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08:42:31

안동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안동호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슬기로운 감빵생활'의 똘마니(안동호)에 대한 내용은 똘마니(슬기로운 감빵생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안동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 파일:댐 일러스트.png 낙동강 수계의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555"
낙동강
낙동강하굿둑
부산광역시 강서구
안동댐
경상북도 안동시
성덕댐
경상북도 청송군
밀양강
밀양댐
경상남도 밀양시
운문댐
경상북도 청도군
남강
남강댐
경상남도 진주시
황강
합천댐
경상남도 합천군
금호강
영천댐
경상북도 영천시
보현산댐
경상북도 영천시
동화천
공산댐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천
가창댐
대구광역시 달성군
위천
군위댐
대구광역시 군위군
내성천
영주댐
경상북도 영주시
반변천
임하댐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강
대곡댐
울산광역시 울주군
사연댐
울산광역시 울주군
수영강
회동댐
부산광역시 금정구
한강 · 금강 · 영산강 및 섬진강 · 낙동강
}}}}}}}}}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호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반도
경포호 · 광포 · 궁남지 · 대청호 · 동궁과 월지 · 만포 · 보령호 · 삼지연 · 상사호 · 서번포 · 석촌호수 · 소양호 · 수풍호 · 시화호 · 아산호 · 안동호 · 임하호 · 영랑호 · 우포 · 옥정호 · 영천호 · 운문호 · 용담호 · 의암호 · 진양호 · 주암호 · 탐진호 · 천지(백두산) · 청초호 · 청평호 · 춘천호 · 충주호 · 풍호 · 파로호 · 팔당호 · 합천호
아시아
가오유호 · 갸링호 · 그레이트비터호 · 나마크호 · 달호 · 둥팅호 · 디퍼빌호 · 랜 오브 쿠치호 · 바베호 · 박테간호 · 베히세히르호 · 바이칼호 · 반호 · 발하슈호 · 밴 사가르호 · 뱀바나드호 · 보잉각호 · 부르두르호 · 부이르호 · 비와호 · 사해 · 사라가미시호 · 세반호 · 슈마리나이호 · 슨타롬호 · 신지호 · 아랄해 · 아사드호 알라콜호 · 에이르디르호 · 우르미아호 · 오쿠타마호 · 우브스호 · 웨이샨호 · 엘링호 · 이나와시로호 · 이식쿨호 · 차오호 · 칭하이호 · 카간호 · 타이호 · 테르타르호 · 토야코호 · 토바호 · 트리안호 · 판공초호 · 포양호 · 하르어스호 · 하문호 · 하말호 · 하바니야호 · 하우저사디야호 · 한카호 · 할라호 · 함마르호 · 해호 · 후룬호 · 훕스굴 호 · 훙쩌호
유럽
네미호 · 네스호 · 노이지들러호 · 뇌샤텔호 · 니이호 · 더그호 · 도이란호 · 데흐 생트코크호 · 라도가호 · 레만호 · 리호 · 마르카르호 · 멜라렌호 · 뮈리츠호 · 베네른호 · 벌러톤호 · 부르제호 · 보덴호 · 볼세나호 · 브라치아노호 · 비스토니다호 · 비스툴라석호 · 사이마호 · 슈베린호 · 슈타른베르크호 · 알바노호 · 애그블래트호 · 에이설호 · 오네가호 · 오흐리드호 · 안시호 · 암머호 · 옐마렌호 · 왈헤렌호 · 울스워터호 · 카라차이호 · 코리브호 · 콜핀호 · 킴호 · 트라시메노호 · 펀시나호 · 페이푸스호 · 포고호 · 폰디호 · 프레스파호 · 프스콥스코예호 · 플라우호 · 플레센호 · 헤비츠호
아프리카
게메리호 · 교가호 · 나세르호 · 나트론호 · 누비아호 · 니앙가이호 · 랑가와호 · 룩와호 · 마이은돔베호 · 말라위호 · 므웨루호 · 뱅웨루호 · 볼타호 · 빅토리아호 · 샬라호 · 세인트루시아호 · 아바야호 · 아베호 · 아비자타호 · 아오관도우호 · 아팜보호 · 에드워드호 · 에토샤호 · 엘버트호 · 엘제리드호 · 월루프호 · 지와이호 · 차드호 · 차모호 · 쵸멘호 · 츄 바히르호 · 카리바호 · 카오라바사호 · 코시호 · 키부호 · 타나호 · 탕가니카호 · 투르카나호 · 툼바호
북아메리카
가우어호 · 골드샌드호 · 구이자호 · 그레이트베어호 · 그레이트솔트 호 · 그레이트슬레이브호 · 니카라과호 · 니피곤호 · 러셀호 · 레인디어호 · 로사호 · 마나과호 · 매니토바호 · 모레인호 · 미스타시니호 · 슈스왑호 · 서던 인디언호 · 시더호 · 애서배스카호 · 오대호 · 오파추아나우호 · 월라스톤호 · 웰스호 · 우즈호 · 위니펙호 · 위니피고시스호 · 이던호 · 이사발호 · 줌팡고호 · 카무카위호 · 타호 호 · 텍스코코호 · 페텐이트자호 · 폰차트레인호 · 하이락호
남아메리카
가예투예호 · 라코차호 · 리니우에호 · 문다석호 · 발렌시아호 · 부디석호 · 빌러리카호 · 우루우루호 · 카부르과호 · 토타호 · 티티카카호 · 파투스석호 · 푸우푸호 · 헤레라호 · 후닌호
오세아니아
디서포인트먼트호 · 맥케이호 · 블랑쉬호 · 실베스터호 · 아마테우스호 · 에어호 · 카네기호 · 타라불호 · 타우포호 · 토런스호 · 프롬호
남극
보스토크호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835b38 10px, transparent 10px calc(100% - 10px), #835b38 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835b38><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인사(3공) · 인사(4공) · 통일주체국민회의
여당 민주공화당
연립여당 유신정우회
정책 및 방향 제1~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중화학공업화 · 수출주도산업화 · 한강의 기적 · 남동임해공업 벨트 · 녹화사업 · 그린벨트 · 새마을운동 · 관치금융 · 관선임명제 · 국민교육헌장 · 중·고교 평준화 · 특성화 학과 · 경부고속도로 · 1기 지하철 계획 · 전원개발계획 · 농어촌 전화 사업 · 고리원자력본부 · 승압 사업 · 한일수교 · 한미행정협정 · 파독 근로자 · 중동 건설 · 베트남 파병 · 혼분식 장려 운동 · 통일미 · 율곡사업 · 핵무장 · 향토예비군 · 주민등록증 · 재형저축 · 한글전용 ·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 부가가치세 · 백지계획 · 강남 개발 · 산아제한 · 서산개척단 · 컬러TV 송출 금지 · 금지곡 · 판금도서 종용제 · 장발, 미니스커트 단속 · 만화 검열제 · 긴급조치 · 군가산점 · 이중배상금지 · 국가모독죄 · 교련 · 방위세 · 방위병
평가 긍정적 평가 ( 사회·문화 · 안보·국방 · 외교 · 경제) · 부정적 평가 ( 정치 · 사회·문화 · 안보·국방 · 외교 · 경제) · 논란이 있는 평가
타임라인
대한민국 제2공화국: 박정희 군정
1961년 5.16 군사정변 · 국가재건최고회의 설립 · 혁명재판 · 전국 18개 학군단 창설 · 수도방위사령부 창설 · 농어촌고리채법 · 은행국유화(금융기관에 대한 임시조치법) · 경제기획원 설립 · 중앙정보부 창설 · 한국전력주식회사 창설 · 건설부 산하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시안 발표 · 농업협동조합 창설 · 8.12 성명( 박정희 의장 민정이양 계획 발표) ·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 · 연호에 관한 법률 개정
1962년 서력기원 사용 · 문화재보호법 제정 ·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울산공업센터 지정 · 주민등록법 제정 · 화폐개혁 · 4대 의혹 사건 · 마포아파트 준공 · 김종필- 오히라 메모 · 대한항공공사 설립 · 5차 개헌 공포 · 제1차 국민투표
1963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발족 · 민주공화당 창당 · 3.16 성명( 박정희 의장 민정이양 거부 및 군정연장 발표) · 군정연장반대운동 · 감사원 개원 · 박정희 의장 군정연장 철회 · 의정부역- 능곡역 구간 교외선 개통 · 서울 대확장 · 부산 직할시 승격 · 박정희 의장 전역 후 민주공화당 입당 및 대선후보 지명수락 · 삼양라면 출시 · 서울가정법원 개원 · 제5대 대통령 선거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구로공단 조성 · 황태성 사건 · 의료보험법 제정
대한민국 제3공화국: 박정희 정부 제1-3기
1963년 박정희 정부 출범 ·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 · 파독 근로자 파견
1964년 미터법 실시 · 삼분폭리사건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보완계획안 발표 · 부산화력발전소 준공 · 24시간 무제한송전 실시 · 울산정유공장 준공 ·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 · 6.3 항쟁 · 베트남 전쟁 파병안 통과 · 제1차 인민혁명당 사건 · 무즙 파동 · 서독 공식 방문 · 국가기술자격 시행
1965년 한국독립당 내란 음모 사건 · 독도 밀약 · 수출제일주의 표방 · 제2한강교 준공 · 춘천댐 준공 · 광복회 발족 · F-5 20대 도입 · 원충연 반혁명 사건 · 한일기본조약 조인( 한일협정 반대투쟁) · 전매청 신탄진공장 준공 · 야당 불참 속 한일협정 비준 및 베트남 전쟁 파병 동의안 가결 · 베트남 전쟁 1개 전투사단 파병 · 이승만 대통령 서거 · 한국해외개발공사 발족 · 농어촌 전화 사업 추진
1966년 KIST 설립 · 국세청 발족 · 장면 총리 별세 · 태릉선수촌 설립 · 한미행정협정 조인 ·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수립 ·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 · 국회 오물 투척 사건 · 사카린 밀수 사건
1967년 산림청 개청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 한국외환은행 발족 · 대도시 그린벨트 설정 · 짜빈동 전투 · GATT 가입 · 과학기술처 신설 · 제6대 대통령 선거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동백림 사건 · 한국수자원개발공사 설립 · 지리산 국립공원 지정 · 정부종합청사 착공
1968년 1.21 사태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684부대 창설 · 서울사범대학 독서회 사건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설립 · 향토예비군 창설 · 주민등록법 개정 · 통일혁명당 사건 · 만화 검열제 · 육군3사관학교 창설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주민등록증 발급 실시 · 국민교육헌장 발표 · 경부고속도로 서울- 수원- 오산 구간 개통 · 경인고속도로 개통
1969년 교련 과목 개설 · 한국도로공사 발족 · 가정의례준칙 · 서울 중학교 무시험 제도 · 금화시민아파트 준공 · 경부고속도로 오산- 천안- 대전 구간 개통 · 호남정유 여수공장 준공 ·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 MBC 개국 · 3선 개헌 · 제2차 국민투표 · 제3한강교 개통 · 울산고속도로 개통 · 경부고속도로 대구- 부산 구간 개통
1970년 정인숙 살해사건 · 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 포항종합제철소 착공 · 새마을운동 제창 · 우편번호제 도입 · 경부고속도로 대전- 대구 구간 개통 (완공) · 호남고속도로 대전- 전주 구간 개통 · 백원 주화 발행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수립 · 국방과학연구소 설립 · 병무청 설립 · 모산 수학여행 참사 · 전태일 분신 사건 · 번개사업 · 남영호 침몰사고 · 4대강 유역 종합개발 계획 확정 · 정부종합청사 개청
1971년 전국 중입시험 폐지 · 대한항공 F27기 납북 미수 사건 · 고리 원자력 발전소 기공 · KAIS 설립 · 주한미군 7사단 철수 · 제7대 대통령 선거 · 진산 파동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광주대단지 사건 · 브레튼우즈 체제 종료 · 실미도 사건 · 제1차 국토종합계획 발표 · 10.2 항명 파동 · 통일로 개통 · 영동고속도로 신갈- 새말 구간 개통 · 대연각호텔 화재
1972년 정병섭군 자살사건 · 경주고도개발 10개년 계획 확정 · 7.4 남북 공동 성명 · 통일미 개발 · 8.3 사채 동결 조치 · 제1차 남북 적십자 회담 · 10월 유신 · 울산석유화학단지 준공 · 제3차 국민투표 · 통일주체국민회의 발족 · 제7차 개헌 ·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대한민국 제4공화국: 박정희 정부 제4-5기
1973년 중화학공업화 선언 · 치산녹화 10개년 계획 추진 · 남서울아파트 분양 · 장발 및 미니스커트 단속 · 승압사업 개시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 KBS 설립 · 베트남 전쟁 종전 · 유신정우회 창립 · 윤필용 사건 · 남산 부활절 연합예배 사건 · 서울어린이대공원 개장 · 1973 서울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 화전민정리 5개년 계획 수립 · 포항종합제철소 준공 · 대덕연구단지 착공 · 불국사 복원공사 준공 ·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 · 김대중 납치 사건 · 소양강댐 준공 · 제1차 오일쇼크 · 최종길 교수 의문사 사건 · 태백선 고한- 황지 구간 개통(완공) · 호남고속도로 전주- 순천 구간, 담양지선 개통(완공) · 남해고속도로 개통 · 친아랍 성명 4개 조항 발표
1974년 율곡사업 추진 · 긴급조치 1·2호 선포 · 긴급조치 3호 · 현대울산조선소 제1호선 진수 · YTL30호 침몰 사건 · 창원, 여천, 옥포, 죽도, 통영, 여천 산업기지개발구역 최종선정 및 개발 계획 발표 · 서울/부산 고등학교 평준화 첫 실시 · 창원국가산업단지 조성 · 민청학련 사건 · 긴급조치 4호 선포 · 팔당댐 준공 · 속초해전 · 제2차 인민혁명당 사건 · 박정희 대통령 저격 미수 사건 ·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 새마을호 운행 시작 · 긴급조치 1·4호 해제 · 현대조선폭동사건 · 대왕코너 화재사고 · 주안국가산업단지 준공 · 동아일보 광고탄압사건
1975년 제4차 국민투표 · 한강 이북지역 택지개발금지조치 · 핵확산금지조약 비준 · 민방위 결성 · 긴급조치 7호 선포 ·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 사형 집행 · 김상진 할복 사건 · 종합무역상사 제도 실시 · 여의도 국회의사당 준공 · 영동고속도로 새말- 강릉 구간 개통(완공) · 동해고속도로 개통 · 여천석유화학단지 기공 · 학원 침투 간첩단 사건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개장 · 1975 서울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1976년 포항 석유 발견 사건 · 3.1 민주구국선언 사건 · 한독맥주 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 ·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 사건 · 제4차 경제·사회 개발 5개년 계획 수립 · 한국수출입은행 발족 · 잠수교 개통 · 국산자동차 현대 포니 첫 수출 · 코리아게이트 · 안동댐 준공 · 함평 고구마 사건 · 직업훈련기본법 제정
1977년 제4차 경제·사회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백지계획 발표 · 박흥숙 살인사건 · 월성 원자력 발전소 기공 · 고리 원자력 발전소 1호기 가동 · 의료보험 시행 · 부가가치세 시행 · 남해화학 여수공장 완공 · 반국가행위자의 처벌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 · 구마고속도로 개통 · 이리역 폭발사고
1978년 한미연합군사령부 발족 ·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 여천석유화학단지 준공 ·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특혜분양 사건 · 제9대 대통령 선거 · 8.8 조치 시행 · 백곰 미사일 발사 성공 · 자연보호헌장 선포 · 안동교구 가톨릭농민회 사건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9년 서울 지하철 2호선 착공 · 정부 제2청사 착공 · 보문관광단지 개장 · 고리 원자력 발전소 3, 4호기 착공 · 2차 오일 쇼크 · YH 사건 · 성수대교 개통 · 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 · 김형욱 실종 사건 · 부마항쟁 · 삽교천방조제 준공 · 10.26 사건 · 최규하 권한대행 체제 · 서울의 봄 · YWCA 위장결혼식 사건 · 12.12 군사반란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박정희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박정희 참고
}}}}}}}}}}}}


<colbgcolor=#29ACFF><colcolor=#fff> 안동댐
安東댐|Andong Dam
파일:안동 댐.jpg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착공 1971년 4월 1일
완공 1976년 10월 28일
관리기관 한국수자원공사 안동권지사
유형 다목적 댐
하천 낙동강
위치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 · 상아동
파일:안동호 티스토리.jpg

1. 개요2. 건설3. 교통4. 관광5. 대구광역시의 취수원 이전 추진6. 기타

[clearfix]

1. 개요

안동댐 준공 당시 영상[1]

安東댐 / Andong Dam

경상북도 안동시 낙동강 상류에 건설된 . 이로 인해 인공호수인 안동호가 형성되었으며, 댐 좌안은 성곡동, 우안은 상아동에 속한다.

높이 83m, 길이 612m, 체적 4,014천㎥, 저수용량 12억 4,800만㎥의 중앙차수벽형 사력댐으로 시설용량 90,000㎾의 수력발전소를 갖추고 있다. 안동댐은 낙동강 하구로부터 약 340㎞ 떨어진 상류에 위치하며, 안동댐은 하류 지역의 44,000ha에 달하는 농지에 연간 3억㎥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등에 연간 4억㎥의 생활ㆍ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낙동강 중상류 지역의 홍수 예방 기능도 수행하고 있으며 수문은 총 8개.[2]

전체적인 생김새는 소양강댐과도 살짝 비슷하다. 실제로 소양강댐과 안동댐을 같은 시기에 계획하다 보니 설계가 비슷하게 적용됐다. 당시 한국에 돈이 없어서 소양강댐을 먼저 착공하고 안동댐을 나중에 착공했을 뿐이다.

2. 건설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72~1976)의 일환으로서 1971년 4월에 착공하였고 1976년 10월 28일에 본댐을 준공하였다. # 건설자금은 아시아개발은행에서 도입한 차관으로 충당하였다.

3. 교통

안동시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안동역, 안동터미널에서 112번을 이용할 수 있다.

4. 관광

주변에 월영교, 안동문화관광단지, 안동민속박물관 등의 관광지가 산재하여 연계관광지로 인기가 높다. 안동댐 좌안도로를 따라 더 올라가면 동악골 마을이 있으며 매운탕이 유명하다.

국토종주 낙동강 자전거길의 기점이다.

5. 대구광역시의 취수원 이전 추진

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임하면서 공약중 하나였던 안동댐으로의 취수원 이전사업(일명 '맑은 물 하이웨이')이 추진되고 있다. 1조 4천억원을 들여 안동댐, 임하댐과 대구를 147km의 도수관로로 이어 식수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대구는 낙동강물을 취수해 사용하고 있어 낙동강 변에있는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수질오염 위험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그래서 원래는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구미시의 해평취수장으로 취수원을 다변화하려고 시도했었다. 하지만 구미시의 지속적인 반대에 가로막혀 제대로 추진되고 있지 못했다. 그래서 현재는 해평취수장 대신 안동댐으로 취수원을 이전하려고 하고 있다. 특히 구미시와 달리 안동시는 사업에 협조적이라 사업진행이 더 원활할 것이다. 또한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런 구미시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인해 기존 취수원 다변화 정책을 위해 체결했던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을 해지해 13년간의 물 분쟁을 종료시켰다.

하지만 일부 시민단체들로부터 안동댐에 영풍 석포제련소에서 나온 카드뮴, 비소 등의 중금속이 섞여있어 식수로 사용하기 부적합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 또한 안동댐에서 잡은 물고기의 수은성분이 기준치보다 높게 나온 사례도 있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

이렇게 부정적인 목소리들이 나오자 대구시는 한국수자원공사에 의뢰한 수질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 조사에서는 안동댐의 수질은 2등급으로 매곡정수장[3] 4등급, 해평취수장[4] 3등급에 비해 수질이 좋다는 결과가 나왔고 중금속도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2023년 9월 20일, 홍준표 대구시장이 기자 간담회에서 한국수자원공사는 취수원 이전을 무조건 하겠다고 말했고, 환경부와는 2023년 말쯤 합의가 마무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

2024년 6월 10일, 환경부는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 영향권의 경북 안동시, 상주시, 문경시, 의성군 등 경북 9개 시군 관계자들과 함께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서 환경부는 안동댐 수량만으로는 가뭄 시 대구시가 요구한 일 취수량 63만톤을 충당하기 어렵기에 취수량은 일 46만 톤이 적절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대구시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으로 인해 추가 규제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주장과는 달리 안동댐 주변 지역 3km²의 추가 규제가 필요하며 이로인해 60가구가 영향을 받는다고 언급했다. 또한 총사업비도 1.8조 원에서 2조원으로 증가함에 따라 해당 사업의 B/C값이 0.63에서 0.57로 하락했다고 언급했다. # 대구시는 이에 대해 줄어든 취수량은 대구시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하며, 앞으로 경북 9개 시군 관계자들을 더 설득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6. 기타

2013년 도수로 공사전까지는 준공기념탑을 삥 도는 로터리 공원이 있었고 공사과정에서 희생된 인부들을 기리는 위령탑이 있었고, 바로 근처에 완공 당시 영애였던 박근혜 전 대통령이 잉어를 방생한 것을 기념하는 방생기념비가 세워져 있었다. 하지만 도수로 공사가 완료되고 준공기념탑 로터리 공원은 물포럼 기념센터가 들어섰고, 낙강물길공원이 정비되면서 위령탑은 낙강물길공원으로 옮겼고 방생기념비는 준공기념탑 근처로 옮겨져 박정희 전 대통령의 안동호 친필비와 나란히 서 있다.

안동교구 가톨릭농민회 사건 당시 정치인 이재오[5] 김수환 추기경의 부탁을 받아 안동에서 강연을 했는데 이 기념비를 두고 독재의 전형이라고 비판하는 발언을 했다가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코렁탕을 먹은 사건이 있었다. #

4대강 정비 사업으로 인해 인접해 있는 임하댐과 연결된 수로가 개통되어 있다.

2021년 11월 1일 이곳에서 안동댐 주차장 폭행 사건이 일어났다.

희한하게도 해안가 모래톱에 서식하는 멸종위기2급 생물인 여름철새 쇠제비갈매기가 번식을 하는 번식지로서 역할을 하는 곳이다.
해안가 생태계가 파괴되자 대체제로 안동호를 찾게된것으로 추측하며 2013년부터 10년이 넘게 50~100쌍 정도의 쇠제비 갈매기 무리가 찾아와 이곳 안동호에서 대를 잇고있는 중이다.
내륙지방 저수지에 바닷새가 둥지를트는건 상당히 보기드문일로,
안동호에 쇠제비갈매기 유조들의 먹이원이 되는 빙어의 개체수가 풍족하고, 자연적으로 생성된 저수지 가운대의 모래톱이 안동호를 찾게한 원인으로 추측된다. 현재 안동시는 장마시 폭우에 가라앉는 천연 모래톱 대신 호수 가운대에 인공 모래섬 2개를 설치해서 쇠제비 갈매기의 원활한 번식을 돕고있다. 주 먹이원인 빙어 또한 쇠제비 갈매기와 같이 본래 바다와 강이 만나는곳에 사는 어종이였으나, 인간에 의해 내륙 담수에 살게되었다는걸 생각해보면 여러모로 아이러니 하다고 볼 수 있다.
[1] 대한뉴스 제1106호 [2] 사진상의 여수로가 수문 4개의 주여수로. 현재는 오른쪽에 수문 4개를 가지고, 주여수로와 생김새가 비슷한 보조여수로가 완공되었으며 홍수 조절능력이 더 상향되었다. [3] 현재 대구에서 취수중인 곳 [4] 과거 대구가 취수하려고 했던곳 [5] 당시 앰네스티 한국위원회 사무국장