냥 성남노선이 되었다가 폐선되었다.
  • 경원여객 안산 버스 5601: 원래 시흥시-안산시-시흥시-안양시-광명시- 금천구- 구로구-영등포구까지 갈 정도로 초장거리 좌석버스였으나 안산역으로 단축후 다시 경원여객 본사로 연장되었다가, 형간전환되면서 광명역 이후의 구간과 중앙역 이후의 구간이 전부 짤리면서 그냥 안산노선이 되었다.
  • 남양주 버스 7007: 포천시 내촌에서 강남역을 잇던 인 남양주 노선이었으나 광릉내차고지로 단축되어 그냥 남양주 노선이 되었다.
  • 수원 버스 7790: 화성시 수원대학교를 출발해 와우리, 수원시 호매실지구, 성균관대역을 거쳐 서울시 사당역까지 가는 버스였으나, 2020년 2월에 수원시 구간 미경유와 화성 면허로 이관되면서 그냥 화성 노선이 되었다.
  • 수원 버스 7800: 7790번과 동일하지만 와우리 대신 봉담택지지구를 경유했다. 역시 2020년 2월에 서부공영차고지로 단축되면서 화성시를 경유하지 않게 되면서 그냥 수원 노선이 되었다.
  • 남양주 버스 8012: 포천시 내촌차고지에서 잠실역을 잇는 노선이긴 한데, 포천시 정류소가 내촌차고지뿐이라 사실상 그냥 남양주 버스로 보는 게 옳았지만 광릉내로 단축되어 그냥 남양주 노선으로 전환. 물론 7007과 8012 모두 처음에는 광릉내에서 운행을 시작하다 차고지 계약 문제로 잠시 이전한 것일 뿐 원래는 그냥 남양주 버스였다.
  • 화성 버스 8471, 화성 버스 8472: 수원시 수원역에서 화성시 봉담, 발안을 거쳐 평택시 안중읍까지 가는 노선. 원래 시외완행버스라 그냥 경기 노선이었지만,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되어서, 인 화성 직행좌석 노선이었지만, 경기도 공공버스 편입으로 그냥 수원 노선이 되었다.
  • 성남 버스 9414: 용인시 단국대학교에서 성남시를 거쳐 삼성역까지 가는 노선이었다.
  • 시외버스 9800: 원래 인 경기 시외버스였으나 인천 면허 광역버스로 변경. 삼화고속의 광역버스 면허는 인천광역시, 시외면허는 경기도 수원시 면허를 써서 그렇다.
  • 청주 버스 407: 청원군 청주국제공항에서 청주시 상당공원을 거쳐 대전시 신탄진과선교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으나 청원군이 2014년에 청주시로 통합되었다.
  • 제주 버스 38: 2006년 7월 1일(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전까지는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하귀리에서 '신제주-구제주' 제주 시내를 경유하고 제주도 북제주군 조천읍 함덕리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북제주군이 제주시로 통합되었다.
  • 서귀포 버스 120, 130: 위에 제주 버스 38이랑 비슷하게 제주도 남제주군 안덕면 대평리에서 '서귀포시내(중문관광단지와 서귀포 1호광장)' 경유하고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위미3리까지 운행했으나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남제주군이 서귀포시로 통합되었다.
  • 김포 버스 1004: 원래 1002번과 기종점은 똑같고 김포한강로를 통해 이어줘 장거리 수요를 노린 급행 성격의 인 김포 노선이었지만 대광위 이관 이후 인허가권 문제로 인해 이 노선만 따로 기점이 김포시 양촌읍으로 연장되었다. 그래서 김포를 출발해서 인천으로 들어온 뒤 다시 김포로 들어가고 서울로 나가는 부천 88번과 비슷한 양상의 노선이 되었다.
  • 김포 버스 3000: 원래 강화군 - 김포시 - 서울특별시 형태로 운행하던 인 김포 노선이었으나, 대광위 준공영제의 규정에 위배되어(기점이 경기도에 위치하지 않음) 2024년 7월 1일에 기존 3000번은 월곶공영차고지로 단축과 동시에 3000-1번으로 변경하고 8대를 차출하여 강화군에서 출발하는 인천 면허 3000번을 신설하여 인 김포 노선이 아니게 되었다.

17. 시외버스 (고속버스 제외)

업체명 가나다순. 전환시외를 제외한 고속면허 버스는 전국구를 사업단위로 하므로 여기서는 적지 않는다. 차적지는 도(道) 단위로 하며 남북도 모두 중간에 걸치는 노선은 특별히 표기한다.
  • 경기고속의 서울남부-남서울대, 동서울-남서울대 노선: 중간에 경기도 평택시를 경유한다.
  • 전북고속의 대구서부-여수 완행 노선: 중간에 전북 남원을 경유한다. 대구서부에서는 구례까지, 여수, 순천에서는 남원까지만 발권 가능하다.
  • 번외: 삼화고속의 부천-인천-나주-영암-강진 노선: 시외버스 차적지는 경기도 수원시인데, 삼화고속 본거지가 인천인 특성상 인인천 시외버스 노선이긴 하다.

18. 항공

일반적으로 항공 노선은 외국과 외국 사이에 자국을 경유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버스의 인 노선이 성립할 수 없다. 같은 항공사끼리 환승이 되기 때문에 굳이 이런 식의 노선을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굳이 인 노선과 유사한 패턴을 찾자면 자국 - 외국 - 자국 노선이 있겠다. 버스로 치면 서울-성남-서울 노선인 452번과 같은 패턴.

그러나 예외로 아에로플로트가 있는데, 런던 - 나리타, 파리 - 나리타, 로마 - 나리타의 3개 항공편이 모스크바를 경유하는 단일 항공편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기체는 모스크바에서 교체되는 방식이다.

자국 - 외국 - 자국 노선의 경우 인 미국, 인 프랑스 노선이 대표적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인 영국 노선이 홍콩에 들렸던 사실도 있다.

19. 철도

  • 분당선: 서울(왕십리) - 성남(분당) - 용인(신갈) - 수원(매탄). 인 분당 노선이다.
  • 신분당선: 서울(강남) - 성남(분당) - 용인(수지) - 수원(광교). 마찬가지로 인 분당 노선이다.
  • 과천선: 서울 - 과천 - 안양 - 군포의 인 과천 노선.
  • 안산선: 군포 - 안산 - 시흥의 인 안산 노선.

20. 인 ○○ 노선이 아닌 경우

  • 부천 버스 88: 행선지에는 '계산동 - 부천 - 여의도' 이렇게 쓰여있지만, 실제 기점은 부천 대장공영차고지이다. 차고지를 빠져나가 인천광역시 계양구, 부평구를 지나고 부천시를 다시 경유한 후 서울로 진입한다. 따라서 인 부천이 아니다.[10]


[1] 인 노선과 아웃 노선은 양측 기종점이 모두 면허지 바깥에 존재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단지 면허지 안에서 해당 노선이 지나가는 정류장이 있느냐(인 노선) 아니냐(아웃 노선)의 여부 차이만 있다. [2] 경기도 공공버스 전환규정으로는 주 수요처와 관계없이 차고지만 기점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전부 기점이 있는 지자체의 면허가 되었는데, 이 두 노선만은 예외. 당시에는 수원시 구간도 용인시에서 지원을 해줬다. [3] 문의행 제외 [4] 특이한 점이라면, 양주시를 2번이나 경유했다는 것이다. [5] 운행이 중단된 51번과는 달리, 60번은 롯데마트와 장림을 오가는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다. [6] 이후 다시 오송읍으로 연장되었으나, 청원군이 청주시에 통합된 이후이다. [7] 대원버스의 일부 차량이 용인시 면허인 경기 78 아로 되어 있다. 이 노선에서도 일부 차량이 용인시 번호판을 달고 다니긴 한다. [8] 심야노선 한정으로, 주간 노선은 아웃 경남에 해당했다. [9] 하지만 거의 3대중 2대의 비율로 도봉산행이 오고, 2대중 1대의 비율로 온수행이 오는 데다가, 까치울역 ~ 석남역 구간은 경기도 인천광역시로부터 위탁관리를 하기 때문에 애매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운행되는 열차는 모두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이므로 인 서울교통공사 자체는 성립한다. [10] 사실 기점에서 한 정거장만 가면 바로 계양구다. 대장동(차고지) - 부천 - 여의도 행선지는 동사의 83번이 쓰고 있기 때문에 차별성을 위해서 이렇게 운행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