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3:00:22

이라클리오스

에라클리우스에서 넘어옴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이라클리오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wiki style=""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라틴어 문구 색상 범례
  • Annus A post consulatum B (et C): B(와 C)의 집정관 집권으로부터 A년 뒤
황제 겸 집정관 }}}
601년 602년 603년 604년 605년
플라비우스 마우리키우스 티베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마우리키우스 티베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포카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Focae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Focae Augusti
606년 607년 608년 609년 610년
Annuspost consulatum Focae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Focae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Focae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Focae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Focae Augusti
헤라클리우스
플라비우스 헤라클리우스
611년 612년 613년 614년 615년
플라비우스 헤라클리우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플라비우스 헤라클리우스 노부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616년 617년 618년 619년 620년
Annus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621년 622년 623년 624년 625년
Annus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Ⅲ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Ⅳ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626년 627년 628년 629년 630년
Annus ⅩⅤ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Ⅵ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Ⅶ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Ⅷ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Ⅸ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631년 632년 633년 634년 635년
Annus ⅩⅩ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Ⅺ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Ⅻ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ⅩⅢ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ⅩⅣ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636년 637년 638년 639년 640년
Annus ⅩⅩⅤ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ⅩⅥ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ⅩⅦ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ⅩⅧ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Annus ⅩⅩⅨ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플라비우스 콘스탄티누스 헤라클리우스 아우구스투스
641년 642년 643년 644년 645년
Annus ⅩⅩⅩ post consulatum Heraclii Augusti 플라비우스 콘스탄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646년 647년 648년 649년 650년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651년 652년 653년 654년 655년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 ⅩⅢ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656년 657년 658년 659년 660년
Annus ⅩⅣ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 ⅩⅤ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 ⅩⅥ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 ⅩⅦ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 ⅩⅧ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테오도시우스
파울루스
661년 662년 663년 664년 665년
Annus ⅩⅨ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 ⅩⅩ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 ⅩⅪ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 ⅩⅫ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 ⅩⅩⅢ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666년 667년 668년 669년 670년
Annus ⅩⅩⅣ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Annus ⅩⅩⅤ post consulatum Constantis Augusti 플라비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671년 672년 673년 674년 675년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676년 677년 678년 679년 680년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681년 682년 683년 684년 685년
Annus ⅩⅢ 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 ⅩⅣ 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 ⅩⅤ 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 ⅩⅥ 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Annus ⅩⅦ post consulatum Constantini Augusti
686년 687년 688년 689년 690년
플라비우스 유스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Justinia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Justinia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Justinia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Justiniani Augusti
691년 692년 693년 694년 695년
Annuspost consulatum Justinia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Justinia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Justinia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Justinia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Justiniani Augusti
696년 697년 698년 699년 700년
Annuspost consulatum Justinia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Justiniani Augusti Annuspost consulatum Justiniani Augusti 티베리우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Tiberii Augusti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로마 제국 제66대 황제
이라클리오스
Ἡράκλειος
파일:이라클리오스.jp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플라비오스 이라클리오스 아우구스토스
(Φλάβιος Ἡράκλειος Αὔγουστος, 그리스어)[1]
플라비우스 에라클리우스 아우구스투스
(Flavius Heraclius Augustus, 라틴어)[2]
출생 575년
로마 제국 카파도키아
사망 641년 2월 11일 (향년 65세)
로마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
재위 기간 로마 황제
610년 10월 5일 ~ 641년 2월 11일 (31년)
전임자 포카스
후임자 콘스탄티노스 3세
이라클로나스
부모 아버지 : 대 헤라클리우스
어머니 : 에피파니아
배우자 파비아 에우도키아
마르티나
자녀 콘스탄티노스 3세, 이라클로나스 외 9명
종교 기독교
1. 개요2. 황제가 되기까지3. 막장 제국4. 로마-페르시아 전쟁
4.1.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4.2. 전쟁의 끝
5. 말년: 이슬람의 폭풍6. 평가
6.1. 공용어 전환 조치에 대하여
7. 창작물에서

[clearfix]

1. 개요

가장 고귀한 신이며, 이 세상의 왕과 주인이며, 위대한 호르미즈드 호스로의 아들이 천하고 무지한 노예 이라클리오스에게 고하노라.
너는 우리의 지배를 거부하고 스스로를 군주라고 칭하고 있다. 너는 우리의 보물을 빼앗고 우리의 하인들을 속이고 있다. 도적 떼 같은 군대로 우리를 끊임없이 괴롭히고 있다. 내 어찌 너희 그리스인들을 멸하지 않으리? 너는 을 믿는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그 신은 어이하여 내 손에서 카이사레아,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를 빼앗아 가지 않느냐?…… 내가 콘스탄티노폴리스까지 파괴하지 못할 줄로 아느냐?

호스로 2세가 622년경에 이라클리오스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로마 제국의 66대 황제이자 이라클리오스 왕조의 창건자이다. 제국 최대의 적이었던 사산조 페르시아의 대대적인 침공으로 최악의 위기에 봉착한 제국을 구해낸 위대한 황제이지만, 뒤이은 신흥 이슬람 제국의 진공 앞에서는 맥없이 무너져내린 황제로, 그 당대부터 찬사와 비난이 교차했다.

보통 고대 로마의 전통을 끝내고 중세 동로마 제국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현대 그리스에서도 이 견해를 받아들이고 있다.[3]

이러한 역사적 평가를 두고 학계에서는 여러 논란이 있지만,[4] 동로마 제국이 7세기 이후로 어떤 형태로든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띄게 된 계기를 제공한 황제임은 분명하다. 근래 영미권 사학계 저술에서는 서로마가 멸망한 것과는 관계없이 이라클리오스 전후 시기를 분기점으로 해서 그전까지는 동로마에 대해서 '로마'라고 지칭하고, 그 이후부터는 '비잔티움'이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많이 보인다. 실제로 제국이 범 지중해적인 패권국이었던 것은 이라클리오스 시기가 마지막이라서,[5][6] 범 지중해적인 패권을 잃고 나서는 (법통상으로는 여전히 분명한 로마이지만) 더 이상 '로마'라고 부르기에는 위신이 너무 추락해 버렸으며 성격 또한 다소 달라졌다고 보아[7] '비잔티움'으로 부르는 것이다.

이를 반영한 것인지 영어 위키백과 로마 역대 황제 문서에서는 본격적으로 그리스어를 사용함으로써 동로마만의 독특한 문화가 발아된 시점인 이라클리오스 왕조부터의 로마 황제들을 후기 동방 황제(Later eastern emperors)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다.

2. 황제가 되기까지

이라클리오스는 아르메니아 혈통의 집안 출신으로 아버지는 카르타고 총독으로 같은 이름을 가진 대 헤라클리우스였다. 그는 카르타고의 군정과 민정을 총괄하는 총독(엑사르쿠스, 영어로는 Exarch)[8]이었으며 황제 포카스[9]의 폭정이 심해지자 608년 제국의 곳곳을 다니며 2년 동안 세력을 규합하고 마침내 610년 휘하 병력을 이끌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진격했다. 당시 포카스는 하나밖에 없는 사위마저도 의심하여 체포하려 들었을 정도로 제정신이 아니었으며 이런 황제 밑에서는 제국이 망할 게 분명하다 여겨 모든 귀족이 등을 돌리고 있었기에 이라클리오스는 사실상 무혈입성하여 포카스를 폐위하고[10] 610년 황제로 등극한다. 이때 포카스를 붙잡은 이라클리오스는 그에게 "그대가 바로 제국을 이 꼴로 만든 자인가?"라고 물었는데, 이에 포카스는 "그대가 나보다 더 잘 통치할 수 있겠는가?"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이라클리오스는 크게 분노하여 그 자리에서 직접 포카스의 목을 베어버렸다. 살해된 포카스의 시체는 여러 조각으로 잘려 사냥개들에게 던져졌다고 한다.

포카스의 동생 코멘티올로스는 형의 원수를 갚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지만 610년 말 또는 611년 초 부하 유스티누스에게 피살되었다.

3. 막장 제국

하지만 전임 황제 포카스가 너무 많은 사람들을 숙청하면서 제국의 방위 체계를 모조리 망가뜨려 놓았던지라, 사산조 페르시아 호스로 2세가 진격했을 때는 제대로 방어가 가능하리라는 보장이 없었다. 마침내 로마-페르시아 전쟁이 발발하자 611년에 시리아, 아나톨리아를 정복당하고, 613년 막기 위해 군사를 보내지만 안티오크에서 이마저도 격파당하며 다마스쿠스도 점령당하고, 614년에는 예루살렘마저 빼앗겨 제국의 최고 성유물 성십자가마저 빼앗긴다. 뒤이어 호스로 2세는 617년에는 콘스탄티노플의 보스포루스 해협 바로 건너 편의 칼케돈까지 도달했다. 619년에는 알렉산드리아를 정복했고 621년쯤에는 나일 강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 이집트를 거의 완전히 접수했다.[11] 그래서 기원전 123년에 그라쿠스 형제 중 동생인 가이우스의 주도로 수도 시민에게[12] 곡물을 제공하기 시작한 이래 750년 가까이 계속되어 오던, 그 유명한 빵과 서커스의 '빵'이 이 때 완전히 끊어졌다. 거기다가 622년에는 로도스 섬마저 함락당하는 초유의 위기 상황이 되었다.
파일:lbr07980.jpg
(로마의)헥사그람 화폐에 따르면 이 즈음인 615년에 주조한 주화의 뒷면에는 'DEUS ADIUTA ROMANIS', 즉 '신이시여 로마를 도와주소서'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고 하니 얼마나 상황이 절망적이었는지 넉넉하게 파악할 수 있다.

대단히 임팩트가 큰 이 상황 때문에 이라클리오스가 무력하게 영토를 잃고 있었다는 오해가 있었으나, 그에게는 남은 야전군을 끌어모아 회전에서 도박적인 승부를 벌이는 방법이 아직 남아 있었다. 하지만 이라클리오스는 그렇게 하지 않고, 일단 후퇴는 하더라도 시간을 벌어가면서 후퇴하는 대신 잔여 병력을 철저하게 훈련시켜 단위 전투력의 질을 끌어올리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622년, 영토를 절반 넘게 잃은 상황에서도 동방 방면 야전군들은 그래도 병력을 2/3 넘게 건사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동안 제국 서쪽에서 슬라브 아바르에게 호스로 2세의 페르시아군에게 입은 것보다 훨씬 더 큰 타격을 입어 일리리쿰군이 거의 궤멸되고 말았다( 동로마-아바르 전쟁). 훗날 아랍인들과의 전투에서도 야전군 전체가 통째로 날아가는 일은 한 번도 없었다는 점을 돌이켜 볼 때, 이 참사가 이라클리오스에게 얼마나 큰 충격을 안겨주었을지는 상상이 어렵지 않다.

때문에 이래도 저래도 방법이 없겠다 싶은 이라클리오스는 카르타고로 수도를 옮길 생각까지 하지만, 카르타고로 가려는 배가 악천후로 침몰한 데다가 총대주교의 만류로 생각을 고쳐 먹는다.

한편 619년 환관이자 라벤나 총독이었던 엘레우테리우스가 황제를 자칭하고 로마를 수도로 하는 황제국을 세우려 했지만, 620년 병사들에게 피살되어 무위에 그쳤다.

4. 로마-페르시아 전쟁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caeb3a1b3fc4a357d400583b97800a06.jpg
심기일전한 이라클리오스는 622년 이콘을 앞세워 군사들을 격려하고 성전을 주장하며, 교회에서도 많은 기부를 받아( 하기아 소피아의 금까지도 벗겨가며) 돈을 충당하여 드디어 건곤일척의 승부수를 걸게 된다. 그래서 이것을 최초의 십자군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다. 예를 들면 '비잔티움 연대기'(줄리어스 노리치 저)라든가... 또한 아예 이 견해가 책 제목에 들어간 단행본 외서도 존재한다.[13] 앞서 봤듯 이라클리오스가 그동안 했던 치밀한 준비를 보면 그렇게 아주 놀라운 기적이라고까진 할 수 없으나, 이라클리오스에게 비범한 조직력과 장군으로서의 천부적인 자질이 함께 있었던 건 분명하다. 조직력이라면 몰라도 이라클리오스는 그전까진 야전에서 제대로 된 전투를 경험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 그런데도 본인이 직접 군대를 통솔해서 많은 승리를 거두었다는 것은 높이 사줄 만한 동시에, 제국에 다른 믿을 만한 장군이 없었다는 암울한 점도 시사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50px-Byzantine-persian_campaigns_611-624-mohammad_adil_rais.png
이라클리오스가 이끄는 군대는 샤흐르바라즈가 이끄는 페르시아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둬 아나톨리아를 위협하는 페르시아 군대를 어느 정도 처리하는 데 성공하였다. 623년 수많은 배신 행위에도 불구하고 아바르와 강화를 맺은 이라클리오스는 2만 명만의 군사를 이끌고 페르시아의 중심부로 출발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50px-Mohammad_adil_rais-map1.png
놀랍게도 이라클리오스는 계속 승리를 거둬 아르메니아의 수도를 점령하고 호스로 2세의 군대를 상대하여 승리를 거두었으며 유명한 조로아스터교 사원인 성화(聖火) Ādur Gušnasp의 사원을 부수는 등의 활약을 한 뒤 티그레니커트에서 페르시아의 세 부대를 각개격파하는 놀라운 전과를 세운다. 625년 반 호수 북쪽에서 겨울을 보낸 이라클리오스는 빼앗긴 도시들을 수복한 뒤 아다나에서 황제가 직접 진삼국무쌍을 찍으며 트레비존드로 퇴각하는데 성공한다.

4.1.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Cherub_plaque_Louvre_MRR245.jpg
호스로를 참수하는 이라클리오스. 그림을 잘 보면 ‘이라클리오스 대제’라고 쓰여 있다.
626년 호스로 2세는 아바르족과 힘을 합쳐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한다. 하지만 제국의 우월한 해군력에 아바르족과 페르시아의 해군은 궤멸당하고 공략은 실패로 돌아간다.

이때 이라클리오스는 군대를 세 부대로 나누어 하나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향하게 하고, 하나는 동생[14] 테오도로스에게 주어 사힌의 군대를 공격하게 하고, 자신은 가장 적은 규모의 부대를 이끌고 페르시아로 진격한다. 사힌의 부대를 상대한 테오도로스가 승리를 거두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전투도 승리한데다가 서돌궐마저 끌어들여 페르시아를 공격하게 하니 황제는 아무 것도 걱정하지 않고 페르시아로 진격할 수 있었다.

4.2. 전쟁의 끝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14px-Bernat%2C_Martin_Saint_Helena_%26_Heraclius_taking_the_Holy_Cross_to_Jerusalem.jpg
성십자가를 가져오는 이라클리오스
이라클리오스의 제국군이 니네베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15] 궁전까지 약탈하게 되자 호스로 2세는 궁정 반란으로 축출된다. 부친을 몰아내고 새로운 샤가 된 카바드 2세는 제국에 화친을 요청하였고, 이라클리오스는 모든 빼앗긴 영토를 되찾고 성십자가 등의 성유물을 가져와 한니발 바르카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이후 가장 대담하고 놀라운 일을 해냈다고 칭송받으며 국민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게 되었다. 원로원도 새로운 스키피오라는 존호를 바쳤다고 한다. 로마 공화정, 즉 고대 로마와의 연속성을 인식하고 있는점이 잘 드러나는 부분.[16]

여기서 만약 그가 이쯤에서 죽었다면,
  1. 나라를 엉망진창으로 망가트리던 포카스 축출
  2. 멸망 직전의 나라를 되살림
  3. 제국 역사상 한 번도 제대로 이기지 못한 사산 왕조를 완전히 괴멸시켜 그들의 샤한샤를 '로마 황제의 노예'로 만듦
  4. 최고의 성유물 성십자가를 탈환

한마디로 위대한 업적을 달성한, 그야말로 동로마 제국의 전성기를 구가했다는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나란히 평가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불행히도 그는 오래 살았고, 제국의 변방에서는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새로운 세력이 태동하고 있었다.

[clearfix]

5. 말년: 이슬람의 폭풍

잘있거라, 시리아여. 그대에게 기나긴 작별 인사를 고한다. 나의 사랑하는 속주여. 너의 아름다움은 이제 이교도의 수중에 있구나. 오, 시리아여, 그대에게 평화가 있으라.[17]

638년의 이라클리오스, 시리아를 떠나며
이슬람 팽창 문서 참고.

625년까지만 해도 이슬람 제국은 1,000명이 싸웠다 하면 300명이 도망칠 정도의 오합지졸이었다. 하지만 이라클리오스가 사산조 페르시아에게서 힘들여 수복했던 영토 중 상당 부분은 할리드 이븐 알 왈리드를 앞세운 이슬람의 공세에 모두 빼앗기고 만다. 지금까지 싸웠다 하면 이겼던 황제였지만 본인이 노쇠와 병마 때문에 직접 전투를 지휘하지 못했고, 휘하의 동로마 장군들은 수적 우세를 가지고도 할리드에게서 단 한 번의 승리도 거두지 못한 것이 참으로 제국에 큰 불운이었다. 또한 종교적 갈등도 컸다. 시리아에 우세하던 단성론은 한 세기 이상 로마 당국에게 차별을 받다가 6세기 초엽 약 20년간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으며 종교적 관용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이라클리오스의 재정복과 함께 칼케돈 주의가 재차 강요되자 단성론 신자들은 분노한 것이다. 이는 페르시아처럼 저항만 하지 않는다면 종교적 자유를 약속한 이슬람에게 현지인들이 무관심 혹은 환영의 자세를 취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 페르시아와의 전쟁으로 엄청난 세금을 과세한 동로마에 비해 이슬람의 지즈야가 덜 가혹했던 점도 있다.

이렇게 온갖 패배를 당하고 백성들로부터는 조카딸과 결혼해서 신의 천벌을 받은 것이라는 온갖 비아냥을 들었으며 각종 병마에 시달린 나머지[18] 폭이 좁은 곳은 750m밖에 되지 않는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널 때조차 별별 이상한 방법을 동원해서 겨우 건넜다.[19] 이 와중에 사생아 요안니스 아탈라리치오스 등이 이라클리오스가 수도를 비운 틈을 타 반란을 꾀했다가 조기에 발각되어 신체 절단형과 유배형에 처해지기도 했다. 또 대관식을 겨우 끝낸 다음 640년에는 알렉산드리아까지 공격당했다는 소식과 641년에는 새로운 로마 교황 요한 4세가 단의론을 반대한다는 소식을 듣고 상실감에 빠져 죽고 만다. 거기다가 그는 죽으면서 저서 진술의 내용을 부정하며 "모든 게 세르기우스의 거짓말"이라는 단의론을 인정하는 말을 하고 죽는다. 그의 마지막마저 누구나도 알 만한 뻔한 거짓말이었던 것이다. 거기다가 죽고 나서도 3개월 뒤에 그의 계승자였던 장남 콘스탄티노스 3세의 명령에 따라 석관을 열고 함께 매장된 보석 제관을 벗겨내게 되는 수모를 겪게 된다.

비록 5대 대교구 중 3곳인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를 비롯해 팔레스타인, 시리아, 이집트, 아르메니아 등 아나톨리아를 제외한 동방의 모든 땅을 다 잃었지만 이라클리오스는 사산조 페르시아에게서 효과를 본 전략을 다시 가동하여 제국에 생존할 수 있는 기회와 역량을 부여했다. 이슬람 제국은 제국에게 그렇게 많은 승리를 거두었으나 동로마 제국의 핵심 야전군 다섯 중 그 어느 야전군도 제대로 궤멸시키질 못했다. 아바르와 슬라브족이 엄청난 파괴력을 자랑하며 일리리쿰 야전군 자체를 골로 보내버린 것에 비하면 생각보다는 놀라운 결과며, 이는 이라클리오스가 어느 순간부터 영토는 잃어도 군대만은 보존한다는 방침을 고수하며 방어적 전략으로만 일관한 데 이유가 크다. 물론 영토는 제국 본진인 아나톨리아 앞마당까지 다 뺏겼지만...[20]

여담이지만 예언자 무함마드가 그에게 서신을 보낸 적이 있다고 한다. 대강 하느님께 충실할 것을 요구하는 중립적인 내용으로, 이라클리오스에게는 미처 전달되지 못했다고 한다. 무함마드는 사산 왕조의 호스로 2세에게도 비슷한 내용의 서신을 보냈으나, 마찬가지로 전달되지 못했다. 그러나 이 외교문서가 진품인지, 후대의 이슬람 사가들이 각색한 것인지는 아직 학계에서 논의가 분분하다.

6. 평가

이라클리오스는 백척간두에 놓인 제국을 수습하여 기적적으로 복구해 낸 위대한 군주였다. 군관구제와 둔전병제를 최초로 실시하여 무너져가는 제국의 군대와 행정을 개편하고, 라틴어 대신 그리스어를 공용어로 채택하는 등 제국을 민심에 맞게 변화시켰다. 열강과 이민족의 침략으로 풍전등화 상태였던 동로마 제국이 그가 창안하고 정착한 군사·행정조직 덕분으로 이후 800년이나 더 존속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졌다.

개인적인 무력도 상당하고[21] 결단력도 있지만 무엇보다 그에게는 자신의 필요를 종교적 대의로 오묘하게 포장하는 능력이 있었다.

하지만 집안 관리는 못 했는데, 죽을 때 첫째 아내 파비아 에우도키아의 소생인 장남 이라클리오스 콘스탄티노스(당시 29세)에게, 이복동생이자 5촌 조카(...)[22] 이라클로나스(당시 15세)를 부제 내지는 공동황제로 삼을 것을 명했기 때문이다. 동양권의 사극에서 신물나게 나오는 그림이지만 이러면 당연히 사후 개싸움이 난다. 실제로도 그렇게 되었고.[23] 더군다나 여기는 조카딸과의 근친혼이라는 출생의 비밀 효과가 추가로 덧붙는다.

게다가 황제의 친정은 다 죽어가는 제국을 하드캐리할 원동력이 되었지만 그만큼 황제의 몸과 마음을 갉아먹어 이후의 대처에 어려움을 겪게 했다. 실제로 이슬람과 대결했던 630년대에는 페르시아와 대결했던 지난 세월처럼 직접 전쟁터에 나간 적이 한 번도 없었다.

이슬람 쪽에서는 비록 적이었지만 평가가 의외로 긍정적인 편이었는데, 쿠란에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로마가 언젠가 이길 것이라는 예언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디스에는 이슬람교에 대해 알아보고 참된 종교라 생각해 개종할 생각까지 했지만, 신하들의 반발로 하지 못했다고 나온다. 역사적인 근거는 없지만 당대 무슬림들의 시각을 보여주는 기록이다. 페르시아는 7세기에 이슬람 제국에 의해 멸망했으며 로마 제국은 15세기까지 존속되었다.

6.1. 공용어 전환 조치에 대하여

제국의 공용어를 그리스어로 바꾼 조치가 이상할 정도로 과대 평가되어 있으며, 이런 오해는 대부분의 한국 서적[24]에서 되풀이하고 문제 많은 로마인 이야기도 예외가 아니다.

본디 공화정 말기부터 서부에서는 라틴어, 동부에서는 그리스어가 공용어였다. 다만 군대에서만은 라틴어를 썼으나, 이라클리오스는 이를 그리스어로 바꾸었을 뿐이다. 라틴어를 공공장소에서 못쓰게 했다는 게 아니라, 바깥에서는 그리스어를 쓰면서 공문서와 군대에서 라틴어를 사용했던 것이 당시 상황에서는 행정력의 쓸데없는 낭비였기 때문에 그리스어로 일원화한 것이다. 영어 위키백과 Magister officiorum(현대 한국의 대통령비서실장 격) 문서에 따르면, Magister officiorum이 이끄는 궁정 내 4개 부서장 중 하나가 각종 공문들의 라틴어-그리스어 간 번역을 담당하는 'scrinium epistolarum Graecarum'이었다.[25] 즉 공문을 통해 일일이 번역해서 행정소요를 처리한다는 자체가 여유 있을 때라면 모를까 한 푼이라도 아끼고 한 순간이라도 아껴야 했던 긴급상황에는 사치가 된 것이다.
파일:Linguistic_Map_of_Justinian_I's_Empire_c._560.png
유스티니아누스 1세 치하 동로마 제국 영토 내 언어 분포
라틴어 전용
라틴어와 토착 언어 병용
그리스어 전용
그리스어와 토착 언어 병용
아람어
콥트어
아르메니아어 카르트벨리어족
지도를 통해서 알아보면, 종전에는 그리스어권이 분명히 중심지였으면서도 비 그리스어 사용 지역도 제법 되었다. 위 지도는 560년경 즉 유스티니아누스 1세 때의 언어 지도이다. 당시만 해도 그리스어권의 비중이 로마 전국에 있어서 결코 압도적이지는 않았고, 라틴어권의 비중 또한 그리스어권에 못지 않았다. 참고로 아나톨리아에서 선홍색과 커피색의 경계, 곧 그리스어 전용 지역과 병용 지역의 경계는 후대 콤니노스 왕조 요안니스 2세, 마누일 1세 때의 동로마와 룸 술탄국 간의 경계와 유사하다. 즉 소아시아 중부·동부의 고원 지역과 서부·북부·남부의 해안 지역이라는 자연지리상의 차이가 이렇게 언어권의 경계 및 국경이라는 인문지리상 차이의 형태로 극명하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파일:924px-Byzantiumby650AD.svg.png 파일:27. East Roman empire, 650-717.jpg
하지만 위 왼쪽의 650년경 콘스탄스 2세 때 및 위 오른쪽의 717년경 레온 3세 당시의 지도에서 보이듯 영토가 크게 쪼그라들었고, 이렇게 쪼그라든 제국 내에서의 (위 지도에 의거할 때의) 그리스어권의 상대적인 비중은 그 이전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아졌다. 'Transformation of Romanness'라는 논문집의 114p에도 7세기 제국 영토의 축소로 남은 영토 전역에서 통하는 유일한 언어인 그리스어가 (라틴어를 밀어내고) 지배적인 언어가 되었다는 내용이 나온다.[26]

'라틴어=로마 제국 전체의 유일한 공용어'란 이미지는 로마사를 잘 모르는 이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오해인데, 때문에 이라클리오스가 그리스어로 바꾸면서 '라틴어의 로마제국'이 아닌 '그리스어를 쓰는 그리스의 동로마 제국'으로 바뀌어 이전의 로마 제국과 단절된 듯한 느낌을 이런 대중이 받았기에 억측을 하게 되는 것이다. 로마 제국은 라틴어를 쓰는 라틴 민족의 국가가 아닌데 다른 나라 역사도 한국사와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왕왕 오해하게 된다. 또한 당시 제국에서 라틴어를 썼다고 꼭 종족적으로 라틴인이 아니었듯이, 그리스어를 썼다고 해서 꼭 그리스인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제국의 영토가 옛 전성기에서 동쪽 절반으로 줄어든 지 이미 100여 년이 지났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오히려 이런 조치는 너무 늦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도 법률이나 군사 쪽에서는 라틴어의 잔재가 강력하게 남게 된다.

황제의 공식 직함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에서 바실레우스로 바뀌게 된 건 이라클리오스 때부터지만,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라는 호칭이 완전히 폐기된 건 아니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는 처음부터 제국 동방에서는 바실레우스로 불렸다. 자세한 내용은 바실레우스 항목 참고.

한편 후대의 황제 콘스탄티노스 7세는 본인의 저술에서 제국 공용어가 라틴어에서 그리스어로 완전히 이행한 것이 7세기 초라고 기록했다.[27]

7. 창작물에서

크루세이더 킹즈 2에서는 역대 동로마 제국 소유 목록자에서 찾아볼 수 있다. 평범한 능력치지만 무력은 높은 편이고 최초의 십자군이라는 의견이 있는 것처럼 십자군 트레잇을 가진 최초의 인물. 죽을 때 기준 능력치지만 살찐을 포함한 나쁜 트레잇들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무력이 높은 이유는 페르시아 원정 당시 이라클리오스 황제가 직접 페르시아의 장군 라자테스와 일기토를 벌이기도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것 외에도 이라클리오스의 무력을 알려주는 일화가 있는데, 위에 언급된 아다나에서의 진삼국무쌍이다. 625년 아다나 인근의 사루스 강에서 도하하던 동로마군이 샤흐르바라즈의 매복에 걸려 전위부대가 섬멸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때 이라클리오스가 용맹하게 적진을 향해 돌격하여 분위기를 반전시켰고 동로마군은 위기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후퇴할 수 있었다. 이를 본 적장 샤흐르바라즈는 이라클리오스의 용맹에 감탄하며, 동로마인 배신자에게 "너희 황제를 봐라. 쇠로 된 모루처럼 화살과 창을 두려워하지 않는구나"라는 말을 건넸다고 전해진다.

소설 비잔티움의 첩자의 세계관에서는 무함마드가 정교회의 주교가 되는지라 이슬람교가 탄생하지 않았고, 동로마 제국과 사산 제국은 각각 동서의 초강대국으로 냉전을 벌인다. 이슬람에게 영토를 털리지 않았으므로 이라클리오스는 제국을 중흥시킨 황제로 칭송받으며 죽은 후 시성된다.

[1] 당대에 쓰인 중세 그리스어 발음 기준이다. 코이네 그리스어 기준으로 읽으면 플라비오스 헤라클레이오스. 그리고 잘 알려져 있기에 눈치챘겠지만, 밑에서 후술하듯 이 시기부터 그리스어가 공식화되므로, 이 황제부터는 소개를 라틴어보다 그리스어로 먼저 한다. [2] 고전 라틴어 발음으로는 헤라클리우스로, 당대에 통용되었을 대중 라틴어 발음으로는 에라클리우스라 읽는다. 사실 대중 라틴어의 H는 지역별로 발음 차이가 존재하는데, 독어권에서는 ㅎ로 발음하고 이탈리아어와 에스파냐어권에서는 ㅇ로 발음하는 편이다. 여기서는 후자의 발음이 지역상 더 알맞다고 보아 에라클리우스로 하였다(같은 원리로 히에로니모스의 대중 라틴어 발음은 이에로니무스 혹은 예로니무스이다). [3] 이는 주로 정치적인 이유가 크다. 민족주의 사관으로만 이해하면, 동로마 제국이 로마 제국일 경우 그리스인들은 무려 마리우스와 술라의 시대 이래로 19세기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전까지 2천년 가까운 기간 자신들의 독립된 민족국가를 가져본 적이 없는 민족이 되기 때문이다. 로마 제국은 보편 제국이었기에 그 제국이 그리스어를 쓰든 라틴어를 쓰든 구성원에 더 이상 이탈리아인이 있든 없든 별로 큰 문제가 아니지만, 오스만 제국 치하에서 힘겹게 독립한 그리스인들 입장에선 아닐 수도 있다. [4] 고대 로마적 전통으로부터 중세 비잔티움 제국으로 이행하는 과정은 점진적이었으며, 이라클리오스라는 개인이 담당한 역사적 역할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5] 서지중해에서 로마 자신을 제외하고 가장 강했던 카르타고를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결정적으로 거꾸러뜨린(그 이후의 카르타고는 멸망하기까지 속국 신세를 면치 못했다) 기원전 202년, 그리고 동지중해에서 가장 강했던 셀레우코스 제국 마그네시아 전투에서 꺾고서 타우루스 산맥 너머로 밀어버린 기원전 190년 즈음의, 즉 기원전 3세기 말~2세기 초부터 7세기 초중반의 페르시아 전쟁 때까지, 약 800년간 인근의 지중해, 유럽, 중근동 일대에서 로마는 심지어 아틸라의 훈족이 강성하던 5세기 중반에도[28] 국력 지표상 항상 1등을 유지해 왔다. 그런데 이슬람 제국이 등장하자 2등으로 굴러 떨어진 것이다. [6] 유스티니아누스 재정복 이후로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등 레반트의 주요도시들이 함락되는 610년대 초반까지, 그리고 전쟁을 피로스의 승리로 끝맺어 전쟁 전의 땅을 되찾은 후 (이슬람에게 얼마 안 있어 뺏기기 시작하지만) 로마는 現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일부의 해안선을 제외한 (보통 좁은 의미의 지중해에서는 빠지는 흑해를 제외하면) 지중해의 모든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서고트 왕국, 프랑크 왕국, 랑고바르드 왕국의 해군력은 로마에 맞서기에는 한참 역부족이었다. 교황령의 독립 및 카롤루스의 서로마 황제 대관 시점에서 거의 150~200년 전이라, 느슨하게나마 서유럽의 게르만 세력들을 포함한 전체 기독교권의 명목상의 종주국으로 인정받고 있기도 해서(이 당시 라틴어를 사용했던 서유럽의 저술가들도 자국이 아닌 동로마에 대해서 '(sancta) res publica'((신성한) 공화국) 등으로 높여 불렀다) 서고트나 프랑크가 로마와 지중해의 제해권을 두고 해전을 벌일 이유도 없었다. 서고트는 로마가 페르시아와 한창 전쟁 중이었던 624년, 바로 이라클리오스 당대에 現 스페인 동남부 해안가의 모든 로마령을 탈환하고서 다시 이베리아 반도를 통일했지만(즉 로마 상대로 교전을 걸어서 영토를 뺏었지만), 딱 거기까지로 이베리아 반도에 안주했을 뿐 이전의 반달인들처럼 배 타고 아프리카를 점령하려는 시도는 한 적이 없다. 오히려 7세기 중·후반 이슬람 세력이 북아프리카로 치고 들어왔을 때는 순망치한이라 생각했는지, 서고트가 자기네 군대를 파견해서 동로마를 도와주었던 적도 있다. [7] 공식석상에서의 그리스어의 공식화 및 전면화, 고대 도시 문화의 쇠퇴, 주요도시 및 해안가의 요새화, 민정-군정이 분리된 디오클레티아누스 이래 3단계 지방행정체제(대관구-관구-속주)에서 민정-군정이 일체화된 테마 제도로의 변화 등. [8] 총독부나 그 관할 영역은 Exarchate라고 한다. [9] 오늘날 이탈리아 로마의 대표적인 유적이자 관광지인 '포로 로마노'에는 포카스가 세운 기념 원주가 남아 있는데, 이는 로마 황제가 포로 로마노에 세운 마지막 기념물이다. [10] 앞서 말한 귀족층, 즉 원로원 의원들과 미리 결탁하여, 편법이지만 권위를 실어주기 위해 아직 이라클리오스가 카르타고에서 608년 출발하기 전에 원로원 의원들이 원격으로(...) 집정관직을 수여했다. 또한 포카스를 폐위시킨 것도 원로원이고, 그가 교회에 숨었을 때 원로원 의원 두 명이 따라붙어 체포해서 이라클리오스에게 신병을 넘겼다고 한다. [11] 영어 위키백과 Sasanian conquest of Egypt에 의거. [12] 초기에는 당연히 로마 시, 이후에는 콘스탄티노플까지 포함. 로마 시의 곡물배급이 끊긴 것은 #에 의하면 반달족에게 북아프리카를 뺏기고 나서라고 한다. [13] Geoffrey Regan 저 'First Crusader: Byzantium's Holy Wars'라는 책으로서, 책 앞 표지의 전투삽화가 다름아닌 이라클리오스 시절 페르시아와의 전투로 잘 알려진 사진이다. [14] 영어 위키백과에 의하면 이복동생이라고 한다. [15] 전해지는 바로는 이 전투에서 이라클리오스는 페르시아 장군 라자테스와 일기토를 벌여 승리했다고 한다. [16] 이런 연속성 인식은 적어도 바실리오스 2세 시대까지는 계속해서 이어진다. [17] 뒤에 '정말 아름다운 적들의 땅이 되겠구나' 부분이 덧붙여져 있다. [18] 물을 무서워하게 되었다고 한다. [19] 다리를 만들었다는 설 또는 배를 꾸며서 육지처럼 해놨다는 설이 있다. [20] 결국은 사산 제국에게 빼앗긴 것을 힘들게 되찾고 역습을 가했다가 새로운 세력에게 다시 빼앗긴 것. [21] 황제가 일기토에서 두 번 이겼다는 건 보통 깡과 자신감이 아니다. 황제의 위치 정도 된다면 전쟁의 승리를 위해서라도 자신의 몸을 사릴 필요가 있다. [22] 이라클리우스가 조카딸인 마르티나와 두 번째 결혼을 해서 낳은 아들, 영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이라클리오스의 이복동생인 테오도로스가 이 결혼을 반대했지만 강행했고, 나중에 테오도로스에게 이슬람 원정을 맡겼는데 그게 알려져 있다시피 실패해서 패전책임을 묻고 수감시킨 후 그 사이의 아들인 이라클로나스한테 감옥 앞에 가서 조롱하도록 시켰다고 한다(...). [23] 영어 위키백과에 의하면 독살 의혹도 강하게 제기된다. [24] 이상하게도 번역자들이 일껏 번역 잘해놓곤 후기에다가 이상한 자기 견해를 덧붙인다. [25] 저 링크 본문에 'He was also appointed head of the palatine secretariats, divided into four bureaux, the sacra scrinia, each under a respective magister: the scrinium memoriae, the scrinium epistularum, the scrinium libellorum and the scrinium epistolarum Graecarum.', 'the fourth handled the documents issued in Greek and the translation of Latin documents into Greek'라는 내용이 있다. [26] 원문 'The Greek language dominated, and since the seventh century had become, mainly as a consequence of the territorial reduction of Byzantium, the only language that was common in all parts of the empire' [27] 'Two Romes: Rome and Constantinople in Late Antiquity'라는 책의 396p에, 'in the tenth century, the emperor Constantine VII Porphyrogennetos dated the final transition to the early seventh century'라는 대목이 있다.


[28] 동-서로마는 공식적으로 분리된 적이 없으므로 당연히 동-서로마 합쳐서 말하는 것이다. 게다가 전근대 유목 제국의 특성상 정주 국가에 비해서 실 국력 대비 전투력이 유난히 세다는 점, 즉 반대로 말하면 전투력 대비 실 국력은 많이 떨어진다는 점 또한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