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23 08:26:56

아르타바스도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로마 제국 제78대 황제
아르타바스도스
Ἀρταύασδος
파일:Solidus_of_Artabasdos.pn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아르타바스도스
(Ἀρταύασδος)
출생 미상
동로마 제국
사망 미상
동로마 제국
재위 기간 로마 황제
741년 6월 ~ 743년 11월 2일 (2년)
전임자 콘스탄티노스 5세
후임자 콘스탄티노스 5세
배우자 안나
자녀 니키포로스
종교 기독교
1. 개요2. 생애
2.1. 황제 즉위 이전2.2. 찬탈과 최후
3. 출처

[clearfix]

1. 개요

동로마 제국의 황제. 그리스-로마스럽지도 않고 기독교스럽지도 않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아르메니아계이다. 741년 콘스탄티노스 5세의 명령을 받들어 우마이야 왕조를 공격하러 가다가 도중에 회군하여 콘스탄티노플을 장악하고 황제를 칭했다. 그러나 743년 11월 사르데스 전투에서 패하고 콘스탄티노스 5세에게 붙잡힌 후 아들과 함께 원형 경기장에서 실명되었다.

2. 생애

2.1. 황제 즉위 이전

아나스타시오스 2세는 713년 무렵 아르메니콘 테마의 사령관에 아르타바스도스를 임명했다. 아나스타시오 황제가 정변으로 몰락한 후, 아르메니아 테마의 스트라테고스 아르타바스도스는 그의 동료인 아나톨리콘 테마의 스트라테고스 레온 3세와 혼인동맹을 하여 새 황제 테오도시오스 3세를 몰아내기로 결의했다. 레온은 딸 안나를 아르타바스도스에게 약혼시켰고, 결혼은 레온 3세가 717년 3월 황위에 오른 후에 이뤄졌다. 아르타바스도스는 레온 3세의 집권을 도운 공으로 쿠로팔라테스 계급에 올랐으며, 기존 아르메니아 테마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옵시키온 테마의 지휘권까지 쥐게 되었다.[1] 이를 통해서 명목상 같은 직책이라도 수도와 가장 가까운 옵시키온 쪽의 직책이 보다 높은 것으로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 이후 레온 3세가 성상 파괴령을 내렸을 때, 아르타바스도스는 묵인했다. 727년 니케아 공성전에서도 우마이야군을 격퇴하는 공을 세웠다. 하지만 그는 내심 성상을 숭배하고 있었던 듯하다. 이윽고 레온 3세가 죽고 아들 콘스탄티노스 5세가 즉위하자, 그는 황위를 찬탈하기로 결심했다.

2.2. 찬탈과 최후

741년, 콘스탄티노스 5세는 아르타바스도스에게 제국을 침략하고 있는 우마이야 왕조를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아르타바스도스는 명령을 받들어 군대를 이끌고 가다가 돌연 행로를 바꿔 콘스탄티노플로 진격했다. 믿었던 매부가 이럴 줄은 꿈에도 몰랐던 콘스탄티노스 5세는 급히 탈출했고, 아르타바스도스는 콘스탄티노플에 입성했다. 방패 위에 아나스타시오스 총대주교와 함께 올라 그로부터 대관을 받았다. 그는 레온 3세의 성상 파괴령을 취소하고 교황 자카리아의 지지에 힘입어 성상 재건을 선포했으며 스스로를 성상의 수호자로 자처했다.[2] 친 콘스탄티노스파인 여러 고위관료들을 실명시켰다고도 한다. 그의 아내 안나를 황후로 삼고 아들 니키포로스를 공동 황제로 세웠으며, 다른 아들 니키타스를 아르메니아 테마의 지휘관으로 삼았다. 그러나 콘스탄티노스 5세는 아나톨리콘 테마와 트라케시안 테마의 지지를 확보하고 아르타바스도스와 일전을 벌이려 했다.

743년 5월, 아르타바스도스는 사르데스에서 콘스탄티노스 5세와 격돌했다. 그러나 그는 전투에서 패했고 니키타스가 포로로 붙잡혔다. 이후 콘스탄티노스는 11월 2일 바다를 건넜다. 아르타바스도스는 우마이야 왕조에 도움을 요청했으나, 우마이야도 내전( 3차 피트나)으로 정신없어서 거절당했다. 그 이후 공성전에 대비해서 군량, 보급 등을 모아놓으려고 보급선을 수도 밖으로 띄웠지만 보급선은 아비도스 근처에서 콘스탄티노스의 해군에 나포되었다. 마지막 수로 군을 이끌고 성문을 나가서 정면대결을 벌였지만 대패했다. 이후 굶주리는 시민들을 성 밖으로 내보내면서까지 저항했으나 결국 입성을 허용했고, 니케아로 도망가기 위해 항구로 가는 도중에 체포되었다. 아르타바스도스와 그의 아들들은 공개적으로 실명형에 처해지고 콘스탄티노플 외곽의 초라한 수도원으로 유폐되었다. 그가 언제 사망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3. 출처

Artabasdos: The Isaurian Civil War (유튜브 'Eastern Roman History')
[1] 영어 위키백과 Artabasdos 중, 'Artabasdos was awarded the rank of kouropalates ("master of the palace") and became commander (count, komēs) of the Opsikion theme, while retaining control of his original command.' [2] 영어 위키백과 Anastasius of Constantinople 중, 'To gain support from those opposed to the iconoclastic policy, Artabasdos reversed it and declared himself the "Protector of the Holy Ic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