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08:30:30

대화역

대화역
파일:Seoulmetro3_icon.svg
시종착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Daehwa
한자 大化
간체자
가나 [ruby(大化, ruby=テファ)]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중앙로 지하1569 ( 대화동 2221)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 능곡역 관리/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운영 기관
일산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일산선 1996년 1월 30일
3호선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일산선
대 화
종점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버스7. 사건 사고8. 매체에서9. 기타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대화역 스탬프.jpg
대화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KINTEX를 형상화했으며, 2014년 스터디투어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수도권 전철 3호선 309번.[1]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중앙로 1569 ( 대화동 2221) 소재.

2. 역 정보

파일:대화대합실.png
대화역 대합실
파일:attachment/viewimage_1.jpg
파일:20190422_094315.jpg
대화역이 0번이던 시절의 폴 사인 개통당시 역명판
  • 아래의 안내도는 오금 연장 이전에 제작되었으며 1, 4번 출구 엘리베이터가 빠져 있다.
파일:대화역.png
역 안내도 ( 크게보기)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시종착역이다. 섬식 승강장이지만 열차가 이 역에서 바로 회차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순수 일산선 구간에서는 백석역과 함께 단 둘뿐인 섬식 승강장 구조의 역이다.

개통 당시에는 역번호가 0번이었다. 2000년에 수도권 전철 노선명이 통일될 때 일산선과 서울 지하철 3호선이 구분돼 있던 것이 통일되면서 310번으로 바꿔 달았다가 2014년 원흥역이 개통되며 309번으로 앞당겨졌다.

일산선 계획 및 공사당시 역명은 장촌역으로, 일산신도시 개발 전 이 일대의 자연부락 이름인 '장촌(長村)'에서 땄다. 실제로 백병원 옆에 붙어있는 공원의 이름이 장촌공원으로, 신도시 개발 전에는 장단군 출신 실향민들이 다수 모여서 마을을 새로 형성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신시가지 건설 후 현재까지는 장성(長成)이라는 마을로 재탄생했고 장촌의 거주민들은 일 년에 한 번씩 장촌공원 한가운데 표석에 모이기도 한다.[2] 백병원 옆에 붙어있고 중앙에 분수대가 있어 여름철에는 항상 분수가 나오며, 백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에게는 좋은 휴식처이다.

부역명은 킨텍스(한국국제전시장, KINTEX)였으나, 2017년 후반기 중에 안내방송상으로는 삭제되었다. 다만 선로 측 역명판에는 킨텍스가 아직 남아있다. 근처에 뉴코아 백화점이 건설될 계획이었지만 뉴코아그룹이 파산하면서 지지부진해졌고, 이랜드그룹이 뉴코아를 인수하면서 백지화되었기 때문에 이 주변에 킨텍스 외에는 특별한 게 없었지만 6번 출구 네거리 맞은편에 일산서구청 신청사(2019년 1월부터 업무 개시), 그 옆에는 일산서부경찰서가 들어왔다. 2016년 11월부터 업무를 개시했다. 뉴코아 백화점 부지에는 현재 하이투모로 오피스텔이 들어와 있다.

2015년 5월 31일 스크린도어 설치 공사를 시작했으며, 같은 해 11월 4일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실제 작동이 시작된 것은 11월 18일이다. 또한 천장과 기둥도 리모델링이 완료되었다.

북한과 가장 가까운 지하역(15.1km)이다. 2024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개통 시 지티엑스운정역(10.5km)이 북한과 가장 가까운 지하역이 된다. 다만 위도상 최북단의 지하역은 아니다. 수락산역, 오남역, 진접역(위도상 최북단)이 대화역보다 위도가 더 높다.

3. 역 주변 정보

교통면에서는 고양 BRT 대화역 정류장과 연계된다. 단 대화역 정류장은 중앙차로가 아니다. 그래서 (특히) 서울 방향 역 주변이 항상 혼잡하다. 1, 2, 3번은 서울 방면, 4, 5, 6번은 파주 방면이다. 고양종합운동장 쪽에는 고양공영차고지가 있다. 역 주변은 일산신도시 주민들을 위한 상가들로 둘러싸여 있다.
  • 2번 - 대화중학교, 킨텍스 방면
    역 출구 위에 거대한 KINTEX 광고판이 붙어있다. KINTEX에서 가장 가까운 역이다. 도보로는 15분 걸린다. 제2전시장은 걸어서 40분이 넘는다. 온게임넷 스타리그 결승전 및 모터쇼 서울모빌리티쇼 등과 같은 각종 행사가 개최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원래는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COEX 코엑스에서 하던 것이었으나 킨텍스의 개장과 함께 2년마다 한 번씩 개최된다. 그리고 모텔/호텔들이 밀집한 곳이기도 하다.
  • 4번 - 고양공영차고지 일산서구청(2019년 2월 25일 이전 완료) 방면
    고양종합운동장 방면 건너편이다. 이쪽 블록으로 따라서 우회전으로 꺾어가면 농수산물유통센터가 있다. 도보로는 먼 거리에 있고, 88번으로 한 정류장, 058번으로 두 정류장 거리에 있다. 일산서부경찰서도 이 출구로 나가서 걸어가면 나온다. 일산서구청도 2019년 2월 25일 일산서부경찰서 옆으로 이전했기 때문에 이 쪽 출구가 많이 붐비고 있다. 단 일산서구청은 4번 출구에서 공영차고지 방향으로 250~260m를 걸아가야 하고, 일산서부경찰서는 650m를 걸어가야만 한다.
  • 5번 - 장성초등학교 방면
    대화역에서 김포, 대화마을, 송포동, 장월/ 탄현, 운정, 가좌동 방면으로 가는 모든 버스는 이 쪽 출구에서 탑승한다. 정확히는 4, 5, 6번 출구가 이 버스정류장을 등지고 있는 형태로 나 있다.
  • 6번 - KT 방면이다. 과거에는 이 쪽에 일산서구청이 세들어 있던 상가가 있었고, 이쪽 방면으로 모텔이 3개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ef7c1c><bgcolor=#ef7c1c> 연도 || 파일:Seoulmetro3_icon.svg ||<bgcolor=#ef7c1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6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6년 8,945명
1997년 11,336명
1998년 11,464명
1999년 11,464명
2000년 자료없음 비고
2001년 15,230명
2002년 17,396명
2003년 20,349명
2004년 18,948명 [3]
2005년 19,575명
2006년 20,133명
2007년 20,559명
2008년 21,112명
2009년 20,663명 }}}}}}}}}
2010년 21,703명
2011년 22,834명
2012년 23,841명
2013년 25,678명
2014년 26,037명
2015년 26,536명
2016년 26,998명
2017년 27,057명
2018년 27,419명
2019년 28,374명
2020년 19,484명
2021년 19,372명
2022년 21,411명
2023년 23,143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대화역은 하루 평균 이용객 28,374명(2019년 기준)으로 일산신도시 내에 있는 모든 철도역(총 9개) 중에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원래는 주엽역, 마두역의 승객이 더 많았으나 1000번 개통 후 꾸준히 승객이 유출되었다. 이러한 대화역의 유동인구는 이 역에서 조금 떨어진 대화마을, 가좌마을뿐만 아니라 김포시(33, 97번)나 파주시(92번 등)에서 버스를 타고 넘어와서 환승하는 승객이 일부 있기 때문에 주변 인구보다 조금 더 높게 측정된다.
  • 대화역은 일산선의 역들 중 삼송역 다음으로 가장 많은 변화를 겪은 역이다. 2001년 기준으로 하루 이용객이 1만 5천여 명에 불과했으나, 2002~2006년 사이에 대화지구, 가좌지구, 덕이동, 교하읍(현재의 교하동 + 운정1, 2, 3동)에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배후인구가 증가했고, 2007년 지하철- 경기버스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가 시행되면서 입소문을 타고 이용객이 서서히 늘어갔다. 일산선에서는 삼송역 정도를 제외한다면 앞으로도 가장 전망이 밝은 역이다. 그러나 일산선이 우회한다는 특성 때문에 시간을 더 소비하는 관계로 그쪽 구간의 전반적인 수요가 낮아 구파발행을 따로 돌리기 때문에 배차간격은 좋지 않다.
  • 가파른 증가를 보인 것은 2010년대 초반으로, 2009년 20,663명에서 2014년 26,037명으로 5년 새에 5천 명 이상으로 이용객들이 늘어났다. 이는 2011년부터 입주가 시작된 운정신도시 서부지역, 교하지구, 가좌마을, 대화마을의 영향이다. 게다가 대화지구, 가좌지구(마을버스 057번 이용)에서 넘어오는 환승객도 영향을 줬고, 교하지구의 경우 운정역 야당역이 운정신도시 동부에 있어 마을버스를 타고 접근하는 게 시간을 더 소비하기 때문에 대화역으로 와서 3호선을 이용하는 것도 있다. 통상적으로 탄현지구, 덕이지구, 운정신도시는 출퇴근용으로는 대부분 경의·중앙선을 이용하지만 3호선을 이용할 때는 대화역으로 많이 온다. 이렇게 주변지역에서 환승하려는 이용객들로 출퇴근 시간에는 매우 혼잡하다. 이는 지하철 뿐만 아니라 지상의 버스들도 모두 해당된다. 그래서 주변 인구가 늘어날수록 승객도 꾸준히 늘어 바로 옆의 다음 역인 주엽역을 제쳤다. 일산선에서는 이용객 3위로 매우 많다. 3호선 전체에서도 16위로 중상위권이다.
  • 2023년 7월 1일부로 서해선 대곡역까지 연장 개통되어 대곡역에서 환승하여 수도권 서남부 지역과 강남 방면 수요를 끌어올 것으로 전망된다. 김포공항역 9호선 연계를 통한 강남 접근성이 강화된다. 현재 대화역에서 강남은 목적지에 따라 65분( 신사역)~90분( 삼성역 일대) 소요되는데, 개통되면서 예정 소요시간은 63분( 고속터미널)~72분( 봉은사) 정도로 단축된다. 단, 1회 환승이 2회 환승으로 늘어나는 단점이 있으며 중앙로 연선 및 중앙로 이남에서의 경의선 연계가 강화되어야 해결된다. 도보 역세권이 아니고 일산역으로 가는 버스가 있다면 지금도 강남행은 압구정동을 제외한다면, 역시나 일산역으로 가는 것이 좋다. 다만 킨텍스 신시가지나 가좌지구, 대화마을 같은 경우는 여전히 이동 수단이 대화역뿐이다. 왜냐하면 2회 환승을 하거나 1시간에 한 대 꼴로 오는 농어촌버스들을 제외하면 경의선역으로 가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대화마을과 킨텍스 신시가지는 GTX-A가 뚫리면, 또는 조금 더 단기적으로는 고양 버스 999(풍산역 연계)의 운행댓수가 정상화되면 그쪽으로 빠져나갈 것이고, 가좌지구가 의존도가 높다.
  • 일산선의 종점이자 수도권 전철 3호선 전체의 종점이기 때문에 출퇴근시간에 앉아가려는 이용객들이 대화역을 많이 이용한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최소 마두역, 최대 화정역까지는 자리가 있었으나, 3호선의 이용객이 늘면서 대화역이 아니면 출퇴근시간 착석은 보장되지 않으며 출퇴근시간대에는 대화역부터 입석이 발생하는 경우도 간혹 있기 때문에[4]위에 언급된 택지지구뿐만 아니라 탄현동, 덕이동,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있는 지역과 킨텍스제2전시장 오른쪽에 있는 새로 건설된 아파트단지 주민들도 3호선을 이용하려 할 때는 대화역을 많이 이용한다.
  •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의 내용에 따르면, 일산선이 파주 금릉역 연장까지의 계획이 논의되고 있어 만일 파주 운정-금릉역까지 연장이 될 경우, 파주 운정신도시에서 대화역으로 환승하는 버스 환승객 수요가 다소 빠져나가게 될 전망이다. 현재까지는 빠른 착공은 어려울 것으로 보여서 그래도 당분간은 대화역의 승하차율은 감소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5. 승강장

파일:대화승강장.png
파일:대화역명판.png
승강장 역명판
파일:20180217_155156.jpg
스크린도어 안에 있는 대화역 역명판
종착역
1 2
주엽
1·2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충무로· 수서· 오금 방면
이 역은 특정한 종착 승강장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

러시 아워에는 체계적으로 2번으로 들어와서 회차선을 거친 후 1번 승강장에서 출발하지만, 평시에는 당역종착으로 들어온 자리(2번)에서 대기하다가 다시 출발하여 건넘선을 넘어가는 착발 형식으로 운행한다. 아니면 건넘선을 미리 넘어와서 1번 승강장으로 들어와서 대기하다가, 다시 그 자리에서 주엽 방향으로 출발하는 경우도 있다. 이 운행 방식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안심역이 이용하고 있는데, 하양 연장 구간의 통신설비 공사 때문에 대화역의 방식으로 운행하는 것으로 임시조치한 것이다.

최근에는 1번 승강장과 2번 승강장에서 출발하는 열차를 대화역 시간표에 적어 놓았다. 시간표 행선지 옆에 1, 2라고 표시해서 운영하며, 1번 승강장에서 출발하는 열차들은 2번 승강장에 들어온 후 회차선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대화역 진입 직전에 있는 건넘선으로 들어가기 위해 1번 승강장에서 출발하는 열차를 보낼 목적으로 감속운행하기도 한다.

9호선 종합운동장역이나 일본 긴자역도 비슷한 사례이지만, 종합운동장역은 일반과 급행 승강장을 구분해서 쓰는 방식이라 약간 성격이 달랐고 9호선 3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종합운동장역은 해당 체계가 사라졌다. 북한산우이역, 신설동역, 관악산역도 승강장 하나만 이용 중이다.

심야 시간대에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3편성이 이 역에서 주박한 후 첫차시간대에 다시 출발한다.
  • 평일
    • #K3384→(다음날)#K3025
    • #K3414→(다음날)#K3013
    • #K3422→(다음날)#K3009
  • 주말 및 공휴일
    • #K3342→(다음날)#K3029
    • #K3352→(다음날)#K3017
    • #K3356→(다음날)#K3013

6. 연계 버스

고양 BRT (중앙로)
일반 대화역 백병원
급행 문촌마을·주엽역

대화역 정류소는 가변차로이긴 하지만 다음 정류소인 백병원부터 중앙차로 구간이 시작되기에 실질적인 고양 BRT의 시발점 취급을 받는다.
대화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대화역
(20085)
주엽역 방면
<colcolor=#ffffff> 마을
누리
시내
간선
직행좌석
광역
경기순환
광역급행
대화역
(20086)
가좌동 방면
마을
누리
시내
맞춤형
간선
직행좌석
광역
경기순환
광역급행

7. 사건 사고

2022년 1월 19일, 노숙자 동사한 사고가 생겼다. 역사의 직원들이 노숙자가 있는 것을 보지 못하고 문을 닫아서 그대로 동사한 것으로 보인다.

8. 매체에서

신과함께에서는 일산에서 죽은 사람의 영혼이 3호선 대화행 막차까지 운행 종료 후 이 역에서 초군문행 열차에 탑승한다고 한다. 원작에서는 모든 좌석이 노약자석이고, 게임판에서는 이승의 지하철과 노약자석/일반석이 반대이다. 초군문역 도착 후에는 저승차사들이 이승에 다시 가기 위해 대화행으로 행선지를 바꿔 출발한다. 저승편 2화에서 고증오류가 있다. 실제 대화역은 섬식 승강장이지만 신과함께에서는 상대식 승강장이다. 다만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에서는 김자홍이 귀인인 데다가, 부산 KNN 신 사옥 화재 진압 때 구조 도중 사망했기에 이 열차에 타지 않고 바로 포탈(귀인에게만 주어지는 특혜)로 이동한다.

9. 기타

  • 여기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갈 때 명성 1500번을 타고 당산역에서 9호선으로 환승하는 것이 대체로 빠르나, 10분도 차이나지 않는다. 33-1번을 타고 김포로 넘어가(김포초교 하차 후 도보) 김포시외버스터미널에서 8600번으로 환승하고 당산역에서 9호선으로 환승해서 가면 최소 50분 안에 도착하지만, 기다리느라 2시간을 넘기기도 하므로 좋은 방법이 아니다. 8600번이 오지 않으면 1500번을 탄다.
  • 지금은 대화마을이나 킨텍스 신시가지의 경우 33번이나 33-1번으로 걸포북변역에 가서 김포 골드라인을 이용한 다음, 김포공항역에서 9호선 환승을 하면 선릉이나 삼성쪽의 경우 조금 더(15분 정도) 빠르다. 터미널은 그때그때 다르고 평균적으로는 5분 정도 빠르기는 하나 환승횟수가 많아 3호선이 편하다. 다만 중앙로 북쪽에서 접근한다면 경의선을 이용하는 게 더 낫고, 가좌지구는 3호선밖에 방법이 없다.
  • M7731번의 개통으로 M7731번을 타고 합정역을 가서 2호선으로 갈아탄 뒤 당산역에서 9호선으로 갈아탄다면 차가 막히지 않을 경우 50분 안에 고속터미널로 도착한다.
  • 대화역으로 다니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들은 한동안 대다수가 광역버스였는데, 몇몇 노선들이 폐지되거나 간선버스로 전환되면서 현재는 광역버스의 비중이 줄어들었다. 현재 대화역으로 다니는 서울 일반버스는 707번 760번뿐이다. 이마저도 본래는 각각 광역버스 9701번 및 9708번이었다가 간선버스로 전환된 것이다. 일산방면 서울 일반버스들은 대부분 대화역 윗동네를 거치다 보니, 대화역으로 다니는 서울 일반버스는 많지 않다. 773번은 농수산물센터에서 문촌4단지 쪽으로 진입하고, 700번은 장성중학교에서 국립암센터로 올라간다. 그 외에 771번과 7728번은 한참 북쪽의 구일산으로 다니는 노선이고, 703번은 원당에서 풍동 쪽으로 직진해서 중산과 탄현으로 다니는 노선이라 대화역으로 올 일이 아예 없다. 심지어 7727번은 중앙로를 잘 달리다가 일산동부경찰서에서 중산 쪽으로 꺾어서 설문동으로 올라간다.
  • 한때 근방에 우후죽순으로 세워진 러브호텔 때문에 문제가 많았다. 러브호텔 그 자체는 별 문제가 없으나, 아파트 단지와 초등학교의 바로 길 건너편에 서너 개씩 뭉쳐 있기 때문이다.
  • 코믹월드 KINTEX에서 개최되면 이곳에 몰린다. 다만 역사랑 킨텍스까지의 거리가 멀어서(도보로 대략 15분 거리) 대합실에서 코스프레하는 이용객이나, 1회용 교통카드를 발권하기 위한 이용객들이 많이 없는 편이다. 게다가 대화역에서 코스프레를 할 필요가 없는 게, KINTEX 건물 자체가 크고 전시장 위층에 있는 회의실 2개를 추가로 임차해서 남성, 여성탈의실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회의실 내부에는 사물정리구역도 따로 있다. 킨텍스에서 2019년 12월 27일 KBS 가요대축제가, 2021년 12월 31일 HYBE 레이블즈 합동 콘서트가 열렸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 구 서울메트로 운영 노선상의 종착역은 내리는 문 방송을 하지 않지만, 전광판에는 내리는 문 방향을 표시한다. 성수역, 신도림역(본선, 지선 모두 해당), 까치산역, 신설동역, 오금역, 진접역 등은 표시한다. 그러나 대화역은 서울교통공사 열차와 한국철도공사 열차 모두 전광판에서도 내리는 문 방향을 표시하지 않는다. 이는 대화역 배선 특성상 한산한 낮 시간대에는 아무 승강장에 정차한 후 바로 회차하므로, 어느 쪽 승강장에서 회차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나마 서울교통공사의 2차 도입분 열차는 출입문 옆의 내리는 문 표시등이 켜진다.[5]

[1] 개정 전 0번(1996~2000년) → 310번(2000~2014년) → 309번(2014년~현재). [2] 정동일, "우리고장 고양 이야기", 높은 빛, 1999, p.241. [3]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했다. [4] 다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화역부터 서서 가지 않고, 착석 보장을 위해 다음 열차를 기다렸다 승차한다. [5] 그런데 항상 오른쪽 문이라고만 안내한다.

10.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f7c1c> 일산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일산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고양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02574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KTX BI.svg 행신 · 대곡
무궁화호 대곡 · 원릉
파일:Seoulmetro3_icon.svg 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지축
파일:GJLine_icon.svg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한국항공대 · 향동
파일:SeohaeLine_icon.svg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킨텍스 · 대곡 · 창릉
서부선 고양시청 · 화정 · 창릉 3 · 창릉 · 창릉 1 · 향동지구
도로 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선 · 평택파주선 · 인천국제공항선 · 양재고양선
국도 1( 통일로) · 39( 호국로) · 77( 자유로)
지방도 78 · 98 · 356 · 357(제2자유로) · 359 · 363 · 367
버스 고양종합터미널 · 화정터미널[1] · 일산터미널
고양BRT · 고양시의 버스 목록 · 고양시의 마을버스
공유자전거 피프틴[2] · TAZO · 쏘카일레클 · 카카오 T 바이크
공유킥보드 BEAM · Lime · SWING · 씽씽 · 지쿠터 · 킥고잉[3]
경기도의 교통
[1] 2023년 5월 31일 운영 종료
[2] 2021년 6월 1일 부로 사업 종료
[3] 2023년 12월 28일 부로 고양시 서비스 철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